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타적경제수역의 법적 지위와 국내적 수용 : 한중일의 관련 국내법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이창위(Chang-Wee Lee) 한국해사법학회 2009 해사법연구 Vol.21 No.3

        제3차 유엔해양법회의에서 가장 논란이 된 이슈의 하나는 배타적경제수역의 법적 지위에 대한 대립, 즉,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배타적경제수역은 영해적 성격을 가져야 한다고 한 영해파 내지 영해주의파(territorialist), 공해적 성격을 강조한 공해파 내지 우선적 권리파(preferentialist), 그리고 영해도 아니고 공해도 아닌 독자적 성격의 수역이라는 고유수역파(zonist)의 대립이었다. 유엔해양법협약은 배타적경제수역의 법적 지위를 명확히 하지 않고, 이는 협약의 관련 규정에 의해 규율되는 특별한 제도에 따르는 제도라는 내용의 규정을 두었다. 즉, 배타적경제수역이 영해나 공해가 아닌 제3의 특별한 수역이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유엔해양법협약의 관련 규정에 대한 해석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선진해양국들은 배타적경제수역의 공해적 성격을 강조하여 영역화의 가능성을 차단하려고 한 반면, 배타적경제수역 제도의 도입을 주장한 개도국들은 반대의 입장을 취했다. 유엔해양법회의에서 배타적경제수역의 제도화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을 때 일본과 중국은 대표적 해양선진국과 연안개도국으로서 동 제도에 대한 찬반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국은 입장을 명확히 하지 않았다. 1996년과 1998년 한중일 삼국은 배타적경제수역을 국내적으로 도입했다. 배타적경제수역 제도가 출범하고 10여 년이 지난 현재, 동북아에서 동 제도의 운용은 해양경계획정, 해양환경보호, 자원관리, 군사활동 등과 관련하여 전환점에 서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입장에서, 배타적경제수역에 대한 한중일 삼국의 태도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동 제도의 법적 지위 내지 성격과 효율적인 운용 문제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during the early stages of UNCLOSⅢ was to determine the exact legal status of the EEZ. The first view envisaged the zone as an extension of the territorial sea, where the coastal State would enjoy sovereignty with certain exceptions(territorialist). The second view considered the zone to have high seas status with certain modifications, which allow the coastal States preferential and specific rights over the resources and jurisdiction relating to such matters as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scientific research(preferentialist). The third and majority view held that the EEZ was a sui generis zone, with its own legal regime which did not fit in the traditional dualistic concept of the sea(zonist). The first view was presented by several Latin American States. The second view reflected the concern of Maritime States regarding the high seas freedoms in the EEZ. The 1982 LOSC did not clarify the legal nature of the EEZ, but stipulated broad jurisdiction and sovereign rights over resources and other matters of coastal States as well as certain freedoms and duties of other States in the EEZ. Considering the general trend in the UNCLOS Ⅲ and the relative articles of the 1982 CLOS, it might as well be resonable to regard the EEZ as a separate functional zone of a sui generis character, situated between the territorial sea and the high seas. Of course,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an agreement on the issue was reached by accumulation of the relevant state practices. Korea, Japan and China established the EEZ regime in the late 1990s. But they did not agree on the final maritime delimitation. Instead, they concluded three bilateral fisheries agreements establishing several intermediate/provisional zones in the overlapping EEZ. Many agreements have yet to be reached on maritime boundaries relating the EEZ among the coastal States in the region. The coastal States should manage and control the EEZ regime under those circumstances. Taking into above mentioned issues, I attempted to provide interpretations on the relevant articles of the 1982 LOSC as well as EEZ related State practices in the North East Asian region.

      • KCI등재

        한 · 중 · 일 분쟁수역의 법적 성격에 관한 연구 - 연안국 및 기국의 권리와 의무를 중심으로 -

        원현우,허종원,이영주 한국해사법학회 2024 해사법연구 Vol.36 No.2

        이 연구는 한·중·일이 각각 선포한 배타적 경제수역이 중첩되는 수역의 법적성격과 연안국 및 기국의 권리와 의무를 분석한다. Ⅱ장에서는 한·중·일의 배타적 경제수역의 선포와 연안국 간 잠정어업협정 체결로 형성된 법적 사실관계를정리하고, 해당 수역을 배타적 경제수역(EEZ), 잠정적 공동관리 구역(provisional joint regulation zones), 유보 수역(reserved waters)으로 분류하여, 분쟁수역이 배타적 경제수역과 공해의 이중적 성격을 갖는다는 결론의 전제를 도출한다. Ⅲ장에서는 분쟁수역이 배타적 경제수역 또는 공해로서의 이중적 법적 성격을 갖는 근거를 제시하고, 분쟁수역에 대한 배타적 경제수역과 공해의 법리 적용 논거를 통해 연안국 및 기국의 권리와 의무를 쟁점 사안별로 검토한다. 특히, 공해의 법리가 적용되는 논거에서는 UN해양법협약상 배타적 경제수역의공해적 특성과 분쟁수역의 특성에 따른 공해의 법적 성격을 구분하여 살펴본다. 해당 수역의 잠재적 법적 성격을 분석함으로써 동북아시아 내의 분쟁수역에 대한 구체적 이해에 기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legal character of overlapping Exclusive Economic Zones(EEZ) declared by Republic of Korea,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Japan, along with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coastal and flag states. Chapter II summarizes the legal factual relationships formed by the declarations of EEZ by them and the provisional fisheries agreements among them, classifying these areas into EEZ, provisional joint regulation zones, and reserved waters, laying the foundation for concluding that disputed waters have a dual character of EEZ and High Seas. Chapter III presents specific grounds for disputed waters possessing a dual legal character as EEZ and High Seas, examining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coastal and flag states on a case-by-case basis through the application of legal principles governing water and High Seas. Particularly, in the context where legal principles applicable to the High Seas, it distinguishes the legal character of the High Sea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EZ under the UNCLOS and High Seas in disputed water. By delineating the potential legal character of these waters, this study contributes to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disputed waters in the Northeast Asia.

      • KCI등재

        접속수역, 배타적 경제수역 및 공해에서의 형법의 역외적용

        김종구(Kim Jong-Goo) 한국법학회 2007 법학연구 Vol.26 No.-

        필자는 본 논문에서 접속수역, 배타적 경제수역 및 공해의 법적 성격과 관련하여 우리의 관할권을 역외에 행사하는 문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한 국가의 관할권은 영토 및 영해로 제한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각국은 속지주의에 대한 예외를 규정하여 자국의 관할권을 역외에까지 행사하려 한다. 우리 형법도 소극적 속인주의를 규정하여, 영해 밖에서 외국인에 의해 행하여진 범죄라도 피해자가 한국인인 경우 우리 형법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UN해양법협약은 접속수역, 배타적 경제수역 및 공해에서도 예외적인 경우 연안국의 관할권 행사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해상에서의 형사 관계법령의 역외적용 문제는 특히 근래 바다를 통한 밀수ㆍ밀입국ㆍ밀항 등 범죄의 증가 및 해상에서의 범죄가 국제성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되고 있다. 이들 해상에서의 범죄에 대한 효과적인 단속을 위해서는 국내의 관련 법률의 정비작업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밀수ㆍ밀입국 등의 미수 및 예비와 그 국외범 처벌에 관한 규정을 관련 법률에 명시하여, 영해 외의 해역에서 초기 단계에 이들 위법행위를 단속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개별 해역에서 우리의 관할권이 적절히 행사되기 위해서는, 주변국들의 법제에 대한 이해와 함께 관련 당사국들과의 공조체제 마련에도 유념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on the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of criminal law to the contiguous zone, EEZ and high seas. Particularly, this paper argues about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of the coastal state's law to foreigners(on foreign ships) who have violated coastal state's law on the contiguous zone, EEZ and high seas. Under the UNCLOS, a coastal State may excercise its control beyond its territory and territorial sea. In a zone contiguous to its territorial sea, a costal state may excercise the control necessary to prevent infringement of its customs, fiscal, immigration or sanitary laws and regulations. In addition, a coastal state shall have exclusive jurisdiction over artificial islands, installations and structures established on the EEZ. Furthermore, a coastal state has a right to pursue a foreign ship that has committed an offence within its maritime jurisdictional zones. onto the high seas and to arrest it on the high seas. The general rule under international law is that a state can apply its law only to its territory and territorial sea. However, according to the UNCLOS, a coastal state has jurisdiction over contiguous zone, EEZ, and high seas under certain circumstances. There are also some exceptions to the territorial principle under the Criminal Law. One of them is passive nationality principle. The Korean Code of Criminal Law has a provision about passive nationality principle. Thus, such crimes committed by foreigners on the high seas are subject to the jurisdiction of Korea. However, the author of this paper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expressly some clauses about the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of criminal law in 'the law of high seas and contiguous zone', 'the customs law' and 'the exit and entry control law'. Those provisions are especially inevitable to prevent smuggling or illegal entry in an early stage of its process.

      • KCI등재

        이어도 쟁점 및 해양주권 강화 방안 -다층적 차원에서의 해법 모색-

        강병철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2 평화학연구 Vol.13 No.4

        The Ieodo issue is a maritime dispute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This dispute over what South Korea calls the Ieodo Reef and China refers to as the Suyan Reef is not a territorial dispute, but an EEZ delimitation dispute. Ieodo is not technically the object of a territorial dispute, but jurisdiction over it has to be decided through negoti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China's position on Ieodo is clear. The ownership of Ieodo should be determined through bilateral negotiation, a pending status in which neither of the two should take unilateral moves in these waters. The two sides have held 16 rounds of negotiations on how to divide the waters, but have failed to reach an agreement. Both countries do not accept international arbitration for any of the sovereignty or EEZ delimitation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Ieodo issue and find strengthening measures for South Korea's maritime sovereignty in multiple levels which are International level, consider U.S. and China relation, national level, consider international regime and diplomatic negotiation, local level foster Ieodo culture. China has sought not only to expand its economic and political influence, but also to expand its maritime territory. China's military modernization has directly supported this endeavor. The PLA Navy is developing blue-water capabilities that will enable it to project power into the region and beyond. Ieodo is located in China's first island chain. If South Korea and China reach an agreement on the East China EEZ delimitation, PLAN operations will face limitation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Considering this element, China prefers a status quo policy and used strategic ambiguity on the Ieodo Issue. 한국의 이어도를 중국은 소암초라고 부르고 있는데 이어도쟁점은 한국과 중국 간의 영토분쟁이 아니라 배타적경제수역 획정을 둘러싼 해양 경계획정 갈등이다. 이어도는 영토분쟁의 대상이 될 수 없으며 한국과 중국간의 협상으로 정리될 영유권의 문제이다. 중국의 입장을 보면 양국의 협상으로 영유권이 결정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는 어느 일방이 이 해역에서 독단적인 행위를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한국과 중국은 한중간의 배타적경제수역 경계획정을 위하여 16번의 협상을 하였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하였다. 양국은 국제중재(國際仲裁)를 거부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어도 쟁점을 분석하고 한국의 해양영유권확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국제적 수준에서 미국과 중국관계를 고려하고 국내적 수준에서는 국제레짐과 외교적협상을, 지방수준에서는 이어도문화를 증진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중국은 정치 경제적인 영향력만 확대하는 것이 아니라 해양영역도 확대하려 하고 있다. 중국의 군사현대화는 이를 지지하고 있다. 중국해군은 군사력을 근해에서 멀리 투사할 수 있는 대양해군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어도는 중국의 제1도련선 내에 있다. 만일 한중간에 배타적경제수역을 획정하는데 합의한다면 중국해군은 서해와 동중국해의 작전지역이 좁아질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중국은 현상유지를 선호하고 이어도쟁점에 대하여 모호한 태도를 견지할 것이다.

      • KCI등재

        한·중 배타적 경제수역·대륙붕법제 비교연구: 한국의 대륙붕법 입법의 필요성을 겸론하여

        강효백 한국동북아학회 2014 한국동북아논총 Vol.19 No.3

        유엔해양법 협약상 배타적 경제수역과 대륙붕은 상호 별개의 해양관할수역으로 양립되어 있다. 해양법 제5부 배타적 경제수역은 상부수역의 생물자원의 이용 보존 등 어업권에 관한 사항을 집중적으로 규율한 반면, 해양법 제6부 대륙붕은 해저와 하층토에 부존된 천연자원의 탐사 및 개발 등 광업권에 관한 사항을 전문적으로 규정하였다. 중국은 「배타적 경제수역 및 대륙붕법(1998)」을 제정하였으나 한국은 「배타적 경제수역법(1996)」만 제정하였고 대륙붕의 범위 및 경계획정 방법을 규정하는 대륙붕법 대신에 해저자원을 석유와 가스로만 한정한 「해저광물자원개발법(1970)」을 시행하고 있다. 한-중양국은 배타적 경제수역 경계문제를 「한중어업협정(2000)」을 체결하여 잠정적으로 해소하였다. 향후 한국은 중국과의 대륙붕경계획정협상에서 제주-이이도해역의 제4광구를 비롯한 황해와 동중국해의 다양한 해저자원개발에 대한 우리의 권리를 명확히 주장할 「대륙붕법」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exclusive economic zone and continental shelf are defined separately as marine jurisdictional waters. While the Part V of Maritime Law on EEZ focuses on regulation of issues like the use and conservation of biological resources in top water zones, the Part VI on continental shelf specifically regulates the details of mining rights such as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ocean floors and subsoil blessed with natural resources. While China established Exclusive Economic Zone and Continental Shelf Act in 1998, Korea only passed Exclusive Economic Zone Act in 1996 and, instead of Continental Shelf Law that stipulates on the boundaries of continental shelf and delimitation of boundaries, currently enforces Submarine Mineral Resources Development Act that restricts the definition of submarine resources to oil and gas. Having signed Korea-China Fisheries Agreement in 2000, the two countries tentatively settled the boundary issues of EEZ; however, it would be desirable for Korea to lay down continental shelf Act which will provide the country with the basis when asserting its rights on development of the various maritime resources in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including the fourth mining field in Jeju-Ieodo waters.

      • KCI등재후보

        일본 EEZ에서 우리 어선나포에 대한 대응방안

        최홍배(Hong-Bae Choi),최석윤(Seog-Youn Choi) 한국항해항만학회 2002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6 No.5

        이 논문은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EEZ)에서 한국어선의 피납실태를 분석하여 그러한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한국어선의 피납실태를 분석해 보면 우리나라의 어민들이 연근해 수산자원의 고갈과 해양오염으로 인하여 연근해조업이 곤란한 상황에서 수산자원이 풍부한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 경계선 부근이나 경계선을 침범하여 조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과거에는 그러한 행위가 관행상 자유로운 공해상의 조업이었지만 UN해양법협약(1994)과 한일어업협정(1999)이 발효함으로써 범법행위가 되었다.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어업정책의 방향전환, 어민들의 생계대책마련 및 한일양국의 어업관리 협조체제의 구축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당장 시급한 것은 외국에서 집행된 형의 감면이며, 어업지도와 단속을 위한 인적ㆍ물적 자원의 확충 및 해양경찰과 해양수산부의 긴밀한 공조체제 구축도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actual conditions of Korean fishing boot being seized in Japan’s EEZ and to provide the countermeasures against that problem.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at actual conditions, Korean fishermen are trespassing Japan’s EEZ in which fishery resources are abundant because of exhaustion of fishery resources and polluted water in Korean coastal seas. In the past, that behavior was not illegal. Now however, it became illegal with the effectuation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s on the Law of the Sea(1994) and the Korean-Japanese Fisheries Agreement (1999). In order to resolve that problem on a long-term basis, it is necessary to turn over national fishery policy, to provide fishing people with other means of living, and to establish the Korean-Japanese cooperation system of fishery management. Most of all, it is urgent to mitigate and remit a penalty which was executed in Japan, to amplify personal and material resources need to guide and control fishery, and to construct a close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National Maritime Police Agency and the Ministry of Maritime and Fisheries Affairs.

      • KCI등재

        일본 군사력 증강 관련 법체제 정비에 대한 고찰

        서인원 한일군사문화학회 2019 한일군사문화연구 Vol.27 No.-

        Japan is promoting military rol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East China Sea and the South China Sea by pursuing the strengthening of the US-Japan military alliance through the National Security Act, Japanese Military Legislation. Such a policy of expanding military role in Japan will act as an unstable element that can stimulate China’s military strength further and accelerate the military competition in East Asia and cause territorial disputes in the East China Sea and the South China Sea. In particular, the Japanese Military Legislation are ambiguous, and there is no restriction on Japan’s collective self defense rights. Thus, there is a risk to engage the war support of other countries’ troops by the arbitrary interpretation of the Abe regime. Currently, the boundaries of Exclusive Economic Zones have not been established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and Japan is trying to secure the jurisdiction of the nearby sea area, which is the base of marine resources development. Since the new measure is a bill pursuing the interests of the Japanese nation, it is a factor of dispute in the marine boundary setting with neighboring countries and in marine science investigation, and it is the sovereign right to secure marine resources among the concerned countries or coastal nations within the overlapping Exclusive Economic Zon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disputes will intensify. The Japanese government is expanding the scope of activities of the Japanese Self-Defense Forces in the islands designated as specific border islands, while receiving US military cooperation and creating international legal basis data to create a favorable environment for the prevention of territorial disputes and the filing of international jurisdictions. Japan has established a supplementary national law for matters not specified by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and is laying the foundation for securing Japanese interests in the Exclusive Economic Zone. Such a Japanese national law enactment should consider internationally whether there is a concer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East China Sea will deteriorate further and whether it is appropriate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일본은 국가안보기본법, 안보관련법 등을 통해 미일군사동맹을 강화하면서 한반도와 동중국해·남중국해에서의 정치·군사적 역할을 증대시키고 있다. 이런 일본의 군사역할 확대 정책은 중국의 군사력 증강을 더욱 자극하여 동아시아 전체의 군비경쟁을 촉진시키면서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에서의 영토분쟁을 일으킬 수 있는 불안정한 요소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특히 안보관련법 11개의 개정안은 애매한 내용의 법안으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과 타국군대의 전쟁지원 등에 대한 제한이 없어 아베정권의 자의적인 해석으로 전쟁에 참전할 위험성이 존재한다. 아베총리가 말하는 적극적 평화주의론은 일본 군사행동의 비판을 회피하고 보통국가화를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한 편법이며 집단적자위권을 평화헌법 개정없이 원활하게 행사할 수 있도록 포장하는 행위이다. 또한 현재 동북아 해역에서 배타적경제수역의 경계가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본은 해양자원 개발의 거점이 되는 인근 해역의 관할권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번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 권익보호 신법안 정비는 일본 국가의 권익을 추구하는 법안이기 때문에 인접국과의 해양 경계 설정과 해양과학조사에 있어 분쟁의 요소가 되며 중첩되는 배타적경제수역내에서 관련국들간 또는 연안국들간에도 해양자원 확보를 위한 영유권 분쟁이 격화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일본에는 영해기선을 가지는 이도가 약 500여개의 섬들이 존재하고 이 섬들의 적절한 보전, 관리를 위해 유인국경이도법(有人國境離島法)과 특정유인국경이도지역에 관한 법안을 시행하고 있다. 이도의 국유화와 특별관리 정책은 연안국가간의 분쟁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일본은 특정국경낙도로 지정된 섬에서 일본자위대의 활동의 범위를 넓히면서 미군협력을 받는 동시에 국제법적 근거자료를 만들어 영토 분쟁화 방지 및 국제사법재판소 제소를 위해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일본은 유엔해양법협약이 정하지 않는 사항에 대해 보완된 국내법을 제정하면서 배타적경제수역에서의 일본 권익을 확보하기 위한 토대를 만들고 있다. 이런 일본의 국내법 제정은 동중국해의 양국간의 관계를 더욱 악화시킬 우려가 있고, 국제사회에 있어 타당한지에 대해 국제적 시점에서 고려해봐야 한다.

      • KCI등재

        신한일어업협정의 체결과정에 대한 연구

        이동원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0 독도연구 Vol.- No.28

        1999년 한국과 일본 사이에, 신한일어업협정의 체결배경은 1994년 발효된 「유엔해양법협약」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새로운 해양법질서가 형성된 것에 기인하며, 이러한 새로운 해양법질서를 반영하지 못한 1965년 구 한일어업협정의 전면개정의 필요성에 따른 것이다. “신한일어업협정”의 공식적인 명칭은 「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어업에 관한 협정」이며, 1999년 1월 22일 조약 제1477호로 발효된 협정이다. 신한일어업협정은 한국이 배타적으로 행사하는 어업권과 상대적으로 우월하게 인정되던 독도영유권을 훼손한 협약으로써 이를 비판하는 학자들과 일반 국민들 사이에는 실패한 협약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동 협정이 체결된 후 그 효력과 관련하여, 「협정수역 내의 어업」에 관하여만 구속력이 발생하는지, 아니면 「협정수역 내의 어업 + 영유권」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도 구속력이 발생하는지에 관하여 학자들간에 의견이 양분되어 있으며,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전자를 주장하는 견해는 한국정부와 헌법재판소, 그리고 일부 학자들이며, 이들은 동 협정이 어업에 관한 협정으로써 독도영유권에 영향이 없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옹호견해는 동 협정이 종료(파기)되지 않고 지속되기를 바란다. 반면 후자를 주장하는 견해는 동 협정은 어업 외에도 독도영유권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동 협정를 종료(파기)하고 새롭게 어업협정을 체결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연구는 후자의 견해에 찬성하였다. 그 근거로서 1965년 어업협정에서는 독도가 공해상에서 통상기선으로부터 12해리 배타적 전관어업수역이 인정되었다. 그러나 1999년 신한일어업협정에서는 독도가 한일의 동등한 주권적 권리가 미치는 공동관리수역에서 단지 영해 12해리만 인정되었다. 따라서 한국의 권리를 인정할 어떠한 배타성이나 특약이 인정된 것이 없으므로, 독도영유권이 훼손된 것으로 본다. 이 연구의 핵심이 되는 신한일어업협정의 체결과정과 관련하여, 김영삼정부 하에서는 한국에 불리한 어업협정과 배타적경제수역(EEZ)의 분리협상, 잠정수역 수용, 독도에 대해서는 전관수역을 불인정하고, 영해 12해리만 갖는 현상유지를 수용하였으며, 공동관리수역 내에 독도를 위치케 하여 한일 양국의 관할권 행사를 유보하는 안을 사실상 합의하고, 김대중정부에서는 이러한 사항을 법적으로 합의하였다. 신한일어업협정의 체결과정에 대해 김영삼정부 또는 김대중정부 중 어느 정부가 책임을 져야 하는지, 책임소재는 명확하지 않다. 다만, 김영삼정부에서 기본적 사항이 사실상 합의된 후 김대중정부에서 재확인된 후 법적으로 체결되었다. 따라서 그에 대한 책임소재를 분명하게 할 수 있는 체결과정은 여전히 불분명하다. In 1999, the New Korea-Japan Fisheries Agreement was made between Korea and Japan. This agreement was made because 「UNCLOS III」, effective in 1999, formed a new marine law order in the world and because it was necessary to revise the old Korea-Japan Fisheries Agreement made at 1995 in a large scale. At that time, it didn't reflect new marine law order. The official title of “the New Korea-Japan Fisheries Agreement” was 「An Agreement about Fisheries between Korea and Japan」, effective on January 22, 1999, by Treaty No. 1477. the New Korea-Japan Fisheries Agreement infringed the fisheries right wielded exclusively by Korea and Dokdo territorial sovereignty recognized predominately by Korea comparatively. So, the agreement was known to be failed by the scholars who criticized it and by the public. After the agreement was made, the opinions were divided by the scholars into two opinions, whether the agreement had a binding force concerning 「Fisheries within agreed area」 or 「Fisheries within agreed area + dominium 」. Even now, the opinions are divided so continuously. Those who assert the former are Korean government, Constitutional Court, and some scholars. They assert that the agreement is concerned on fisheries and not effective in Dokdo territorial sovereignty. They want the agreement to persist without termination. But, those who assert the latter express their points of view that the agreement had to be terminated (cancelled) and that new agreement had to be made. This study consents to the opinions of the latter. As for the bases, the fisheries agreement made in 1965 stipulated that 12 nautical miles exclusive fisheries zone of Dokdo was recognized from the baselines at the high seas. But, the New Korea-Japan Fisheries Agreement made in 1999 stipulated that only the territorial sea 12 nautical miles was recognized from joint regulatory water area where the governing rights of Korea and Japan were effective at the same level. This agreement doesn't recognized any exclusivity or special promise about the right of Korea.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Dokdo territorial sovereignty to be infringed. As for a core of this study, the New Korea-Japan Fisheries Agreement, under Kim Young Sam Government stipulated the unfavorable condition of Korea; exclusive economic zone was separated and provisional zone was accepted. As for Dokdo, exclusive waters zone was not recognized and only the right of the territorial sea 12 nautical miles was accepted. In fact, the two countries stipulated Dokdo within joint regulation waters zone and the governing right of Dokdo was put off. Under Kim Dae Jung Government, the subjects were agreed legally. In the conclusion process the New Korea-Japan Fisheries Agreement, there are no stipulation concerning which government is responsible for the agreement. Kim Young Sam Government made the agreement about basic matters, and Kim Dae Jung Government confirmed them. Afterwards, the matters were agreed legally. So, the progress of the agreement making is unclear.

      • KCI등재

        국제해양법의 국내적 적용에 관한 고찰

        洪晟弼(Seong-Phil Hong) 대한국제법학회 2007 國際法學會論叢 Vol.52 No.2

        주지하는 바와 같이 우리 헌법은 조약과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에 대하여 국내법과 같은 효력을 부여하며 법원을 비롯한 국가기관들에 국제법준수의무를 부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법원 역시 국제법의 해석과 적용에 있어서 중요한 국제법기관으로서의 적극적인 역할의 수행이 기대된다. 이 글은 최근 문제되었던 M/V Tyumen호 사건을 중심으로 국제법의 해석과 적용에 있어서 배타적 경제수역(EEZ)내에서의 연안국의 권리와 의무, 항행의 자유와의 관계, 더불어 추적권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고 있다. 이 글에 나타난 러시아선박은 우리나라의 EEZ내에서 원목을 유출시키고 구조행위의 진행 중 도주하여 일본영해로 진입하였다가 재차 EEZ수역내로 진입하여 우리 법상 공유수면관리법위반을 이유로 해경에 의해 나포되었다. 해양법협약 59조는 연안국의 “협약에 명시되지 않은 권한”에 관하여 마찰이 발생할 경우, 당사자의 이익과 국제사회의 이익을 중요성을 감안하여 형평에 입각한 해결을 규정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국제관습을 발견하고 적용하여야 할 책무를 개별 법원의 판단에 맡기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피고측은 한국의 공유수면관리법이 해양법협약에 상위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필자의 견해로는 피고측도 인정하는 바와 같이 EEZ가 영해도 공해도 아닌 특수수역으로서 동 법률의 적용은 해양자원과 환경보호를 근거로 한 해양법협약의 허용범위내의 권한 행사인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영해로 진입하는 순간 추적권이 소멸되어 EEZ 재진입시의 한국해경의 나포는 추적의 권리를 상실한 상태에서 행하여 진 것으로 불법이라는 주장에 대하여서도, 1) 시간적 간격에도 불구하고 단일의 추적권행사가 가능한 것으로 보이며; 2) 원목유출 피해가 지속되는 기간내에서는 계속적으로 공유수면 관리법에 의한 나포권의 행사가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법원은 추적권의 해석과 적용에 대하여서는 국제법에 입각하여 적절한 판단을 내린 것으로 이해되나, EEZ내에서의 연안국의 권리와 항해의 자유에 관한 국제법판단을 피하고, 단순히 국내법의 적용만을 결정한 것은 아쉬움을 가지게 하는 부분이다. 일방 당사자가 개인인 대다수의 사건들에서는 국내법원이 사실상 국제법의 최종적인 해석과 적용을 위한 기관으로 기능하게 된다. 향후 우리 법원은 보다 적극적으로 국제법 해석과 적용에 임하여야 하며, 이러한 태도가 법률적, 정책적 제 측면에서 헌법과 국제법의 준수기관으로서 법원의 역할에 충실한 것임은 다언을 요하지 아니한다. Under the Korean Constitution, treaties and international customary principles are equally binding upon the acts of national agencies as national laws. The Korean Judiciary is accordingly expected to play active role in the interpretation and enforcement of the international treaties and legal principles. This writing presents an analysis, with focus on the M/V “Tyumen” case, which has been recently dealt with by the Seoul District Court, on the issues of the international Law of the Sea, including the relation between the coastal state’s sovereign rights and the freedom of navigation, the right of hot pursuit, and the principle of force majeure. The Russian vessel in question discharged a certain amount of logs into the water while sailing in the Korean EEZ, and abruptly ran away from the control of the Korean Coastal Police. It then proceeded into the Japanese territorial sea, and then reappeared on the Korean EEZ, where it was duly seized by the Korean Authorities. Article 59 of the Law of the Sea Convention states that the conflict [within the EEZ] should be resolved on the basis of equity and in the light of all the relevant circumstances, taking into account of the respective importance of the interests involved to the parties as well as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whole. The court rightly held that the Korean law in question, designed to preserve the public use and environment of public waters, and invoked by the authorities in its actions, was applicable to this case, yet without delving into its conformity with the international Law of the Sea in full length. This writing ends by contending that, despite the holding of the court presents a reasonable solution to the problem, as an enforcer and interpreter of international norms, the court could and should have generated better piece of jurisprudence on the Law of the Sea by looking more carefully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norms on the Sea and the Korean legislations.

      • KCI등재

        영해 외측 항해장애물 처리에 관한 법적 고찰

        박상춘 한국해양경찰학회 2018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8 No.3

        1982년 제정된 「해양법에 관한 국제연합 협약」(이하 유엔해양법)(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제58조 배타적경제수역에서의 다른 국가의 권리와 의무에 따라 연안국이거나 내륙국이거나 관계없이, 모든 국가는 이 협약의 관련규정에 따를 것을 조건으로, 배타적경제수역에서 항행․상공비행의 자유, 해저전선․ 관선부설의 자유 및 선박․항공기․해저전선․관선의 운용 등과 같이 이러한 자유와관련되는 것으로서 이 협약의 다른 규정과 양립하는 그 밖의 국제적으로 적법한 해양 이용의 자유를 향유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엔해양법을 1996년에 발효하였고, 같은 해 국내법으로 「배타적경제수역법」을 제정하여 수용하였다. 또한, 선박에 떨어진 물건, 침몰․좌초된 선박 또는 이로부터 유실(遺失)된 적재물건 등을 항행장애물로 정의하고 항행장애물제거 책임자인 선박의 선장, 선박소유자 또는 선박운항자로 하여금 보고․표시․제거를 의무화하고, 불이행시 해역관리청이 직접 행한 후 그 비용을 징수하도록 「해사안전법」1)에 입법화 하였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 사고 선박이 국내 입․출항을 하지 않는 선박이거나 항행장애물 제거책임자가 의무사항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1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처분 이외에 제거 비용을 부담 하지 않을 경우에는 명확한 법적2)․실무적 해결방안이 없어 본 논문에서는 국제협약 및 국내법을 토대로 적절한 처리방안에 대한 검토와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According to the 1982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article 58 Rights and duties of other states in the exclusive economic zone, whether coastal or land-locked country subject to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is Convention, the freedoms referred to in article 87 of navigation and overflight and of the laying of submarine cables and pipelines, and other internationally lawful uses of the sea related to these freedoms such as those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ships, aircraft and submarine cables and pipelines, and compatible with the other provisions of this Convention. This Convention entered into force in 1996 and our country embraced the「Exclusive Economic Water Zone Law」as the domestic law of the same year. In addition, a foreign ship which is sailing in the exclusive economic zone of Korea is defined as a navigational obstacle, when the ship is sinking, capsizing cause by bad weather condition or losing a strength of stability – including product has fallen from the ship. The ship ower or captain of the vessel responsible for the removal of navigation obstacles obliges the report, display and remove of the navigation obstacle and if the vessel does not fulfill the obligation, the Administration Agency enacted the law in the Maritime Safety Law so that it can collect the cost after direct administration. However, in such cases if the accident vessel is a vessel may escape to a third country or if the navigation obstacle clearance manager does not fulfill the obligation. There is no clear legal and practical solution if the person responsible for the removal of the navigation obastacle does not pay for the cost of removing obstacles other than the penalty of 10 million won or less. In this paper, we review the appropriate treatment plan and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international treaties and domestic la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