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발달단계에 따른 기독학부모교육과정 연구

        박상진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5 No.-

        Traditionally, Christian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understood as something that a Christian teacher teaches for Christian students. However, since an important main agent of Christian education is parents according to the biblical approach, curricula for Christian parents of school-age children through which Christian parents can nurture their children on the basis of Christian viewpoints should be central in Christian education. Especially, in this country where the importance of academic achievement is emphasized, a curriculum is necessary for Christian parents of ‘students’ specifically, rather than for Christian parents in general.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sign a curriculum for Christian parents of students that helps Christian parents establish their own identity and practice their own role as Christian parents. The content and character of the curriculum for Christian parents of students depend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parents, which are deeply related to their children’s age and stages of development. This study suggests a curriculum for Christian parents of students based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parents proposed by Galinsky, in the light of the Christian parents’ relationship structures, including their relationship with God, their own self, their spouse, and their children, with education/study, with schools, teachers, and other parents, and with God's Kingdom. 전통적으로 기독교교육에서 있어서 교육과정은 교사가 학생에게 가르쳐야 하는 내용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기독교교육의 중요한 주체가 부모이고, 부모가 자녀를 기독교적 가치관으로 잘 양육할 수 있도록 부모를 세우는 부모교육과정은 기독교교육과정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더욱이 자녀의 학업이 중요시되는 이 사회 속에서는 기독학부모로서의 역할을 건강하게 감당하도록 돕는 기독학부모교육과정이 요청된다.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에 있어서 부모의 중요성에 주목하면서, 그들을 기독교학부모의 정체성을 지니고 기독학부모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감당할 수 있도록 세우는 기독학부모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기독학부모교육과정은 어떤 연령대의 자녀를 둔 부모인가에 따라 그 내용과 성격이 다를 수밖에 없다. 자녀의 발달에 따라 부모도 발달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하는 자녀들을 기독교적 관점으로 올바르게 교육하기 위해서는 부모발달단계에 맞는 기독학부모교육과정이 개발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갈린스키의 부모발달단계에 근거한 기독학부모교육과정을 제시하되, 기독학부모의 관계구조, 즉, 하나님, 자신, 자녀, 교육(학업), 가족(배우자), 학교(교사), 다른 학부모, 하나님 나라와의 관계에 비추어 교육내용을 제안한다.

      • KCI등재

        기독학부모의 학교교육참여에 대한 연구

        강영택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Christian parents should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which is increasingly important nowadays. This paper first examined the concept of parents' involvement in school education and examined the background and outcomes of parental involvement. Based on this, This paper discussed the identity of Christian parents in Korea and presented the goals of Christian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In addition, This paper investigated the actual situation of the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of Christian parents, and suggested the desirable ways for Christian parents to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Christian parents should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in a variety of ways to influence the core work of the school, such as school operations and education. They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face-to-face meetings with teachers, volunteering, parent education, and School Operating Committee, but not in a passive manner as the school requires, but in a way that embodies Christian values ​​or the public good. Christian parents should strive to create a caring and learning community in a school, and actively implement a healthy educational ecosystem in a local community. The caring and learning community and the educational ecosystem can be a good environment in which all children, especially the children of marginal groups, learn and grow in a healthy way. To this end, Christian parents need to find a way to collaborate with other local organizations and agencies in order to make fundamental changes, as well as to utilize educational resources i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mainly literature review. Howev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articipation of Christian parents in school education, a questionnaire survey for Christian teachers and parents was conducted. 본 논문의 목적은 오늘날 점차 중요성이 더해지는 학부모의 학교교육참여를 기독학부모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 그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의 개념을 살펴본 뒤 학부모참여의 배경과 성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기독학부모의 정체성을 논의하고 그들의 학교교육참여의 목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현재 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의 학부모 중 기독교인들을 대상으로 학교교육 참여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였고, 이러한 것들을 참고하여 기독학부모들의 바람직한 학교교육 참여방안을 살펴보았다. 기독학부모는 학교운영이나 교육과 같은 학교의 핵심 업무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학교교육에 참여해야 한다. 교사와 면대면 만남, 자원봉사, 학부모교육, 학교운영위원회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되 단순히 학교가 요구하는 대로 수동적으로 할 것이 아니라 기독교적 가치 혹은 공공선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해야 한다. 기독학부모는 학교에 돌봄과 배움의 공동체가 형성되도록 노력해야 하고, 지역사회에 건강한 교육생태계가 조성되도록 적극적인 실천을 해야 한다. 돌봄과 배움의 공동체와 교육생태계를 조성함으로써 모든 아동들 특히 취약계층의 아동들에게 건강한 배움과 성장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기독학부모는 교회와 지역사회의 교육자원들을 발굴하여 학교와 지역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뿐 아니라 핚교와 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다른 기관이나 시민단체들과도 협력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한 연구방법은 주로 문헌연구에 의존하였고, 기독학부모의 학교교육참여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기독교인 교사와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 KCI등재후보

        자녀의 학교유형별 기독학부모 교육의식 분석과 기독교교육적 제언

        함영주 ( Ham Young Ju ) 개혁신학회 2018 개혁논총 Vol.4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의 학교 유형별 기독학부모의 교육의식을 분석하고 그에 근거하여 자녀교육과 관련된 기독교교육적 제언을 하는 것이다. 부모자녀 관계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자녀의 교육과 진로에 있어서 부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기독교교육의 영역에서 기독학부모의 교육의식을 살펴보는 연구는 그리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기독학 부모의 교육의식 중, 특별히 자녀의 학교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자녀를 기독교대안학교, 기독교사립학교, 국공립학교에 보낸 학부모 242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독교대안학교를 선택한 학부모의 가장 중요한 이유는 기독교적 가치에 근거한 교육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학부모의 학교 만족도에 있어서 기독교대안학교를 선택한 학부모가 기독교사립학교 및 국공립학교를 선택한 학부모에 비해 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학부모가 느끼는 자녀학교에서의 신앙교육만족도가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학부모 교육을 위한 신앙교육생태체계가 부모의 신앙성숙도와 자녀신앙교육의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다섯 가지 기독교교육적 제언을 하였다. 첫째, 한국의 입시위주 교육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선택에 있어서 학부모의 성경적 가치관이 중요하므로 학부모 교육이 적극적으로 실현되어야 한다. 셋째, 학부모 신앙교육의 플렛폼으로서의 교회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다음세대 자녀의 성경적 가치관을 형성시켜주기 위한 교회의 교육이 적극적으로 실현되어야 한다. 다섯째, 기독교학교들은 성경적 가치관 교육을 더욱 철저히 시켜서 학부모와 학생들의 신앙교육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consciousness of Christian parents according to their child’s school types and to make a Christian educational suggestion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parents' role in the education is very important.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educational consciousness of Christian parents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amined how the educational consciousness of the Christian parents influences their school choice for their child.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urveyed 242 parents who sent their children to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Christian private schools, and national and public school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choosing a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was due to education based on Christian values. Second, parents who selected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were significantly more satisfied with parents' school satisfaction than parents who selected Christian private schools and national public schools.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faith education affects the school satisfaction. Fourth, the ecological system of faith education for parents' education affected the faith maturity of parents and the awareness of children's faith educ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er made five Christian educational suggestions.

      • KCI등재

        초등학생 자녀를 둔 기독 학부모의 갈등 경험과 대응 전략

        임고운,이은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9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5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in depth the conflicts experienced by Christian parents with elementary school aged children and the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them, and to explore practical education support ways for Christian parents. Eleven Christian parents resid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each conflict experience was carried out as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mainly through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y participants were experiencing various conflicts within individuals and their homes, churches and school parents communities due to cultural challenges contradicting Christian values that they believe. But they were using the conflicts as an opportunity for better change on a personal level, rather than exposing it to others to seek a community solution. Second, Study participants used four strategies: 'Dialogue', 'Delegation', 'Participation' and 'Transformation' to resolve conflicts. The church's parents education and seminars, which are implemented as a "participatory strategy," reminded the role of Christian parents and provided parents encouragement, but they usually lasted for only short period of time. Also as a 'transformation strategy,' changing the subject of conflict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was being done primarily on a self-transformation level.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ways to emphasize their identity as Christian parents and their role as cultural innovators so that the responsibilities of Christian parents could be extended to public responsibility. 본 연구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기독학부모들이 경험하는 갈등과 그에 대응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전략은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서 기독학부모들을 위한 실질적 교육지원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연구 참여자로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11명의 기독학부모들을 눈덩이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였으며 질적 사례연구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주로 반 구조화된 개별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주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기독교적 가치와 모순되는 문화적 도전들로 인해 개인 내적 갈등과 가정, 교회, 사회에서 다양한 갈등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를 외부에 드러내어 공동체적 해결방안을 모색하기보다 개인적인 수준에서 보다 나은 변화를 위한 계기로 삼고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갈등 해결을 위해 ‘대화’, ‘위임’, ‘참여’, ‘변혁’크게 4가지 전략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참여 전략’으로 교회의 부모교육이나 세미나 등에 참석하는 것은 기독학부모로서의 역할을 상기시키며 도전과 격려를 제공하였지만 단기간에 그치는 한계가 있었고, ‘변혁 전략’으로서 기독교적 세계관에 근거하여 변혁을 시도하는 것은 주로 자기 변혁의 차원에 머무르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독학부모들의 책임이 공적 책임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기독학부모로서의 정체성과 문화변혁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기 위한 교육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기독교인 부모의 영유아기 자녀 양육 경험 탐색

        이성희,김지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교육과학연구 Vol.53 No.3

        본 연구는 기독교인 부모가 자녀에게 신앙 교육을 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기독교인 중 영유아기 자녀를 현재 양육하고 있는 11가정의 부모를 대상으로 2021년 8월부터 2022년 2월까지 6개월에 걸쳐 개별 면담을 통해 자녀 양육 경험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의미 있는 단어를 추출하였고, 주제에 맞게 분류 및 범주화하여 그 상관관계를 그룹화하는 과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녀 양육 경험에 대한 22개의 주제와 8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3개의 상위범주로 도출되었다. 상위범주는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개역개정, 로마서8:28)’, ‘믿음은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니(개역개정, 히브리서11:1)’, ‘마음에는 원이로되 육신이 약하도다(개역개정, 마태복음26:41)’로서 첫째, 기독교인 부모는 과거의 경험이 현재에 영향을 미치고, 영원하신 하나님의 계획 속에 있는 오늘이 자녀들의 미래로 연결되는 연속적인 경험을 하고 있었다. 둘째, 기독교인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신앙의 모델로서 나타나는 삶을 통해 참된 신앙을 가진 부모로 거듭나는 경험을 하였다. 셋째, 성경적으로 자녀를 양육하고자 하는 마음은 있으나 연약한 마음과 육신 때문에 실천하기 어려운 경험을 했다. 본 연구를 통해 기독교인 부모의 영유아기 자녀 양육 경험의 전반에 대한 내면적 의미를 고찰함으로 기독교인 부모로서의 사명을 감당할 수 있는 자가 점검(Self-inspection) 기회를 제공하였고, 무엇보다 부모의 양육 행동을 변화시켜 영유아기 자녀의 건강한 영성과 전인적 발달 도모를 위한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specific ways for Christian parents to give their children faith education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effective Christian parenting education at the church level. The subjects included a total of 22 parents from 11 families who were Christian and currently raising a child in infancy or early childhood. Data was collected for six months from August 2021 when a preliminary interview was conducted, to February 2022. By analyzing related concepts between different categories, the investigator grouped them according to similar meanings, identified topics, and selected subcategories. The data were further analyzed in the process of third categorization to search for parent categories containing subcategories.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were 22 topics, eight subcategories, and three categories regarding child-rearing experiences. The three categories were “all things work together for our good” (Romans 8:28), “Faith is assurance of things hoped for, a conviction of things not seen” (Hebrews 11:1), and “The spirit is willing, but the flesh is weak” (Matthew 26:41). The first category talks about the continuity of “past, present, and future” experiences. It means that Christian parents’ past experiences have impacts on their present experiences and that today in God’s eternal plan will be connected to the future when later generations grow up. The second category offers a general overview, talking about Christian parents’ rebirth as true religious parents. Christian parenting means having an intangible faith in a tangible life and modeling the life of a true religious parent while raising children. The last category concerns the challenges that Christian parents face. As Christians, the parents wanted to give their children faith education and bring them up based on the Bible as they raised their children, but they could not do so due to a lack of resolve.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Christian parents’ true intentions, provided them with an opportunity for self-reflection to fulfill their mission, and, most of all, changed the parents’ child-rearing behavior to promote the healthy spirituality and whole person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in infancy or early childhood.

      • KCI등재

        대학입시에 대한 학부모 가치관 인식에 관한 연구 - 대안학교와 공립학교, 종립학교 비교 연구

        황병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6 기독교교육논총 Vol.48 No.-

        본 연구는 대학입시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향후 종립학교(미션스쿨)와 기독교대안학교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학부모들의 인식을 교육의 목적, 성공의 가치관, 학교 진로교육의 가치기준, 학교교육의 문제점, 가치관(종교관, 세계관)교육의 중요성을 하위요인으로 하여 학부모들의 가치관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 전라지역에 위치한 일반 공립학교, 종립학교(미션스쿨), 기독교대안학교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연구자의 저널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부모의 교육목적 인식은 일반 공립학교와 종립학교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기독교대안학교 학부모는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기독교대안학교 부모들은 일반 공립학교와 종립학교 학부모들에 비해 조금 더 다양한 기회와 자율적인 학생들의 자치활동을 기대하였고, 이를 통해 학교생활 속에 교육의 실현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들이 대학입시를 통해 자녀에게 기대하는 것에는 학교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기독교대안학교 학부모는 대학진학이 필수적인 요건이 아니라고 인식하거나 대학진학 시 자녀의 꿈과 연계된 대학에 진학하기를 바라면서 대학진학을 생의 과정으로 보았다. 반면, 종립학교와 일반 공립학교 학부모들은 입시를 행복한 삶과 기본스펙을 쌓기 위한 수단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학부모들의 성공의 조건에 대한 가치관은 학교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일반 공립학교 학부모들 대부분은 경제력이 삶에 중요한 수단과 성공의 조건으로 생각하였으며, 행복이 우선되는 직업과 남을 위한 봉사가 가미된 삶을 선호했다. 기독교대안학교 학부모들은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여 성취하는 것을 성공으로 인식하였으며, 자신답게 살 수 있는 정신과 몸의 성숙으로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 수 있는 조건이라면 무엇이 되던 간에 성공이라고 보았다. 넷째, 학교교육의 문제점에 대해서 일반 공립학교와 종립학교, 기독교대안학교 학부모가 공통적으로 입시위주교육, 획일주의교육, 비인성교육, 비창의성교육, 경쟁주의교육, 등을 들었다. 다섯째, 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기대감에는 차이를 보였다. 공립학교 학부모는 현실적으로 인성, 체험, 특기, 적성에 맞춰 진로지도를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받아들이고 학생이 희망하는 학교에 맞는 성적을 갖추도록 교육해 주길 희망했다. 종립학교 학부모들은 적성이나 재능에 맞는 학과선정 및 다양한 직업에 대한 안내와 지도를 원했다. 기독교대안학교 학부모들은 직업체험이나 멘토 연결 등 구체적인 진로지도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여섯째, 가치관(세계관, 종교관)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선 학부모들의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일반 공립학교 학부모들은 가치관 변화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보았으며, 종교관, 세계관이 강요되기를 원하지 않았다. 종립학교 학부모들은 가치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필요성에 대해서 공감했다. 반면, 기독교대안학교 학부모는 가치관교육이 세계관과 사회, 인간, 자연에 대한 태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교육의 요소라고 인식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parental perception of college entrance for their children. To this end, the study articulates parental values including education goals, success values, career education in school, problems of school education, and values education. The study analyzed 21 parents’ interviews in public schools, religious schools, and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and Jeonla province in South Korea.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parental values in educational goals are similar to each other, except for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parents.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parents expected their students to try to find personal interests through the various opportunities available and realize them through autonomous student activity. Next, there exist little differences in the expectations for college entrance. While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parents expressed that college entrance is not mandatory, public school and religious school parents expressed that college entrance is mandatory for basic specification and must their children must follow that path as a necessary precursor for a successful life. Third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al success values between public schools and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Parents in public schools displayed that economic power is the most important and only means for a successful life, whereas parents i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old their children that success is to use an individual ability and have a condition, such as a self-identified body and spirit and a co-working attitude with others. Forth, most parents in all schools expressed that the main problems of school education are sole focus on college entrance, a uniform and impersonal education, a lack of creativity education, and a competitive education system. Fifth,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arents in terms of career education in school. Compared to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public school parents accepted the difficulties of career education in school along with the students’ personalities, experiences, abilities, and aptitudes. They also wanted schools to set high expectations for student test scores and to have each student placed in an appropriate school based on entrance exam scores. Finally, there exist differences in the values of education among schools. While public school parents expressed that it is difficult to change student values within the school and wanted no more religious force at schools, religious school parents believe that the values of education are important for students and emphasized the necessity of values education. On the other hand,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pare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values education in school because it decides world viewpoints and attitudes for society, humanity, and nature.

      • KCI등재

        기독 학부모의 자녀 양육론 -기독교적 가치 교육을 중심으로

        박은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0 기독교교육논총 Vol.24 No.-

        Value system has been confused and collapsed. Value systems of family, schools, Christian schools, even church schools have been also confused, so they have difficulties in teaching important values. Therefore,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responsibility of Christian families and the content and method of value education for Christian families to do their effective roles. Value is the concept of thinking of the important things in life and the concept of desirable things. It is the criterion which evaluates and judges something, so it functions in the cognitive area. It is also to have the motivation and attitude for something according to values, and it functions in the affective area. It is also to decide the direction of action and define one’s actions according to values. Therefore, it functions in the behavioral area. Values have been formed by interactions in the society. Many studies showed that agreement of parents on values and beliefs, agreement of parents-children’s opinion, the role of the father, parents’ positive response to the situations of moral conflict,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with warmth,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parents’ training for their children to participate religious activities were effective for value education. Christian parents need to teach the hierarchy of values, the values of purpose rather than the values of means, intrinsic values rather than extrinsic values and universal values. The author suggested the content of Christian value education; Christian beliefs, mature intrinsic faith, Christian values, such as, love, peace, freedom, and justice based on Christian world view. She also suggested that Christian parents need to check on their value system and be mature enough to be the positive identification models for their children. Christian parents need to realize how the quality of child-rearing influences the value education and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to use concrete methods for value education.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가치체계가 혼란해지고 붕괴되어 가족구조와 관계, 학교교육, 기독교학교, 심지어 교회학교까지도 가치체계가 변화하여 올바른 가치교육을 위한 기관으로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기독교 가정이 가치교육을 효율적으로 담당할 수 있도록 기독교 가정의 책임에 대한 인식, 다른 기관들과 어떤 긴밀한 관계를 맺고 가치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어떤 내용으로 교육해야 하는지, 어떤 방법으로 가치교육을 실시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하고자 하였다. 가치란 삶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 바람직한 것에 대한 개념이다. 어떤 것을 평가하고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인간의 인지적인 영역에서 기능을 하고, 어떤 것에 대해 동기를 갖고 가치관에 따라 다른 태도를 갖게 하는 정의적인 영역에서 기능을 하고, 행동의 방향을 결정하고 실제로 가치관에 따라 행동을 규정짓는 인간의 행위적 차원에서 그 기능을 한다. 가치는 개인이 속한 사회와 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 내면화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부모의 가치나 신념에 대한 의견 일치, 부모-자녀간의 의견 일치, 아버지의 역할, 도덕적 갈등 상황에 대한 부모의 적극적 반응, 애정을 가진 권위적인 양육방식, 부모-자녀의 긍정적 관계, 자녀들이 종교 활동에 참여하도록 훈련시키는 부모 등의 역할이 가치교육에 효과적이었음이 여러 연구들을 통해 밝혀졌다. 기독교적 가치교육을 위한 기독 학부모의 자녀 양육을 위해서 가치의 위계질서에 따라 가치가 선택되어 내면화되도록 교육해야 하며, 수단적 가치보다 목적적 가치를, 외재적 가치보다 내재적 가치를 추구하도록 방향을 설정해야 하며, 모든 사람들에게 변함없이공통적으로 적용되고 기준이 되는 가치, 즉 보편적 가치를 교육해야 한다고 가치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독교적 세계관을 기초로 자녀들에게 기독교적 신념과 성숙한 내재적 신앙과 기독교적 가치, 즉 사랑, 평화, 자유, 정의의 가치를 교육내용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가치교육에 있어서 부모의 역할로 먼저 부모 자신들의 가치체계를 점검해보고 긍정적인 동일시 모델이 되기 위해 자신들을 성장시켜 나가야 함을 제안하였고, 가치교육에 있어서 현대 사회에서 많이 소홀해지고 있는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강조를 제안하였다. 부모의 양육방식, 즉 양육의 질이 가치교육에 영향을 끼침을 인식하고 자녀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도록 제안하면서 가정에서 실시할 수 있는 구체적 활동을 소개하였다.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기독교인 어머니의 자녀양육 스트레스를 통해 본 기독교 부모교육의 방향성 연구

        정희정 ( Hee Jung Chung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1 신앙과 학문 Vol.16 No.4

        The study qualitatively examines the child care stress of the Christian mothers while mothers rear their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based on this, it proposes directions of the Christian parent education in the future in South Korea. To investigate this, the research qualitatively analyzes various data collected from Christian parent education targeting for mother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us, the child care stress of the mothers in the study shows the stress from the parents themselv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the stress from their children and the children`s relationship with other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rections of Christian parent education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he change of the content of the Christian parent education. The future Christian parent education should include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it should help child care represent an expression of faith in the real life. Thus, Christian parent education should present w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daily stress and their faith is and how the help from the triune God is concretely represented in the child care. The second is the change of the form of the Christian parent education. The small group parent education, which can deal with the mind of the parents, is effectively represented; Christian parent education should encourage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and parents, parent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arents and churches in terms of educational perspective on Christian education for children and understanding of children`s development, and it should discuss in depth the belief and conflict about child rearing of parents themselves.

      • KCI등재

        대안학교 부모를 위한 기독교 성품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구현주,강연정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24 복음과 상담 Vol.32 No.2

        본 연구는 신앙공동체로서 자녀들을 성경적 가치관으로 가르치며 삶으로 본이 되는 부모의 역할이 요구되는 자녀 교육의 현장인 기독교 가정에서 성경적 부모 역할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따라서 기독교 세계관을 토대로 하는 성경적 성품 교육과 성경적 부모 교육을 위한 기독교 성품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C도시에 소재한 A기독교 대안학교와 B교회에서 운영하는 기독교 대안학교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15명씩을 무선 배치하였으며, 프로그램은 회기당 90분, 주 1회, 총 11회기로 진행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5을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기독교 부모들의 양육 효능감,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부모의 영적 안녕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녀 양육의 현장에서 부모의 양육 효능감을 증진하고,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실천적인 연습을 제공함으로써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향상하는 프로그램임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부모의 삶의 변화를 통하여 하나님의 성품을 나타내는 성화의 삶을 살아가게 됨으로써 영적 안녕감을 증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부모 성품 교육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to help them to play the biblical parental role through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in the field of children's education area which requires parents' role to serve as a role model and to teach their children biblical values in Christian family which is a faith community. To this end, this paper developed a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program and a biblical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Christian worldview, targeting the parents of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with school-age children,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verified that the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the parents of alternative schools is proven to be effective for the Christian parents' nurture efficacy sense, parent-child communication, parents' spiritual well-being. Therefore, this study implies that the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helps them to improve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by providing practical practices, and to enhance their spiritual well-being by living a life of sanctification revealing God's character along with a transformed life bearing the fruits of the Holy Spirit, with their identity as God's child.

      • KCI등재

        Christian Parents’ Perceptions and Practices Regarding Parental Roles

        Sung-Won Kim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5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formation tech Vol.0 No.2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ristian parents’ practices and values regarding parenting, concerning current educational and cultural conditions. 252 Christian par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six open-ended questions were asked in order to learn of their deep and honest opinions, which were assessed using frequency analysis, Fisher"s exact test, and the Chi-square test. Participating Christian parents chose faith most frequently among their answers to questions about parental preparation, the goal for the child, parenting principles, and help for parenting. The variable that made the greatest difference in most questions was the parents’ faith level. In addition, good character for parents and child was stressed, and parents’ primary language style was loving/caring words. The types of support wanted most by parents to make Christian parenting possible came through the chu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