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과학기술 논문의 인용속도 및 인용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서지 요인에 관한 연구

        김완종 한국문헌정보학회 201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bibliographic factors influence citation speed and the number of citations or not and whether citation speed affects the number of citations.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if bibliographic factors carry out a significant role. For this analysis,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ll papers published by researchers in South Korea distributed power law shap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pers written by foreign first authors or reprint authors were cited more quickly from first citation speed and average citation speed. These papers were cited much more from first citation speed and average citation speed than by domestic first authors or reprint authors. The papers, collaborated by international researchers, were cited more quickly from first citation speed but were not different from average citation speed than by only domestic researchers. The papers, collaborated by international researchers, were cited much more than by only domestic stand-alone researchers. The number of authors and the impact factor influenced first citation speed, average citation speed and the number of citations. Second, the faster first citation speed and the slower average citation speed, the more papers were cited. First citation speed more affected the higher number of citations than the average citation speed. Third, all five bibliographic factors influenced the impact relationship from first citation speed to the number of citations through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Fourth, only three bibliographic factors (the country of the first author; the country of the reprint author; the number of the coauthors) affected the impact relationship from first citation speed to the number of citations but two bibliographic factors did not influence through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서지 요인이 인용속도, 인용빈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 이외에도 인용속도가 인용빈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 그리고 인용속도가 인용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가 성립할 때 서지 요인이 이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섯 가지 서지 요인을 추출하여 우리나라 논문의 각 요인별 논문분포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첫째, 제1저자와 교신저자의 소속국가의 국내․외 구분에 따른 인용속도는 저자들의 소속국가가 국내인 논문보다 해외인 논문에서 최초 인용속도와 평균 인용속도가 모두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용빈도는 제1저자와 교신저자가 해외인 논문이 더 많은 인용을 받았다. 국제 협력연구 여부에 따른 인용속도와 인용빈도 분석에서는 국내 단독수행 연구보다 국제 협력연구인 경우 최초 인용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나, 평균 인용속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용빈도는 국제 협력연구가 더 많은 인용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저자수와 영향력지수에 따른 최초 인용속도, 평균 인용속도, 인용빈도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용속도와 인용빈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최초 인용속도는 빠를수록, 평균 인용속도는 느릴수록 인용빈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초 인용속도가 평균 인용속도보다 인용빈도에 더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초 인용속도와 인용빈도의 영향관계에서 5가지 서지 요인이 영향력을 증대시키는 조절작용을 하는지 분석한 결과, 모든 요인이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평균 인용속도와 인용빈도의 영향관계 관계에서 5가지 서지 요인이 영향력을 증대시키는 조절작용을 하는지 분석한 결과, 제1저자의 소속국가, 교신저자의 소속국가, 공저자수 3가지 서지 요인은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제 협력연구 여부와 영향력지수는 조절작용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법률문헌 등의 인용방법에 관한 연구 - 첨부: 법률문헌 등의 인용방법 표준안 [시안] -

        변지영 ( Byun Jeeyoung ),이덕환,양시훈,계인국 사법정책연구원 2015 연구보고서 Vol.2015 No.0

        This research aims at developing a reasonable and practical legal citation typically suited for the legal research environment of Korea. Thus the first thing discussed in this writing is the basic principles of legal citation, including the necessity of such. With a view to provide an optimal legal citation model for Korea, the research then studies the current state of legal citations. Various existing citations in Korea are reviewed and summarized for this purpose. The notable difference between the legal citation and the citation in the area of social studies is quickly examined here as well. Also, legal citations of foreign countries are analysed in order to cultivate a better ground for designing legal citation for Korea. All of the above now leads this article to propose a desirable scheme under which the legal citation should be developed. Reviewed by many experts in the field, the research finally presents an exemplary legal citation package available for everyone to use with ease.

      • 법률문헌 등의 인용방법에 관한 연구 : 첨부: 법률문헌 등의 인용방법 표준안 [시안]

        변지영(Byun, Jeeyoung),이덕환,양시훈,계인국 사법정책연구원 2015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총서 Vol.2015 No.-

        본 연구는 법률문헌 등을 인용함에 있어 합리적이고도 적절한 인용 표시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이다. 그러므로 먼저 문헌의 인용에 대한 필요성과 원칙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았다. 한편 적절한 인용방법을 제안하기 위하여서는 먼저 국내에서의 법률문헌 등의 인용방법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바, 국내에서 실질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법률문헌 등의 인용방법을 분석하고 정리하여 이를 전반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사회과학분야에서의 인 용방법은 법률문헌 등의 인용방법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도 알아보았다. 한국의 법 연구 환경에 적합한 법률문헌 등의 인용방법을 연구하기 위한 선제적 조건으로서 외국의 인용방법과 그 현황을 조사하고 검토하여 보는 것도 필요하기에 각국의 인용 방법에 대하여도 조사하고 검토하였다. 이러한 현황의 검토 및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본 표준안 개발의 기본 방향과 본 표준안의 특징 등을 논한 후, 다수의 전문가 감수 의견을 수렴하여 하나의 표준이 될 수 있는 시안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 따른 법률문헌 인용방법 시안은 누구든지 곧바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research aims at developing a reasonable and practical legal citation typically suited for the legal research environment of Korea. Thus the first thing discussed in this writing is the basic principles of legal citation, including the necessity of such. With a view to provide an optimal legal citation model for Korea, the research then studies the current state of legal citations. Various existing citations in Korea are reviewed and summarized for this purpose. The notable difference between the legal citation and the citation in the area of social studies is quickly examined here as well. Also, legal citations of foreign countries are analysed in order to cultivate a better ground for designing legal citation for Korea. All of the above now leads this article to propose a desirable scheme under which the legal citation should be developed. Reviewed by many experts in the field, the research finally presents an exemplary legal citation package available for everyone to use with ease.

      • KCI등재

        학술대회 논문의 참고자료 인용패턴 분석 - 정보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

        이다니엘 한국문헌정보학회 2017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1 No.4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itation patterns of conference papers in ‘Information Science’ discipline and to analze impacts of various cited works-related factors on future citations of conference papers. Existing bibliometric studies has investigated citation patterns and the statistical relations between a variety of bibliographic factors and the future citations of literature. However, the attentions have been focused largely on journal articles, and the bibliometric studies targeting conference papers are still in an infant stage. Therefore, this study, which is based on 1,904 conference papers in ‘Information Science’ field, examined several citation patterns and the contributions of the factors about cited works – the number of cited works, type of cited works, citation rates and ages of cited works at the time of being cited and the rate of self-citedness – to the future citation of the citing target articles. The data source of this study including the properties of target articles and cited works and citation rates of target articles was Scopus. As the results, 53% and 29% of the cited works were conference papers and journal articles, respectively. 14% of them are non-traditional types such as web pages, technical reports, patent, etc. More than 60% of the cited works were 5 years old or less. Among several factors considered in this paper, the number of conference papers and the number of non-traditional types of works are the most contributing factors on the citation rates of target articles. The recency of the cited works is also significant contributor on the citation rates of target articles. That is, the target articles citing more conference papers and non-traditonal types of works earned more citations. The target articles citing recent works also earned more citations. 본 논문은 정보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학술대회 논문에서 참고자료를 인용하는 패턴을 분석하고 피인용된 참고자료의 다양한 특성이 추후 그 자료를 참고한 학술대회 논문의 인용수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하였다. 참고자료의 인용패턴에 관한 계량서지학 연구는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졌다. 하지만 점점 커지는 중요성에도 학술대회 논문을 대상으로 한 계량서지학 연구는 그 자체가 아직 초기 단계이다. 특히, 학술대회 논문에서 참고자료를 인용한 패턴이나 학술대회 논문의 인용수와 관련이 깊은 피인용 자료의 특성들을 조사하는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00여편의 정보과학 관련 학술대회 논문을 표본논문으로 삼고 그 표본 논문에서 참고자료가 어떻게 인용되었는지 패턴을 살펴보았다. 또, 참고자료의 다양한 특성들(참고자료의 유형 및 개수, 피인용 당시 참고자료의 인용수, 피인용 당시 참고자료의 나이, 저자의 자기인용 비율)이 표본논문과 추후 얻게 될 인용수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피인용 참고자료의 53%가 학술대회 논문이었고, 29%가 학술지 논문이었다. 특히, 참고자료의 14%가 학술지 논문이나 단행본이 아닌 비전형적인 참고자료의 유형이었다. 그리고 참고자료의 60% 이상이 5년 이내에 발표된 자료이고, 최신자료일수록 학술대회 논문, 웹 페이지, 기타자료의 비중이 높았다. 참고자료 중 자기 인용 비율은 1.7%로 미비했다. 마지막으로 표본논문의 인용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참고자료의 특성은 참고자료로 쓰인 학술대회 논문의 수, 기타 자료의 수, 그리고 참고자료의 평균나이였다. 즉, 학술대회 논문과 기타자료를 참고자료로 많이 사용하고 최신의 자료를 많이 참조한 표본논문일수록 많이 인용되었다.

      • KCI등재

        대학생 글쓰기에 나타난 오류 분석 - 인용방식의 오류를 중심으로

        최선경 한국국어교육학회 2009 새국어교육 Vol.0 No.8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에서 보이는 인용방식에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유형화함으로써 이를 예방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도 실질적인 글쓰기 교육 방안을 모색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2008-2학기에 대학교 2학년 학생들이 제출한 기말과제물을 대상으로 이에 나타난 인용방식에서의 문제점들을 분석, 유형화하였다. 대학생들의 글에서 자주 보이는 인용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나누어 정리해 볼 수 있다. 인용한 문헌의 서지 기술 방식과 관련된 오류, 인용의 표시와 관련된 오류, 인용문의 이해와 관련된 오류, 인용문의 선택과 관련된 오류, 인용문의 길이 및 빈도와 관련된 오류가 그것이다. 학술적 글에서 잘못된 인용은 단지 ‘잘못된 표기’ 정도의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잘못된 인용은 주장의 정당성, 타당성, 독창성, 신뢰성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나아가서는 표절로 간주되어 필자의 도덕성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져다주기도 한다. 따라서 학술적 글쓰기 지도에서는 올바른 인용방식에 대한 교육에 더 관심을 갖고, 인용에서의 오류를 줄일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search for a better education method of academic writing for university students which is concrete, essential, and helpful for preventing inappropriate citation. For this purpose, the author analyzed and classified errors of citations in the second term reports of sophomores. There were several kinds of errors as follows: an error related to the style of bibliographical description, an error related to the expression of citation, mis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text, an error associated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text and a citation, and an error related to the length and the frequency of citations. An erroneous citation in academic writing is beyond an erroneous marking. It can lower rightfulness, appropriateness, originality, and reliability of the author's insistence. In addition, it could ultimately injure morality of the author as an erroneous citation may be considered to be a plagiarism. Hence, we should pay special attention to improvement upon education system for proper way of citation, and try to find out a way to reduce erroneous citation.

      • KCI등재

        기술기회발굴을 위한 문서인용기반 기술진화 경로 생성 모형

        이재민,이방래,문영호,권오진 한국기술혁신학회 2011 기술혁신학회지 Vol.14 No.S

        본 연구에서는 기술문서의 인용 정보를 기반으로 직접인용과 간접인용을 고려하여 핵심 문서를 선별하였고 선별된 문서 간의 인용네트워크 트리(citation network tree)를 생성하여 기술진화 경로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활용 예시로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분야 특허데이터를 분석하여 핵심문서를 선별한 후 문서간 인용관계 트리 계보도를 생성하였고, 그 중 OLED 원천기술이 어떤 기술진화 경로를 통해 반도체 관련 기술로 전이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그래핀(graphene) 분야 논문의 인용관계 트리 분석을 통하여 간접인용을 고려한 가중치 계산방법이 직접인용만을 고려한 피인용 회수 계산법보다 현실을 더 잘 반영함을 고찰하였다. We selected core documents from enormous number of documents by analyzing citation relation of papers or patents including direct citation and indirect citation. Then we tried to creat the technology evolution path from citation network tree. By applying the method to the patent DB of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e obtained genealogical citation network of core patents of OLED. We analyzed how the one of OLED technology was transferred to the semiconductor related technology and we named the process of transition as ‘technology evolution path’ of OLED technology. And we also analyzed the genealogical citation network of papers on graphene. From the analysis, we found that the weight count method including indirect citation was better in evaluating the value of technology of a paper than the times cited method.

      • KCI등재

        Multi-faceted Citation Analysis for Quality Assessment of Scholarly Publications

        Yang, Kiduk,Lokman Meho 한국정보관리학회 2011 정보관리학회지 Vol.28 No.2

        Despite the widespread use, critics claim that citation analysis has serious limitations in evaluating the research performance of scholars. First, conventional citation analysis methods yield one-dimensional and sometimes misleading evaluation as a result of not taking into account differences in citation quality, not filtering out citation noise such as self-citations, and not considering non-numeric aspects of citations such as language, culture, and time. Second, the citation database coverage of today is disjoint and incomplete, which can result in conflicting quality assessment outcomes across different data sources. This paper discuss the findings from a citation analysis study that measured the impact of scholarly publications based on the data mined from Web of Science, Scopus, and Google Scholar, and briefly describes a work-in-progress prototype system called CiteSearch, which is designed to overcome the weaknesses of existing citation analysis methods with a robust citation-based quality assessment approach.

      • KCI등재

        인용·피인용 구절을 이용한 다주제 인용 분석 서비스 방법 연구

        정한민,김태홍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0

        The analysis of citing and cited phrases provides an opportunity to enhance search-centric academic information services. However, most current studies focus only on citation analysis among academic associations, researchers, and articles, making it challenging to develop higher cit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s. This study proposes citation analysis service methods using citing and cited phrases. First,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suggested services, we have collected the most highly cited articles with specific domain terms and followed their citing relationship; after that, we found formal citation types and ratios in the original articles. And we conducted structural analysis, especially with three topics, "Deep Learning," "Green Energy," and "Aging," and then structurally illustrates the citation characteristics of related articles. Finally, we collected four most cited articles and all their citing ones for each subject from Google Scholar and analyzed the ratio of citation types and citation spread. We hope that various citation analysis studies and information services can be further developed based on our discussion for designing better information services. 인용 및 피인용 구절 분석은 정보 검색 위주의 단순 학술정보 서비스를 고도화시킬 기회를 제공한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커뮤니티, 연구자, 논문 간 인용 지수 중심의 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인용 구절 분석에 기반한 인용 기반 논문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딥러닝”, “그린에너지”, “노령화”라는 세 개의 주제를 대상으로 논문 내 인용 구절 분석을 수행하고, 피인용 논문의 인용 특성을 구조적으로 설명한다. 이를 위해 구글 스칼라를 통해 각 주제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피인용 논문 각 네 편과 모든 인용 논문들을 수집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인용 유형 비율 분석과 인용 확산 분석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피인용 논문 특성을 파악하고, 정보 서비스에 어떻게 반영할 수 있는지를 논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다양한 인용 분석 연구와 정보 서비스가 개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특허인용의 등록유지 기간에의 영향 ―한국특허 인용 정보를 활용한 분석

        주시형 ( Joo¸ Sihyung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20 지식재산연구 Vol.15 No.4

        특허인용이 특허의 등록유지 기간(경제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국외에서 활발하게 수행되었다. 그러나 국가 간 특허제도의 차이가 인용 행태에 영향을 주고, 그 결과 국가별로 특허인용이 특허의 경제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특허의 특허인용과 등록유지 기간과의 관계를 생존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허인용 주체의 차이와 특허인용 주체별 인용 행태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특허인용을 발명자 인용과 심사관 인용, 기술 내 인용과 기술 간 인용으로 구분하여 등록유지 기간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발명자 인용과 심사관 인용이 특허의 등록유지 기간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명자 인용보다 심사관 인용이 특허의 등록유지 기간을 더 크게 연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명자 인용의 경우 기술 내 인용과 기술 간 인용이 특허의 등록유지 기간에 미치는 효과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심사관 인용의 경우 기술 간 인용보다 기술 내 인용이 특허의 등록유지 기간을 더 크게 연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특허의 인용이 특허의 경제적 가치를 반영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인용주체 및 기술분류에 따른 특허인용의 경제적 가치에의 영향 차이를 보임으로써, 다양한 경영·경제 연구에 한국특허의 인용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였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갖고 있다. The effects of patent citations on patent renewal(economic value) has been widely investigated abroad. Because the patent citations and their effect on economic value of patents can be affected by the national patent system,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 of patent citation on patent renewal using Korean patent data. Patent citations are classified into inventor’s citations vs. examiner’s citations as well as within-technology citations vs. between-technology citations, and the effects of each citation type a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t magnitude of effects by citation agent types and their citation behavior. It is found that the patent renewal is positively affected by the citations from inventor as well as examiner, while the effects of examiner’s citations on patent renewal are greater than those of inventor’s citations. The effects of within-technology citations are greater than those of between-technology citations, whil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m is not found for the inventor’s citations. This research provided the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f economics and management in using Korean patent citation data by providing empirical evidences that Korean patent citations reflect economic value of patents, and its difference in terms of citing agent types and technological fields.

      • KCI등재

        대학생들의 인용 및 표절에 관한 인식연구

        이혜영,남태우 한국문헌정보학회 201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4 No.3

        The study investigated undergraduates’ citation use and plagiarism awareness. A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and was given to undergraduates in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Upon investigation, undergraduates recognized the importance and the need of citation and were partly applying citations. However, upon further investigation of undergraduates’ citation learning with citation questions, very few of respondents had knowledge of correct citation usage. Undergraduates mostly cited print materials and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They used books in case of print materials and web materials provided by academic institutions. They suggested that the university should teach citation usage through a citation and plagiarism awareness program. It is necessary for library use education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s well as university to teach citation education including citation type and how to write i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인용 및 표절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법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대학생들은 인용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었고 과제 작성 시 인용법을 일부 적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인용 관련 문제를 통해 대학생들의 인용 지식을 조사해 본 결과, 올바른 인용법을 알고 있는 대학생들은 극소수로 나타났다. 인용하는 자료로는 인쇄자료와 인터넷 및 웹자료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쇄자료인 경우 단행본을, 인터넷 및 웹 자료인 경우 학술기관에서 제공하는 웹자료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용 교육 기관으로는 대학 당국에서 인용 및 표절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교육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대학 당국에서의 인용 및 표절 프로그램 개설뿐만 아니라 도서관 이용 교육을 통해서도 인용 및 표절, 인용법에 관한 교육을 실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