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제통상적 관점에서 본 한국 고등교육분야의 현황과 경쟁력에 대한 분석
유근선 ( Keun-sun You )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2011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troversy over applying trade perspective on Korean higher education sector under the WTO governance. Governmental effort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its higher education got proactive since it turned out to be one of the major factors that has negative impact on its national competitiveness. Under the circumstances, status review on the phenomenon from the macro perspective could offer some useful insights for the efforts to build up relevant resolutions for issues within the sector. In order to acquire the general understanding over it, the study broadly reviewed chronological changes in world trade trends that affect current status and issues in Korean higher education.
영국의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분석 - Further Education Colleges와 New Universities를 중심으로-
김경화 ( Kyung-wha Kim )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2002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Vol.3 No.2
On the basis of this study we have identified some positive aspects of the British vocational education system that could be exploited to strengthen the college system in Korea. 1) The FE colleges and the new universities in the UK not only provide the vocational courses for young people but also a variety of other courses for adults. 2) The British government is taking a central role to ensure the proper running of these vocational training courses through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skills. 3) Many of the vocational courses offered by the FE colleges and the new universities would lead onto students being awarded relevant nationally recognized certificates at the end. Hence the course curriculums are designed and taught for the attainment of these certificates.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many students will have opportunities to gain real hands-on experience out in industry through these courses.
고등교육 층화현상과 여성고등교육의 확대 :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의 여학생구성비의 변화를 중심으로
곽윤숙 ( Yoon-sook Kwag )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2005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Vol.6 No.3
Korean women’s participation on higher education has been rapidly increased in process of korean mass higher education. Mass higher education results in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and hierarchal differentiation in tertiaty education. In this study, we examine expansion of women’s higher education in perspective of hierarchal differentiation in tertiaty education focusing on 2 years college and 4 years university. From 1970 to 2004, increasing women’s participation on higher education owed to expansion of 2 years college in Korea. But we find that gap between women's ratio of 2 years college and 4 years university has been changed. From 1970 to 1987, women's ratio of 2 years college continually exceed to 4 years university. In 1987, the gap between women's ratio of 2 years college and 4 years university is maximum Since 1987, the gap between women's ratio of 2 years college and 4 years university is continually reduced. Finally in 2004, women's ratio of 4 years university exceed to 2 years college. We suggest to following study to examine causes changing gap between women’s ratio of 2 years college and 4 years university.
박홍석 ( Hong-seok Park ),장규표 ( Kyu-pyo Jang ),김성태 ( Seong-tae Kim ),엄재균 ( Jae-kyun Eom )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1999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1999 No.11
산업사회에서 정보화ㆍ지식사회로의 변화는 사람들의 생활 양식을 급격히 변화시킬 것이며, 이러한 변화는 전문대학의 교육목표의 변화를 강요한다. 변화에 적응하면서 새로운 사회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는 방향으로 교육의 목표를 재정립해야한다. 이러한 필요성과 시대적 당위성에 발맞추어 대학이 소장한 신기술의 개발을 통한 창업은 산학협동의 내실을 더욱 공고히 할 것이며, 이는 새로운 교육패러다임의 창출을 위하여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전문대학에서는 학교기업이나 실험실창업을 통하여 실무ㆍ실습위주의 교육을 보다 현장에 밀접 시킬 뿐만 아니라, 교육재정 기반의 안정화라는 측면에서 수익성의 확보가 예상되고, 교수와 학생에 대한 복리증진을 향상할 수 있어 교육의 질적 향상이 보장되도록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대학의 구성원들이 학교기업이나 실험실 창업과 정에서 생길 수 있는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교기업(school enterprise)이나 실험실벤처창업은 대학 구성원들의 창의력개발과 다양한 학습의 장을 마련할 뿐만 아니라,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재원의 마련에 중요한 요소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한국인 학습자를 위한 영어관사체계 설명 한국인 학습자의 텍스트 내 관사 인지 어려움에 근거한 교육적 접근법
스캇럼스던 ( Scott G. Lumsdon )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2009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Vol.10 No.2
이 논문은 한국인 학습자가 영어 텍스트 내의 관사 필요성 인식을 돕기 위해 영어 관사 체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유일성, 단수/복수 구분, 가산/불가산 명사, 특정/총칭 언급 등의 개념들이 정관사, 부정관사, 무관사를 설명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개된다. 본 논문은 한국인 학습자가 영어 문어체에서 관사의 필요성과 기능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초래하는 한국어의 언어적 특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이어서 텍스트 내의 관사를 파악함에 있어 한국인 학습자가 겪는 큰 어려움을 입증하는 증거로써 사례연구를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은 한국인 학습자들이 영어 관사 체계를 이해하고 파악하며 사용하는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영어 교육자가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한 제언으로 마무리되고 있다.
교육서비스 개방에 대비한 외국 고등교육기관의 국제화 프로그램 사례에 관한 연구 - 호주의 고등교육기관을 중심으로-
김경화 ( Kyung-wha Kim )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2004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Vol.5 No.3
On the basis of this study I have analyzed major issues on educational service sectors in DDA negotiations and positive aspects of examples of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in Australia that could be exploited to strengthen the globalization in the college system in Korea. The study found that the kind of programs of internationalization being practiced in Australia's universities are international student program, internationalization of teaching, offshore and distance education, international technical assistance & training, and international student support program. The benefits of internationalization are seen in terms of economic growth, labor market demands, international relations, intercultural knowledge, and skills, financial incentives for institutions, and increasingly the impact on quality assurance for all stakeholders. Overall, in response to the emerging global realities,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will need to improve on quality of education to meet the global standard.
형광석 ( Gwang-seok Hyoung )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1999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1999 No.11
20세기 마감을 앞두고 있는 이 시점은 새로운 천년 대를 맞이하기 위한 준비 차원에서, 그리고 그 동안 누적되어 온 경제사회의 모순 타파 차원에서 우리 사회의 거의 모든 부문에서 개혁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개혁은 IMF 구제금융체제를 계기로 하여 하나의 사회적 합의처럼 되고 있다. 또한 개혁은 우리 경제사회가 하나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이동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개혁의 소용돌이에서 대학교육시장도 일찍이 경험하지 못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대학교육 수요자의 과잉에서 대학교육공급자의 과잉으로 대학교육 시장의 구조가 정반대로 변화하고 있다. 즉 대학교육시장은 예전과는 정반대가 되는 구조로 변하고 있다. 한국에서 대학교육공급자는 대학교, 개방대학교,전문대학 등으로 3분되어 있다. 이 세 공급자 중에서 전문대학은 그 동안 그 위상이 불안정하게 자리매김되어 왔기 때문에 대학교육시장 구조의 변화에 따라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논문은 전문대학교육시장의 공급측면에 대한 분석이다. 전문대학교육 공급현황을 입학정원, 재적생 등을 살피면서 보았다. 그리고 공급능력을 보기 위하여 교원과 강의실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내용을 요약하면서 결론 부분에서 향후 전문대학교육 공급의 방향을 시사점으로 제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