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EC 질적지표에 따른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대상 감각통합중재 관련 국내 단일대상연구 분석

        신주원,김준식,김명진,김서영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ingle-subject studies in Korea related to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for intellectual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It also aims to grasp the quality level of domestic studies using the quality indicators for evidence-based practice suggested by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CEC). [Method] In this study, 11 single-subject studie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0 to 2021 were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were identified by dividing it into publication year, participants, study desig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nd the quality of the study was analyzed based on 22 indicators in eight areas presented by the CEC. [Results] In domestic single-subject studie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re were more studies addressing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n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it was found that various study designs, such as AB, ABA, and multiple-baseline designs, were used. Th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strategy used traditional sensory integration as the main strategy, and most studies used problem behavior and stereotyped behavior as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CEC quality indicators, there was no study that satisfied all indicator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rate was low. [Conclusion] Domestic single-subject studies related to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for intellectual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should be conducted more actively, and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search are needed. Based on this,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should be applied to the fields of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intervention. [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수행된 감각통합중재 관련 국내 단일대상 연구의 일반적인 특징을 파악하고 CEC에서 제시한 증거기반실제(evidence-based practice)를 위한 질적 지표를 사용하여 국내 연구들의 질적 수준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2000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감각통합중재 단일대상연구 11편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일반적인 특징은 출판연도, 연구 참여자, 연구 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으로 나누어 파악하였으며 연구의 질적 수준은 CEC에서 제시한 총 8개 영역의 22개 지표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국내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대상 감각통합중재 단일대상 연구는 지적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보다 많았으며 AB설계, ABA설계, 중다기초선설계 등 다양한 연구 설계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통합중재 전략은 전통적 감각통합중재를 주된 전략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문제행동, 상동행동 등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CEC 질적지표에 따른 분석결과 모든 지표를 충족하는 연구는 없었으며 전반적으로 낮은 충족률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수행된 감각통합중재 관련 국내 단일대상 연구는 보다 더 활발하게 수행되어야 하며 연구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한 감각통합중재가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중재 현장에 적용되어야 한다.

      • KCI등재

        수학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수학 중재 관련 국내 단일대상연구 동향 및 CEC 질적지표에 의한 분석

        최미진(Choi Mijin),김유리(Kim Yu-Ri)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수학 중재 연구 중에서 단일대상연구만을 선정하여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CEC(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2014)에서 제시한 단일대상연구 질적지표에 근거하여 각 논문의 질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논문 선정 기준에 따라 총 16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의 연구 동향은 발표연도, 연구 참여자, 실험설계 및 절차, 독립변인, 종속변인에 따라 분석하였고, 질적 수준은 특수교육 분야의 증거기반 실제를 위한 CEC 지표 중 단일대상연구 질적지표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수학 중재 관련 단일대상연구는 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다양한 세부전략(인지전략 교수, 구체물 활용, 보조공학 활용)을 활용하여 수학 영역 변인(수감각, 덧셈과 뺄셈, 곱셈과 나눗셈, 문장제 문제해결) 및 수학 외 영역 변인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질적지표를 적용한 결과는 모든 질적지표를 충족한 연구가 1편 있었으며, 질적지표의 80% 이상을 충족한 연구가 6편 있었다. 질적지표 전체 평균 중 연구 참여자 기술 항목에서 가장 높은 질적 수준을, 중재자 기술 항목에서 가장 낮은 질적 수준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수학학습장애 관련 중재 연구에 대한 논의와 단일대상연구 연구방법에 대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orea single-case research on math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To this end, the study reviewed math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that have been published from 2001 to 2020. Sixteen single-case research studies were analyzed regarding publication year, participant characteristics, research design,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and CEC quality indicators. The results revealed that most single-case research on math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were conducted for elementary school-aged students. The math interventions employed to improve mathematics skills (i.e., number sense, calculation, problem solving) were a variety of specific strategies such as cognitive strategy, utilization of concrete objects, and assistive technology. According to an analysis of research based on CEC quality indicators, there was only one research which met all the 22 quality indicators. Six studies met more than 80 percent of CEC quality indicators. On a closer examination of individual quality indicators, participants description items obtained the highest rating scores and instructor description items obtained the lowest rating scores. Based on the synthesis of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math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발달장애 대상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 관련 국내 단일대상 연구 분석

        신주원,박지영,안아현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4 No.2

        [Purpose] This study analyzed single-subject studies in Korea that applied enhance milieu teaching(EMT) for developmental delays,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m disorders. The aim was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omestic studies on EMT and analyze their qualitative levels using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CEC) qualitative indicators(QI). [Method] This study included 14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between 2000 and 2023, that targeted children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elay, Intellectual Disability, or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had a single-subject design in which the arbitrator directly mediated the subject.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were assessed publication year, study subject, study desig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The quality of the studies was evaluated using the CEC's eight areas and 22 qualitative indicators. [Results] EMT, conducted on DD, ID, and ASD, was the most common study in preschoolers diagnosed with ASD. Regarding study design, most of the studies used a multiple baseline designs(across setting and subject).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all elements of EMT, including environmental control, reactive interaction and milieu teaching strategies. Improvement in spontaneous utterance was the most common dependent variable. The analyzed studies exhibited a somewhat low qualitative level, with an average fulfillment rate of 65.6% for the CEC's QI. None of the studies met all of the CEC's qualitative indicators. [Conclusion] The number of studies on EMT for individuals with DD, ID, ASD is limited. Existing studies, primarily focus on preschool.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pand the subjects to elementary school, adolescent student. Additionally, the qualitative level of existing studies is low, necessitating efforts to improve study quality. High-quality studies are essential to apply educational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hildren with DD, ID, and ASD. [목적] 본 연구는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적용한 국내 단일대상 연구를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수행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 연구의 일반적인 특징을 파악하고 CEC에서 제시한 질적 지표에 따라 연구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의 대상이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로 진단받은 아동이며, 중재자가 대상자에게 직접적인 중재를 실시한 단일대상 연구로 설계된 논문이며 2000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4편을 선정하였다. 발행연도, 연구 대상자, 연구 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으로 구분하여 일반적인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CEC에서 제시한 질적지표의 8개 영역, 22개 지표를 사용하여 연구의 질을 평가하였다. [결과]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수행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자폐성장애아동을 대상으로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미취학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설계로는 대부분의 연구가 중다기초선 설계(상황간, 대상자간)를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으로는 환경 조절, 반응적 상호작용, 환경중심 언어중재 전략의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었으며 종속변인으로는 자발적 발화 향상을 목표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분석된 논문의 질적 수준은 CEC의 질적 지표를 모두 충족하는 연구는 없었으며 평균 65.6% 충족률로 다소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하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 연구의 수가 적으며 미취학 아동에게 집중되어 있어 초등기, 청소년기까지 대상자를 확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연구의 질적 수준이 낮아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높은 질적 수준을 갖춘 연구를 통해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아동교육 및 중재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중도장애 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국내 실험연구 동향 및 질적지표에 의한 분석

        고희선,김유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3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s of experimental research on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Method: A total of 21 Korean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participants, experimental designs,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the quality levels of the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CEC quality indicators. Results: First, most of the participants had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y attend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econd,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was most frequently used in the studies, and most of the studies measured maintenance and social validity. Only four studies measured generalization of the target behaviors. Third, preferred activities or photos were used in the setting events and antecedent interventions. Communication instructions were employed in the alternative behavior interventions. Praise as reinforcement was utilized in the consequences interventions. Fourth, dependent variables were often class engagement behaviors, off-task behaviors, and aggressive behaviors as the target behaviors. eleven studies met more than 80 percent of CEC quality indicators(36.8 of total score 46). Conclusion: Based on analysis and synthesis of the finding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were suggested.

      • KCI등재

        CEC 질적지표에 근거한 ADHD 아동의 비약물적 중재연구 특성 분석

        이상훈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최근 5년간(2017∼2021년)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ADHD 아동대상의 비약물적 중재연구 중 집단비교연구와 단일대상연구의 특성을 미국 CEC(2014)의 질적지표(Quality Indicators)에 근거하여 분석했고,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국내 비약물적 중재연구 중에서 CEC 기준에 부합하는 연구는 제한적이며 평균적으로 질적 수준은 높지 않지만 중재대상과 연구유형별 특성에 부합하는 절차와 방법을 사용하여 과학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 중재환경이나 중재자, 중재시간, 집단 배정방식 등 주요 연구변인을 간과하거나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고하지 않고 적합하지 않은 연구설계법을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의 방법과 절차, 결과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도록 연구방법적으로 보다 과학적인 설계와 세심한 검토가 필요하다. 아울러 국내 ADHD 아동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연구의 활성화와 연구의 질적 개선을 위한 질적지표 개발, 나아가 근거기반실제(EBP)의 기준을 마련할 수 있도록 개별 연구자와 관련 학회, 학계에서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노력해 주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장애학생을 포함한 사회정서학습 국내 중재 연구 동향 및 CEC 질적 지표에 의한 분석

        최하영 한국통합교육학회 2022 통합교육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programs and to identify quality level of studies using CEC(2014) quality indicators for quasi-experimental studies. Search procedure was conducted using database based on including criteria, total 7 studies were identified between 2012 and June 2022.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included participants, school level, program implementer, independent variable, consideration for program implementation, dependent variables, tools for dependent variables, sub-variables of social emotional competence, and CEC indicators(2014). Results showed that 59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participated in studies. 5 studies were conducted in elementary level, and implementers of programs were mostly teachers. 7 studies reported instructional adaptation procedur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during program implementation.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not standardized tests. With CEC quality indicators, each study was reached 91.5% satisfaction rates. Based on results, discussion and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장애학생을 포함한 학령기 학생에게 사회정서학습을 적용한 국내 실험연구의 특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CEC(2014)에서 제시한 집단설계연구를 위한 질적지표를 기준으로 각 연구의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국내 전문학술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문헌 선정 기준에 따라 검색하였고 최종 선정된 논문은 2012년부터 2022년 6월 현재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총 7편의 논문이었다. 연구참여자, 학교급, 연구장소, 중재자, 독립변인, 종속변인, 측정도구 및 연구설계를 포함한 일반적인 특성,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에 포함된 요소, CEC 질적 지표(2014)라는 세 가지 주제에 따라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학생은 총 59명으로 모두 지적장애학생이었다. 7편의 연구 중 5편의 연구가 초등학교 혹은 특수학교 초등부에서 이루어졌고, 대부분 중재자는 교사였다.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적 수정 등의 지원이 이루어졌다. 종속변인은 대부분 국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도구를 번안하여 내용타당도를 점검받아 활용하거나 국내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를 장애학생에게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질적지표에 따른 분석 결과, 7편 연구의 평균 지표충족률은 91.5%를 보여 높은 총족률을 나타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제시하고, 추후 연구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학습장애 학생의 학습 성취 영역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및 질적 지표에 의거한 분석

        정다이(Dai Jeong),최은경(Eunkyung Choi),김민서(Minseo Kim),손승현(Seunghyun Son) 한국학습장애학회 2020 학습장애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학습장애 학생의 학습 성취 영역에 해당하는 읽기, 쓰기, 수학 중재 단일대상연구의 동향과 CEC 질적 평가지표를 독립변인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선행연구 중 학습장애 관련 동향 및 메타분석을 실시한 39편의 연구를 통하여 독립변인 분류 기준을 고찰하였으며, 선정된 기준에 따라 2010∼19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32편의 논문을 연구의 동향, 효과크기, 질적 지표 순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연구는 10년간 꾸준히 게재되고 있으며 대상자 및 중재 환경에 대한 정보가 누락된 연구가 있었다. 실험설계는 AB설계가 13편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모든 연구에 유지 및 일반화가 포함되어 있었다. 독립변인 중 가장 많이 활용된 변인은 ‘(초)인지전략 중재’였다. 둘째, 중재효과크기는 중재 전체효과(Tau-U=.868), 유지 전체효과(Tau-U=.876), 종속변인별 효과(Tau-U=.730∼.966), 독립변인별 효과(Tau-U=.822∼1.000)에서 모두 효과성을 나타냈다. 셋째, CEC 질적 지표에 대한 충족률은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77.3%) 중재자 항목(59.4%)과 중재충실도 항목(57.3%)에서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충족률을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identified trends of single subject research for reading, writing and math interventions, which correspond to the areas of learning achievement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 CEC quality indicators as the focus of independent variables. Through the precedent researches, 39 studies conducted on trends and meta-analysis related to learning disabilities examined the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32 studie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from 2010-19 were analyzed in order of trends, size of effects and quality indicators of researches.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there was a study that has been published steadily for 10 years and missing information on subjects and the intervention environment. The experimental design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AB design with 13, and all studies included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phase. The most frequently used variable among independent variables was (meta) cognitive strategy. Second, the size of the effects were shown to be effective in the overall effect of intervention(Tau-U=.868), the overall effect of maintenance(Tau-U=.876), the effects of each dependent variable(Tau-U=.730∼.966), and the effect of each independent variable(Tau-U=.822∼1.000). Third, The overall fulfill rate for the CEC quality indicators was high(77.3%), but was relatively low in the categories of Intervention agent(59.4%) and Implementation fidelity(57.3%). Based on this,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