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석 시집 『사슴』의 시편을 읽는 또 하나의 방법

        이명찬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4

        백석에 관한 그간의 연구는 크게 세 단계를 거쳐 왔다. 그 시작은 이숭원, 고형진, 이동순 등에 의해서였다. 80년대 초부터 이분들은 백석의 중요성에 대해 알고 그의 작품을 문학사 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노력했다. 두번째 단계는 1988년의 해금(解禁)을 필두로 각 대학원에서 쏟아지기 시작한 학위 논문들을 꼽아야 한다. 마지막 단계로는 90년대부터 시작된 다양한 형태의 전집, 정본 혹은 원본 그리고 해설서 편찬 작업을 꼽을 수 있다. 이 세단계의 백석 연구사에서 가장 중요한 영향력을 가진 것은 세 번째이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1차적으로 이동순, 송준 등의 초기 연구자들이 작품에 사용된 어휘들의 의미를 정확한 근거 제시 없이 풀이하는 잘못을 보였다. 이어서 다양한 출판사, 편집인, 연구자들이 이를 확대 재생산하였다. 마지막으로 고형진, 이숭원 선생들이 나서서 일관된 풀이로 연결 지으려 노력하였다. 그런데 백석 문학에 관한 이러한 다양한 연구와 관심에도 불구하고 어휘 풀이는 여전히 제각각이다. 그래서 현재의 백석 연구 현장은 같은 어휘를 쓰고 있는데도 의미하는 바가 전혀 다른 이상한 소통의 장이되어 있다. 따라서 연구자들이나 편집자들은, 근거를 명확히 제시하지 않은 채 한가지 의미만을 소개하는 글이나 책을 더 이상 만들어 내서는 안 된다. 각각의 의미들을 다 소개하고 자신이 지지하는 의미를 그 이유와 함께 제시해야만 한다. 단 하나의 해설만이 존재할 수 있다는 생각을 버리는 것이 문제 해결의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Previous studies on Baek Seok have passed through the following three stages, taken as a whole. The first stage was initiated by Lee Soong-won, Ko Hyung-jin, and Lee Dong-soon. Since the early 1980s, those professors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Baek Seok and tried to include his works into the Korean literary history. Then, the second stage started with the various doctoral theses on Baek Seok which have poured into several Graduate Schools of Literature since the ban on his poetry was lifted in 1988. As the final third stage, we can point out the compilation work of various forms of the complete series, the originals, and commentary books of Baek Seok’s poetry. Out of those three stages, the third one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study of Baek Seok’s works. In this process, however, the early researchers like Lee Dong-soon and Song Joon primarily have made mistakes such as interpreting the meanings of Baek Seok’s poetic words as they pleased, without giving accurate bases for those interpretations. And various publishers, editors, and researchers exacerbated those mistakes. But in the end, professors like Ko Hyung-jin and Lee Soong-won tried to rectify those mistakes by presenting consistent interpretations of the poetic words. By the way, despite the various research on and interest in Baek Seok’s literature, the interpretations on his poetic words are still inconsistent for almost every literary professors and critics. Thus the study site of Baek Seok’s literature has become an unrealistic communication site where the same vocabularies used in the same poems are construed quite differently. Therefore, researchers or editors should not publish books which introduce only one meaning of a vocabulary or a sentence without providing a clear basis for that interpretation. That is, commentary books on poetry should introduce plural meanings of a poetic word, and should present only one of them which the critics think the most appropriate, with the reason for choosing that meaning as the most suitable one. That’s because dismissing the idea that there should exist only one explanation for a poem is the shortcut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 KCI등재

        백석 문학 연구의 현황과 문학사적 균열의 지점

        김문주 한국비평문학회 2012 批評文學 Vol.- No.45

        이 글은 백석 탄생 100주년을 맞이하여 백석 연구의 현황과 문제를 살펴보기 위해 마련된 기획논문이다. 백석은 한국현대시 연구 분야에서 가장 활발한 논의의 대상 중 하나이며, 한국시사의 문제적인 지점들을 내장하고 있는 중요한 시인이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백석 문학에 대한 연구 지형과 논의의 흐름들을 살펴보고, 그의 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대목 중 하나인 ‘북방시편’과 분단 이후 문학에 관해 주의⋅검토해야 할 사항들을 정리함으로써 백석문학 연구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먼저 ‘북방 시편’을 민족의 정신사적 관점, 역사의식의 발로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기 위해서는 첫째, 시인의 만주 이주의 경위와 만주 체재기의 구체적인 활동을 최대한 복원하는 작업이 선행되어 하고 둘째, 만주에 거주했던 당대의 민족 현실과 이에 대한 시인의 인식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야 하며 셋째, 작품에 형상화된 시인의 만주 인식의 내용을 역사적 현실 속에서 객관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한편 분단 이후의 백석 문학 연구에서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은 첫째, 번역은 분단 이전부터 백석이 중요하게 관심을 둔 영역으로서 분단 이후의 문학적 향방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작업이었으며 둘째, 아동문학에 대한 백석의 참여를 체제의 외압이나 불가피한 선택으로 보는 시각은 재고할 필요가 있고 셋째, 분단 이후의 아동문학과 창작시는 백석 문학의 전체적 이해를 위해 면밀하게 검토해야 하며 넷째, 백석 문학의 최종적인 향방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아동문학논쟁 과정을 꼼꼼하게 살피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백석 문학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위해서 선언적이고 수사적인 규정을 지양하고 구체적인 자료에 바탕을 둔 객관적⋅실증적인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This writing is the planned paper designed to examine the status and problems of research on Baek Seok celebrating the 100th anniversary of Baek Seok’s birth. Baek Seok is one of the most active discussion targets in the field of Korean Modern Poetry research and is an important poet containing problematic points of Korean poetry history. By examining research status and the flow of discussion about research on Baek Seok literature first and organizing the matters to be noted·reviewed on literature after division and ‘Poetry on the Northern Area,’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in his literature,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direction. First, to approach ‘Poetry on the Northern Area’ in terms of an express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spiritual perspective of the nation, the following should be carried out: First, the work to identify reason for his movement to Manchuria and restore as many specific activities as possible during his stay in Manchuria should be preceded. Second, the ethnic reality of those days when the people should live in Manchuria and how the poet understood it should be examined specifically. Third, the contents on his Manchuria perception embodied in his works should be analyzed in the historical reality. On the other hand, the matters to be remembered in Baek Seok literature research after division are as follows. First, as the area that especially attracted his interest even before division, translation was the work having a major impact on the literary direction after division. Second, the perspective regarding his participation in children’s literature as the external pressure of the system or an inevitable choice needs to be reconsidered. Third, to generally understand Baek Seok’s literature, creative poetry and children’s literature after division should be examined closely. Fourth, to review the ultimate direction of Baek Seok literature, the work closely examining the process of children’s literature dispute should be preceded. To understand Baek Seok literature generally, declarative and rhetorical regulations should be avoided and objective·empirical work based on specific materials is essentially required.

      • KCI등재

        백석의 시적 지향과 표현방법

        이숭원 한국비평문학회 2012 批評文學 Vol.- No.45

        백석의 시는 매우 독특한 개성을 지니고 있다. 그의 시는 1988년 납월북 문인에 대한 해금이 이루어진 후 대중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지만, 일제강점기의 어느 시인보다 대단한 인기를 누리고 있고, 그에 대한 연구도 단기간내에 아주 많은 업적이 산출되고 있다. 그런가 하면 그의 시는 후대의 시인들에게 자발적인 모방의 대상이 된다. 시인들은 가능한 한 전대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그것에서 벗어나려 하거나 영향을 거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백석의 경우에는 그 반대의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본고는 백석 시의 독특한 개성을 파악하기 위해 백석이 중점적으로 표현한 대상이 무엇이며 그것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 방법상의 특징이 무엇인가를 밝히고자 했다. 백석은 자신의 고향이나 거주지 주변의 풍물만이 아니라 여러 곳의 생활 국면을 관찰하고 그것을 시의 재료로 삼았다. 한 곳에 안주하지 않고 여러 곳을 편력하면서 관찰과 사색과 탐색을 거듭한 체험을 그의 시에 담아냈다. 그는 대상의 표면만 보지 않고 그 안에 감추어져 있는 정신적인 요소를 찾아내려 했다. 그의 시는 대상의 숨은 의미를 발견하는 작업이고 그것을 자신의 삶과 연결시키려는 탐색의 과정이다. 대상의 숨은 의미를 찾아내려는 노력은 마음의 영역을 발견하는 데서 시작되는데 그러한 경향을 처음 드러낸 시가 「탕약」(1936.3)이다. 그는 자신의 독특한 체험과 사색을 개성적 어법으로 표현하려 했다. 백석의 표현방법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서술성을 중심에 두면서 압축적인 어법을 결합시키는 것, 이항 대립의 발상을 축으로 하여 이항 대구의 형식미를 추구하는 것, 이 두 가지로 집약된다. 백석의 시가 서술적 경향이 두드러진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백석은 서술성을 활용하는 시에서도 압축과 생략의 기법을 집중적으로 구사했다. 백석의 시가 표면적으로 진부한 형식을 취하면서도 상당히 새로운 느낌을 주는 것은 바로 이 서술성과 압축성의 결합 방식 때문이다. 백석의 시는 유년의 충족감과 성인의 결핍감 사이의 이항 대립, 누추한 세상과 높고 맑은 정신 사이의 이항 대립의 구조를 지닌다. 이러한 이항 대립의 양상은 주제나 의식의 측면만이 아니라 형식의 측면에서도 나타난다. 거의 대부분의 백석 시는 이항 대립 내지는 이항 대구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항 대구의 형식적 구성이 백석 시 전편에 일관되게 흐르는 시작 원리로 작용했다. 백석 시의 독특한 개성은 이러한 정신적 지향과 표현방법이 창조적으로 결합하여 탄생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적 요소들은 밀접하게 결합하여 백석시의 미학을 창조하는 동력으로 작용했다. 이 요소들이 백석의 시에서 유기적으로 결속하여 백석의 독특한 방법적 미학으로 승화된 것이다. 필자는 본고에서 백석 시의 미학을 구성하는 요소 중 일부를 검토한 것이다. Baek Seok’s poems exhibit very unique features. His poems are far more popular than those of any other poet during Japanese imperialism, and research on him has led to great many achievements within a short period. Besides, his poems have become the objects of voluntary imitation to the poets in next generations. This article aims to figure out what the objects Baek Seok intended to express intensively a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methods used to express them in order to understand his poems’ unique features. Baek Seok observed not only the institutions and customs of his own hometown and around his residence but also the aspects of life in many other places in order to take them as the subject matters of his poems. Not settling down in one spot but exploring many places, he observed things and repeated meditation and exploration to put them into his own poems. He did not see the objects only from the surface but attempted to discover the spiritual elements hidden inside. The effort to find the hidden meaning of an object starts from discovering the area of mind, and the poem that shows such tendency first was 「Tangyak」[medicinal decoction](1936.3). He tried to express his own unique experience and meditation with unique grammar. The most distinctive features of Baek Seok’s expressional method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1. combining compressive grammar as focusing on narrativity, and 2. pursuing the beauty of form of binomial antithesis as taking the idea of binarity as the axis. It is known that the narrative tendency is noticeable in Baek Seok’s poems, and Baek Seok employed the method of compression and omission intensively even in the poems using narrativity. The reason Baek Seok’s poems take the outdated form superficially but present very fresh feelings is this method of combination of narrativity and compressibility. Baek Seok’s poems take on the structure of binomial contrast between the vulgar world and aloof spirit. The aspect of binomial contrast is shown not just in the aspect of the subject or consciousness but also in the aspect of form. Most of the Baek Seok’s poems take on the structure of either binomial antithesis or binarity. The formal composition of binomial antithesis works as the principle of writing poems flowing over the whole works of Baek Seok’s consistently. The unique features of Baek Seok’s poems were born by combining such spiritual pursuit and expression creatively.

      • KCI등재

        일반논문: 백석의 기행시편에 나타난 장소의 심상지리

        이경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民族文化硏究 Vol.53 No.-

        이 논문의 목적은 백석의 기행시편에 나타난 장소들이 구축한 심상지리를 살펴봄으로써 그것이 일제 강점기 말에 총독부 주재로 이루어진 조선고적조사보존사업으로 인해 형성된 제국의 심상지리에 의한 조선의 표상과 어떻게 달랐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기행시편으로 읽을 수 있는 백석의 시로는 「남행시초」, 「함주시초」, 「서행시초」등 특정 지역을 여행하면서 쓴 연작시임을 분명히 밝힌 시편들과 위와 같은 연작시의 형태를 띠고 있지는 않지만 일제 강점기 말에 고향을 떠나 유랑 중인 화자의 기행 체험이 직간접적으로 드러난 시들, 만주 신경에서 보내온 것임을 추정할 수 있는 시들이 있다. 백석은 일본 유학 체험을 비롯해 취업, 여행, 유랑 등의 이유로 고향인 평북 정주를 떠나 다른 지역에 기거한 적이 많았다. 그러한 이향(離鄕)의 경험은 그의 기행시편에 반영되곤 했다. 이 논문에서는 백석의 이향 체험이 매우 빈번히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이러한 이향체험이 해당 시기에 쓰여진 그의 기행시편에 반영되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백석의 「남행시초」연작시와 통영을 비롯한 남쪽 지방을 여행하고 쓴 시들에서는 '있어야 할' 서민적 생활 체험의 장소로서 '거리'와 '장'이 주로 등장한다. 일반적으로 기행시편이나 기행 수필이 그 지역이나 여정의 묘사에 충실한 것에 비해 백석의 기행시편, 그 중에서도 「남행시초」연작시는 화자의 바람이 반영된 장소를 그리고 있다. 백석은 기행시편에서 다루는 장소에 그 장소를 거쳐 간 과거의 시간을 불어넣거나 화자가 소망하는 장소를 그려냄으로써 잃어버린 현재를 환기한다. 「함주시초」와 「서행시초」연작시에서는 쓸쓸한 북방의 정서를 드러내는 장소로서 '북관'과 '산'이 주로 등장한다. 「함주시초」연작시 중 한 편인 「북관」에서 백석은 북관 지역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꿰고 있다. 과거의 북관과 시의 화자가 머물고 있는 현재의 북관을 대비함으로써 북관이 처한 현실을 부각시키면서 동시에 북관이 조선의 대유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한다. 북관 지역의 역사에 대한 통시적 개관은 조선총독부 산하의 고적 답사와는 확연히 다른 성격을 지닌다. 「함주시초」와 「서행시초」연작시에서는 '산'이 자주 등장하는데 이때 산은 무기력한 백석의 시적 자아가 현실에 대해 쓸쓸함을 느끼고 소극적 선택으로서 은둔과 도피의 태도를 취할 때 주로 선택하게 되는 장소로 등장한다. 이 논문에서 기행시편의 일종으로 보고 있는 만주 시편에는 자기 극복과 연대의 장소로서의 이국의 '방'과 '거리'가 자주 등장한다. 만주시편에서 방은 모든 것을 잃어버린 화자의 쓸쓸한 내면을 비추며 자기 극복을 가능케한 장소로 등장하며, 거리는 쓸쓸한 이방인의 시선으로 이방의 사람들을 관찰하는 장소이자 그들과 연대감을 회복하는 장소로 그려진다. 백석의 기행시편에 그려진 장소들은 일제 강점기 말의 조선고적조사보존사업으로 인해 형성된 제국의 심상지리와는 철저하게 거리를 둔 이질적 공간으로 기능한다. 그것은 시인이 꿈꾼 '있어야 할' 장소이자 자기 극복과 성찰을 통해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과 연대감을 회복하는 장소로서, 제국의 심상지리에 포섭되지 않는 식민지 조선의 다른 표상으로서의 가능성을 획득하게 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maginative geography molded by places in Baek Seok's travel poetry and to see how different it is from the representation of Joseon that emerged from the imaginative geography of the Japanese Empire as part of Joseon Historical Remains Survey and Preservation Project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t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Poems such as 'Namhaeng sicho', 'Hamju sicho', 'Seohaeng sicho' that are written during travels and marked as serial poems by the poet, poems directly or indirectly describing experiences of the narrator who left home and wandered around and poems presumed to have been sent from Sin-gyeong in Manju can be read as travel poetry. Baek Seok often left his home, Jeongju at Peongbuk and stayed in other places to study abroad in Japan, or to work, travel and wander. His experiences of leaving home were reflected in his travel poetry.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his experiences of leaving home were very frequent and continuous and that they were reflected in his travel poetry. In Baek Seok's 'Namhaeng sicho' and poems written after his travel to southern regions including Tongyeong, 'streets' and 'markets' appeared as the places where one experience common people's life that 'should exist.' In general, travel poetry or travel essays do no go beyond describing the areas or details of the trip; however, Baek Seok's travel poetry, especially his serial poem 'N'amhaeng sicho,' portray the place to reflect the narrator's wishes. In travel poetry, he rouses the present that he has lost by infusing the past time into the place of description or by depicting the place as the narrator wish it to be. In serial poems 'Hamju sicho' and 'Seohaeng sicho', 'Bukgwan' and 'mountain' appeared as the place where the narrator expressed the feeling of loneliness that the northern regions brought about. In 'Bukgwan', one of the serial poems in 'Hamju sicho', Baek Seok presents the history of Bukgwan region diachronically. By comparing present Bukgwan where the speaker stays with the Bukgwan of the past, he highlights the reality it is faced with and at the same time makes Bukgwan function as a synecdoche of Joseon. A diachronic overview of the history of Bukgwan region has different nature from the survey of this region conduc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Mountains frequently appear in serial poems of 'Hamju sicho' and 'Seohaeng sicho' and are read as universal space because the specific name of each mountain is hidden. They are chosen as the space of passive reclusion and avoidance and described as a place where the lethargic poetic self visits when he feels lonely in reality. In Manju poems which I also view as travel poetry, 'room' and 'street' of foreign land often appear as places in which one can overcome the self and form solidarity. Room is often described as a place reflecting lonely inner world of the narrator that enable him to overcome himself. Also, street is depicted as a place where the narrator observes people of foreign land with the eye of a lonesome stranger and restores the feeling of solidarity with them. Places described in Baek Seok's travel poetry function as a spac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imaginative geography of the Japanese Empire molded by the Jeoson Historical Remains Survey and Preservation Project. It is a place that the poet dreamed and thought of as something that 'should exist' and a place of solidarity with people living there, and hence presents a possiblity of a different spatial representation of Joseon, one that is not subsumed by the imaginative geography of the Japanese Empire.

      • KCI등재

        현대시 코퍼스 연구 방법론 4 -백석 시의 빈도수와 키워드 활용을 중심으로

        이상숙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4 아시아문화연구 Vol.64 No.-

        이 논문은 코퍼스를 활용하는 현대시 연구에서 ‘빈도수’와 ‘키워드’ 추출 결과의 의미와 활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백석의 시 코퍼스를 대상으로 일반명사의 빈도수, 키워드로 한정하여 설명했다. ‘빈도수’와 빈도수를 바탕으로 시어의 통시적 변화를 보여주는 ‘키워드’를 추출한 계량적 결과를 시의 내용 분석을 통해 의미를 찾는 질적 연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그 효과는 무엇인지를 점검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자 내용이다. 백석시에서 가장 고빈도로 나타난 시어 ‘사람’을 예로 들어 시적 의미를 구분하고 분단 전후로 달라지는 의미와 형상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분단 전 백석시에 나타난 ‘사람’은 공유한 과거의 시간, 역사를 통해 형성된 공동체의 일원으로 재현되었는데 분단 후에는 현재와 미래를 함께할 사람으로 형상화 되었다. ‘생업’이 있는 생동감 있는 존재였던 분단 전의 ‘사람’이 분단 후에는 오늘의 ‘나라’, ‘조국’, ‘당’에 감사하고 미래에도 칭송받을 ‘영웅’을 증언하고 자랑스러워하는 역할에 한정된 도식적인 모습으로 드러나고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application of ‘frequency’ and ‘keyword’ extraction results in modern poetry research utilizing corpus. It specifically focuses on the frequency and keywords of common nouns in Baek Seok's poetry corpus. By quantitatively extracting ‘keywords’ that demonstrate the diachronic changes in poetic expressions based on frequency, the paper examines how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to qualitative research analyzing the content of poetry. Th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pplying quantitative results to qualitative analysis of poetic content. Taking the most frequent term ‘사람’ (‘person/people’) in Baek Seok's poetry as an example, the paper distinguishes poetic meanings and examines the changes in meaning and imagery before and after the division of Korea. Before the division, ‘사람’ (‘person/people’) in Baek Seok's poetry was depicted as a vibrant presence, symbolizing a member of the community shaped through shared past times and history. However, after the division, there was a shift in its meaning. The focus shifted towards the present rather than the past or history, with people being portrayed as being grateful to today's ‘country,’ ‘homeland,’ and ‘party,’ and looking towards a future where they are celebrated as ‘heroes.’

      • KCI등재

        백석 시에 나타난 ‘나’의 ‘생각한다’와 초월현실

        장동석(Jang, Dong-seok) 한국시학회 2016 한국시학연구 Vol.- No.48

        백석 시의 ‘나’는 과거를 매개삼아 실제현실에 대한 대응 태로서의 초월현실을 ‘생각한다’. ‘나’의 ‘생각한다’는 피식민지 근대 논리를 기준삼아 구성되던 실제 현실에 맞서는 초월현실을 생성한다. 이때 과거는 ‘순수과거’로 ‘나’의 ‘생각한다’가 도약하는 통로로 기능한다. 백석 시의 초월현실은 불확정적인 기의를 가진 기표로 형상화된다. 백석 시의 대상들이 비의(秘意)적인 영역을 가지며, 그럼으로써 기의의 완성을 향한 활력을 자나는 것이다. 이는 곧 초월현실이 바람직한 세계로서의 미래를 견인하는 것과 상응한다. 백석 시에서 ‘나’는 사적 과거(기억)의 끝에 자리한다. 이 자리에서 ‘나’는 과거 너머로 ‘생각한다’를 팽창한다. 과거 너머는 ‘나’의 의식 이상에서 잠재적으로 존재하는 무의식의 세계. 즉 ‘순수과거(순수기억)’이다. ‘나’의 ‘생각한다’는 초월현실을 구체화하기 위해 과거에서 ‘순수과거’로 멀리 도약한다. 동시에 ‘순수과거’의무의식적, 잠재적 대상들을 선택적으로 의식화해서 현재로 응축한다. 이때 현재로 응축되는 ‘순수과거’의 대상들에 새로운 속성이 보충된다. 피식민지 현실과 맺는 상호관계 속에서 ‘나’가 필요로 하는 속성이 대상에 더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대상은 피식민 근대 현실에서 결핍된 요소들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의 충일성을 가지며, 그 의미의 완성 태를 미래로 유보한다. ‘큰’은 ‘나’가 생성한 초월현실을 지시하는 주요 기표이다. ‘나’의 ‘생각한다’는 ‘순수과거’의 ‘큰’ 세계를 현재로 전경화한다. 그리고 이를 미래의 지향태로 삼는다. 또한 나’는 ‘큰’ 세계를 자기 정체성의 근거율로 ‘생각’함으로써 사회적 주체로 자리한다. ‘나’가 현재화한 ‘큰’ 세계의 대상들은 부분의 속성을 견지하면서 동시에 그것이 속했던 순수과거 전체를 수렴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언외지의를 환기한다. Baek-seok’s Poetry created a transcendent reality in the past as a intermediation. In the Baek-seok’s Poetry, ‘I’ is situated at the end of a personal past(memory). This is where ‘I’ expands the ‘think’ over the past. The past beyond is the world of unconsciousness. It is latent in consciousness outside of the ‘I’. That is ‘pure past(pure memory)’. The pure past of Baek-seok’s Poetry is accumulated for a long time with collective satisfaction. ‘I think’ is leap away into the pure past. At the same time, conscious and condensed to select the object of the pure past. This suggests the object of the pure past to the present. And constitute a new reality. Transcendent reality is presented in an unfinished state. Therefore transcendent reality has a movement towards the completion status meaning(future). The Baek-seok’s Poetry is towed into future beyond reality. This is why the object of Baek-seok’s Poetry they have a sense indeterminate zone. ‘I think’ selected ‘The first and largest’ the world of the pure past in the foreground. And it should be directed to decide the future. The object of ‘the lagest’ are part and the totality as a whole. ‘I think’ is conscious confront the reality that were organized by the colonialization modernity logic. It does not run after the colonization of modern logic. instead, selected ‘The largest’ that excludes the colonialization logic in the foreground. ‘The largest’ is unaware of the basis of the rate of self-identity.

      • KCI등재

        백석의 만주 관련 시편 연구

        송종원 ( Song Jong-won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6 No.-

        본고는 백석이 만주로 왜 떠났고 그 여정이 그의 시세계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를 살피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그 과정에서 주로 매개가 된 것은 백석의 만주 관련 시편들이다. 기존의 연구가 전기사적 사실이나 역사적 정황을 텍스트 해석의 최종심급으로 둔 오류를 범했거나, 역사성을 소홀히 여긴 내적 정서의 추적 방식을 따랐다면, 본고는 그런 방식의 해석적 입지들이 놓칠 수 있는 텍스트 내 미결정된 상태의 의미의 가능태들을 드러내는 데 집중하였다. 백석의 시로부터 우리는 백석이 일제의 시선을 벗어난 지점에서 만주의 경험을 시화화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백석의 시는 만주가 다른 나라이고 타관임을 명백히 인식하는 데서 출발한다. 그렇지만 타국과 타관에 관한 인식에서 비롯된 차이의 감각에 한정되지 않는 채 시를 구성하는 것이 또한 백석 시의 특징이다. 시인은 그 차이 속에서 같음을 발견하고 다시 그 같음의 감각을 고양시킴으로써 타국민, 타민족들과 유대감을 나눈다. 이 유대감은 존재들에게 지속적이고 안정감을 부여하는 양식의 부재를 대체하는 효과를 발생시킬 뿐 아니라, 시인에게 차이와 통합의 감각을 단련시키는 매개의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백석의 시는 시 속에 발견된 일시적 통합기제를 또 다른 분열로 나아갈 계기적인 거점으로 활용하며 끊임없이 분열과 재통합의 운동을 지속한다. 백석의 시가 시인 자신의 고향을 그려내는 데에서 시작하여 민족의 옛 영토로까지 시적 지평을 넓힐 수 있었던 이유도 저 분열과 재통합의 역동적 운동성에 있다. 반복되는 분열과 재통합의 운동성은 자연스럽게 시 안에서 서사지향성의 성격을 내재하게 하는데, 백석 시의 이 운동성은 가끔 외재적 관념에 발목을 잡혀 설화지향성의 공간으로 추락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만주 관련 시편들에 내재한 의미의 흐름이 결과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분열과 재통합의 반복 속에 자율적 주체성을 실현하는 과정이다. 이 주체성은 자신이 역사로부터 소외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감내하면서 동시에 구체적인 삶의 지평으로 끊임없이 자신의 감각을 밀고 들어가 관념이 아닌 현실에 뿌리를 내린 타자들과의 만남을 이루어낸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Baek-seok`s poetry which were connected with Manchuria. We find that Baek-seok wrote a poem out of the eyes of the Japanese Imperialism. He was clearly aware that Manchuria is other countries and outsiders. But the logis of sense finded Baek-seok`s poetry which were connected with Manchuria is very complicated. He found the same despite differences. In that sense, he shares in solidarity with the other peoples. The solidarity cause the effect to replace the absence of style that give a sense of security, and make a role that Baek-seok disciplines the sense of difference and integration. In other words, Baek-seok makes temporarily integration mechanisms found during writing poem to constant movement of division and reintegration. The reason that beginning to draw in his hometown of poet can broaden their horizons implied by the old territory of the nation is also the dynamic movement of that division and reintegration. That movement is inherent to the nature of the narrative-oriented tendency. The flow of meaning of Baek-seok`s poetry which were connected with Manchuria shows the process of realizing an autonomous identity in the repeat of the disruption and re-integration.

      • KCI등재

        백석 시 <여승>에 활용된 전통적 율격과 그 의미

        윤병용 국문학회 2020 국문학연구 Vol.0 No.41

        This study revisits the rhymes of Baek Seok's poem “Yeo-seung(女僧)” based on the concept of the meter of traditional poetry and examines the meaning of the poem realized in relation to the meter. Previous studies that looked at Baek Seok poetry in relation to traditional poetry forms were limited to either pointing out the phenomenal fact that the metrics were confirmed or analyzing rhythms based on unclear standards. Although Baek Seok’s Poem does not regulate the format of the whole poem with a single rhythmic model, it uses the meter of traditional poetry to create various meanings through the process of repetition and variation. “Yeo-seung” shows an interaction between meter and meaning. Each stanza of “Yeo-seung” is based on traditional rhythms, revealing the psychological changes of the poetic subject in various way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rhythmic deviations and gaps, changes in meter, interruption of inertia, and the superposition of four feet. Moreover, the process of changing the meter in “Yeo-seung” shows the life of a woman who was forced to live as a human involved in memory and emotion even after leaving home in addition to the process of becoming a Buddhist nun. Consequently, “Yeo-seung” can be read as a work that embodies its poetic meaning by utilizing traditional poetry's meter in various ways. 본고는 백석의 시 <여승>의 운율을 전통 시가의 율격 개념에 기초하여 재고하고, 율격과 연동하며 실현되는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백석 시는 단일한 율격 모형이 시 전반의 형식을 규제하진 않지만, 전통적 율격을 활용하고 변주함으로써 다양한 시적 의미를 구축해나간다는 점에서 그 형식에 관한 특별한 주목이 필요하다. 이에 백석 시 중에서도 율격과 의미와의 상호작용이 특징적으로 드러난 작품인 <여승>을 대상으로 하여, 그간 피상적으로만 언급되었던 전통적 율격의 실현 양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면서 그 형식적 특질을 통해 구현되는 시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여승>의 각 연은 전통적 율격을 기본으로 하는 가운데 율격적 일탈과 간극의 도입, 보격의 변화, 관성의 중단, 4보격의 중첩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시적 주체의 심리 변화를 드러낸다. 또한 작품 전체의 구조와 관련하여 율격의 변화 양상을 살필 경우, <여승>은 한 여인이 여승이 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한편, 출가 이후에도 여전히 기억과 감정에 연루된 인간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여인의 내면을 보여준 작품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여승>은 전통적 율격을 다채로운 방식으로 활용하여 시적 의미를 구현해낸 작품으로서 새로이 의의가 부여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백석 시 원본과 후대 판본의 비교 고찰

        이지나(Lee Jee-Na) 한국시학회 2006 한국시학연구 Vol.- No.15

        Baek Seok is a Korean poet who has been widely acclaimed by both academia and the general public, however the problem is that different collections adopt different terminology over poetic lines or even titles for the same poems. Such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and contemporary texts as well as differences among multiple contemporary texts may lead to critical errors in interpretation of particular words or even the entire poem. Distorted interpretation of the poems, resulting from the use of different contemporary equivalents of the original language. therefore, should be corrected through a comparative study withthe original text. For this purpose. six collections of Baek Seok's poems that have been released by various publishers since the 1980s are selected for assessment of any difference or distortion in the interpretation from the original text and will identify the reasons for any existing difference. Moreover. dialect and difficult-to-understand words are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 of his particular works as well as external factors. This helps to correct omissions and transform the original language into a contemporary usage without compromising the value of original texts. This study will enable those who study Baek Seok's poetry to have an identical source to quote from. to minimize errors in interpretation and to undertake in-depth study of his works.

      • KCI등재

        백석 기행시에 대한 창작교육적 접근

        정정순(Jung, Jung-soon) 우리말글학회 2013 우리말 글 Vol.58 No.-

        본 연구에서는 여행을 매개로 한 타자 체험이 어떻게 시로 형상화되었는지 백석의 기행시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시 창작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백석의 기행시편들 중 ?북관?, ?북신? 그리고 ?팔원?을 분석하여 두 유형의 타자 체험이 각각 어떻게 시에서 형상화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북관?과 ?북신?에서는 대상에 각인된 역사성을 구체적인 감각으로 포착하여 타자로서의 역사적 주체를 환기하는 방식으로 형상화되었음을 밝혔다. ?여승?에서는 ‘타자의 얼굴’의 재현과 디에게시스(diegesis)를 통해 타자 체험을 형상화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두 유형의 형상화 방식에 대한 이해는 실제 학생들이 여행 체험을 시로 창작할 때 의미 있는 안내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show shaping methods of travel experiences by analyzing Baek Seok"s travel poems. The analysis could show the way to express travel experiences in a verse. When writing a poem, students can be guided to follow the shaping methods of Baek Seok in their own poems. Baek Seok left lots of travel poems, which represent nearly 30 percent of his works. This study analyzed three travel poems, "Buk-Kwan", "BukSin", and "PalWon", where the poet expressed experiences of The Other that changed his ontological structure. His works shaped two different types of The Other experience. One is historical The Other experience, and the other is experience of "the face of The Other". Historical The Other experience is first shaped through the medium of object(especially food). Poetic speaker shows the object(food) using his senses such as taste, smell, touch and visual images. Then he recalls the historical subjects and commune with them. Experience of "the face of The Other" is shaped first by representation of The Other, that is mostly the first image of The Other. The representation is followed by diegesis, that is narration for The Other"s trials and tribulations. These two kinds of experience of The Other are also found in students" verses they wrote after their travel experiences. I suggest that Baek Seok"s travel poems and the way of shaping the travel experiences be utilized as a model to write a travel po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