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개인, 교육기관, 사회적 변인과 중도탈락의도의 위계적 관계

        김재현 한국직업교육학회 2011 職業 敎育 硏究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ollege, social variable and Dropout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The study examined (1)how much individual, college, and social level variables had effects on college students' dropout intention and (2) how much college level educational service had effects on college students' employability. The study collected student level data from 3 colleges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or cross analysis and multilevel analysis, SPSS 17.0 was used. Findings indicated that among demographic variables, grade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llege students' dropout intention. And interest variable, college's academic variable, social environmental variable and social perception variable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llege students' dropout intent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colleges have to enhance student's interests and academic educational service. And our society must make efforts to have positive perception toward college students compared with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개인, 교육기관, 사회적 변인이 전문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배경변인에 따라 중도탈락의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개인, 교육기관, 사회적 변인이 위계적으로 전문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어떠한가?그리고 편의표집법을 활용해 3개교의 전문대학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482부를 SPSS 17.0 프로그램을 통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배경변인에 따른 중도탈락의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학년에 따른 중도탈락의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둘째, 개인수준, 교육기관수준, 사회적수준 변인을 위계적으로 투입한 결과 개인수준변인 중 흥미변인, 교육기관수준 변인 중 교육기관 학문적 변인, 사회적수준 변인 중 사회적 환경변인과 사회적 인식변인이 전문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에 유의수준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전문대학생의 흥미를 높이는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전문대학은 학문적 교육서비스 향상에 노력해야 하며, 사회적으로 전문대학생에 대한 인식전환이 요구된다.

      • KCI등재

        사립대학의 재정요인이 학생의 중도탈락에 미치는 영향

        임소현(Im, So-Hyun),한유경(Han, You-Ky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3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2 No.2

        이 연구는 사립대학의 중도탈락학생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수입과 비용의 재정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함에 있어 사립대학을 소재지, 규모, 계열 등의 특성에 따라 중도탈락학생비율에 영향을 주는 재정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에서 2011년까지 총 4년간 대학알리미 사이트를 통해 공시된 4년제 일반 사립대학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축적된 자료를 학교단위의 패널데이터로 구축하여 패널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립대학의 중도탈락학생비율에는 전반적으로 재학생 1인당 산학협력ㆍ보조금수익, 학생 1인당 교육비, 재학생 1인당 장학금이 영향을 미치는 재정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재학생 1인당 산학협력ㆍ보조금수익과 재학생 1인당 장학금은 중도탈락학생비율을 낮추는 재정요인으로, 학생 1인당 교육비는 사립대학 특성에 따라 중도탈락학생비율을 낮추거나 또는 높이는 재정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사립대학의 특성별로는 수도권 소재 대학의 경우 학생 1인당 교육비가, 비수도권 소재 대학의 경우 재학생 1인당 산학협력ㆍ보조금수익이 중도탈락학생비율을 낮추는 재정요인으로 나타났고, 규모 및 계열에 따라서는 대형 규모 사립대학과 인문사회계 중심의 사립대학의 경우 재학생 1인당 장학금이 중도탈락학생비율을 낮추는 재정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립대학의 중도탈락학생비율은 수도권 소재 대학보다 비수도권 소재 대학이 높고, 규모가 작은 대학일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사립대학의 중도탈락학생비율은 등록금 수준을 낮출 수 있는 정부나 기업체 등 외부의 재정지원과 장학금 지원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립대학의 규모와 소재지가 교육성과인 중도탈락학생비율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규모의 크기가 경쟁력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대학의 성과지표인 중도탈락률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문사회계 중심의 사립대학이나 재학생 수가 15,000명 이상인 대형 규모의 사립대학의 경우 중도탈락학생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재정요인이 다른 집단들과는 상이하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여, 대학의 특성에 맞는 재정 운영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정부의 대학에 대한 재정지원의 방향을 장기적으로는 학생에 대한 직접 투자의 비중을 확대하는 것으로 전환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고, 국가장학금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도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what the financial factors in aspect of income and cost influencing the student dropout rates of Korean private colleges. The data of 4-year general private colleges disclosed through the Website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over the four years from 2008 through 2011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and the accumulated data were constructed into panel data with unit of college and thereby the panel data analysis was conducted.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In general, it was found that the income of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and subsidy per enrolled student, educational cost per student and scholarship per enrolled student are the financial factors influencing the student dropout rates of private colleges. The income of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and subsidy per enrolled student and scholarship per enrolled student were analyzed as the financial factors decreasing the student dropout rates, and the educational cost per student by the characteristics of private colleges was analyzed as the financial factor decreasing or increasing the student dropout rates. By the characteristics of private colleges,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al cost per student is the financial factor decreasing the student dropout rates in colleges located in capital area, and scholarship per enrolled student is the financial factor decreasing the student dropout rates in colleges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departm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 dropout rates of private colleges are higher in colleges located in non-capital area than in colleges located in capital area, and are higher in colleges of smaller scal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analysis, it is desirable to convert the directions of financial support of the government for colleges into the direct investment for students, and it is needed to constantly discuss the policies of national scholarship being currently promoted by the government. In addition, it is needed to establish and operate the financial investment plans suitable to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s.

      • KCI등재

        전문대학생들의 학업중단 예측요인분석을 통한 학생진로의 방향성 제시에 관한 연구: K 전문대학생을 중심으로

        차재빈,이혜경 한국취업진로학회 2018 취업진로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선택에 있어 학업중단을 결정한 K 전문대학생들의 학업중단 예측요인을 살펴보고, 학업지속을 지원하고 효과적인 개입을 위한 학생진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진로선택에 있어 학업중단을 결정한 학생들의 대학생활 부적응 요인을 분석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부적응 요인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학업중단을 결정한 학생들 중 어느 환경 요인이 중도포기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은 2017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학업중단을 결정한 학생들 2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학업중단 원인을 타 학교 이동학생과 대학교육을 중도에 포기하는 학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성별에 따라 대학생활 부적응 차이를 나타낸 요인은 직무능력, 대학이미지, 동기결여, 대인예민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라 대학생활 부적응 차이를 나타낸 요인은 직무능력, 대학이미지, 학생지원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중단에 따라 대학생활 부적응 차이를 나타낸 요인은 기초학습, 전공학습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공학습, 대학이미지, 대인예민성이 학업중단에 따른 집단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시사점과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student career by analyzing the predictors of dropout focusing on K college students. This is to support students' continuing education in career counseling and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support. Therefore, we analyzed the factors that cause students to decide whether to stop studying, and the difference in factors of university maladjustment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we examined whether any of the students decided to dropout the program. The data collected 260 students who decided to stop studying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17. The reasons for dropout were divided into the students who moved to other schools and those who gave up university education in the middl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that showed the difference of maladjustment in college life according to gender were job ability, university image, lack of motivation, interpersonal sensitivity. Second, according to the grade, the factors that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maladjustment of college life were job ability, university image, student support. Third, the factors that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maladjustment of college life due to the suspension of schooling were basic learning and major learning. Fourth, major learning, college image,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group. In conclus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nd follow stud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 학업중단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1학년 적응 과정 분석 -대학 중도탈락생의 이동 경로 구조 기초 연구-

        김수연 한국진로교육학회 2012 진로교육연구 Vol.25 No.3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 tendency for the college freshmen's dropout plan during the period of college adaptation process, relations between plan and carrying-out, and the individual, family-background, and college institutional environment disparities of change tendency for the college freshmen's adaptation process between dropout group and academic persistence group.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freshmen's stop-out plan and dropout plan are more increasing at the end of the year than the beginning of the year. Whereas the uncertain groups about stop-out plan are decreasing, those of dropout plan are increasing. Second,the freshmen's enrollment status of second semester is significant according to stop-out plan, but not dropout plan at the beginning of freshmen year. And freshmen's dropout occurs at early semester, especially focusing on the first semester of college years. Third, this study analyzes the other aspects of dropout causes. There are the disparities of studying habits, economic supports from family,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career identity,commitment to degree attainment, expectation for the individual development through supporting from college between dropout group and academic persistence group. Fourth, while the academic persistence groups are represented to experience the change tendency toward academic persistence except family background variables,the dropout groups are not significant in intelligent concern, basic academic competency, and social integration including family background variables. The dropout groups are found to be more difficult to change the characteristics toward academic persistence tendency. Some discussions can be performed about the colleges'supportive programs laying stress on how college factors influence the students' academic persistence. 이 연구는 대학 학업지속 집단과 학업중단 집단 간 대학1학년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개인, 가정, 대학환경 변인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함으로써 대학 중도탈락생의 이동 경로 구조 분석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08, 2009, 2010학번 대학1학년 1,723명이며, 첫 번째 검사 3년 후에 학업지속, 휴학, 자퇴여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 1학년생의 휴학계획과 자퇴계획은 학년 초보다 학년 말에 더 증가한다. 둘째, 1학년 초 휴학계획 여부에 따라 2학기 학업 상태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업지속 집단과 학업중단 집단 간 학습습관, 가정의 경제적 지원 수준, 의사소통능력, 진로정체성, 대학졸업열의, 대학을 통한 성장기대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학업지속 집단은 가정환경변인 이외 개인 및 대학 모든 변인에서 학업지속경향성이 높아진 반면, 학업중단 집단은 가정환경변인, 지적 관심, 기초학습능력 및 사회적 통합성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학 중도탈락생의 학업중단 경로 구조 분석 결과, 대학기관이 대학 1학년의 학문적․사회적 통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한다면 학업중단 비율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음을 제안한다.

      • KCI우수등재

        대학생 중도탈락에 영향을 주는 고등교육기관 요인 분석

        안국화,신나민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8

        This study aims to identify variables related to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dropout rate in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2022 data was collected from the college alert site oper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orea Council for Higher Education, and two wave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llected using the dependent variable “dropout rate” and seven independent variables (average tuition, scholarships per student, competition rate, number of students per full-time faculty member, secured teaching position, grade point average (percentage), and employment rate). The first analysis was conducted on all 219 universities selected for the study, categorized by institutional type (public, private) and region (metropolitan, non-metropolitan), and the second analysis was conducted by crossing institutional type and region, and reclassifying them into four categor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grade point average (-)” was the only variable that significantly affected the dropout rate in college students in schools classified as public in the first analysis and those classified as public in the metropolitan area in the second analysis. Second, “competition rate” and “secured school site” were the variables that affected the dropout rate in college students in all analyses except in the case of public universities. Third, “scholarship per student” was found to be a negative factor related to the dropout rate in the case of private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Fourth, the variables “number of students per full-time faculty member” and “employment rate”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effect in this study. Discussion of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on college student dropout a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대학생 중도탈락 연구동향과 과제: 학술지 연구를 중심으로

        이은화(Lee, EunHwa),강승희(Kang, Se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대학생 중도탈락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도에서 2018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들을 조사하여 총 71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논문을 대상으로 먼 저 전반적인 연구동향(발표연도, 학술지 및 학술지 분야,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연구대상 및 연구주제)과 연구 대상(중도탈락자, 중도탈락자와 중도탈락 의도자, 중도탈락 의도자, 대학기관)에 따른 연구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학생 중 도탈락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들어 나타나, 2011년 이후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교육학 분야에 게재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의 경우 양적연구방법을 활용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질적연구는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 분석 결과, 실제 중도탈락자 대상의 연구는 많은 편이 아니었고, 재학생(중도탈락 의도자) 대상의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에 따른 연구 내용 분석 결과, 중도탈락자 대상의 연구는 중도탈락 경험이 있는 자를 상으로 중도탈락의 직접적인 원인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많았고, 중도탈락자와 중도탈락 의도자(재학생) 모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려는 연구가 많았다. 그리고 중도탈락 의도자 대상의 연구에서는 중도탈락 의도의 원 인을 주제로 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마지막으로 대학기관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대부분 대학에서 제공하는 공개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도탈락에 영향을 주는 대학기관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하고 연구 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college dropouts in Korea and to suggest implications of future researches. For this purpose, I collected 71 academic articles which were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0 to 2019. First, the trend of research was analyzed according to publication year, journals field, research subject and method, and research theme. Second, the research theme was analyzed according to research subject such as the dropout, the students’ dropout intention and he dropout, the students’ dropouts and the university/college institution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has been growing since 2011 and the most published articles were found in the field of education. Second, there were more articles us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compared to articles wit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rd, the research on the students with dropout intention were much more than the actual dropout students. Fourth, the studies regarding college dropouts were largely an attempt to find the direct causes of the dropouts. There were many studie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ose who were the dropout and the students’ dropout intention. The study attempted to find the causes of the students’ dropout intentions. Finally, most of the studies on university institutions tried to identify factors that university could affect the dropout. Based on these results, I discussed and suggested the implications on future research.

      • KCI등재

        머신러닝을 활용한 대학생 중도탈락 위험군의 예측모델 비교 연구 : N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김소현,조성현 대한통합의학회 2024 대한통합의학회지 Vol.12 No.2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key factors for predicting dropout risk at the university level an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policy development aimed at dropout prevention. This study explores the optimal machine learning algorithm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various algorithms using data on college students’ dropout risks. Methods : We collected data on factors influencing dropout risk and propensity were collected from N University. The collected data were applied to several machine learning algorithms, including random forest, decision tree, artificial neural network, logistic regression, support vector machine (SVM), k-nearest neighbor (k-NN) classification, and Naive Bayes. The performance of these models was compared and evaluated, with a focus on predictive validity and the identification of significant dropout factors through the information gain index of machine learning. Results :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year of the program, department, grades, and year of entr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ropout risk. The performance of each machine learning algorithm showed that random forest performed the b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predictor variables was highest for department, age, grade, and residence, in the order of whether or not they matched the school location. Conclusion : Machine learning-based prediction of dropout risk focuses on the early identification of students at risk. The types and causes of dropout crises vary significantly among student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types and causes of dropout crises so that appropriate actions and support can be taken to remove risk factors and increase protective factor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actors affecting dropout risk found in this study will help guide educational prescriptions for preventing college student dropout.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길순(Gil-Soon CHOI),Soon-Rye HAM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10 기업과 혁신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학업을 중도에 포기하려는 의도가 얼마나 있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중도탈락 의도가 있는 학생들이 실제 중도탈락으로 이행되지 않도록 하는 대처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된 연구이다. 연구 결과 부모의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학점이 낮을수록, 인문사회 계열이나 공업계열보다는 보건, 가정, 체육 계열 학생들에서, 교수ㆍ강사진의 전문성이나 교수와의 상호작용, 다양한 교수매체 활용, 수업ㆍ강의 내용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중도탈락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시설(강의실, 도서관, 휴게시설)이나 행정직원에 대한 서비스, 학교의 재정적 지원, 통학시간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가족의 경제적, 정신적 지원이나 교우와의 상호작용 만족도가 낮을수록, 취업이나 승진 기회의 제한, 낮은 연봉, 수도권 대학에 비해 낮은 처우를 받고 있다고 느낄수록 중도탈락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intention to decide dropout in 1,400 college students of D college in G metropolitan city (except students who were frequently absent from school due to employment, clinical practice, preparation of national examination and other reasons) and factors affecting their decision of dropout in order to devise effective measures to cope with i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or 19 days from Oct. 12 to 30, 2009 from the researcher, adviser and research assistant with questionnaire made on the basis of preceding studies and related literatures. 1,259 answers except for 141 which gave unfaithful responses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cross tabul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PC version 12.0. Conclusion: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which decided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decide dropout. As a result of the study, some specific variables don't affect their intention to decide dropout, but it was found that overall factors including individual, family, school and social variables influenced their intention to decide dropout and then diversified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reduce dropout and increase students who intend to attend school.

      • 대원 멘토링 : 시너지 문화의 창출

        김수연 ( Soo-yeon Kim ),이재열 ( Jae-yeol Lee )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2005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Vol.6 No.4

        This study reports on the procedures, self-assessment, and effectiveness of Daewon science College’s Mentoring Program for at-risk freshmen. This study examines why this kind of program is needed and which characteristics influence at-risk college student’s integration into college, and explores the typology of Daewon Mentoring program influencing student retention in Daewon Science College. This study involves analysis of Daewon Student Needs questionnaires in 2003 and 2005,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of mentors and mentees, and content analysis of their writings about impression and results of mentoring they experienced. The educational importance of this study includes the following: First, Daewon Science College is the first college that introduces an organizationally systemized and sponsored mentoring program for at-risk freshmen in Korean two-year colleges.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examine how college organize systematically intervention program for retention and what effectiveness that program have. Second, this research will provide an implementation model of the college mentoring program of Korean two-year colleges with various obstacles. Third, this study will redefine the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meaning of "college mentoring". It challenges stereotyped preconceptions and misconceptions about existing traditional mentoring and student guidance, and helps college administrators to judge how to apply institutional action to treat the at-risk students. Fourth, this research will shed some light on the nature of the organizationally systemized and sponsored college mentoring process.

      • KCI등재

        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 및 실제 중도탈락 여부, 재입학 여부에 따른 집단별 특성 탐색 연구 -G 국립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정윤선(yunseon Cheong),양정모(Joung Mo Yang)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와 실제 중도탈락 여부, 재입학 여부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고 각 집단별 특성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강원도의 G 국립대학 재학생 2,812명의 학적 데이터와 대학 적응력 검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 집단의 구분은 중도탈락에 대한 의도와 실제 중도탈락 여부에 따른 2×2 네 집단과 재입학한 학생 집단을 포함하여 총 다섯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학업 관련 변인과 대학 관련 변인에서 다섯 집단이 어떠한 차별적 특성을 보이는지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전에 중도탈락 의도가 있었고, 실제 중도탈락한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학사경고 횟수와 낮은 평점평균(GPA)을 보이는 집단이며, 장학 횟수와 상담 횟수, 총 취득 학점도 낮았다. 중도탈락 의도가 없었지만 중도 탈락한 집단 역시 이들과 비슷한 수준의 장학 횟수와 상담 횟수, 취득 학점을 보였지만, 평점평균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관련 변인에서의 차이를 살펴보면, 중도탈락 의도가 있던 중도탈락 집단은 학문적 통합성이 낮고, 교수와의 관계와 대학 만족도가 낮은 특징을 보였으나, 중도탈락 의도가 없던 중도탈락 집단은 학문적 통합성이 높고, 높은 정서적 안정성과 진로 정체성, 경제적 안정성을 보이는 집단으로 나타나 차별적이었다. 한편 중도탈락 의도는 있으나 탈락하지 않은 집단은 정서적 안정성과 경제적 안정성이 가장 낮은 집단으로 나타났으며, 전공에 대한 만족도 역시 낮았다. 마지막으로 재입학 집단은 학사경고 횟수와 일반휴학 횟수가 높으나 교수와의 관계와 대학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특징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의 중도탈락 방지를 위한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groups based on the intention to drop out, actual dropout status, and re-entry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For this purpose, enrollment data and CAT data of 2,812 students at G National University in Gangwon Province were utilized. The groups were categorized into five, including a 2×2 matrix based on the intention and actual occurrence of dropout, as well as a group of students who re-entry. The results of exploring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mong the five groups in academic and university-related variables are as follows. The group with both prior dropout intention and actual dropout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academic warnings, a lower grade point average (GPA), fewer scholarship and counseling instances, and lower total acquired credits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group without prior dropout intention but who dropped out exhibited similar levels of scholarship and counseling instances, and acquired credits, but with a higher GPA. Examining differences in university-related variables, the group with dropout intention and actual dropout displayed lower academic integration, poorer relationships with professors, and lower university satisfaction. In contrast, the group without prior dropout intention but who dropped out showed higher academic integration, higher emotional stability, career identity, and economic stability. Those with dropout intention but did not drop out constituted the group with the lowest emotional and economic stability and lower satisfaction in their major. Lastly, the re-enrollment group exhibited higher instances of academic warnings and general leaves of absence but demonstrated positive perceptions of relationships with professors and the university.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concludes by providing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preventing university dropou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