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수학교사의 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효능감에 대한 조사 연구

        김동원,이경화,박미미,박진형 대한수학교육학회 2014 학교수학 Vol.16 No.4

        This study investigated mathematics teachers’ views on education, teacher efficacy, and the relationship of teacher efficacy and Confucian Heritage Culture’s views on education. In particular, the differences on the basis of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and academic level were examined. We identified teachers' views on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ir views on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examining whether they support the perspective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Confucian Heritage Culture. The questionnaire was answered by a total of 572 elementary teachers 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urvey revealed that mathematics teachers have both Confucian Heritage Culture’s view and Western view on education and quiet strong teacher efficacy. The views on education differed by academic level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eaching experiences. The teacher efficacy was differed by both academic levels and teaching experiences.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Confucian Heritage Culture’s view on education was low. Findings were discussed with regard to their implications for both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and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practice.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학교사들의 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효능감을 교직경력과 학교급에 따라 확인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의 교육관과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572명의 초등교사 및 중등 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의 목적, 학생과 학습 및 교사에 대한 관점을 주요하게 고려하여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그들의 교사효능감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수학교사들은 동아시아 문화권에서의 교육관만을 강하게 지지하고 있지는 않았다. 그리고 교육에 대한 인식은 교직경력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수학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은 높은 편이었으며, 교직경력과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동아시아 문화권에서의 교육관과 교사효능감은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수학교육과 수학교사의 수업 실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四庫全書總目提要》子部儒家類所反映的學術思想傾向

        唐潤熙 韓國中國語文學會 2004 中國文學 Vol.41 No.-

        The bibliographies of ≪The Bibliography of Complete Collection of Four Treasuries≫ are composed of Chinese chronical academic trend and concrete classic books. To understand the ≪The Bibliography of Complete Collection of Four Treasuries≫, we are supposed to conceive the assortments and the functions of it, which include the Chinese classical academic thoughts inside. This article focused on the Confucian bibliographies and explained the functions of bibliography such as revealing the origin of Confucian school, discriminating the core of Confucian school, discussing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school, comparing the difference of the schools, and judging goods and bads. At the end we can tell that the Confucian bibliographies of ≪The Bibliography of Complete Collection of Four Treasuries≫ were influenced by the cultural policies of Qing Dynasty, intended to make Cheng and Zhu's new confucianism more important and Qing Dynasty more stable.

      • KCI등재

        중천 김충열의 『고려유학사』에 투영된 유학관

        김미영(金美榮)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4

        본고는 중천 김충열의 저서 『고려유학사』에 투영된 유학관이 20세기 한국철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논하였다. 먼저 김충열은 고려시대 유학은 조선시대 유학에 비해 깊이는 없으나 폭넓고 실천적이었다고 평가한다. 그는 외래학술사상인 유학은 한국의 고유문화사상에 깃들여 있던 미신신앙과 결탁하며 전파한 도교나 불교를 비판하면서 한국사회의 합리화에 기여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특히 그는 김부식을 중심으로 한 개경파가 정지상과 묘청을 중심으로 한 서경파에 맞서 정치적으로 승리를 거둔 사건을 계기로 합리적인 유교문화가 토착화되는 기반을 마련하였고, 유교적 역사의식이 대두되는 분수령을 이루었다고 한다. 이는 유학을 외래사상이라며 이를 높이는 사조를 사대주의라 하고 김부식의 승리로 외래사상을 높이는 사대주의가 만연하게 되었다고 본 신채호의 『조선사연구초』 관점과 대비되는 관점이며, 김충열의 유학자로서의 면모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d what status in the Korean philosophy during the 20th century the confucian position reflected in Kim Choongyeol’s book, The Confucian History during the Period of Goryeo, holds. First, he argued Goryeo’s confucianism lacks in its depth, but abounds in breadth and practical morality, compared with Chosun’s. He emphasized confucianism as a foreign academic thought criticizes Taosim or Buddhism in collusion with superstitious beliefs indwelled in the Korean original culture and thought, and contributes to the rationality of the Korean society. Especially, taking the opportunity that the school of Gaegyung under Kim Boosik politically opposes against and wins the Seo kyung school under Jung Jisang and Myocheong, a rational confucian culture lays its foundation of naturalization and a confucian historical consciousness reaches its watershed. Meanwhile, Shin Chaeho looked upon confucianism as a foreign idea and called ideas thinking highly of it a toadyism, arguing Kym Boosik’s victory leads to its diffusion. It can be said that the confucian features revealed in Kim Choongyeol’s viewpoint on Goryeo’s confucianism represents a Korean confucian historical perspective during the 20th century, contrasted with that of Shin Chaeho.

      • 중국의 동아시아공동체론

        이철승(Lee Cheol-Seung)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6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15

        중국의 사상계는 1990년대에 조성된 ‘중국학열’의 중심으로 자리 매김한 ‘유학열’이 확대되는 가운데,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일부 학자들에 의해 유가윤리를 토대로 하는 동아시아공동체의식에 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 논의는 신자유주의의 이념이 드러내는 문제를 지적하는 면에서 의의가 있을 수 있지만, 신자유주의의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대안이 되기에 제한적이다. 즉 동아시아공동체의식에 관한 논의는 그 자체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내포되어 있다. 첫째, 본래적으로 순수하게 선한 선험적 도덕성을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현실 사회에 투영시키고자 하는 이 논의가 특정 지역의 이익문제와 어떻게 유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리적인 정합성의 문제가 나타난다. 둘째, 이 논의는 동아시아 각국들 사이와 동아시아 각국의 내부에 상존하고 있는 다양한 사상과 가치관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온갖 갈등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방안이 결여되어 있다. 셋째, 이 논의는 그것을 추구하는 동아시아 각국 사람들의 자민족중심주의가 빚어내는 문화패권주의적인 경향으로 흐를 개연성이 있다. 넷째, 이 논의는 이른바 동아시아문명과 서구문명에 대해 경직된 자세로 접근함으로써 지구촌 내의 다양한 문명이 상호 교류하여 새롭게 형성한 공통의 공속의식과 유기적으로 조응하는 면에 제한적이다. 이 글은 기존의 동아시아공동체의식에 관한 논의를 분석함과 아울러 그 논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동아시아공동체의식에 대한 새로운 방식의 논의가 필요함을 제기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scussion on the East Asian community consciousness revealed in the Confucianism Boom of the academic circle of modern Chinese thought,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discussion, and then present a necessity of a new way to discuss the East Asian community consciousness. In the academic circle of modern Chinese thought, the ‘Confucianism Boom’ as the center of ‘Chinese Studies Boom’ which started in the 1990s has increased its influence, and, in the early 21st century, some scholars get down to the discussion on the East Asian community consciousness based on the Confucian Ethics. Such discussion can be regarded as significant in that it successfully challenges the ideological problems of the neoliberal. However, it is too limited to make a comprehensive alternative for the neoliberal. Namely, the discussion on the East Asian community consciousness contains the following problems in it. Firstly, there is a problem of logical suitability, which questions how the discussion intending to reflect the pure good a priori morality to the dynamically changing society can be organically linked with the interest of a specific region. Secondly, the discussion lacks concrete ways to solve the problems of conflict stemming from the differences in thoughts and value systems among the countries in the East Asian countries and even those in each country. Thirdly, the discussion is likely to develop into the cultural hegemonism caused by the self-culture centralism of the people in the East Asian countries. Lastly, the discussion deals with the civilizations of the East Asia and the West in such a strict attitude that it may prevent the diverse cultures in the global world from organically corresponding with common consciousness developed by the mutual exchanges among the countries.

      • KCI등재

        일반논문: 조선 중기 성리학자의 山水 鑑賞 특징과 그 의미-旅軒 張顯光(1554~1637)의 <周王山錄>(1597)을 중심으로-

        이지양 한국고전문학회 2006 古典文學硏究 Vol.29 No.-

        Juwangsan is a mountain known for its various legends related to its name as well as its beautiful scenery. Yuhun, Jang Hyun-Gwang(1554∼1637) wrote Juwangsanrok-report on Juwangsan(1597) after exploring this mountain at the age of 43. Juwangsanrok clearly shows the characteristic of a humanistic perspective of appreciating nature-mountains and waters, and also reveals the Confucian view of the nature and its weakness and trueness. This report is not a typical or predictable type of report on mountain climbing or sightseeing. Juwangsanrok ruminates the meanings of Chinese histories, its characters and the philosophical concepts by observing different shapes of rocks, and is thorough in drawing its Confucian concepts. This kind of approach can be regarded as ‘humanistic appreciation of the nature’. Since it is intended to impersonate the nature and treats it as a human being, it automatically connects to a humble and respected attitude toward the nature. Juwangsanrok by Yuhun, Jang Hyun-Gwang is the realization of his academic confidence and a peak of Confucian view of the nature. In Yusangi(遊山記), which was written in the same period as Yuhun, appears specific descriptions of the nature, interests and amusement in the mountains and personal observations, which continues to a view of ‘Silsagusi- an attitude of probing the truth on the basis of actual facts’. Juwangsanrok of Yuhun is located on the watershed of these changes. 주왕산은 그 명칭부터 몇 갈래의 전설이 전하고, 경승이 빼어난 명산이다.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 1554∼1637)은 43세에 그곳을 유람하고 「주왕산록(周王山錄)」(1597) 을 남겼다. ‘주왕산록’은 ‘인문적 산수 감상’의 특징을 두드러지게 나타내며, 성리학자적 자연관을 드러내는 글이다. 이 글은 흔히 예상할 수 있는 등산 체험, 산수유람 체험 기록이 아니다. 「주왕산록」은 주왕산의 바위 형상을 통해 중국의 역사 및 인물고사를 반추하고, 성리학적 의미를 도출함에 있어 철저하다. 이러한 것을 인문적 산수 감상이라 할 수 있는데, 인문적 산수 감상 시선은 자연을 의인화하여 사람과 같이 대하고, 자연을 통해 삶의 중요한 이치를 체득하고자 하기에 자연에 대해 겸손하고 자연을 존중하는 태도로 이어진다. 「주왕산록」은 산의 경치를 감상하며 유교적 가치관을 체득하고 강화하는 체험을 한다. 그것은 유교적 사고나 가치관을 체득한다는 점에서는 장점을 보이지만, 산의 지역적 특성과 현장성에 주목하지 않는 관념적 산수 감상이라는 점에서 한계를 보여준다. 여헌 장현광의 주왕산록은 여헌의 학문적 자신감이 표출된 것인 동시에, 성리학자적 자연관의 한 정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미 여헌과 동시대의 유산기(遊山記)에도 자연의 구체적 풍광 묘사나 산수 간에서의 흥취과 오락, 혹은 현장 견문에 관한 내용을 담은 작품들이 출현하고 있는데, 그것은 그 이후 시기에 실제 사실과 풍경으로서의 자연을 보는 시선으로 이어진다. 그 변화의 한 분수령에 여헌의 주왕산록이 위치한다고 보는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Korean English Teacher's Disempowerment in English-only Classes

        Sung-Sam Hwang,Hyo-Sun Seo,Tae-Young Kim 한국사회언어학회 2010 사회언어학 Vol.18 No.1

        Hwang, Sung-Sam, SeD, Hyo-Sun, Kim, Tae-Young. 2010. Korean English Teacher's Disempowerment in English-only Classes: A Case Study Focusing on Korea-specific Cultural Aspect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18(1). In this case study, we have focused on the disempowerment of a Korean English teacher (KET) in English-only classrooms. Six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classrooms in a Korean high school were observed and analyzed by using interpretive discourse analysis. Out of the six classes, three representative classrooms were both video- and audio-taped. The results show that the English-only classes could weaken the KETs' power via three mechanisms: (a) calling the KETs' last name for choral greetings at the beginning of the class, (b) students' group solidarity and peer pressure between classmates, and (c) the students' excessively collaborative approach to peer assistance. It is argued that the exclusive English-only instruction disempowers the KETs' status and dismantles their vocational identity. In order to remedy the current situation, within a scaffolding supported by the eclectic use of first language where necessary for effective class management, KETs are empowered and overcome constraints imposed by the limited L2 oral competence of some non-native English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