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HRM 관점의 ESG 평가 지표 비교분석 연구

        천상은(Chun, Sangeun),박희태(Park, Heetae)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1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8 No.5

        최근 사회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기업의 역할이 확대됨에 따라 기업의 비재무적인 경영활동(ESG)은 기업의 존폐를 좌우할 수 있는 주요 경영 평가지표로 등장하게 되었다. 하지만, 국내 주요 기업들이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고자 ESG 경영을 선언하고 다양한 경영전략을 수립하고 있지만 여전히 정부나 공공기관은 표준화되거나 일관된 ESG 경영 평가지표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ESG 경영 활성화을 위한 인적자원관리의 역할에 주목하여 국내외 ESG 경영 평가지표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의 ESG 관련 연구 주제와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도출하기 위해 우선 인적자원관리 관점에서 ESG 경영에 대한 중요성과 ESG 경영에서의 인적자원관리의 역할, ESG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이후 국내외 대표적인 ESG 평가기관들의 평가지표 비교분석을 통해 함의를 찾고 최근 국내 ESG 평가지표의 변화를 토대로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의 연구 주제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ESG 경영에서 인적자원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ESG 경영 평가에 있어서 인적자원관리 지표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ESG 평가상에서의 대부분의 핵심지표들이 조직문화와 연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둘째, ESG 인적자원관리 부문의 평가지표는 기업이 처한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고 시대적 상황에 맞게 변화한다는 점이다. 셋째, 인적자원관리 관점에서의 ESG 연구는 국내외 간의 평가지표 지향성의 차이를 통해 확산적 가치와 수렴적 가치를 국가간 비교 할 수 있는 연구, 국내에 있는 외국계기업의 ESG 경영전략 수립 기준 연구, 인적자원관리 관점의 ESG 평가지표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 연구, 마지막으로 폭 넓은 의미에서 인간존중 경영, 안전보건(사고), 직장 내 갑질, 조직 내 MZ세대와의 갈등, 리더십, 조직문화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지표화 할 수 있는 연구 등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Recently, as the role of socially demanding companies has expanded, non-financial management activities of companies have emerged as major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that can determine the existence of companies. However, although major domestic companies declare ESG management and establish various management strategies to cope with these social changes, the government or public institutions are still unable to present standardized or consistent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research topics and directions in term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through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domestic and foreign ESG evaluation indicators. To derive this, the importance of ESG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the rol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ESG management, and ESG-related research trends were examined. Since then, the implications have been foun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evaluation indicators by representative ESG evaluation institutions at home and abroad, and research topics in term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have been expanded based on recent changes in domestic ESG evaluation indicator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important in ESG management because human resource management indicators occupy a large proportion in ESG management evaluation, and most of the key indicators in ESG evaluation are linked to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 the evaluation index of the ESG human resource management sector varie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company is facing and chang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times. Third, ESG research from a human resource management perspective can compare diffuse and convergent values between countries through differences in evaluation indicators at home and abroad, ESG management strategy establishment criteria, ESG evalu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and Finally, in a broad sense, it should be expanded to research that can index a wide spectrum of human respect management, safety and health, power abuse in the workplace, conflict with MZ generation in the organization,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 KCI등재

        초기 기업의 ESG지표 개발 및 적용 연구: 업종 및 투자 여부에 따른 ESG 실행 차이 분석

        전화성,남정민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3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7 No.6

        This study aims to develop ESG indicators applicable to startups and test their relevance to startup performance. To develop ESG indicators for startups, we review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ESG environmental analysis and prior research, and derived a comprehensive importance ranking of indicators through AHP analysis of startup investors. The results show that the first level of importance is governance(G), followed by social(S) and environmental(E). The sub-indicators within the second level of environment are "Environmental Management Strategy and Policy,"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ion," and "Discharge of Waste Pollutants," in order of importance, Within Governance(G), the sub-indicators were "Governance Management", "Shareholder Rights Protection", and "Ethical Management and Audit Organization". The overall importance ranking of ESG indicators(Level 3) was high in the following order: "Violation of governance laws and regulations," "ESG management and information disclosure," "Dividend policy and implementation," "Professionalism of the audit organization," and “Disclosure of ethical management violation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rived ESG indicators and startup performance and industry(manufacturing and non-manufacturing),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on 78 startups based on investment status and industry. In the case of companies that received investment,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Human Rights Protection/Association Freedom Guarantee”, “Product Safety”, “Social Law/Regulation Violation”, “Company ESG Management”, “Company Supply Chain Management”, “Board Agenda Handling”, “Shareholders' Meeting Collection and Hosting”, and “Expertise of Audit Organization>”. In the case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a higher level compared to the non-manufacturing industry in “Verific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Energy(reuse) ratio”, “Waste emissions”, and “Violation of environmental laws/regulations”. These results mean that governance (G) is recognized as important among startup ESG evaluation indicators from an investor's perspective, and show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applying environmental (E) factors to industries other than manufacturing in the current situation. will b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aim to derive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indicator development for ESG management of startup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국내 기업규모에 따른 ESG 대응분석:E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신흥순,김영희 한국환경정책학회 2023 環境政策 Vol.31 No.4

        Consideration of ESG has become an essential element for the strategic marketing and investment evaluation of domestic companies. However, among ESG indicators, the performance of environmental indicators has been minimal.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ESG implementation in terms of environmental indicators through a comparison of domestic and foreign ESG indicators and companies' ESG reports. We categorized the indices into four major groups: carbon emissions and climate change, resource use and pollutant reduction, eco-friendly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The content of each category was highly similar,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oportion of each category. Foreign institutions placed greater emphasis on climate change, waste management, and eco-friendly technology, while domestic institutions focused more on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regulatory compliance. The analysis of ESG repor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SG practices based on company size. Major companies exhibited similar proportions among the four categories, indicating a voluntary approach in addition to regulatory compliance. In contrast, medium-sized companies had a higher proportion of regulatory compliance measures. 지속가능경영 패러다임의 변화로 ESG는 국내기업의 전략적 마켓팅 및 투자평가를 위한 필수항목이지만 ESG 지표중 환경지표의 실천에 대해서는 실적이 미미한 수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ESG 지표비교 및 국내기업의 실천사례를 이용하여 ESG 환경지표 대응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기업규모별 ESG 대응에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ESG지표는 지표의 특성에 따라 탄소배출과 기후변화, 자원이용과 오염물질저감. 친환경기술 분야와 환경경영 등 4개의 주요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국내외 기관별 지표분석 결과 카테고리별 지표내용은 유사성이 높았지만 각 카테고리별 비중은 차이를 보였다. 해외기관은 기후변화와 폐기물 및 친환경 기술에 대한 비중이 높은 반면 국내 기관에서는 환경경영 및 규제준수에 대한 비중이 높았다. ESG 경영보고서 사례분석에서는 대기업의 경우는 4개 카테고리가 서로 유사한 비중을 차지하여 규제적 접근외에 자발적 실천을 보이고 있는 반면 중견기업의 경우는 규제적 성격이 높은 지표에 대한 실천비중이 높았다.

      • KCI등재

        ESG 평가방법 비교: K-ESG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조찬희,이형용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23 지능정보연구 Vol.29 No.1

        ESG management is becoming a necessity of the times, but there are about 600 ESG evaluation indicators worldwide, causing confusion in the market as different ESG ratings were assigned to individual companies according to evaluation agencies. In addition, since the method of applying ESG was not disclosed, there were not many ways for companies that wanted to introduce ESG management to get help. Accordingl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nounced the K-ESG guideline jointly with the ministries. In previous studies, there were few studies on the comparison of evaluation grades by ESG evaluation company or the application of evaluation diagnostic item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ase of application and improvement of the K-ESG guideline was attempted by applying the K-ESG guideline to companies that already have ESG ratings. The position of the K-ESG guideline is also confirmed by comparing the scores calculated through the K-ESG guideline for companies that have ESG ratings from global ESG evaluation agencies and domestic ESG evaluation agenc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K-ESG guideline provide clear and detailed standards for individual companies to set their own ESG goals and set the direction of ESG practice. Second, the K-ESG guideline is suitable for domestic and global ESG evaluation standards as it has 61 diagnostic items and 12 additional diagnostic items covering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global representative ESG evaluation agencies and KCGS in Korea. Third, the ESG rating of the K-ESG guideline was higher than that of a global ESG rating company and lower than or similar to that of a domestic ESG rating company. Fourth, the ease of application of the K-ESG guideline is judged to be high. Fifth, the point to be improved in the K-ESG guideline is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compile industry average statistics on diagnostic items in the K-ESG environment area and publish them on the government’s ESG-only site. In addition, the applied weights of E, S, and G by industry should be determined and disclosed. This study will help ESG evaluation agencies, corporate management, and ESG managers interested in ESG management in establishing ESG management strategies and contributing to providing improvements to be referenced when revising the K-ESG guideline in the future. ESG 경영은 시대의 필수가 되어 가고 있지만, ESG 평가지표가 전세계적으로 600여개나 되어서 개별 회사에 대해 평가기관에 따라 서로 다른 ESG 등급이 부여되어 시장의 혼란을 초래하였다. 또한 ESG 적용 방법이 공개되지 않아서 ESG 경영을 도입하려는 회사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많지 않았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부처 합동으로 K-ESG 가이 드라인을 발표하였다. 기존 연구들 중에 ESG 평가회사별 평가등급 비교나 평가 진단항목의 적용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ESG 가이드라인을 통해 이미 ESG 등급을 보유한 회사에 적용하여 K-ESG 가이드라인의 적용 용이성과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글로벌 ESG 평가기관, 국내 ESG 평가기관의 ESG 등급을 보유한 기업에 대해 K-ESG 가이드라인을 통해 산출한 점수를 비교하여 K-ESG 가이드라인의 위치도 확인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로서 첫째, K-ESG 가이드라인은 개별 회사가 ESG 목표 설정과 ESG 실천의 방향을 자체적으로 설정하는데 명확하고 자세한 기준을 제공해주고 있다. 둘째, K-ESG 가이드라인은 글로벌 대표 ESG 평가기관 및 국내의 KCGS의 평가지표를 포괄하는 61개의 진단항목과 12개의 추가 진단항목을 갖추고 있어서 국내외 ESG 평가기준에 적합하다. 셋째, K-ESG 가이드라인의 ESG 평가등급은 글로벌 ESG 평가기관 중 Refinitiv보다 낮았고 MSCI보다 높았으며 국내 ESG 평가기관인 KCGS의 등급 보다 낮거나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넷째, K-ESG 가이드라인의 적용 용이성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K-ESG 가이드라인의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서 정부가 K-ESG 환경 영역의 진단항목에 대한 산업평균 통계치를 집계하여 정부의 ESG 전용 사이트에 발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산업별 E, S 그리고 G의 적용 가중치도 확정하여 공시를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ESG 경영에 관심이 있는 ESG 평가기관, 기업의 경영진 그리고 ESG 담당자 등에게 ESG 경영전략 수립과 세부이행에 있어 도움이 될 것이며, K-ESG 가이드라인의 추후 개정 시 참고할 제언도 제공한다.

      • KCI등재

        기업의 ESG 활동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매출액이익률을 중심으로

        이흔열,정우성 한국전산회계학회 2023 電算會計硏究 Vol.21 No.3

        [Purpose]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management, proposing that it provides incentives for companies to achieve transparent and sustainable management.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ESG management on corporate earnings management,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effect of one financial characteristic, the Return on Sales (ROS), and how ESG influences this relationship. [Methodology]The study utilizes ESG rating data publicly disclosed by the Korea ESG Standards Authority from 2015 to 2022, focusing on manufacturing companies with available ESG ratings. The discretionary accruals were measured using the Jones model as the earnings management variable, and ROS was used to reflect financial characteristics. [Findings]The study found that ESG management tends to reduce corporate earnings management activities. Moreover, while companies with higher ROS were found to engage in more earnings management, the interaction between ROS and ESG management, particularly in terms of ESG integration, environmental (S), and governance (G) components,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earnings management. This suggests that ESG management contributes to reducing earnings management. [Implications]The study suggests that ESG management plays a crucial role in enhancing financial transparency and ethical standards in corporations. It was observed that companies with higher total sales profitability, when implementing ESG management, tend to show a decrease in earnings management activities. This indicates that ESG management can be a vital tool for enhancing financial soundness and transparency. [연구목적]본 연구는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이 매우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기업들이 투명하고 지속 가능한 경영을 실현할 유인이 있다고 보고, ESG 경영이 기업의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특히, 재무적 특성 중 하나인 매출액이익률이 이익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에 ESG가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2015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ESG기준원에 의해 공시된 ESG 등급 데이터를 사용하여 ESG 등급이 공개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다. 이익조정 변수로 Jones 모형을 이용하여 재량적 발생액을 측정했으며, 재무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매출액이익률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ESG 경영이 기업의 이익조정 활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출액이익률이 높은 기업에서 이익조정을 더 많이 수행하였으나, 매출액이익률과 ESG경영의 상호작용을 살펴봤을 때, ESG 통합·환경(S)·지배구조(G) 요소와 매출액이익률의 상호작용이 이익조정과 음(-)의 관계를 보여주었고, 이는 ESG 경영이 이익조정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ESG 경영이 기업의 재무적 투명성과 윤리적 기준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총매출이익률이 높은 기업들이 ESG 경영을 실시할 경우, 이익조정 행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ESG 경영이 재무적 건전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 KCI등재

        종교단체의 ESG 실천방안에 관한 법제도적 연구

        정유진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23 스포츠와 법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organizations and their activities, and to discuss legal and institutional methods for ESG practice in major activities of religious organizations. Since the concept of "ESG" was established through the United Nations Principle for Responsible Investment (PRI) in 2006, discussions on sustainability have intensified through environmental and social issues such as the climate crisis and the COVID-19 Pandemic. ESG practice is also a very important area in the major areas of activity of religious organizations. However, in light of the specificity of religious organizations, there are conflicting opinions that government intervention should be minimized to ensure autonomy in the religious area rather than active government-led intervention. In this study, the legal nature of religious organizations and changes in religious organizations' activities will be reviewed first, and unlike in the past, the role of religious organizations and the contents necessary for ESG practice to be applied to businesses operated by religious organizations. To this end, specific methods such as why ESG is needed for major activities of religious organizations, standards and methodologies for ESG practice are being sought. In the case of religious organizations,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implement ESG.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harmoniously organize sectors that currently require specificity suitable for domestic religious organizations. For this practice, it would be ideal to focus on securing connection between domestic policies through government role theory, secondary role theory of religious organizations, etc. and methodology, and to establish policies that meet global standards while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the domestic situation. In the long run, after the ESG practice of religious organizations is settled, it is expected that an environment for ESG practice can be created according to the autonomous standards of each religious organization while minimizing government interven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종교단체의 법적 특성과 그 활동 현황을 고찰하고, 종교단체의 주요활동 등에 ESG 실천을 위한 방법론에 대한 법제도적 방법을 논하였다. ESG의 개념과 방법론은 사실 종교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더 나아가 오늘날 종교단체의 역할은 한 개인의 신앙 활동을 넘어 종교단체의 여러 사회활동에 참여하면서, 종교단체의 역할은 매우 확대되고 있다. 한편, ESG의 개념, 방법론이 잘 정립되지 않은 채로 단기간에 ESG 담론이 확장되면서 우리 사회에 적잖은 혼란과 갈등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교단체의 주요 활동영역에도 ESG의 실천은 매우 중요한 영역이다. 그러나 종교단체의 특수성 등에 비추어 본다면, 정부 주도의 적극적인 개입보다는 종교영역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하여, 정부 개입을 최소화하여야 한다는 의견이 서로 대립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종교단체의 법적 성격과 종교단체의 활동 변화 등을 우선 검토하고, 과거와 다르게 종교단체의 역할 및 종교단체가 운영하는 사업체 등에 적용될 ESG 실천을 위해 필요한 내용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종교단체의 주요 활동에 ESG 실천이 필요한 이유와 종교단체의 ESG 실천을 위한 기준과 방법론 등에 대해서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법 제도적으로 ESG 실천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지만, 종교단체의 경우 정부의 적극적인 법 제도적 진행에 앞서 종교단체주도로 기준이 수립되고 종교단체에서 자율적인 채택을 거쳐 ESG 실천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며, 필요에 따라 해당 기준을 제도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현재 국내 종교단체에 맞는 특수성이 필요한 부문을 조화롭게 구성할 필요성이 있다. 장기적으로 종교단체의 ESG 실천이 안착한 이후에는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하고도 각 종교단체의 자율적인 기준에 따라 ESG 실천을 위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ESG 안전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윤철희,이근원,정승호 한국가스학회 2023 한국가스학회지 Vol.27 No.2

        산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을 발굴하고 제어하는 리스크관리에서 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을 도입하고 있다. 앞으로는 기업 지속가능성에 대한 가치 판단 도구로써 ESG 평가가 더욱 활용될 것이다. 이러한 ESG 평가를 활용하여 기업의 사고 예방 정도를 관리하고 있다. 현행 ESG 평가체계에 대한 형태소 분석을 통하여 안전에 대한 평가항목을 분석하여, ESG에서 활용 가능한 정량적 ‘안전평가지표’가 미흡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산업 사고 데이터를 분석하고 집중 관리가 필요한 ‘사고기여 인자’를 도출했으며, 해당 결과를 기반으로 보완이 필요한 주요 안전관리 항목을 선정했다. 선정한 항목들은 ‘사고 예방 관리’에 적합한 평가 요소로 최적화시키는 과정을 거쳐, ESG 안전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통합지표(ESG와 KEJI)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명순,김용 한국상업교육학회 2015 상업교육연구 Vol.29 No.6

        본 연구는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성과지표인 ESG 통합 등급과 KEJI 통합 지표를 이용할 수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SR 활동에 관한 대용변수로 한국기업지배구조원(CGS)에서 발표하는 ESG 통합 등급을 이용한 결과에서 전년도 CSR 활동이 당해 연도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CSR 활동에 관한 대용변수로 경제정의연구소에서 발표하는 KEJI 통합 지표인 TOTAL를 이용한 결과에서 전년도 CSR 활동이 당해 연도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CSR활동과 기업특성 변수들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달랐으며, 기업업력이 다른 독립변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지표에 따라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기업지배구조원과 경제정의연구소에서 공표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성과지표들은 모두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설명력은 그다지 높지 않다. 그리고 각각의 성과지표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많은 점에서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양자의 구성요소들 중 보다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요소들로 재분류 및 통합하여 일치시킨다면, 기업들은 이들 구성요소의 지표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가중할 것이며 이는 기업 이해관계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ctivities and firm value in the ones which can use ESG integrated grade and KEJI integrated indicators of the ones to be listed on the Stock Market of Korea Exchange from Jan. 1st, 2011 to Dec. 31st, 2011. The analytical result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result which used the integrated data in 2011 has found that tthe effect of the total CSR activities(ESG) in this year on the firm value in the next year showed th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And the effect of debt ratio, advertising expense rate and company age on the firm value showed the significant positive or negative relationship but total asse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result which used the integrated data in 2011 has found that tthe effect of the total CSR activities(KEJI) in this year on the firm value in the next year showed th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total asset, debt ratio, and advertising expense rate on the firm value showed th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ut company age showed the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Third,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effect of CSR activity, total asset, debt ratio, advertising expense rate and company age on the firm value in the next year. but CSR activity is not statistically highest. Forth, the result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the CSR activities on the firm value according to ESG integrated grade and KEJI integrated indicators has found that there is no any difference in it. In conclusion, the CSR activities of companies can be the very useful strategic means which ultimately improves the firm value.

      • KCI등재

        국내 스마트 항만의 지속가능성 영역과 지표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이재훈,장명희 한국항만경제학회 2022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8 No.4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시대의 항만을 뜻하는 스마트 항만의 지속가능성 영역과 지표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들과 최근 전 세계적으로 전 산업에서 필수불가결하게 도입하고 있는 ESG를 함께 연구하였다. 운영, 환경, 사회, 지배구조 등 4가지의 영역의 상위 평가항목과 20개의 하위 평가항 목으로 계층구조를 설정하였고 AHP 기법 중에서 항목들의 가중치를 매기는 상대적 평가방법을 적용하 였다. 쌍대비교 설문지를 Satty(1980)가 제안한 9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국내 대표적인 4개의 항만공사 (부산, 인천, 울산, 여수광양)에서 지속가능성 혹은 ESG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실무 종사자들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일관성 비율이 0.1이하인 17부의 설문 을 대상으로 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스마트 항만의 지속가능성을 나타내는 4가지 영 역 중 운영 영역의 우선순위가 제일 높았고, 그 다음으로 환경 영역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20개 세부지표들에 대한 종합우선 순위를 살펴보면 운영 효율성, 운영 계획, 에너지 관리, 오염 측정 및 관리 체계 등의 지표가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 영역과 지배구조 영역은 다른 영영들에 비해서 상대적 중요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