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작전에 대한 공통상황인식 함양을 위한 軍 사이버작전 교육체계 연구 및 방향성 제안 -非사이버작전부대 장교 교육을 중심으로-

        이 상 운,박용석 한국융합보안학회 2019 융합보안 논문지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ducational system and direction of cyber operations officers of non-cyber operations forces who do not specialize in cyber operations. In order to carry out cyber operations as a joint operation, non-Cyber Operations officers must also know about cyber operations, but there is no education system for them at present, Since there is almost no previous research on this, research in the relevant field is necessary. Therefore, the education system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ior literature review, that is, the education system, that is, the necessity of education, the object of education,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In addition, the relevant experts confirmed the validity of each item with Delphi method, and as a result, some improvement was needed, but it was shown to be suitable as a whole. In addition, detailed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can be developed based on thi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사이버작전을 전문적으로 수행하지 않는 非사이버작전부대 장교들을 위한 교육체계를 개발하고 방향성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사이버작전을 합동작전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非사이버작전부대 장교들도 사이버작전을 알아야하나 이들을 위한 교육체계는 현재 軍에는 없으며, 이에 대한 선행연구 또한 거의 없어 해당 분야의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非사이버작전부대 장교 교육체계는 사전에 실시한 관련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교육체계를 구성할 수 있는 5가지 항목 즉, 교육의 필요성, 교육대상, 교육목표 및 내용, 교육과정에 관한 사항을 개발하였다. 또한, 관련 전문가들에게 델파이방법으로 각 항목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일부 향상의 필요성도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적합함을 보였다. 향후에는 이 연구를 바탕으로 세부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개발될 수 있다.

      • 디지털 라이브러리와 가상교육시스템의 자원 공유 방법에 대한 연구

        원성현,이중화 동의대학교 산업기술개발연구소 2005 産業技術硏究誌 Vol.19 No.-

        최근 웹 기반 가상교육시스템과 디지털 라이브러리에 대한 관심이 매우 고조되고 있다. 웹 기반가상교육시스템은 교사와 학습자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대화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에 대해 디지털 라이브러리 시스템은 컴퓨터 시스템과 온라인 네트웍 시스템에 의한 도서 정보검색 시스템이다. 이 두 시스템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공통점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서로 별개로 연구되어 왔고, 실제로 시스템 구축 측면에서도 그렇다. 컴퓨터 시스템의 소프트 자원측면에서의 이미지는 가상교육시스템과 디지털 라이브러리 시스템 모두에게 중요한 요소이다. 이와 같은 두 시스템의 독립적인 개발은 개발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큰 오버 헤드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라이브러리와 가상교육시스템에서 공유하는 이미지 자원에 대한 공유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객체 속성을 정의한다. 이를 통해 가상교육시스템과 디지털 라이브러리 시스템에서 이미지 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타진한다. Recently, we made a big point of web based cyber education systems and digital library systems. Web based cyber education system is the system that teachers and students communicate for on-line learning by Internet. Digital library is the book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by on-line network and computer system. Although these two systems have various something in common, they had been researched independently, real system had been built, also. Image components as soft resource are very important components of cyber education systems and digital library systems. But, independent development of these two systems include too much overhead view point of cost and time for developing.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ethod that can share the image resource between digital library systems and cyber education systems. For this, we will define object attributes of image data. Finally, we validate whether cyber education system and digital library can share the image resource each other or not.

      • KCI등재

        사어비가정학습의 성공적 운영 방안 탐색 : 교사의 지각을 중심으로

        조일주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인문학연구 Vol.34 No.2

        This study is aimed to provide an efficient operating method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by analysing a cyber teacher performing on-line learning course. A survey was performed through e-mail on cyber teachers in Daejeon city, and 31 surveys from 40 were used after recovering from th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level of elementary knowledge and practical use of computer by cyber teachers are relatively high(4.00), but they still felt some difficulties in skilled operation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51.6%). Secondly, the cyber home learning is suitable for a student in a middle level of learning(54.8%), while it is not well applicable for a student in a high or low level of learning. Thirdly, the learners' interaction in on-line learning system was so poor. Four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more actively participating in cyber home learning(3.85), which might be the result of providing incentives such as mileage. Fifth, most cyber teacher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cyber home learning system, and were trying to find out a new method of successful operation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can be provided for qualitative improvement and stable operation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Providing a cyber teacher with various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his operation skills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Providing cyber learners with various cyber learning contents which can be separately applied according to their learning levels; and Providing cyber learners with incentives encouraging their interaction.

      • KCI등재후보

        초등 정보영재의 자기주도적 사이버 교수,학습을 위한 스마트러닝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전용주 ( Yong Ju Jeon ),김태영 ( Tae Young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4

        정보영재 교육현장에서 이러닝 시스템에 기반한 사이버 교수ㆍ학습은 영재들의 자기주도적인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고 개별화학습을 지원하며, 소외영재를 배려 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어 왔으나, 접근 환경의 한계로 인해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기반의 사이버 교수ㆍ학습의 장점을 배가할 수 있도록 문제점이 보완된 초등 정보영재의 사이버 교수ㆍ학습에서 활용 가능한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개 발하고, 이를 활용한 교육이 초등 정보영재의 정보과학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관련 연구를 탐색하였으며, 교육 수요 자의 사이버 학습에 대한 요구사항과 정보영재의 사이버 수업모형을 분석하고, 기존 시스템들을 비교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후 개발된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초등학교 5, 6학년 정보영재의 사이버 교수학습에 적용하였는데 통제집단으로는 기존의 이러닝 시스템을 활용하는 학생들을, 실험집단으로는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활용하는 학생들을 선택하였고, 결과에 대해 독립표본 t-검증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보과학 창의적 성향의 하위 요소 중 정보과학적 흥미와 긍정성 부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e cyber teaching and learning in informatics gifted education is to increase the self-directed motivation, to utilize the any-time and any-where study and to support the personal and local education. Our study is to develop a smart learning system for elementary informatics gifted students by studying cyber instructional models and analyzing the requirements of the users of the cyber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is smart learning system on the information science creative personality after applying it to their classes. To achieve our goal, we explo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yber instructional models, surveyed the requirements of the cyber learning system by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n compared them with those of existing cyber learning systems. Next, we developed a smart learning system based on our theoretical background and users’ requirements. Then we analyzed our experimental results after applying the cyber learning environment to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informatics gifted students. We performed our experiment to both a traditional class with a control group by using an existing cyber learning system and a new class with an experimental group by using our smart learning system, and then the paired samples t-tests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the mea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on the area of information science interest and positiveness. According to the result, it has been proved that our smart learning system is effective in improving information science interest and positiveness for the elementary informatics gifted students.

      • KCI등재

        NICE 기반 사이버보안 교육커리큘럼 개선 연구

        박원형 ( Wonhyung Park ),안성진 ( Seongjin Ah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6 No.7

        사이버 위협이 고도화되고 지능화되어짐에 따라 사이버 침해사고로 인한 피해사례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이버보안 전문인력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다수의 사이버 보안관련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지만 사이버보안 인력 현황 및 직무에 기반한 사이버보안 교육연구가 이루어지 않아서 교육 수요자 및 공급자가 목표한 교육과정이 제공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보안 인력 및 지식체계를 정의하고 이를 반영한 새로운 사이버보안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커리큘럼은 기존 교육커리큘럼에서 강조하고 있는 방어와 관련된 교육내용만으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공격분야의 교육내용을 추가하여 전문적이고 균형적인 사이버보안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 및 개선하였다. As the cyber threats become more sophisticated and intelligent, the cases of cyber-infringement accidents are rapidly increasing. As a result,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yber security professionals has led to many cyber security-related educational programs. These programs provided with education curriculum aimed because cyber security workforce and job-based cyber security education research are not properly don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new cyber security education curriculum that defines and reflects cyber security personnel and knowledge system. In this study is not composed solely of the education contents related to the defenses emphasized in the existing education curriculum, but developed education curriculum to train a professional and balanced cyber security manpower by adding education contents in the attack field.

      • KCI등재

        초등학교 사이버가정학습 운영의 핵심성공요인 관련 연구 분석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 교사, 시스템 및 콘텐츠를 중심으로

        구양미 ( Yang Mi Koo ),서정희 ( Jeong Hee Se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사이버가정학습 운영의 핵심성공요인인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 교사, 시스템 및 콘텐츠에 관련된 연구의 동향과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초등교육에서 사이버가정학습의 운영과 발전을 위한 연구와 서비스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학술진흥재단 등재후보지 이상에 게재된 초등 사이버가정학습 핵심성공요인에 관련된 논문 총 25편을 분석 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이 25편의 논문에 대해 핵심요인별, 연구방법별 논문 편수의 빈도 분석과 세 가지 핵심요인에 대한 주요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논문 편수는 시스템 및 콘텐츠에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교사,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 순으로 많았다. 연구방법별로는 교수-학습 방법 측면에서 반 이상의 연구에 혼합연구방법이 적용되었으며, 교사, 시스템 및 콘텐츠에 관련된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또는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한 양적연구가 주된 연구방법으로 적용되었다. 핵심성공요인별로 주요 연구결과를 분석한 결과, 첫째,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교과 특성을 고려하여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용한 블랜디드 러닝 전략을 구안하고 적용하거나 자율적인 콘텐츠 활용 및 교사가 사이버가정학습을 지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사, 시스템 및 콘텐츠 측면에서 사이버가정학습 서비스 이후 동일한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콘텐츠나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서비스의 한계를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 교사의 사이버가정학습 운영에 대한 지식과 역량으로 극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이버가정학습의 성공적 운영의 성패를 좌우하고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주체는 교사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사이버가정학습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연구와 서비스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and results of 3 key success factor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teacher, system and content, from existing research on Cyber Home Learning (CHL) for primary education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ing CHL services. For this, 25 CHL-related research articles, either those in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indexed list or candidates for inclusion in the list, were selected f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on key success factors and research methods and content analysis related to 3 key success factors were conducted. Research indicates the most frequent article to be ``system and content`` that followed by ``teacher``,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strategies``, in the order. The mixed research method has been applied in more than half of those studies and the survey and interview methods were applied in relation to system and content. The key findings from the analysis in terms of 3 key success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the blended learning method is suggested to apply for the effective use of CHL service for primary students in term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strategies. Second, increased work pressure on teachers and a lack of awareness of the CHL service and capability of the CHL service operation have been presented as obstacles in terms of teacher. Functions to support inter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e development of exciting and varied content are required from the aspects of system and content. Third,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strategies and teacher`s knowledge and skills to use the CHL services are most important and these can overcome the limits of the CHL content and syste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and service direction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the CHL services are presented.

      • KCI등재

        학습자 입장에서의 사이버 강의 만족에 관한연구: 대학에서 소비자교육 분야의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명숙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4

        This study examined students' satisfaction with cyber education focused on the sections of consumer education in the University.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94 students taking a 'Consumer Policy & Education' cyber cours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sed by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percent, mean, SD, t-test and one-way ANOVA with Duncan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reason students took a cyber course was that it was easy to manage the course under “self-control”.Second, they studied an average 1-2 hours for a one unit lecture at home on weekdays between 9 p.m. and midnight. Third,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cyber education showed a slight preference for the web based environment as opposed to the online lessons. Fourth, the biggest problem with taking a cyber course was that the students found it difficult to concentrate well on the lecture. 본 연구는 대학에서 실시하는 소비자 교육 분야의 사이버 교육 학습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학습자 입장에서의 사이버 강의에 대한 만족도와 문제점을 조사하였다.연구 자료는 D대학 가정교육과에 2006년 9월-12월까지 16주 동안 사이버 강좌로 개설된 ‘소비자 정책과 교육’ 교과목 수강생 9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를 위해 SPSS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 일원분산분석과 Duncan 검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사이버 강의를 신청하게 된 동기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는 것은 ‘학습 시간에 대해 자기조절이 가능함’을 들고 있다.둘째, 사이버 강의와 관련된 일반적 학습현황은 1회분 강의 수강에 대한 평균 학습 시간은 1-2시간미만, 접속 시간대는 밤 9시 이후-자정 사이, 접속 요일은 평일, 접속 장소는 집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셋째, 사이버 강의에 대한 만족도는 웹 환경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가 수업활동에 대한 만족도 보다 다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수업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수업구성’, ‘수업’, ‘수업자료’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수업구성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반면,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넷째, 연구대상자의 배경에 따른 사이버 강의 만족도는 학년과 사이버 강의 경험 유무에 따라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저학년일수록, 그리고 사이버 강의에 대한 경험이 없는 집단이 강의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다섯째, 사이버 강의 수강 시 어려운 점으로 지적 된 것은 ‘1회분 학습량이 벅찬 것’과 ‘집중력이 떨어지는 것’을 들고 있다.

      • 사이버 교육을 통한 기독교 교육 활성화 방안

        강이철 ( Kang I Cheol )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2003 통합연구 Vol.16 No.2

        사이버 교육은 한 시대를 규정하는 사회적 현상으로서, 그에 대한 기대아 열풍이 모든 분야에서 느껴지고 있다. 교사와 얼굴을 맞대고 표정을 느끼면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효과를 무색하게 할 것처럼 등장한 갖가지 매체가 우리의 교육현장에 등장했다가 사라지곤 했다. 물론 그 매체의 효과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뒤로 남긴 채, 이 글은 교회 교육에 사이버 교육을 활용하고자하는 시도에 앞서, 매체의 학습 효과와 사이버 교육의 실체부터 정확히 밝혀 보고자 한다. 계속해서, 몇 가지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활용방안을 제안하면서, 무엇보다도 교회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사이버 교육이 어떤 기능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끝으로, 사이버 교육의 성공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웹을 통해 전달된 공과내용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며, 매력적으로 설계하는 일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교육공학적 설계 방안 몇 가지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various ways if improving Christianity Education using Cyber Education. The study consists of 4 different sections. It begins with some comments of several functions and effects of educational media. In the second section, varied values of Cyber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related with characteristics of N generation are discussed. In the third section, the study suggests some roles of Cyber education for the Christianity Education in church. In this section, applicability of the Cyber education on the Christianity Education in church is suggested. In the last section, a theory of instructional systems design(ISD) is introduced and some design tips for 9 instructional events are recommended respectively. In addition, various ways of visual representations on the learning contents are suggested.

      • KCI등재

        재외한인 학생들의 사이버 민족교육에 대한 수요

        김경근(Kim Kyung-keun),김정숙(Kim Jung-sook) 한국비교교육학회 2007 比較敎育硏究 Vol.17 No.3

          본 연구는 재외한인 학생들의 사이버 민족교육에 대한 수요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재외한인의 대다수가 거주하는 미국, 일본, 중국, 중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설문조사 및 전문가 면담을 실시하였다. 사이버 체제를 활용한 민족교육에 대한 재외한인 학생들의 반응은 국가별로 달랐다. 이는 거주국별로 재외한인 학생들의 한국어 구사 수준이 다르고, 거주국의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라 재외한인 학생들의 민족교육에 대한 태도도 상이한 사실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사이버 민족교육의 내용이 재외한 인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이버 체제를 활용한 민족교육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거주국별로 재외한인 학생들이 선호하는 민족교육 내용을 파악하고, 민족교육 내용의 난이도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사이버 민족교육을 모든 재외한인 사회에 적용하기보다는 그것이 가장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재외한인 사회를 우선적으로 선택해 투자를 집중시키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demands of overseas Korean students for cyber ethnic education. In general, overseas Korean students for cyber ethnic education represent different responses. This is caused by the fact that Korean language levels of overseas Korean students are unlike and those living in the United States, Japan, China, and Central Asia have differentiated demands for cyber ethnic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host society"s socio-economic conditions. Specifically, contents of the cyber ethnic education are not suitable for demands of overseas Korean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efficiency of cyber ethnic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ethnic educational content by country and it is important to adjust the difficulty level of it to the student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concentrate its application at first to only a select group of overseas Korean students instead of providing cyber ethnic education for all overseas Koreans.

      • KCI등재

        지속가능한 미래형 스마트교육 시스템 구축 방안

        박지현 ( Ji Hyeon Park ),최재명 ( Jae Myeong Choi ),박병렬 ( Byoung Lyoul Park ),강희조 ( Heau Jo Kang ) 한국항행학회 2012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16 No.3

        사회의 변화에 따라 교육현장도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다. 1996년 9월 1일 교수학습사이트인 에듀넷 시스템을 개발 보급한 이래 교수학습지원센터, 사이버가정학습 시스템을 비롯하여 진단처방시스템, 화상강의 및 상담시스템, 학력관리시스템을 지속하여 개발하였으나 상호 연계성이 부족하여 교육수요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지 못하였다. 이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으나 새로운 변화를 예측하거나 비전을 제시하기보다 그 때마다 새로 구축하여 연속성이나 지속성을 고려하지 못한 결과이다. 스마트교육에 적합한 시스템은 독립된 시스템을 단순한 통합로그인에 의한 시스템보다 가장 기본이 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빅데이터 개념을 도입, 다양한 데이터를 유용한 정보로 분석 가공하여 교육수요자에게 제공한 시스템으로 통합이 이루어 져야하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이 단순한 파일을 관리하고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시스템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와 데이터를 관리하고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구축하여야 한다. As modern society rapidly changes, the field of education has also developed speedily. Since Edunet system developed in 1996, many different systems are developing continuously such as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cyber home learning systems, diagnosis prescribing systems, video systems, teaching and counseling, and study management systems. However, the aforementioned systems have had not great response from the educational consumers due to a lack of interconnection.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it. One of the reasons is that program administrators did not carefully consider the continuity of each programs but established a brand new system whenever they need rather than predict or consider the future needs. The suitable system for smart education should be one big integrated system based on many different data analysis and processing. The system should also supply educational consumers various and useful information by adopting the idea of bigdata rather than a single sign on system connecting each independent system. The cloud computing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s a system that can be managed not as simple compiled files and application programs but as various contents and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