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청심사의 공정성 강화를 위한 법제적 개선방안

        이수창 법제처 2022 법제 Vol.696 No.-

        Regarding the appeal system, the following fairness issues have been continuously raised. First, the acceptance rate of the petition is excessively high. Second, the decision of appeals review committees is affected by the position of the appella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ppellant and the appeals review agency. Third, there is a large variation in the acceptance rate for each appeal review agency and there are different decisions of appeals review committees for similar cases. The internal cause of this issue of fairness is the lack of independence and expertise of the appeals review committees. First, the independence problem of the appeals review committees arises from the fact that the composition of the appeals review committees is entirely determined by the will of the specific institution to which the appeals review committees belongs(problem of human resource independence). In addition, the lack of expertise of the appeals review committees mainly arises from the ambiguous and mixed division of roles between experts who have a high understanding of the task(facts of appeals) and legal experts. 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cause of the issue of fairness is the lack of control over the decisions of appeals review committees. Except for the current limited request for review by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in principle, the appellee cannot file an administrative lawsuit against the decisions of appeals review committees, so there is virtually no external control of legality. The decisions of appeals review committee cannot be subject to judicial review unless the Appellant disagrees, despite the lack of substantive and procedural justification due to incomplete summary disputes compared to litigation. Therefore, in order to correct the issue of fairness related to the appeals review system,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are needed to resolve these internal and external causes. ① In order to enhance the human resource independence of the appeals review agencies,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local appeals review committee, multilayerization of the authority to form the appeals review committee shall be promoted. ② In order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the appeals review committees, it is required to distinguish and coordinate the roles of legal experts and experts about facts of appeals, and to diversify the composition of internal public officials who can become experts about facts of appeals. ③ As a legality and validity control device for a decision of appeals review committees, the authority to file an administrative lawsuit by the appellee must be newly established. In this case, institutional means must also be prepared to control the appellee not to abuse the authority to file an administrative lawsuit for unfair purposes,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appellant.

      • KCI등재

        중재상소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홍석모 한국중재학회 2010 중재연구 Vol.20 No.1

        Traditionally, finality has been regarded as one of virtues of arbitration. However, in many cases, absence of appeal process in arbitration is also a factor deterring people from choosing arbitration. Even though unsatisfied party may resort to a court for annulment of an award, it is allowed only when there are procedural defects. When there are substantive defects in matters of fact or matters of law, it is not easy or almost impossible to bring the case on the table again. The introduction of arbitration appeal process has been discussed in international arbitration fora, and some countries have already been adopting appeal process. Realizing this trend, it is time for us to consider adopting similar appeal process. Arbitration being based on the party autonomy, there's no good reason to prohibit appeal when the parties agree to do so. Arbitration appeal should be allowed within arbitration system itself, rather than resorting to a court, so that many virtues of arbitration can be maintained in the appeal. In designing an arbitration appeal system, following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minimum amount in dispute to trigger the right of appeal should be set in order to reduce the volume of appeal; losing appellant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legal cost of his opponent in order to deter non-meritorious appeals; time limits on initial appeal application and subsequent briefs should be set in order to accelerate appeal process; and, appeal tribunals should be composed of more experienced arbitrators in order to provide more accurate award. If we are equipped with a well designed appeal process within arbitration system, Korea will be able to emerge as an attractive international arbitration forum.

      • KCI우수등재

        행정심판제도에 대한 재조명과 규범통제의 필요성에 대한 시론

        정훈 한국공법학회 2018 공법연구 Vol.47 No.2

        Administrative appeals has other virtue than adiministrative litigation in that the former is cheaper, quicker and better than the latter in relieving citizens from the infringement of rights or interests. Nevertheless, administrative appeals still has a lot to be improved. Integration of many kinds of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s is not desirable, especially when it is integration of City/Do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and Central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because such integration cause infringement of autonomy of local gevernments and unique administration. Therefore, networking of Administrative Appeals is more just than integration of many kinds of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s. Further, multilevel examination or review of Administrative Appeals is not desirable because it make unique function of Administrative Appeals to dilute and bring about extended process of Administrative Appeals. The law in force limits subject matter in request of Administrative Appeals to disposition and limits standing appeal to a person having legal interests. But it makes function of administration appeals about relieving citizens from the infringement of rights or interests or administration control to weaken. Further, it need to increase conception of disposition and standing appeal. If administrative appeals and adiministrative litigation is instituted at the same time, there is a contradiction between rulings and judgement. Therefore, when a lawsuit is in progress for a case for which administrative appeals is requested, the court which has accepted the lawsuit may suspend the judicial procedure until adjudication is made. Finally, norm control function should be added to function of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s to prevent existing of unjust statutes and achieving a due operation of administration. 행정심판제도의 도입으로 인해 행정소송으로 나아가지 않고도 간편하고 시간과 비용을 적게 들이는 국민의 권익구제가 가능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행정심판이 행정소송과는 또 다른 주요한 권익구제 수단으로 또는 행정통제수단으로 정착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정심판제도는 여전히 개선되어야 할 과제도 남기고 있다. 우선 행정심판의 기능과 관련하여, 개인의 권익구제와 행정의 적법성 통제 측면에서 행정심판제도는 행정소송과 같은 기능을 하지만 행정소송과는 다른 지위와 존립이유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행정심판의 사법적 측면을 강화하는 것이 개인의 권익구제 측면에서 바람직할지 모르나, 행정심판 자체의 존재이유를 퇴색시킬 우려도 없지 않다. 즉, 행정심판의 사법화 강화는 사실상 행정소송의 4심제와 무차별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행정심판제도의 존립이유에 맞게 운용하고자 한다면, 행정심판위원회는 행정조직상 행정기관으로서 지위를 유지해야 하고, 행정심판은 행정의 자기통제적 측면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행정심판의 다심제 혹은 재심제도는 행정심판의 사법화 강화와 맞물려 행정심판의 독자적 기능을 퇴색하게 만들고 절차의 장기화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으로 다양한 종류의 행정심판위원회를 어떻게 통일적으로 운용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가 있는데, 시ㆍ도행정심판위원회와 중앙행정심판위원회의 통합은 자치권침해와 지역의 특성을 무시한 획일적인 행정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통합 대신에 행정심판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행정심판의 청구대상을 ‘처분’만으로 한정하고 청구인적격을 ‘법률상 이익이 있는 자’에게만 부여함으로써 행정심판을 통한 권익구제나 행정통제의 기능을 약화시키는 문제가 있으므로, 현행의 ‘처분’대신 ‘행정청이 입법목적의 달성을 위해 행하는 작용으로서 국민의 실생활에 직접적이고 개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제반활동’으로 정의될 수 있는 ‘행정작용’을 청구대상으로 하고, 청구인적격은 ‘법률상 이익이 있는 자’ 대신 ‘행정작용의 취소 또는 변경을 구할 실질적인 이익이 있는 자’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행정심판과 행정소송이 동시에 제기되는 경우에 양 심리기관 상호간에 연락체계가 제도적으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재결과 판결사이의 모순과 저촉을 야기할 우려도 있다. 그러므로 행정심판과 행정소송 상호간의 판단에 모순과 저촉을 피하기 위해 어느 일방의 심리는 타방의 심리가 종결될 때까지 중단하는 등의 내용을 신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행정심판 단심제를 취하는 현행 제도에서 불합리한 법령의 존속을 예방하고 법치행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행정심판위원회의 기능에 규범통제기능이 추가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행정심판과 지방자치

        문상덕(Mun Sang Deok)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06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6 No.2

        1984년 제정되고 1985년부터 시행된 행정심판법은 행정심판기구의 확대 개편을 통하여 행정심판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응하면서, 청구인의 심판절차상의 편의 및 절차적 권익을 도모하였고, 헌법에 표명된 행정심판에의 사법절차의 확대 적용을 통하여 행정구제적 기능과 역할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 왔다. 그런데 지방자치제가 복원된 현재에 있어서는 행정심판의 권익구제기능의 확대가 지방자치권의 침해 가능성으로 이어질 수 있어 행정심판제도의 보완이 요청된다 하겠다. 독일과 프랑스, 일본 등에 있어 특히 자치사무에 관한 자치행정청의 처분에 대하여는 그 처분청 스스로가 재결청이 되도록 하고 있는 점이라든가, 자치행정청 이외의 기관에 의한 행정심판이 허용되는 경우에도 그 심리 및 재결의 범위는 위법사유에만 국한되고 자치행정청의 재량적ㆍ정책적 당ㆍ부당의 문제에 대하여는 재결로서 관여할 수 없게 한 점 등은, 행정심판의 구제적 기능을 중시하면서도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 보호를 기하려는 입법목적에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행정심판제도는 그 도입 시에 지방자치의 미 실시로 인하여 지방자치단체를 독립적 법주체 내지 대등한 행정주체로 인정하려는 전제가 부족하였고, 현재에 있어서도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를 위임사무(단체위임사무와 기관위임사무)와 자치사무로 구분하고 사무에 따른 국가기관 등의 감독적 관여의 방법이나 범위, 그에 대한 불복수단 등을 이원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지방자치법과, 심판대상인 처분과 관련된 사무에 관하여 위임사무ㆍ자치사무 여부를 구분함이 없이 지방자치단체의 모든 사무에 관한 자치행정청(단체장 등)의 처분에 대하여 통일적인 행정심판기구 및 절차(심리ㆍ재결절차)를 채택ㆍ유지하고 있는 행정심판법의 비정합적 규율구조로 인해, 지방자치법상 의도된 자치권 보호의 정신이 적어도 행정심판법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 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현행 행정심판법에 의할 때, 자치사무에 관한 처분취소심판의 경우, 행정심판을 통한 자치권 침해의 양상은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지적될 수 있다. 예컨대 피청구인이 시ㆍ도지사인 경우에는 i) 그 취소심판의 심리ㆍ의결과 그에 따른 재결을 모두 처분청이 소속된 법주체(시ㆍ도)가 아닌 별개의 법주체로서의 국가의 행정기관인 국무총리행정심판위원회와 주무부장관이 각각 담당하게 되어, 행정의 자기통제가 타자통제로 변질된다는 점, ii) 심판 청구에 대한 심리 내지 의결(재결)의 범위도 처분의 위법성 뿐 아니라 부당성에까지 미치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의 독자적 정책의 당ㆍ부당의 문제가 타자통제에 의한 심리의 대상이 된다는 점, iii) 처분의 위험 또는 부당을 이유로 한 인용재결(취소재결)로 패배한 피청구인(시ㆍ도지사)에게 불복제소권을 인정하지 않음으로 인해(해석론은 별개), 행정심판기관에 의한 재결이 당해 법률분쟁의 종국적인 결정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 등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행정구제적 목적과 지방자치권 보장의 조화를 도모하는 행정 심판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 개선방안으로 먼저, 지방자치법이 채택하고 있는 사무구분체제를 고려하여, 행정심판의 경우에도 위임사무와 자치사무에 대하여 각각 행정심판의 절차를 이원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즉 위임사무 관련 처분에 대해서는 현행 행정심판법의 체제를 그대로 유지하여도 무방하되, 지방자치단체의 자치 사무 관련 처분에 대하여는 먼저 해석론으로서 자치사무에 대해서는 이론적으로 소관감독행정기관이 없다고 보아 그 재결청도 행정심판법 제5조 제2항 제3호에 따라 그 밖에 소관 감독행정기관이 없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 처분청인 시ㆍ도지사 스스로가 재결청이 된다고 해석하는 방안이다. 그리고 해석론적 한계를 보완하는 입법론으로는, 자치사무와 관련해서는 당해 단체장의 처분에 대해 소관 감독행정기관이 없는 경우로서 처분청(단체장) 스스로가 재결청이 된다는 점을 명문으로 규정하고, 단체장 소속 행정기관이나 하부 행정기관의 자치사무 관련 처분에 대하여는 상급청이자 감독청으로서의 단체장이 재결청이 되도록 규정하여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이 경우 처분청 스스로가 재결청이 되므로 행정심판의 공정성ㆍ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위원의 위촉에 있어서 15인의 위원 중 7인은 단체장이 직접 위촉하고 과반수인 8인은 지방의회가 추천하는 인사를 단체장이 위촉하도록 하며, 행정심판위원회 위원장은 민간위원 중에서 전체 위원의 투표로서 다수표를 얻는 자로 정하고, 모든 행정심판 회의에 있어서는 변호사와 법률학 교수를 반드시 각 1인 이상 지정되도록 하는 규정을 신설할 필요성이 크며, 기초지방자치단체인 시ㆍ군ㆍ구에도 소속 행정심판위원회가 설치되어야 한다 The Administrative Appeals Act established in 1984 and come into effect in 1985 has been developed mostly for the administrative relief. However in the era of local self-government, the expansion of the relief function of Administrative Appeals can come to infringe on the right of self-government. In Germany, France and Japan, not the agency of central government or another body corporate(another local government) but the agency of local government which takes an administrative act(measure) on it s own affairs becomes the agency for the adjudication(decision) of administrative appeals by itself. And that is for the guarantee of the right of self-government. The Administrative Appeals Act in force doesn t know the difference of delegated affairs and it s own affairs of local government unlike Local Self-Government Act. In the concrete, there are some problems in Administrative Appeals Act in force like these. i) There is no guarantee of self-control in the administrative appeals on it s own affairs of local government, ii) Not only illegality but also unreasonableness of the acts of administrative agencies can be judged by another body corporate. iii) There is no guarantee of locus standi to the agency which is lost a suit in administrative appeals. Therefore, I d like to insist on next three points. First, it needs that the administrative appeals procedures must be divided into two different procedure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 of affairs(delegated affairs and it s own affairs) of local government. Especially, the agency of local government which takes an administrative act(measure) on it s own affairs should become the agency for the adjudication(decision) of administrative appeals by itself for the guarantee of the right of self-government. Second, the chief of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should be elected by mutual vote and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of city, county, ward(district) should be organized. Third, an opportunity of new trial to the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a body established under the Prime Minister should be given to the agency which is defeated in the administrative appeals and the locus standi should be given to the agency which is defeated in the new trial.

      • KCI등재

        행정심판에서 청구기간,방식,집행정지와 임시처분

        여경수 ( Gyeong Su Yeo ) 영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영남법학 Vol.0 No.3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lieve citizens through administrative appeals from any infringement of rights or interests due to an illegal or unreasonable disposition or omission of public power by administrative agencies, thereby achieving a due operation of administration. This paper is mainly on (1) Period for Appeal, (2) Method of Appeals, (3) Suspension of Execution, (4) Provisional Disposition. (1) Period for Appeal : An appeal shall be brought vithin 90 days from the date on which an appellant becomes aware that a disposition has been made. No appeal may be brought after 180 days pass from the date a disposition is made: Provided, That in cases where any extenuating ground exists, the same shall not apply. (2) Method of Appeals: An appeal shall be raised in iting. In cases of appeals against disposition, the following matters shall be included in the written appeal for adjudication : (ㄱ) Name, address or office of the appellant, (ㄴ) The appellee and the commission, (ㄷ) Details of a disposition against which the appeal has been brought, (ㄹ) Date on which the appellant becomes aware that a disposition has been made, (ㅁ)Purport and reason of appeal. (ㅂ) Whether the administrative appeal is notified to the appellee, and the details of such notification, if any. (3) Suspension of Execution No appeal shall adversely affect the effect of disposition, or execution thereof or continuation of proceedings. If the commission deems that it is urgent to prevent a possible serious loss to be caused by a disposition or execution thereof or continuation of proceedings, it may, ex officio or upon request by the party, decide to suspend the whole or part of the effect of such disposition, or execution of disposition or continuation of proceedings. Provided, That in cases where the object of a suspension of the effect of the disposition is attainable by suspending the execution of the disposition or continuation of proceedings, suspension of the effect of the disposition itself shall not be permitted. (4) Provisional Disposition In cases where a disposition or ommission is deemed to be illegal and unfair and thus it is necessary to grant temporary status to prevent a serious disadvantage or urgent danger that the disposition or omission might cause to the party, the commission may issue a provisional disposition ex officio or upon request by the party.

      • KCI등재후보

        국무총리행정심판위원회와 시·도행정 심판위원회의 통합 논의에 관한 고찰

        김연태 ( Yeon Tae Kim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09 고려법학 Vol.0 No.52

        How we organize administrative appeals agencies depends on legislation policy, considering the tenor of administrative appeals system. To guarantee the fairness of administrative appeals is the most important because through this public faith is ensured and the consequence of administrative appeals is justified. The fairness of administrative appeals not being secured, thereby the consequence of administrative appeals not being trusted, administrative appeals system doesn`t function as preceding instance procedure. Making sure, inter alia, independence of administrative appeals agencies is necessary to guarantee the fairness of administrative appeals. Besides the professionalism of members of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is the essence in elevating the consequential reasonableness of administrative appeals and the acceptability of parties and further, administrative appeals functioning as effective remedy system. We can appraise that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under the prime minister is equipped with disinterested quality as independent agency, neutrality and professionalism, compared with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under the Special Metropolitan City Mayor, Metropolitan City Mayor, Do governor or Jeju Special Autonomous Do governor(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of City/Do"). I think that to unify the one and the other is problematic in relation to interference with autonomous right, diversities of regional circumstances, rapidity in dealing with the cases, inhabitants` accessibility and performance of function to control administration autonomously by administrative appeals. It is desirable to solve the problems of operation, composition, etc in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of City/Do rather by preserving the current dualistic frame of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system and seeking the reform measures in operating that of City/Do than by merging it into that under the prime minister.

      • KCI등재

        행정사(行政士)의 행정심판 대리에 관한 법적 검토

        김민수 한국토지공법학회 2024 土地公法硏究 Vol.107 No.-

        국문초록 행정사는 국가전문자격사로서 ‘행정과 관련한 국민의 편익 도모’와 ‘행정제도의 건전한 발전’을 목적으로, 오랜 세월 국민이 직면한 위법·부당한 행정처분을 구제하기 위한 행정불복 업무를 수행해 왔다. 아울러 행정사의 전문성에 대해서는 헌법재판소에서 인정되고 있고, 2013년부터 시행된 행정사 자격시험에서는 행정법 및 행정심판 사건 해결 능력을 평가하고 있다. 이처럼 행정사는 행정심판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고, 그와 밀접한 관계에 있으나 관계 법령상 행정심판 절차 전반을 대리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부족하여 행정심판 청구서 작성 및 제출 대행에 머물러 있다. 행정심판은 국민의 일상생활 전반에 관련된 행정작용이라는 점에서 그 분쟁 대상이 직접적으로 경제적 가치로 환산되지 아니하거나 실제 경제적 가치를 따져보더라도 소송사건 비해 상대적으로 소액인 경우가 많은데, 일반 행정심판 사건의 경우 변호사에게 대리권이 독점되고 있고, 이로 인해 국민은 행정심판 절차상 대리인의 조력을 받고자 할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실정이다. 일본의 행정서사제도는 2014년 특정행정사제도를 도입하여 일정한 요건을 갖춘 행정사에게 행정심판 대리권을 수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6년 행정사의 행정심판 대리권을 골자로 행정사법 개정을 추진한 바 있으나, 변호사단체의 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 대한변호사협회는 행정심판이 사법작용이라는 전제에서 사법적 지식이 검증된 변호사가 수행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한다. 그러나 행정심판은 권력분립상 행정부 내부의 행정절차로서 행정소송과 차별되어 발전해 왔다. 더욱이 독일의 경우 오늘날 행정심판은 순수한 행정절차로 보고 있고, 일본이 지난 2014년 이의신청과 행정심판을 통합하여 행정부 내부의 행정불복심사청구제도를 만든 사례에서 보듯 행정심판은 행정작용의 성격이 강하다. 행정사의 행정심판 대리권은 우선적으로 행정사법상 업무 범위에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는데, 일본 특정행정사제도 모델처럼 소정의 연수와 시험을 통과한 행정사에게 행정심판 대리권을 수여하는 방식이 참고할 만하다. 행정사에게 행정심판 대리권 부여는 국민이 행정심판 절차상 조력자에 대한 선택의 자유를 확대·보장할 수 있다. 더욱이 행정심판 법률시장의 자유로운 경쟁을 촉진함으로써 국민이 행정분쟁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어, 기존에 전문가의 조력을 받지 못하던 대다수 국민도 대리인을 선임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수 있다. 이는 국민의 행정심판 접근성을 확대하고, 행정심판이 추구하는 국민의 권익구제와 행정의 적정한 운영에 대한 효용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Abstract The Administrative Attorney, as nationally certified professionals, aims to protect the rights of the people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Administrative Attorneys have long been engaged in the mission of administrative appeals to address and correct unlawful and unjust dispositions encountered by the public. The Constitutional Court recognizes their expertise in administrative matters. Since 2013, the administrative attorney qualification exam has assessed candidates’ knowledge of administrative law and their ability to resolve administrative appeals cases. Thus, administrative attorneys possess expertise in administrative appeals and are closely connected to them. However, due to legislative gaps, the role of administrative attorneys in the administrative appeals process is limited. Administrative appeals are related to various aspects of everyday life for people. The subjects of disputes are often difficult to quantify in terms of economic value, or, even when an economic value is considered, it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litigation cases. In most administrative appeal cases, attorneys have an exclusive right to represent clients. As a result, people face relatively high costs if they seek assistance from a representative in the administrative appeal process. Meanwhile, The Japanese administrative attorney system implemented the special administrative attorney in 2014, granting administrative attorneys who meet certain requirements the authority to represent clients in administrative appeals. Authorities in our country attempted to amend the Administrative Attorney Act in 2016 to grant administrative attorneys the right to represent clients in administrative appeals. However, this effort was unsuccessful due to opposition from lawyer associations. Lawyer associations assert that administrative appeals are judicial procedures and argue that they should be handled by attorneys with verified legal knowledge. However, administrative appeals have evolved as an internal administrative procedure within the executive branch, distinct from judicial proceedings, due to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Indeed, in Germany, administrative appeals are currently regarded as purely administrative procedures. Furthermore, as seen in Japan's integration of objections and administrative appeals into an internal administrative review system in 2014, administrative appeals have a distinctly administrative nature. The right of administrative attorneys to represent clients in administrative appeals should first be explicitly included in the scope of their duties under the Administrative Attorney Act. It is worth considering a system similar to Japan's special administrative attorney system, where administrative attorneys are granted representation rights after completing specific training and passing an examination. The authority of administrative attorneys to represent clients in administrative appeals can expand and ensure people's right to choose their representatives in the administrative appeal process. Furthermore, by promoting free competition in the legal market, it can reduce the costs associated with administrative disputes for people and provide an opportunity for many who previously could not afford professional assistance to hire representatives. This can enhance the accessibility of administrative appeals for the public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se appeals in protecting people's rights and ensuring the proper functioning of administration.

      • KCI등재

        상소의 이익과 부대상소

        이정환 ( Jeung Hawn Lee ) 영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영남법학 Vol.0 No.34

        민사소송상 상소라 함은 당사자, 기타의 소송관계인이 하급법원이 자기에게 불이익하게 내린 미확정의 재판에 대하여 상급법원에 그 서정을 구하는 볼복신 칭의 방법이다. 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소의 경우에도 적법요건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그 이유유무를 심리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소의 적법요건을 상소요건이라고 한다. 이러한 상소요건 중의 하나인 상소의 이익은 상소인이 원재판에 의하여 불이익을 입고 있어야 한다. 상소의 이익은 소송요건인 소의 이익과 동일하게 상소 인의 불복산청을 선별함으로써 파상소인과 법원의 부담을 일정정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므로 법원은 상소의 이익이 있는 상소에 대해서만 본안의 재판을 할 것이고, 그 이익이 없는 상소는 배척하여야 하며, 상소이익의 존재에 그 흠이 있는 상소는 부적법한 상소로서 각하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소의 이익에 대하여 민사소송법은 명문의 규정이 없이 흠결하고 있지만, 상소제도의 목적과 상소심의 구체적인 존재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개남으로서 기능한다. 그리하여 상소인이 어떠한 경우에 상소의 이익이 존재한다고 할 갓인가, 그 존부를 판정하는 기준을 어디에서 구할 것인가 하는 점은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즉, 상소의 이익은 권리보호의 이익의 특수한 형태로서 무익한 상소권행사를 견제하자는 것이다. 그 구체적인 내용에 관하여는 학설의 변경과 대립이 있다. 이에 반하여 어느 당사자가 상소기간 대에 상소를 제기하지 아니하여 도과되었거나 상소권의 포기에 의해 상소권을 상실한 피상소인이 상소심 계속후에 심판의 대상을 확장하고, 원재판을 자기에게 유리하게 변경할 것을 구하는 불복신 청을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불복신청을 부대상소라고 한다. 상소인은 스스로 불복신청에 의에 상소심의 심판대상을 한정할 수 있으므로 원재판보다 불이익한 재판을 받을 위험이 없고, 공격방법으로 불복의 범위를 변 경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피상소인이 심판대상의 변경권을 갖지 못한다고 하 면 방어에 최대한 성공하여도 원재판유지에 그치게 되고, 상소제기에 관하여 피상소인이 예측을 잘못한 것을 고려하여도, 상소인에 비하여 절차적 지위가 현저 하게 약화된다. 그리하여 상소심에서 당사자간의 평등을 도모하고, 소송경제를 도모하기 위하여 피상소인에 대하여도 변론의 종결에 이르기까지 불복의 신청을 할 수 있도록 부대상소제도가 만들어진 것이다. 이러한 제도가 피상소인에게 마련됨으로서 양당사자가 상대방을 의심하여 상 소를 제기할 염려가 적어져 상소심의 부담경감에 기여하고, 상소심이 원판결을 불이익하게 변경하는 것이 작당한 경우에 심판대상변경의 석명도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부대상소의 성질론에 관하여는 다툼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어떠한 경우에 상소의 이익이 존재하는가의 문제와 상소의 이익의 존부판정에 관한 문제를 학설과 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또한 공평의 원칙에 입각한 피상소인의 불복신창방법인 부대상소의 성질을 살펴봄으로서 부대상소에서도 상소의 이익이 요구되는가의 문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Appeal in a civil suit is a motion to challenge against non-final judgment of lower court filed with a higher court by a party or other relevant person who was disadvantaged from such judgment As the instant of original [ding, the higher court grants a motion to appeal in order to review of the case appeal until a person filing such motion satisfies certain requirements. We call those requirements as ``appeal filing requirements``. One of ``appeal filing requirements`` is redressability. This means that the appellant must be disadvantaged from the judgment of lower court so that the appeal court decision favoring appellant can redress him or her. This requirement of redressability functions to ease both the appellee`s burden and the court`s case load to some extent. Thus, the court must review on merits only for the appealed case satisfying the redressabiliry requirement and deny motions to appeal otherwise so that an appeal not-satisfying that requirement is dismissed as an appeal not-satisfying legal prerequisite. While the Civil Procedure Act does not expressly prescribe this redressability requirement, that requirement plays an important role with respect to the purpose of appeal system and the practice of the higher courts taking motions to appeal. Thus, the following matters become important issues: In which instances the cowl finds that redressabiht3- requirement met: Where the court finds the criteria for such decision. In other words, while the requirement of redressahility is intended to prevent a frivolous exercise of right to appeal, there have been divergent theories on the details of that requirement, in other hands, an appellee. who did not file a motion to appeal until the expiration of appeal filing or lost his or her right to appeal by signing a waiver of right of recourse, can file his or her own motion to appeal during appeal proceeding initiated by the other party`, appellant. In that motion, the appellee can extend the subject matter of the case at issue and require the court to vacate the original judgment of lower court and to deliver a decision in favor of him or her. We can call this appellee`s motion to appeal as a collateral appeal. It is not likely that the appellee will be more disadvantaged in the appeal than in the lower court. The appellee can also change the subject matters for higher court`s review so that he or she can easily dispute with the other party. Otherwise, although the appellee is successful in defending against the appellant`s claim, the appellee will not be granted more favorable decision from die higher court. Thus, even considering the appellee`s own fault in his or her expectation of appeal, the status of appellee in terms of the exercise of his or her procedural right becomes substantially week compared with the appellant. This is the backgrounds to the process of ``collateral appeal`` where even an appellee can file a motion to challenge until the end of oral argument enhancing the equality between the parties in appeal proceedings. By allowing an appellee to file a ``collateral appeal.`` the number of appeals filed due to distrust between die parties is likely to decrease and thus a higher court can be relieved its burden of case load. In addition, for the case where the decision of lower court shall he changed in favor of an appellee, it is easy for the appellee to make his or her argument and provide evidence to support that argument. However, there are different views about the nature of collateral appeal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ories and case laws to explore following matters: in which instances the court finds the redressability requirement met; what is the court criteria to decide whether such redressability is satisfied or not. Also, I would like to examine the nature of ``collateral appeal``, which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equality, allowing the appellee to challenge against the decision disfavoring him or her in order to find out the question whether the redressahilitv requirement must be also required for a ``collateral appeal.``

      • KCI우수등재

        토지 부문의 행정심판 통합 - 중앙행정심판위원회와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행정심판 통합 문제를 중심으로 -

        정남철 법조협회 2024 法曹 Vol.73 No.1

        특별행정심판제도의 남설로 인해 국민의 권리구제 선택에 어려움을 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행정심판 통합은 오래전부터 논의되었지만, 오늘날에도 여전히 어려운 문제다. 행정심판 통합 문제를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실현되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는 행정조직의 통폐합뿐만 아니라 특별행정심판 재결의 특수성도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행정심판의 통합은 행정소송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행정심판 통합을 분야별로 검토하는 것이 중요한 출발점이다. 본고에서는 중앙토지수용위원회와 중앙행정심판위원회의 행정심판 통합을 검토하였다. 행정심판의 전문성과 특수성을 고려할 때 중앙토지수용위원회를 폐지하고 그 기능을 중앙행정심판위원회에 흡수하는 방안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개발이익환수에 관한 법률」에 따른 개발부담금, 「재건축초과이익 환수에 관한 법률」에 따른 재건축부담금 등의 부과처분에 관한 행정심판 사건은 통상적인 금전급부를 다투는 것이므로 중앙행정심판위원회에서 통합하여 관할하더라도 큰 문제는 없다.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행정심판(특히 이의재결)을 중앙행정심판위원회에 이전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쟁점이다.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수용재결에 불복하는 이의신청에 대해 다시 중앙토지수용위원회가 재결을 내리는 것은 행정의 자기통제와 권리구제라는 행정심판의 제도적 기능에 비추어 적절하지 않다. 이러한 방식은 행정심판의 공정성이나 절차적 정의의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행정심판(특히 이의재결) 권한을 이전할 경우, 청구기간이나 간접강제 등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인의 권리구제에 유리한 점도 있다. 그러나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이의재결 권한을 중앙행정심판위원회로 이전하면 행정심판이나 행정소송에 여러 가지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가 일반 국민에게 혼선을 초래할 수 있는 측면도 있으므로 행정조직의 무리한 통합보다는 행정심판의 기능적 통합을 단계적으로 실현하는 방안이 합리적이다. The overuse of the special administrative review system has made it difficult for people to choose their legal remedies. Although the unification of administrative appeals has been discussed for a long time, it is still a problematic issue today.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unification of administrative appeals in a single step. This is because it involves the integration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the specificities of adjudication of special administrative appeals. Moreover, the unification of administrative appeal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dministrative litigation. An important starting point is to examine the integration of administrative appeals by sector. This paper examines the integration of administrative appeals by the Central Land Tribunal and the Central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Given the professionalism and specificity of administrative appeals, it is not advisable to abolish the Central Land Tribunal and integrate its functions into the Central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However, administrative appeals regarding the imposition of development charges under the Development Profit Recovery Act and reconstruction levies under the Reconstruction Excess Profit Recovery Act are generally disputes over monetary payments, so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Central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consolidating and assuming jurisdiction over them. An important question is whether administrative appeals (especially appeals) of the Central Land Tribunal can be transferred to the Central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It is not appropriate for tfhe institutional function of administrative review to be administrative self-regulation and for the Central Land Tribunal to again decide the appeals against the expropriation decision of the Central Land Tribunal. It is also undesirable from the view of fairness and procedural justice in administrative appeals. Transferring the authority of administrative appeals to the Central Land Tribunal has some advantages for the rights of private individuals, such as the ability to utilize the claim period and indirect coercion. However, transferring the authority to adjudicate appeals from the Central Land Tribunal to the Central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may result in various changes to administrative appeals and administrative litigation. As these changes may confuse the general public, it is reasonable to realize the functional integration of administrative appeals in stages rather than the unfeasible integration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 KCI등재

        행정심판에서 재결의 효력

        여경수 忠北大學校 法科大學 法學硏究所 2013 法學硏究 Vol.24 No.1

        The central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which has been correcting national organizations' wrong administrative doings and protecting citizens' rights. This study focuses on Scope of Ruling and Binding Force, etc. of Ruling. If an appeal is unlawful, a commission shall dismiss it. If a commission finds that an appeal is groundless, it shall reject the appeal. If a commission finds that an appeal for revocation is well-grounded, it shall revoke or alter the disposition or order the administrative agency which made such disposition to revoke or alter it. If a commission finds that an appeal for affirmation of nullity, etc. is well-grounded, it shall affirm as to whether a disposition is effective, or whether a disposition has been made. If a commission finds that an appeal for performance of obligation is well-grounded, it shall promptly make a disposition in conformity with the request, or order to do so to an appellee. Circumstantial Rulings ; Even if a commission deems that an appeal is well-grounded, if accepting it is believed to be detrimental to the public welfare, it may reject the appeal. In such cases, the commission shall specify it in the main sentence of the ruling that the disposition or omission is unlawful or unreasonable. A ruling shall be made within 60 days from the date on which an appellee or a commission has received a written appeal. Provided, That if unavoidable circumstances exist to the contrary, a chairperson may extend the period thereof by 30 days ex officio. A commission shall not make any ruling on matters, other than a disposition or omission which is the subject matter of an appeal. A commission shall not make any ruling more unfavorable for the appellant than a disposition which is the object of an appeal. A ruling recognized by an appeal shall restrict an appellee and other relevant administrative agencies. 행정심판위원회는 행정의 잘못을 바로 잡아서 국민의 권리를 보장하고 있다. 본 논문은 재결의 효력과 범위를 중점으로 다룬다. 재결의 공정성과 실효성을 확보하여 행정심판의 목적을 실현해야한다. 재결은 각하, 기각, 인용으로 구분된다. 위원회는 심판청구가 적법하지 아니하면 그 심판청구를 각하한다. 위원회는 심판청구가 이유가 없다고 인정하면 그 심판청구를 기각한다. 위원회는 취소심판의 청구가 이유가 있다고 인정하면 처분을 취소 또는 다른 처분으로 변경하거나 처분을 다른 처분으로 변경할 것을 피청구인에게 명한다. 행정심판위원회는 심판청구가 이유가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도 이를 인용하는 것이 공공복리에 크게 위배된다고 인정하면 그 심판청구를 기각하는 재결을 할 수 있다. 이를 사정재결이라고 한다. 이 경우에는 위원회는 재결의 주문에서 그 처분 또는 부작위가 위법하거나 부당하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밝혀야 한다. 재결의 기간은 피청구인 또는 위원회가 심판청구서를 받은 날부터 60일 이내에 하여야 한다. 다만, 부득이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위원장이 직권으로 30일을 연장할 수 있다. 재결의 범위는 위원회는 심판청구의 대상이 되는 처분 또는 부작위 외의 사항에 대하여는 재결하지 못한다. 위원회는 심판청구의 대상이 되는 처분보다 청구인에게 불리한 재결을 하지 못한다. 그리고 재결의 기속력으로 심판청구를 인용하는 재결은 피청구인과 그 밖의 관계 행정청을 기속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