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외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방향에 대한 연구1)

        오민준(Oh, Min-Jun),정재용(Chung, Jae-Yong)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7 No.12

        This study suggests development direction of Compact City type urban development purpose of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The suggestions are based on analysis of overseas Compact City strategies and the development projects.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in the late 20th century, Compact-City has been suggested as standard of urban development in the developed countries, and this promoted urban development plans were presented in detail. Second, the development strategies cases of overseas Compact City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ompact City type urban development for the region. In addition, the Compact City urban development planning should be separated by an essential elements and region elements. Third,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s in Hanam were analyzed through a strategy of Compact City type urban development. As a result, Hanam strategy and overseas Compact City type urban development showed a difference,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ompact City type urban development of the domestic form seems disproportionate.

      • KCI등재후보

        베트남의 경제성장에 따른 스마트시티 개발 방안 연구

        이호현,이창석 한국부동산학회 2023 不動産學報 Vol.91 No.-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is to analyze how Vietnam's rapid economic growth affects the development of smart cities, and to derive problems related to it through various analysis based on various data to derive success strategies and measure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smart cities in Vietnam.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approached from a macro perspective and analyzed the overall status of Vietnam's economy and smart city, and through this analysis, the problems of Vietnam's smart city, future success strategies, and implementation plans were derived. In particular,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investment in the development of smart cities due to Vietnam's rapid economic growth, and analyzed the future development of smart cities in Vietnam through theoretical exploration and review based on various data. (3) RESEARCH FINDINGS Vietnam has established friendly trade relations with the Republic of Korea, maintained steady economic growth, and strategically promoted smart city development centered on urban infrastructure, transportation, environmental issues, and climate change. 2. RESULTS In the current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Vietnam is a country with a very high possibility of developing the real estate market due to rapid urbanization and the resulting increase in income in the golden population. In particular, Vietnam made efforts to secure access to the external market among ASEAN countries by establishing a systematic FTA network with major countries and actively participating in multilateral agreements. In addition, the government promulgated the Decision 667/QD-TTg, which is one of the nine solution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foreign investment cooperation, to continue to provide benefits and incentives for overseas investment, such as improving domestic technology by attracting foreign investment. Through this, it can be interpreted that Vietnam maintains steady economic growth by establishing friendly trade relations with the Republic of Korea and promoting an active foreign opening policy. A serious problem aris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n 2018, the Vietnamese government announced the ‘Smart City Development Strategy’ from the Prime Minister’s Ordinance, setting the basic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national smart city. This is the principle of promoting a demand-responsive smart city on the premise of standard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smart city development, and it is the most suitable field for future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Vietnam as it includes various industries in smart city development investment. It is analyzed that this is a trend in which many efforts are being m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to match the government's smart city construction roadmap, which aim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ies for efficient promotion of sustainable smart city development.

      • KCI등재

        연담도시 행정통합에 따른 통합시 장기발전모델에 관한 연구

        정삼석(Chung, Sam Seok) 한국부동산학회 2013 不動産學報 Vol.53 No.-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riority and the direction of City Development Plan by District(including City-center Reproduction,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of Uniκd This also tries to show some role-model of unified local government, not to speak of Unified Changwon City. (2) RESEARCH METHOD To carry out the study, the study is required to use the Living Environmental Index and City Competitiveness Index and to reveal the upbringing ideas of City Development and Specialized Projects by District. It will make the Long-Term Development Plan Model of Neighboring United City, focused on the Circle Area of Former Changwon, Masan, and Jinhae City for the local economy development of the United Changwon City, which was inaugrated on June 1, 2010. (3) RESEARCH FINDING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idents-participation type district unit plan and the three-dimensional verification system are requested to construct. Second, the city-center activation plan should direct the future plan and vision of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rojects, establishing the basic city and residence environment maintenance plan. Third, the city-extension replan should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City Plan on the basis of Green Space secure. The recent Buk-myeon New Town Development and Samjin District Development plan should be reprogrammed. Fourth, the plan of balanced district integrity and development should be made through the TDC(Transfer of Development Credits) 2.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basic concepts are suggested: 'Smart' for the districtof Euichang-gu and Seongsan-gu, 'Renaissance' for Masan Whoewon-gu and Happo-gu, and 'Blueocean' for Jinhae District. The Unified Changwon City also focuses on its development project considering complex, single, and agricultural housing styles. Especially, preparing for the population decrease and aging, the authority should avoid the city extension policy and instead activate the city reproduction program. In conclusion, the united city development model should be made with the major development idea of city diffusion policy in mind.

      • KCI등재

        한‒아세안 스마트시티 개발협력 유형 분석과 시사점

        방설아,이상건 국토연구원 2021 국토연구 Vol.110 No.-

        As a necessity for urban development has increased in ASEAN countries, the Korean government puts much effort into enhancing the cooperation relationship for Smart city development with ASEAN. Every country in ASEAN has different economic and urbanization conditions and the environment for smart city develop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ustomized country strategy based on multi‒dimensional analysis to promote smart city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ASEAN. We analyzed three dimensions: cooperation condition with Korea, urban development demands, and smart city development conditions. Each has four indicators to evaluate factors of smart city development in ASEAN respectably. Finally, We suggested customized five types of country groups for Korea‒ASEAN smart city development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In addi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ASCN city officials to identify the preferred technical support areas, cooperation methods, and specific service sectors for urban development by each city. As an implication of analysis, to strengthen partnership for smart city development, we suggest that it is an important phase to concentrate on actual conditions and demands in ASEAN cities. 아세안 도시개발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우리나라도 아세안과 스마트시티 개발협력 강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 중이다. 열 개의 아세안 국가들은 경제 및 도시화 수준, 스마트 도시 개발을 위한 기본적 현황이 다르므로, 아세안 스마트시티 개발협력 추진 시, 국가별 수요와 한국의 공급여건 등 다각적 분석에 기반한 맞춤형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한‒아세안 스마트시티 개발 협력을 위해 수요와 공급여건을 분석하고, 국가별 맞춤형 스마트시티 개발협력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협력 여건, 도시개발 수요, 스마트시티 추진여건의 세 가지 차원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통해, 한‒아세안 스마트시티 개발협력을 위한 다섯 가지 협력유형을 도출했다. 또한 ASCN 도시 관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아세안 도시가 선호하는 기술지원 분야와 협력방식 등을 파악했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아세안 스마트시티 개발을 위해서는 각 도시의 수요와 환경에 대한 이해가 개발협력의 첫 단계가 되어야 함을 제시했다. 또한 스마트시티 개발협력은 공공재로써의 물리적 인프라를 조성하는 것뿐 아니라 도시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 발전도 동시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북한의 지역균형발전전략과 '시군발전법'에 대한 고찰

        임을출 법무부 2022 統一과 法律 Vol.- No.50

        After reviewing the historical and conceptual aspects of North Korea’s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is article analyzes the strategies and various implement methods conceived and carried out by the Kim Jong-un regime. The article then reviews the main contents of the city-county development law adopted by the North to legally guarante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such analysis, the article draws on perceptions, main features and implications on the development plan. The city-county development law reflects the strong will of the Kim Jong-un regime to formaliz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s a crucial national agenda and to perform the project in full swing. In addition, specific and detailed tasks and methods are presented to stabilize and improve the livelihoods of North Korean people through economic development in each region within the regime. The city-county development law, which was introduced to legally support independent and multifaceted development of cities and counties, focuses on accomplishing party policies to develop the local economy and culture. This also reflects the awareness of the North Korean leadership that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arty policies ultimately depends on the duties and roles of city and county people’s committees. In order to boost the development of cities and counties, measures that simultaneously strengthen the authorities of the actual on-site executive organizations, the city and county people’s committees, are necessary. However, the city-county law merely lists duties and lacks provisions on punishment for violating the law. The autonomy of the city and county people’s committees also appears to have shrunk. Autonomy is closely related to securing finances of local reg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keep close tabs on ways to resolve such problem. 본 논문에서는 북한의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역사적, 개념적 검토를 한 뒤 김정은 정권이 구상하고 실행 중인 지역균형발전전략과 다양한 추진방식을 분석하였다. 그런 뒤 지역균형발전을 법적으로 담보하기 위해 북한이 채택한 시군발전법의 주요 내용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북한의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인식과 대응, 주요 특징과 함의를 도출하였다. 북한 각 지역의 경제발전을 통해 주민들의 생활을 안정,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과제들과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는 시군발전법에는 지역균형발전이라는 목표를 중요한 국가적인 의제로 공식화하고, 이를 본격적으로 추진하려는 김정은 정권의 강한 의지가 반영되어 있다. 시, 군의 자립적이며 다각적인 발전을 법제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도입된 시군발전법은 결국 지방경제와 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한 당정책들을 관철시키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당정책의 성공적 관철여부는 결국 시, 군인민위원회의 임무와 역할에 달려 있다는 북한 지도부의 인식을 잘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시, 군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실제 현장 집행조직인 시, 군인민위원회의 권한도 동시에 강화시켜 주는 조치도 필요하지만 시군발전법에서는 위원회의 많은 의무들만 나열해 놓고 있는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법 위반 시에 대한 처벌 규정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시, 군인민위원회의 자율성은 이전보다 오히려 축소된 것으로 보인다. 자율성은 지방의 자체적인 재정확보와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 이 문제를 어떤 방식으로 해결할지에 대해서는 좀 더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도시개발로서 스마트도시의 개발을 위한 공간기준의 전략적 선택에 대한 탐색적 접근

        서준교(徐準敎)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지방정부연구 Vol.22 No.2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통해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함은 도시개발정책의 핵심과제 중 하나이며, 단순히 도시개발을 효율적으로 실행해야 한다는 의미를 넘어서는 것이다. 현재, 다양한 도시개발정책 중 지속가능한 도시개발로서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도시는 실질적 수단으로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스마트도시의 개발은 기본적으로 첨단의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도시환경의 전반적인 개선으로 도시서비스의 효용성 향상과 경제활동의 경쟁력 강화 등과 함께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에너지 활용은 물론이고, 열린 참여의 민주적 환경 등 도시 전반에 긍정적인 변화를 동반하는 혁신적인 도시형태로의 개발을 의미한다. 하지만, 스마트도시에 대한 관심은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스마트도시의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개념적 정의는 매우 모호한 실정이다. 즉, 스마트도시와 개념적 정의나 실행과정이 유사한 도시개발유형이 다수 존재함에 따라 이들 간의 명확한 구분을 어렵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도시의 개념적 정의에 대한 모호성과 함께 지속가능한 도시개발로서 스마트도시의 개발에 대한 논쟁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도시의 개발을 지속가능한 개발로 추진하기 위한 공간기준의 전략적 선택에 대한 논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도시의 개발을 국가단위 또는 지역단위, 신도시 또는 기존도시 그리고 물질적 또는 비물질적 기반 등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해 어떤 공간기준을 전략적으로 선택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논쟁이다. 하지만, 이러한 전략적 선택에 대한 논쟁은 지속가능한 도시개발로서의 스마트도시의 개발보다 경제적 효과의 창출이 더욱 중요한 핵심과제일 수 있음을 지적한다. 즉, 스마트도시의 개발이 민간기업의 제안과 참여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스마트도시의 개발에 대한 민간부문의 과도한 개입은 경제적 측면을 중시하는 결과로 이어짐에 따라 공간 기준의 전략적 선택 또한 경제적 효과에 집중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도시의 개발을 위한 공간기준의 전략적 선택을 탐색하는 한편, 지속가능한 도시개발로서 전략적 선택에 대한 논쟁을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Urban sustainability through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is one of the most essential parts in the urban development policy. Recently, many urban development policies have been carried on that the smart city project is received much attention as one of the most practical measures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mong those policies. The smart city is basically the improvement of overall urban environment through the use of high-tec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s) by upgrading the availability of urban services and reinforcing the competitiveness of economic activities, including ecologically friendly and efficient energy utilization, the open participation of democratic atmospheres that lead to the development of an innovative urban form with positive changes in urban areas. However, though various visions and objectives of the smart city, it is difficult to find a common conceptual definition of the smart city. The line between the smart city and similar concepts of other urban development models is blurry. Moreover, for the development of the smart city as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strategic choices of spatial references are identified such as strategies for national versus local units, new versus existing cities and hard versus soft infrastructure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strategic choice are presented to be argued the most efficient strategic choic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mart city. However, the strategic choices are not depended upon the possibility of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but it is largely affected by economic development. It is because of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companies that excessively intervene the overall smart city proje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rategic choices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city, and also the suitability of strategic choices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 친환경 스마트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중장기 연구개발 전략 로드맵

        박창석,최희선,주문솔,진대용,송슬기,김동현,김오석,변미리,안영수,오충현,이재경,이창훈,전재경,조기혁,차진열,최상진,최윤의,최정석,한우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 기본연구보고서 Vol.2020 No.-

        Ⅰ. 서론 □ 전 세계적으로 인구의 절반 이상이 도시에 거주함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 폐기물, 에너지 등 환경문제의 대부분은 도시에서 발생 ㅇ 우리나라 역시 거의 대부분의 인구가 도시에 거주하는 만큼 도시의 지속가능성 확보는 삶의 질과 생존 뿐 아니라 기후변화와 자연생태계 보전·관리 등에 큰 영향을 미침 ㅇ 스마트도시는 ICT 기술을 인프라 및 도시관리, 시민행태 등에 접목하여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도 보다 친환경적인 도시로 발전할 수 있음 □ 본 연구는 도시에 ICT 및 친환경기술을 적용한 “친환경 스마트도시”로의 추진방향을 마련하고 이를 위한 중장기적 전략과 연구 로드맵을 제시 ㅇ 이론적 고찰 및 전문가 포럼·세미나를 통해 친환경 스마트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목표 및 연구방향을 도출하고 분야별 전문가단을 구성하여 중장기 연구과제 발굴 Ⅱ. 친환경 스마트도시로의 전환 □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손실 등 글로벌 환경위기 및 미세먼지, 건강위해, 환경 부정의 등 환경문제 심화로 인해 새로운 도시환경 정책패러다임이 필요한 시점 ㅇ 이상기후로 인한 재난재해와 기후위험, 미세먼지 등은 반복적이고 일상화되고 그 강도 및 피해 역시 증가하여 도시의 삶과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도시 위기로 나타남 ㅇ 도시 위기는 점차 일상으로, 글로벌 환경위기는 우리 도시와 지역의 문제이자 위기로 가속화되고 있음 □ 도시의 지속가능성은 다른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성공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 ㅇ 도시는 지속가능발전과 환경문제 해결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친환경 도시로 시급히 전환할 필요 □ 친환경 도시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스마트도시’와 ‘지속가능도시’의 두 발전 패러다임의 연계·통합을 추진 필요 ㅇ 대규모 인프라 구축 및 자원 투입을 통한 물리적 해결방식의 한계 도달 ㅇ 유럽과 미국 등 전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의 도시들은 스마트도시를 지속가능성을 위한 공통적 해결 방식으로 채택하고 확대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 Ⅲ. 주요 동향 분석과 친환경 스마트도시 추진을 위한 시사점 □ U-City 정책은 시민들의 체감도가 낮고 신도시 중심의 건설로 공공기관 중심의 참여가 이루어져 민간기업의 참여와 서비스모델 창출 제한 등 여러 문제점들이 대두 ㅇ U-City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2017년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 개정과 『제3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2019-2023)』을 바탕으로 스마트도시 정책 마련 □ 하지만 현재의 스마트도시 계획과 정책에 대해 전문가 포럼 및 세미나, 전문가단의 의견 등을 종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과 개선과제들이 존재 ㅇ 구체적으로 ① 스마트도시의 환경성/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려 불충분, ② 도시데이터를 공유·연계·융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 미흡, ③ 관계부처 및 이해관계자 협력을 위한 구체적 방안 부족, ④ 개별 부처 사업으로 진행되어 여전히 유사중복 서비스 추진, ⑤ 여전히 기술 중심, 공공중심의 사업 추진, ⑥ 정책/계획과 법률 간의 통합적 접근 미흡 등 제시 □ 기존 스마트도시 정책을 보완하고 지속가능성이 강조되는 친환경 스마트도시 전략을 발굴하고 정책화·제도화 필요 ㅇ 특히, 유럽모델의 이점(기후변화 중시, 실질적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접근 등)과 우리나라의 강점(정부주도의 리더십, 인프라 구축 등)을 결합할 수 있는 노력 중요 Ⅳ. 친환경 스마트도시 중장기 연구목표 및 추진방안 □ 본 연구는 ‘친환경 스마트도시로의 전환’이라는 비전과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5대 추진전략과 주요 연구로드맵을 마련 ㅇ 구체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지향하고 “과정중심의 경로”, “스마트와 그린딜의 순환적·통합적 접근”을 기본방향으로 마련 □ 스마트도시와 지속가능성을 통합하기 위하여 탄소중립 및 저배출, 자연기반성장, 도시순환, 회복력 강화, 환경정의와 인간중심 발전의 5가지 전략목표를 설정 ㅇ 이는 ICLEI(2018b)가 “The ICLEI Montréal Commitment and Strategic Vision 2018-2024”에서 제시한 도시 및 지구 환경을 관리하고 도시 전환을 위한 나침반이자 지속가능도시로의 발전을 위한 5가지 전략적 경로를 반영한 것임 □ 추진전략은 ① 친환경 스마트도시 진단평가 및 발전경로 설계, ② 기후위험 및 자연재해에 강한 기후탄력도시, ③ 자원효율성을 높이는 저배출 순환도시, ④ 인간과 자연이 상생하고 형평성 있는 모두를 위한 포용도시, ⑤ 시민-데이터-법·제도에 기초한 친환경 스마트도시 전환 활성화로 구성 ㅇ 구체적으로 15개 과제를 발굴하였으며, 각 과제별 내용과 특징, 정책적/학술적 필요 등을 고려하여 연구원·연구회 과제, R&D, 정부정책과제 등으로 추진할 필요 Ⅰ. Introduction □ As more than half of the world’s population live in cities, it is in these areas that most environmental problems exhibit themselves, including greenhouse gas emissions, waste generation, and energy consumption. ㅇ Korea is no exception, with the majority of citizens living in urban areas - especially cities. In lieu of this, sustainability is a key issue and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limate chang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ecosystems, as well as problems related to human survival and general quality of life. ㅇ Smart cities could develop into eco-friendly areas with limited resources by incorporating ICT technology into existing infrastructure, city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for changing citizen behavior. □ This study promotes the idea of using ICT and eco-friendly technology to create a “smart city,” and also presents a policy research roadmap to achieve this. ㅇ In this study, the goals for the transition to an smart eco city were derived through a synthesis of literature reviews of prior studies, expert forums, and seminars. Further, a group of experts in each field was formed to identify policy research tasks to achieve these goals. Ⅱ. Transition to a Smart Eco City □ Due to the intensification of global environmental crises such as climate change, loss of biodiversity, the proliferation of fine dust, extensive health hazards, and general environmental injustice, it is a time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policy paradigm regarding the urban environment. ㅇ Disasters, climate change, and fine dust problems caused by abnormal climate activity have become a recurrent issue in our daily lives. The intensity and consequent damage have led to an urban crisis which threatens the lives of residents and the sustainability of cities. ㅇ Urban crises are - increasingly - becoming a part of our daily lives. Fueled by global environmental upheaval, these problems are beginning to spread throughout cities, provinces, and even international regions. ㅇ Development of eco-friendly cities is urgent because of the key role cities play in terms of achiev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 In order to transition to an eco-friendly city, it is necessary to link and integrate the concepts of “smart city” and “sustainable city.” ㅇ As has been the case in the past, there are limitations inherent in solving urban problems using large-scale infrastructure and resource solutions. ㅇ Cities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countrie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are trying to adopt and expand “smart city” models as sustainability solutions. Ⅲ. Key Results of Trend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Transition to a Smart Eco City □ The U-City policy had several problems, including low citizen satisfaction, lack of participation by private companies, and limited service model creation due to public, institution-led policies focused on the construction of new cities. ㅇ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U-City policy, the government revised the Act on the Promotion of Smart City Development and Industry in 2017, and also prepared a new smart city policy based on the 3rd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 (2019-2023). □ However, after analyzing a collection of expert opinions, it is clear that current smart city plans and policies still have flaws. ㅇ Specifically, the problems include: ①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al implications and possible sustainability issues of smart cities, ② insufficient institutional arrangements to share, link, and integrate city data, ③ a lack of specific measures for cooperation with relevant ministries and stakeholders, ④ the duplication of similar services when departments promote individual projects, ⑤ the fixed trend of promoting technology-oriented and public-oriented projects, and ⑥ a lack of integrated access to policies/plans, laws. □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build on existing smart city policies, and establish eco-friendly strategies that emphasize, institutionalize, and systematize them. ㅇ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try to combine the advantages of the European model (emphasis on climate change, practical problem-solving, and so on) and the strengths of the Korean case (government-led leadership, infrastructure development, and so on). Ⅳ. Mid- to Long-Term Research Goals and Plans □ This study has developed a vision for the “transition to a smart eco city” and has prepared 5 major strategies as well as a research roadmap to achieve it. ㅇ Specifically, this study has pursue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stablished a “process-oriented path” as well as the “circular and integrated approach to smart and green deals” as the basic principles. □ To integrate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into smart cities, we set five strategic goals: carbon neutrality and low emissions, nature-based growth, urban circulation, enhancement of resilience, environmental justice, and human-centered development. ㅇ These reflect the five strategic paths for the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city, as suggested by ICLEI (2018b) in the ICLEI Montréal Commitment and Strategic Vision 2018-2024, which serves as a compass for managing the urban and global environment, and for urban transformation more generally. □ Promotion strategies include: ① designing smart eco city evaluation and development paths, ② establishing a climate-resilient city able to mitigate climate risks and natural disasters, ③ establishing a low emission-circular city that increases resource efficiency, ④ building an inclusive city that ensures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nature, and secures equality for all, and ⑤ initiating the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smart eco cities based on citizens, data, laws, and institutions. ㅇ Specifically, 15 tasks have been identified, and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m by dividing them into research institution tasks (or research council tasks), R&D, and government policy tasks, taking into account the content, characteristics, and policy needs (academic needs) of each task.

      • KCI등재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연구

        정재용(Chung, Jae-Yong),오민준(Oh, Min-J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12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의 기본전략과 계획요소를 도출하여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들의 개발사업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세기 후반부터 선진국 들은 컴팩트시티를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의 기준으로 삼고, 세부적인 도시개발계획을 추진하였다. 둘째, 이와 같은 지 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은 지속가능한 개발과 컴팩트시티 이론을 바탕으로 하며, 이 개발계획을 도시공간, 도시환경, 도시커뮤니티, 도시관리로 구분하여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발제한구역 내 적용가능한 요 소를 산정하고 컴팩트시티와의 관련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셋째, 과천, 의왕, 하남의 개발제한구역 내 다수의 개발계 획들을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과 비교해본 결과 유사점과 한계를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분석한 바를 고려하여, 앞으로 개발제한구역 내 도시개발사업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컴팩트시티형 도시개발의 정책적인 반영 이 필요하다. This study suggests Compact City type urban development strategies and planning elements with the purpose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suggestions are based on analysis of the development projects promoted in the cities within Green-Belt.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in the late 20th century, Compact-City has been suggested as standard of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in the developed countries, and this promoted urban development plans were presented in detail. Second, The development plans are suggested plan elements by urban environment, space, community, and management. It was classified as an applicable element in Green belt and Compact City type. Finally, after comparing several city development projects (Gwacheon, Uiwang, Hanam), differences and Limitations between the Compact-City type urban development. Considering analysis of this study, urban development projects in Green Belt should be prepared to sustainable Compact city type urban development.

      • KCI등재

        지역주민 MICE 도시 브랜드 가치 인식에 따른 경쟁력 인식 및 발전지지도 연구

        주연우,윤유식,김예림 한국무역전시학회 2021 무역전시연구 Vol.16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pursuit of MICE city brand value, perception of city competitiveness and the support for development of resident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tri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shape the MICE city brand value, identify the value that is important to form support for development of residents in the promotion and development of MICE city, and suggest implications to establish strategie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440 valid samples were obtained by surveying local residents who live in near the convention centers(COEX, KINTEX, Songdo Convensia)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n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brand value as a MICE city, ‘attractiveness’, ‘cooperation’, ‘readiness’, ‘internationality’, and‘sustainabilit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mpetitiveness recognition and support for development of the MICE city. In this study, it can be interpreted that residents recognize the city as competitive; when the city is attractive as a MICE destination, influences regional internationalization, builds cooperation with other institutions and residents, and is developed consistently. These results could help MICE cities conduct more efficient marketing activities by providing directions on what they need to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It also suggests marketing activities and projects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so that residents are aware of the city competitive as a MICE city.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MICE 도시로서의 도시 브랜드 가치 추구와 그에 따른 도시 경쟁력 인식 및 발전지지도 형성에 관한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MICE 도시 브랜드 가치를 형성하는 요인을 확인하고, MICE 도시의 홍보와 발전에 있어 지역주민의 지지를 형성하는 데에 중요한 가치를 확인하고 이를 활용한 전략을 구상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수도권의 컨벤션센터(COEX, KINTEX, 송도컨벤시아) 주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440개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및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MICE 도시로서의 브랜드 가치인 매력성, 협력성, 준비성, 국제성, 지속가능성은 MICE 도시의 경쟁력 인식 및 발전지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MICE 도시로서의 매력을 갖추고 지역의 국제화에 영향을 주며 지역 내 다른 기관 및 주민들과의 협력과 잘 갖추어진 MICE 관련 인프라 및 지속적 개발 및 지속적 활동과 개발이 이루어질 때 지역주민들은 MICE 도시로서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인식이 형성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MICE 도시들이 경쟁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해주어 보다 효율적 마케팅 활동을 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MICE 도시의 개발 정책의 방향 수립 및 정책 운영 방안에 대한 지역주민의 적극적 참여 및 MICE 산업에 대한 지속적 관심 등을 유도하기 위해 지역주민이 해당 도시가 MICE 개최지로서 경쟁력을 갖고 있다고 지속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마케팅 활동 및 사업을 개발 및 운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도시지역연합 거버넌스

        김주희(Joo Hee Kim) 한국국회학회 2023 한국과 세계 Vol.5 No.1

        본 연구는 최근 전 세계적인 도시연합체를 통한 지역발전 전략은 획일적이고 경직된 일방적 발전 형태가 아닌 다양한 양상의 발전을 추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하나의 거대한 도시에 대한 집중이나 인위적인 하향식 정치적 결합이 아닌 기능적으로 연계된 도시연합체 형성이 도시연합의 발전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석탄 철강 지역으로 일자리를 찾아 모여든 루르 지역이 초기 독일의 국가 성장에 일조했으나 실업과 지역 산업의 사양 산업화로 인한 쇠퇴를 경험했던 독일의 도시 지역연합 메트로폴 루르가 위기를 극복하고 새롭게 산업전환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게 된 요인을 도시발전의 정치적 요인인 거버넌스를 통해 분석했다. 이를 통해 한국적인 광역 단위의 메가시티 형성 전략은 단순히 특정 도시들의 물리적 결합을 통한 양적 발전이 아닌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기능적 결합을 통한 도시 지역연합으로의 성장 가능성을 탐색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This study focuses on functionally connected city regions rather than intensive fostering of one city in that recent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through city regions can pursue various aspects of development rather than uniform and rigid one-sided development. It is argued that the formation of an city region can be an alternative for city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the Metropol Ruhr, a coal-steel area that gathered in search of jobs, contributed to Germany's national growth in the early days, but the German city-region Metropol Ruhr, which experienced decline due to unemployment and decline industrialization, overcame the crisis. The factors that successfully completed the new industrial transformation were analyzed through multilevel governance, a political factor in city development. Through this, it is emphasized that the Korean strategy of constructing a mega city in a metropolitan unit needs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growth into an city region considering various patterns, not simply the quantitative development of a specific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