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classification for and analysis of digital signage in Fukuoka : The new way of representation of digital signage

        Wei Guowei,Kiyoshi Tomimatsu 한국디자인학회 2010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10

        The wide spread use of digital signage proves its advantage as a new form of media for advertisements, the visual information presents to the reader exceed most of paper based traditional media. With the spread of digital signage, the cost becomes cheaper; the production cycle becomes shorter and the uses became diversifier. Digital signage evaluated from simple display screen to today's network digital signage using all kinds of sensors. Digital signage has entered an interactive. But, as more people use digital signage blindly, more people gets confused about the classification of digital signage, the choice and future development of digital signage to gets fuzzy in today's multi network signage world. This articled summarized the chiastic of digital signage using 12 examples, so it can act as a reference for the customers and creators of digital signage.

      • KCI등재

        광고 매체로서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하나(Ha Na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2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적인 광고시장에서 4대 매체를 통한 광고 점유율은 하락하는 반면 뉴미디어는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뉴미디어 분야에서도 인터넷 네트워크의 유비쿼터스화로 광고매체로서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트랜드가 옥외광고 산업에서 전통 옥외매체를 대처해나가며 옥외 광고시장을 새롭게 재편하고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란 공공장소와 상업공간에 LCD, PDP, LED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다양한 정보와 광고 등의 콘텐츠를 표출하는 미디어로서 하드웨어 측면을 강조한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와는 달리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콘텐츠, 네트워크 등 다양한 IT 기술의 복합체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롭게 등장하는 광고 플랫폼에 따른 맞춤형 광고 기법으로 디지털 사이니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를 통해 디스플레이 개념에 머물러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콘텐츠, 네트워크의 총체적인 측면에서의 새로운 광고매체로서 활용하는데 이론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주된 범주에는 광고매체의 정의와 디지털사이니지의 개념에 관한 문헌연구와 집행되어진 디지털 사이니지 활용 광고사례의 비교연구로 이루어진다. 문헌 조사에서는 선행연구물을 대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의 개념과 가능성에 대해 조사하고 비교 연구에서는 키오스크 기반, 미디어파사드 형식, 미디어 컨버전스 형식의 세 가지로 크게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를 광고매체로서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 광고가 소비자에게 필요한 정보의 형태로 가공되어야만 가치를 지니게 되는 환경에서 디지털 사이니지가 새로운 차세대 광고매체로서 우리의 디지털 삶의 패턴에 영향력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e advertising share of the big 4 media in the advertising market all over the world including Korea is reclining but it shows a continuous growth in the trend of new media. Even in the new media field, the digital signage is being utilize as an advertising medium with the help of the ubiquitous trend of the Internet network. In addition, the trend of digital signage has shown the aspects of reorganization greenly the new market of outdoor advertising and replaced the traditional outdoor advertising media. Digital signage is a media which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and advertising on public and commercial area over the different types of display panels, LCD, PDP and LED. It shows characters in various forms of technology as software, hardware, contents and network however unlikely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emphasized the side of hardware. In connection, this study is going to proceed with research plan of digital signage activation as an advertising medium by an advertising skill in compliance with the advertising platform newly appearing along with diversification utilizing online. It is going to suggest a plan of advertising marketing activation utilizing the digital signage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executed digital signage advertising cases as well as literature study of the advertising media and advertising digital signage in the research category. The main focus of the study is on the definition of media advertising, a documentary survey regarding digital signage concept and comparative study of executed advertising cases applied in digital signage. Documentary survey based on previous study which has been targeted as the concept and potential of digital signage, and on the side of comparative study, there are 3 kinds of cases which were collected from kiosk base, media facade type and media convergence type. These study attempts to suggest the method of revitalizing of advertising media by using Digital signage advertising. Based on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it is going to help provide our life patterns with influence from the digital signage as a new generation advertising medium in the environment with a value which should be processed as a type of information required to consumers.

      • KCI등재

        디지털 사이니지 활성화를 위한 법정책적 제안

        양재모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34 No.4

        Digital signage industry is attracting attention as on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ary industries. Digital signage refers to a system that provides a comprehensive supply of marketing, advertising, programming, display, software and management platforms. Digital signage is a new field and its definition and scope are not clearly defined academically or technically. Wikipedia also defines digital signage as two concepts. one is remotely managed digital display typically tied in with sales, advertising and marketing, the other is a network of electronic displays that are centrally managed and individually addressable for the display of text, animated or video messages for advertising, information, entertainment and merchandising to targeted audiences. The former is focused on advertising and the latter is emphasized on systematic structure. The former is confined to advertising functions and the latter is emphasized as a system. At present, Korea 's law seems to recognize the digital signage industry as an advertising industry. However, the digital signage industry is not a single industry, but a combination of the media industry, the platform industry, the content industry, and the device industry. There are two laws that regulate digital signage. one is ACT ON THE MANAGEMENT OF OUTDOOR ADVERTISEMENTS, ETC. AND PROMOTION OF OUTDOOR ADVERTISEMENT INDUSTRY(hereinafter referred to as Outdoor Advertisements Act). the other is ACT ON THE PREVENTION OF LIGHT POLLUTION DUE TO ARTIFICIAL LIGHTING(hereinafter referred to as Light Pollution Act)Outdoor Advertisements Act prescribes digital signage only as an advertisement and does not consider its public function. Digital signage display is regulated by Installation management standards for advertising lighting and Management standards for installation of decorative lighting, which are subordinate statutes of Outdoor Advertisements Act, Each rule sets different regulatory standards. but Digital signage display is a advertising lighting and a decorative lighting. As such, the laws governing digital signage are confused and need to be integrated. This study suggests the enactment of a special law as an alternative to these. 디지털 사이니지는 기업의 마케팅, 광고의 범위를 넘어서는 개념으로 디지털 영상 장치를 통해 디지털 정보를 제공하거나 디스플레이(DID)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및 관리 플랫폼까지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시스템을 의미한다.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은 2020년에는 해외 시장규모의 경우 연평균 12,9%의 성장세로 314억달러(약 31조)로 설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국내의 시장규모도 2020년 약 4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며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고 있다. 그러나 이를 규율하는 법령은 현재 디지털 사이니지 디바이스(기계)의 경우에는 옥외광고물관리법, 빛공해방지법 등이 주요 규율 법령이고 내용적 측면에서는 콘텐츠의 다양성으로 방송법, 청소년보호법 등 다양한 법률에 의해 규율되는 상황이다. 옥외광고물관리법이 디지털 광고물을 관리하기 위해 입법개정을 하였지만 디지털장치를 이용한 옥외광고물에 한정하고 있어 종합적 시스템을 의미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규율방안으로는 타당하지 않다. 디지털 사이니지의 다양성을 고려할 때 과거 전기를 사용하는 광고물로 한정하여 규정하게 되면 빛의 색깔 등을 고정적으로 정하는 현행 규정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빛공해방지법의 경우에도 디지털 사이니지는 4개의 권고기준 모두에 기능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각각 내용이 다른 권고기준이 혼동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개별법의 적용상의 문제를 별론으로 하고 가장 큰 문제점은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의 급격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법은 규제중심적 규정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점에서 3D프린팅사업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특별법을 제정하지 않더라도 해당 법령에 촉진과 산업활성화 시책 및 각 시도조례의 통합적 적용을 위한 기준을 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디지털 사이니지 활용을 위한 개인정보 보호원칙에 관한 연구

        이대희 한국경영법률학회 2017 經營法律 Vol.27 No.3

        Digital Signage is a communications medium characterized by a dynamic display presenting messages in a public environment(CDT). Digital signage companies may provide personalized information to consumers, resulting in much better efficiency in providing information as well as advertisement. Furthermore, digital signage systems can boost businesses of firms related to its systems such as displays, devices, softwares, contents and etc., which would contribute to Korea’s economic development. Digital signage, however, implicates some privacy risks by collecting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identification devices or technologies such as a sensor, or face recognition technology. Without winning consumers’ trust in digital signage, its industries cannot be expected to develop. Digital signage system needs to process personal images in order to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through the screen. It is not allowed to capture personal images under current Korea’s privacy norms.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at Guidelines on digital signage be drafted and implemented rather than that Korea’s privacy norms be reformed. It emphasizes Guidelines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winning consumers’ trust in digital signage. And this paper, suggests first of all, that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digital signage system, whether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or not, should not be stored. And then it suggests that Guidelines provide the two-tiered notice on digital signage, places where the installation of digital signage should be prohibited, and recommendation of drafting and implementing privacy polices by digital signage companies. 디지털 사이니지는 공개된 장소에서 센서나 카메라 등과 같이 일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설치된 기기 또는 기기에 대하여 개인이 일정한 행위를 함으로써 기기 주변의 개인이나 물건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디지털 방식에 의하여 처리한 것에 바탕 하여 생성한 일정한 정보를 해당 개인(들)에게 시청각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곧 디지털 사이니지는 개인으로부터 일정한 정보를 수집하고 그 개인에게 해당하는 ‘맞춤식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기본적으로 맞춤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맞춤식 정보를 제공받는 개인(행인, 소비자)은 이에 의하여 많은 혜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전시기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콘텐츠 외에도 정체된 광고산업도 견인할 수 분야이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기본적으로 개인으로부터 일정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바탕을 두어 맞춤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인정보를 수집하게 되어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한편으로는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어느 정도 개인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양자를 조화시킴으로써 산업을 활성화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 글은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사업자들이 준수하여야 할 규범을 제시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 글은 해외에서 발표된 디지털 사이니지 가이드라인의 주된 내용을 고찰하고 한국에서 가이드라인에 포함될 내용의 원칙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s)의 특성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수용에 관한 연구

        김민정(Min-Jung Kim) 한국OOH광고학회 2015 OOH광고학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디지털 네이티브 성향이 디지털 사이니지 미디어의 수용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디지털 네이티브 집단의 특성을 ‘즉시성’, ‘친숙성’, ‘표현성’으로 도출하였다. 이후 이러한 성향이 단순터치형과 인터렉티브형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지, 흥미, 사용의도와 같은 수용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단순터치형 디지털 사이니지의 경우에는 디지털 네이티브 성향 중 ‘즉시성’과 ‘친숙성’이 미디어에 대한 인지, 흥미, 사용의도를 자극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인터렉티브형 디지털 사이니지의 경우에는, ‘친숙성’, ‘표현성’이 미디어에 대한 인지를 자극하는 중요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시성’, ‘친숙성’은 미디어에 대한 흥미를 유도하였으며, ‘즉시성’, ‘표현성’은 미디어의 사용의도에 중요한 변인임이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관심과 접근 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미디어 전략 수립에 관련한 함의를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tendency at Digital Natives of the adoption of Digital Signage as DOOH media. To this goal, this research classified 3 tendencies of Digital Natives as Immediateness, Familiarity, Expressionism and analyzed how these tendencies influence to awareness, interest, and adoption intention of Digital Signage types(simple touch type and interactive type). In case of simple touch type of Digital Signage, Immediateness and Familiarity are important variables to stimulate adoption of Digital Signage. In case of Interactive type of Digital Signage, Familiarity and Expressionism are useful variables to increase media awareness. Immediateness and Familiarity are effective to interest in Digital Signage. Immediateness and Expressionism are good for adoption intention of Digital Sign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implications for the media strategy for access to Digital Signage.

      • KCI등재

        사용자 경험 중심의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전략 분석

        안혜신,김홍찬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0 조형디자인연구 Vol.23 No.1

        The digital signage market (including software, hardware and content) is expected to develop rapidly over the next few years. Digital signage was initially initiated for advertising promotion purposes, but is now emerging as a new media medium that is now integrated with various IT technologies, enabling not only advertising, but also education, professional information and artistic use. Users, familiar with smart phones, are easily accepting and using digital signage, which has recently appeared in elevators, buses and subway stations. Instead of simply recognizing digital signage as a market to replace traditional outdoor advertising, it should be recognized as a new medium and developed new content, stories, and user interfaces to match it.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digital signages and analyze how they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users from a usability perspective. Thus, this research examined the cases and trends of interactive digital signage and analyzed th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interactive digital signage.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the concept and status of digital signage, type and classification and the concepts and trends of interactive digital signage focused on interaction are researched, and also the evaluation elements through its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In addition, through a recent case study of an increasing number of interactive digital signage, th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 was five development strategies of interactive digital signage. The interactive digital signage development strategy is to increase user interaction, increase user-customized content, expand mobile and Web links, use 3D technology as digital signage content, and use it as an artistic medium for digital signage. An important aspect of digital signage is maximizing its effectiveness by interacting with and participating in users. It needs to provide customized contents that are more personalized by working with variety of displays and understanding location and needs of users. This requires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signage in planning, producing and operating content. 국내외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그리고 컨텐츠를 포함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은 앞으로 몇 년 동안 급속도로 발전될 전망이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처음에는 광고 홍보를 목적으로 시작을 하였으나, 현재는 다양한 IT 기술과 결합하고 발전되어 광고뿐만 아니라, 교육 분야, 전문정보 제공 및 예술적 활용까지 가능한 새로운 미디어 매체로 등장하고 있다. 스마트폰에 익숙한 사용자들은 엘리베이터, 지하철역, 버스 승강장 및 내부 등에 등장하고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쉽게 받아들이고 사용하고 있다. 앞으로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단순한 전통의 옥외광고의 대체를 넘어 새로운 매체로 인지하고 이에 적합한 새로운 컨텐츠를 개발하고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등을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사용성 관점에서 사용자와 어떻게 소통하고 상호작용 하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이에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의 사례와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한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의 발전 전략에 대해 분석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의 개념과 현황, 유형과 분류에 대해 살펴보고,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춘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의 개념과 동향에 대해 분석하며, 이의 특징을 통한 평가요소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최근들어 늘어나는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의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해 그 특징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결과로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의 다섯 가지 발전 전략을 도출하였다.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발전 전략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의 증대,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의 증가, 모바일 및 웹 연동 확대, 3D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 디지털 사이니지의 예술적 표현 매체로의 활용이다. 디지털 사이니지 전략에 있어 중요한 점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및 참여를 통한 효과 극대화이다. 다양한 디스플레이와 연동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니즈를 분석 및 반영하여 보다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특성을 고려한 컨텐츠의 기획과 제작 및 운영이 전제되어야 한다.

      • ATMOSPHERICS AND STORE PATRONAGE: THE MODERATING EFFECTS OF DIGITAL SIGNAGE

        Eun Young Kim,Eun Joo Park 글로벌지식마케팅경영학회 2016 Global Marketing Conference Vol.2016 No.7

        With advances in digital technology, retailers are utilizing digital signage which would be a visual factor of atmospherics in a retail environment. Based on stimulus-organism-response (S-O-R) model, this study was to examine a moderating effect of digital signage in relationship between atmospherics and store patronage. To collect dat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s, and mainly contained usage experience of digital signage, atmospherics (20 items), and store patronage (6 items). All items were measured on 7 point rating scale. Two sampling frames for this study were involved: experienced sample from retail stores with digital signage vs. unexperienced sample from retail stores without digital signage. Each sample was separately asked to complete the same questions regarding experience with digital signage, store atmospherics and store patronage. A total 497 usable responses (n=278 for experienced digital signage; n=219 for unexperienced digital signage) were obtained from consumers who were aged from 20 to 49 years old. For experienced sample, digital signage has been used various types: for example, location-based digital screen for store and shopping information (52.5%) was the most experienced, and followed by LED screen (28.8%) and others (e.g., Digital Look-Book, Virtual-Try-on, Interactive Screen, and Self-checking kiosk) in the fashion retail environments. Of total respondents, females (50.7%) were slightly more than were males (49.3%).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t-test, hierarchy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by using PASW18. Preliminaril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atmospherics consisted of three elements, such as store layout, visual aesthetics and interior display. The factor loadings were ranged from .60 to .80 and three factors were accounted for 70.42% of total variance. Compared with store without digital signage, the mean score of atmospherics (e.g., store layout, visual aesthetics, and interior display) was more highly rated in the retail stores with digital signage. In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odel, two factors of store layout and interior displa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ore patronage in the first step (F=69.23, p<.001, Adjusted R2=.29). The store layout (β=.33, p<.001) and interior display (β=.17, p<.01) were likely to increase consumers’ store patronage. Also, interaction effect of digital signage and atmospherics was significant in the second step (R2 Change=.014, F Change=3.386, df1=3, df2=487, p<.05). Digital signage had moderating effect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ior display and store patronage (β=.65, p<.05). The findings suggest that digital signage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stimulus in improving atmospherics at the retail environments. Particularly, the digital signage would be effective in a good interior display including POP signs, product display, racks and cases, furniture, which can lead to store patronage. This study provides a managerial implication into retailers for improving atmospherics by utilizing retail technology inside a store. Especially for fashion retailers, it is required to combine digital technology service with in-store visual merchandising for a retail environment.

      • KCI등재

        항공 응용 분야 :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연구

        이동우 ( Dong Woo Lee ),이학재 ( Hak Jae Lee ),고규천 ( Kyu Cheon Ko ),나종화 ( Jong Whoa Na ) 한국항행학회 2011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15 No.3

        디지털 사이니지는 공항 내에서 승객에게 비행 탑승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 하고 있다. 기존 시스템은 유선 네트워크 또는 저장 장치에 의존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디지털 사이니지의 설치와 정보 제공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무선네트워크와 이동성의 기능을 부여 할 수 있는 와이브로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와이브로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무선 랜 기반 사이니지 시스템과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디지털 사이니지 설치 위치, 광고 영상의 크기, 데이터 전송률을 달리하여 실험 하였다. 실험 결과 와이브로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는 이동성 측면에 장점이 있고, 무선 랜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는 전송 속도 측면에서 장점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n the airport, digital signage is used to provide the flight-related information for the passengers. Because the current digital signage is based on wired networking or storage medium, its use is limited in terms of the location and the usage of the digital signage.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 we present a WiBro-based digital signage for the wireless broadband networking and the mobility of the digital signage. We perform comparative experiments with the WiBro-based digital signage and WLAN-based digital signage under various locations, datarate, advertisement content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WiBro-based digital signage is preferred when the mobility is required, while the WLAN-based digital signage has advantage in datarate.

      • KCI등재

        모빌리티 스케이프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사례 연구

        박정아 ( Park Junga ),이유빈 ( Lee Yubin ),이재규 ( Lee Jaek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이동에 대한 인간의 활동은 그 범위가 점차 다양해지고 글로벌화 됨에 따라 이를 위한 시스템들이 발달하고 있다. 연구의 배경으로 모빌리티의 현대적인 현상에 주목하여 이동과 경관의 복합어로 불리는 모빌리티 스케이프 환경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가진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최근 규정 일변도였던 옥외광고물 관리법 방향이 진흥으로 전환되고 이를 법적으로 인정하면서 테크놀로지 발달과 함께 시장 발전 속도가 가시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동과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현대인들의 생활에 새로운 시공간으로서 모빌리티 스케이프를 통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역할을 조명하고, 디자인적으로 어떻게 표현되는지 활용 가능성을 논의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동하는 존재로서의 호모 모빌리쿠스라 불리는 인간이 문자, 영상, 이미지 등에 의한 사물인 디지털 사이니지와 관계하는 환경에 주목한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동의 풍경으로 불리는 모빌리티 스케이프가 정의되는 특성을 시대적 흐름과 함께 알아본다. 둘째, 모빌리티가 가지는 스케이프적 요소를 디지털 사이니지 환경에서 분석하기 위해 디지털 사이니지의 대표 특징을 다섯 가지로 분류한다. 셋째, 모빌리티 스케이프가 발생되는 디지털 사이니지 최근 사례를 통해 발견한 쟁점들을 이끌어 낸다. 마지막으로 이들의 논의를 바탕으로 디지털 기반 환경에서 모빌리티 스케이프 타입 요소를 통해 향후 디자인적 활용이 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 (결과) 현대사회에서 디지털 사이니지는 단순히 사인화 된 정보를 나타내고 전달하는데 그치지 않고 공간이 구성되고 활용되는 방식에 영향을 준다. 디지털 사이니지 대표 요소로 명소적 요소, 정보적 요소, 공익적 요소, 광고적 요소, 유희적 요소로 그 특징을 알아보았다. 과거 이동의 풍경으로 평면 패널, 시트, 정보 전달자에 의한 일방 소통이 주를 이루었다면, 현대는 이동 장소, 이동 통로, 부동형의 고정 장소의 세 가지 타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디지털 미디어 형태로 정보제공 컨텐츠의 가변화가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이며 스마트 월, 지능형 미러, 벽·기둥에 디지털 키오스크와 스마트 무빙워크 등 다양한 디지털 사이니지 형태로 활용될 수 있는 바이다. (결론) 모빌리티 스케이프는 이동 중 활동에 의미를 부여하며 이동과 정주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는 수용자의 욕구에 적합한 시점에 전달되었을 때 수용력이 높아진다. 스마트폰과 SNS 등을 활용한 융합 기술이 점차 등장하고 있으며, 단지 이동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동하는 풍경을 통해 무엇이 변화하며, 우리 일상이 어떻게 시스템과 소통되고 있는지의 이해가 필요하다. 최근 인터랙티브형 디지털 사이니지의 다양한 보급을 통한 설치비용 등의 경제성에 대한 전략적 방안 또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공간 현상의 확장 개념으로 사유하여 모빌리티의 스케이프적 요소를 활용한 새로운 환경의 디자인적 이슈에 관심을 기울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extent of human mobility has diversified and globalized, the system of mobility is also evolving. Based on this modern phenomenon of social mobility, research regarding the mobility landscape environment, which is a combination of movement and landscape, needs to be conducte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direction of the Outdoor Advertisement Management Act has shifted toward promotion, and the market is expanding as digital signages are legally approved. This study elaborates on the role of digital signages through mobility scape, which is composed of mobility and network, as a new space-time in the lives of modern people, and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how this is expressed through design. (Method)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environment in which humans as moving beings, referred to as Homo Mobilicus, relate to digital signages that are comprised of letters, videos, and images. First,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ity landscape, which is described as the landscape of movement, along with the trend of the times. Second, this study classifies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signages into five categories. Third, it discusses the issues discovered through the recent cases of digital signage where mobility scape has been created. Lastly, based on the discussions,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that can be used for future designs through mobility-scape type elements in a digital-based environment. (Results) This study establishes that digital signage does not stop at merely delivering information but also affects the way it is constructed and utilized in space, cognition, imagination, and practice. The representative elements of digital signages are attraction, information, public interest, advertisement, and entertainment. Unlike the past, where one-way communication was conducted through flat panels, sheets, and information carriers, new factors such as space, passages, and fixed locations, are now considered to be important, as well. This indicates a tendency to change information providing content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digital signage forms such as smart walls, intelligent mirrors, digital kiosks on walls and columns, and smart moving walks. (Conclusions) Mobility scape is a space where movement and settlement coexist, and the behavior during movement is considered important. The impact of messages communicated through digital signage increases when delivered at a time available for the needs of the audience . With the growth of conversion technologies,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and communication with the system through the movement-oriented landscape.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economically feasible plan, such as installation cost through various dissemination of interactive digital signage . Future studies should focus attention on the design issues of a new environment that utilizes the landscape elements of mobility by considering it as an expansion of the spatial phenomena.

      • 복합상업시설 내부가로의 디지털 사이니지 적용에 관한 연구

        진이성(Chen, Yi-Shen),남경숙(Nam, Kyung-Soo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05

        Development of society has brought change to consumption patters of people. As a result, various contents provided in one place to enjoy which called mixed-up commercial complexes now become a new trend of shopping center. As a place people spend much time and stay, internal streets within mixed-up commercial complexes have also become a public space that lots of strategic planning could be carried out. one of these is advertising equipments. By the development of digital and information technology, advertising equipments are now mostly digitalized which generally called digital sign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kind of digital signage is installed in internal streets within mixed-up commercial complexes, and analysis the correlativity between digital signage and internal street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first to understand the construction and functions of internal streets. Second, study the types of digital signage and investigate 4 mixed-up commercial complexes cases chosen in Seoul. Then compare and analysis digital signage"s types and installed location. In conclusion, number of digital signage shown in internal streets digital kiosk are the most, then LCD digital sign, LED digital screen. And by the construction, types of digital signage were similarly installed through all cases. Also, contents displayed on digital Signage were getting more various. In mixed-up commercial complexes, digital signage were Installed plently and strateg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