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리사회적 노화와 연령통합 인식: 가족주의 및 가족결속의 조절효과 분석

        정순둘 ( Chung Soon-dool ),김민경 ( Kim Min-kyoung ),김은주 ( Kim Eun-joo ),김주현 ( Kim Ju-hyu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가족복지학 Vol.5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사회적노화가 연령통합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가족주의 및 가족결속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연령통합을 위한 가족 차원의 실천적 정책적 개입 근거의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된 「2014년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조사」이며, 40세부터 90세까지 702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분석은 STATA13.1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이 낮을수록 연령통합인식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주의와 가족결속은 연령통합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심리사회적 노화와 상호작용하여 연령통합인식을 상승시키는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심리사회적 노화가 부정적이며, 연령통합인식을 감소시킬 때, 가족중심적인 사고와 실제적인 가족 간 교류와 결속은 연령통합인식을 상승시키는 순수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심리사회적 노화가 부정적인 시점에서 가족중심의 가치와 가족 간 교류와 결속을 강화하는 것이 연령통합인식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sychosocial aging on age integr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ism and Family solidarity. In particula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establishing a basis of practical and political intervention in family level for improving age integration. We employed data from the `Ageing Society Awareness Investigation` funded by Korea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in 2014. Our analysis sample consisted of 702 adults who were from 40 to 90 years old. Also,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TATA13. First of all, the lower psychosocial aging awareness is the higher age integration awareness. Familism and family solidarity were not a significant predictor for age integration.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familism as well as family solidarity and psychosocial aging ware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age integration. That is to say that as psychosocial aging is negative, when decrease age integration, the net moderating effects of familism and family solidarity were found between age integration and psychosocial aging.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that reinforcing family value and promoting interaction and solidarity with family members are positively contributed to age integration awareness at this point of negative psychosocial aging.

      • KCI등재

        위계적 선형모형(HLM)을 이용한 연령집단별 연령통합인식에 미치는 영향분석

        김미리,정순둘 한국조사연구학회 2018 조사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ived family solidarity and age-friendly environment on the perception of age integration, and to suggest approaches that can increase the perception of age integration.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youth, middle-age and older adults, each group consisting 294, 357 and 353. The data from SSK(Social Sciences Korea) were analyzed using HLM(Hierarchical Linear Modeling) with two- level approach to reflect the nested complexion of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r level-1 predictor, youth group showed higher perception of age integration with higher monthly income, higher affectional solidarity, and more age-friendly the physical environment was. Middle-age group showed higher perception of age integration with lower associational solidarity, higher affectional solidarity, and more age-friendly the physical environment was. Lastly, older adults group showed higher perception of age integration with lower self-rated health status, lower contact with family members and higher functional solidarity. For level-2 predictor, middle-age group showed higher perception of age integration when the cities have higher percentage of older adults. This study discussed about the importance of enhancing family relation and making age-friendly cities to promote the perception of age integration. 본 연구는 개인이 지각한 가족결속도와 지역사회 고령친화환경 조성도 및 지역사회의 고령인구비율과 지역크기가 개인의 연령통합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연령집단별로 확인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연령통합인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청년층 294명, 중년층 357명, 노년층 353명을 포함한 총 1,004명이며, SSK(Social Sciences Korea) 사업단에서 수집한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2-수준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al Linear Mondel; HLM)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수준에서 청년층은 월평균 소득이 높고, 가족과 애정적 결속도가 높고, 지역사회의 물리적 환경을 고령친화적으로 생각할수록 높은 연령통합인식을 보였다. 중년층은 가족과 접촉을 적게 할수록, 가족과 애정적 결속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지역사회의 물리적 환경을 고령친화적이라고 인식할수록 높은 연령통합인식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노년층은 주관적 건강상태를 나쁘게 느낄수록, 가족과 접촉을 적게 할수록, 그리고 가족과 서로 도움을 많이 교환하는 기능적 결속도가 높을수록 높은 연령통합인식을 보였다. 지역 수준에서는 중년층의 경우에만 고령인구비율이 높은 곳에 거주할수록 높은 연령통합인식을 보였다. 분석을 통해 연령통합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가족관계 향상과 고령친화적인 물리적 환경 조성에 대한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단축형 연령통합척도 타당화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연령통합인식 관계: 연령집단 간 비교

        정순둘,임정숙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1

        This study validates an abridged version of the age integration scale by Chung et al. (2015), which constitutes sub-dimensions of age flexibility and age heterogeneity-from Riley et al. (1994)-and observes disparities in the perception of age integration among different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1,433 people in the "Age Integration and Generation Integration Survey" data, with the support of the Social Science Competency Enhancement Project (SSK) (support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This paper analyzed the data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ultiple-group factor analysis, and a compare means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ale was abridged to 13 items from 28, of which eight items concern age heterogeneity and five concern age flexibility. Second, the multi-group analysi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younger, middle, and older age groups, therefore allowing the scale to be used among all age groups. Third, when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younger adult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levels of age integration, age heterogeneity, and age flexibility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Middle-aged adult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levels of age integration, age heterogeneity, and age flexibility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and social status. Older adult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level of age integration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education level, and social status. They also showed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ge flexibility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and social status and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ge heterogeneity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and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olitical and practical measures to promote perception on age integration in the future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정순둘 등(2015)이 개발한 연령통합척도를 Riley 등(1994)이 개념구성한 연령유연성과 연령다양성을 하위요인으로 한 단축형 연령통합척도로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척도의 실용성을 확보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징에 따른 연령통합인식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한 사회과학역량강화지원사업(SSK)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령통합 및 세대통합 조사’자료의 총 143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다집단 요인분석, 평균비교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척도는 총 28문항에서 13문항으로 수정되었으며, 연령다양성 8문항, 연령유연성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청년, 중년, 노년 집단으로 분류하여 다집단 요인분석에서 연령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전 연령에서 사용가능성이 확보되었다. 셋째, 연령집단 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연령통합인식 차이에서 청년집단은 거주지역에서만 연령통합인식, 연령유연성, 연령다양성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년집단에서는 거주지역과 계층인식에서 연령통합인식, 연령 유연성, 연령다양성 차이를 보였다. 노년집단은 연령통합인식에서는 거주지역, 교육수준, 계층인식이 유의미하였으며, 연령유연성에서는 거주지역과 계층인식, 연령다양성에서는 거주지역과 교육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연령통합인식 향상을 위한 연구를 위한 방향과 정책 및 실천을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 및 영향요인: 연령집단별 비교

        정순둘 ( Chung Soondool ),정세미 ( Chung Semi ),이미우 ( Lee Miwoo ),임정숙 ( Lim Jungsu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保健社會硏究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집단별로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만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령집단은 20-44세, 45-64세, 65세 이상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령별 연령통합인식의 수준과 연령통합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지역사회요인을 비교하기 위해 ANOVA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은 연령집단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이 높은 집단일수록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이 낮았다.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세 연령집단 모두 지역사회접근성이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는 가족주의로 나타났다. 개인의 사회활동참여수준은 45-64세 연령집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나이로 인한 차별경험은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 향상을 위해서는 연령통합적인 사회구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모든 연령이 접근 가능한 지역환경구성, 긍정적 가족가치관과 관계 형성, 세대 간 교류 활성화를 위한 사회참여 등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erceived level of age integration, and to find out variables affecting age integration by three different age groups. We us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1,000 adults who are aged 20 and over.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erceived level of age integration varied across age groups, 2)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perception of age integration, 3) community accessibility and familism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explain age integration, 4) social participation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for explain age integration only in the 45-64 age group. However, discrimination experiences due to age were not related to perception of age integration. Suggestions for age integration and constructions for age integrated society have been proposed.

      • KCI등재

        연령통합적 관점에서 본 OECD 각국의 교육체계 비교

        정순둘,정주희,전혜상,최혜지 국회입법조사처 2016 입법과 정책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the level of age integration in education system of OECD countries and to assess practical implication for the age integrated society. We have chosen education indicators of OECD in order to match with conceptual framework of ‘age integration’ such as ‘age flexibility,’ ‘age heterogeneity’ and ‘age equity.’ A total of 18 OECD countries was selected for this study based on the availability of sufficient data. The results revealed that Sweden and Finland were relatively high in the level of ‘age flexibility’ and ‘age heterogeneity’ of age integration, and Canada was higher than other countries in the level of ‘age equity.’ Korea appeared as low in all age integration indicators such as level of ‘age flexibility,’ ‘age heterogeneity’ and ‘age equit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find ways to break down age barriers in education system, interact and harmonize with other gener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통합적 관점에서 각국의 교육체계가 어떠한 수준에 있는지를 살펴보고, 향후 연령통합적 교육체계 마련을 위해 우리나라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OECD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한 이차연구로, 분석대상은 OECD 가입국 중 교육체계에 대한 비교 자료의 확보가 가능한 18개국으로 선정하였다. 연령통합적 교육체계 분석 틀은 연령통합의 개념적 요인인 연령유연성, 연령다양성, 연령형평성 세 차원으로 구성하여 각 국가별로 교육 관련 지표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유연성과 연령다양성이 높은 국가는 스웨덴과 핀란드였고, 연령형평성이 높은 국가는 캐나다였다. 한국은 연령유연성과 연령다양성, 연령형평성 모두 낮은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령사회를 대비하여 교육체계에 있어 연령의 장벽을 낮추고 다양한 세대가 참여하고, 교류할 수 있는 여러 대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한국교회의 대응방안연구

        김정희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6 No.-

        Korea officially became an aged society in 2017. The declining birth rate combined with elder longevity has resulted in rapid population aging. As a corollary, there have been changes in the approach to the issues of an aged population. The elderly, who were considered to be the objects for protection, are now regarded as active participants in society. In an age-differentiated society, the elderly are segregated by age. In an age-integrated society, however, they are given more opportunities to live and work together with individuals of different ages within the society. Though attention to the rapid growth of the elderly population has produced various studies on the issues related to the aging, there has been little focus on age integration. In this study, I suggest age integration as a paradigm for an aged and an super-aged society. I also propose changes in churches that are not prepared for an aged society.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the study discusses the role of the Church in an aged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age integration. Second, in order to meet the challenges of an aged society,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Church should develop more conducive structures for age integration.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it does not explore the action plans and methods to develop an age-integrated church. 2017년 고령사회로 들어선 한국사회는 노인문제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가지게 되었다. 그 이유는 저출산 현상과 고령화 현상에 기인한다. 그로 인해 그동안 노인을 보호의 대상으로 생각했던 것에서 벗어나 적극적이고 생산적인 존재로 생각하게 되었다. 이는 과거 연령주의에 근거하여 노인을 배제의 대상으로 이해했다면 현재에 들어와서는 연령통합에 의해 수용의 대상으로 보게 된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급속한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로 인해 노인에 대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가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연령주의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을 직시하고 고령화를 타개할 수 있는 방안으로 연령주의에 대한 이해와 고령사회 및 초고령사회의 대안 패러다임으로서의 연령통합에 대해 살펴보았다. 더불어 이러한 사회적 변화를 감지하지 못한 교회의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고령사회에서 교회가 어떤 공동체로서의 모습과 역할을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연령통합적 관점을 가지고 논하였다. 둘째, 고령사회를 맞은 교회가 고령친화적 교회로 전환할 것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아쉽게도 본 연구는 연령통합교회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 및 방안을 살펴보지 못했다는 점에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교회가 연령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차별상황도 함께 고려된 프로그램을 연구하는 등 연령통합교회의 구성을 위한 구체적인 대안 마련에 도움이 되는 후속 연구들이 계속되길 바란다.

      • KCI등재

        초고령사회 대비를 위한 연령통합(Age-integrated)의 교회 구현 방안에 관한 연구

        이지현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3 장신논단 Vol.55 No.2

        With the entry into a super-aged society on the verge, it is a very important task of the times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resolve the problem of generational rifts, and find measures to coexist and integrate generations. The government declared its vision of an “age-integrated society” through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in 2020 as a social innovation that responds to demographic change and generational conflict. Various fields of society are also seeking ways to achieve age integration. In preparation for a super-aged society, church needs to find ways to be age integrated. This study suggests a plan to realize an age-integrated church in preparation for a super-aged society. First, based on the concepts of flexible age criteria and age heterogeneity, church should eliminate the structural barriers so that any generation can enjoy the opportunity of equal choice in ministry, service, and education opportunit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worship, education, service, etc. in which generations of various ages can exchange and interact so that empathy and understanding between generations. Second, as the Bible perceives the elderly as people of wisdom and calling, the church should establish a right perception of the elderly as people who can contribute productively to the church, ministry and service opportunities must be actively provided. Finally, church should educate people that an age-integrated church is not just for the elderly, all members of the body of Christ regardless of their age, enjoy mutual-benefit and blessing.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둔 현시점에서 인구구조 변동에 대응하고, 세대 균열 해소와 세대가 공존하고 통합할 수 있는 대책을 찾는 것은 중요한 시대 과제이다. 정부는 2020년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서 인구구조 변화와 세대갈등 문제에 대응하는 사회 혁신으로 ‘연령통합적 사회’ 비전을 처음 제시하면서 세대갈등 완화와 전 세대공존을 위한 정책으로의 전환을 선언하였다. 사회 각 분야에서도 연령통합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교회도 초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노인에 대한 재인식과 함께 어떻게 연령통합 교회의 형태를 구현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을 모색하는 노력이 시급히 요청된다. 본 연구는 초고령사회를 대비하여 연령통합의 교회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연령기준유연성’과 ‘연령다양성’ 개념에 기초하여 사역, 봉사, 교육의 기회에서 그 어느 세대도 제한, 배제, 분리 없이 동등하고 자유롭게 선택의 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구조적 장벽을 없애거나 낮추어야 한다. 아울러 다양한 연령의 세대가 교류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예배와 교제, 교육, 봉사 등을 마련함으로써 세대 간 공감과 이해가 높아지도록 해야 한다. 둘째, 성서가 가르치는 바와 같이 공동체에 생산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주체로서 노인에 대한 관점을 바로 세우고, 노인들이 소명감과 영적 충만을 느낄 수 있도록 사역과 봉사의 기회와 역할을 적극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셋째, 연령통합 교회를 세우는 것이 노인세대만을 위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몸을 이루는 전 연령의 지체 모두에게 주어지는 유익과 축복이라는 점을 일깨워 그리스도의 몸을 위해 온전히 하나된 공동체로 세워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령친화 환경인식이 사회결속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령통합 인식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정순둘(Chung, Soondool),박애리(Park, Aely)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4

        본 연구는 고령친화 환경인식이 사회결속력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연령통합 인식이 고령친화 환경인식과 사회결속력 인식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연구재단의 한국사회기반연구사업(SSK)에서 진행된 ‘2017 연령통합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해서 분석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0세에서 86세까지 성인 997명이였다. 고령친화 환경인식은 WHO에서 제시한 고령친화도시가이드라인 항목을 활용하였으며, 연령통합인식은 연령유연성과 연령다양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측정하였다. 사회결속력 인식은 사회통합에 관한 측정도구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사회적 자본 척도 가운데 신뢰와 사회응집력을 묻는 문항을 사용하 였다. 분석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연령, 성별, 교육수준, 거주지역을 통제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친화 환경인식이 높을수록 대상자들의 사회결속력 인식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령친화 환경인식은 연령통합 인식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쳐 사회결속력 인식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구고령화로 인한 세대 간의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고령친화 환경조성 및 연령통합인식 증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on perceived social bonding.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between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and perceived social bond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2017 Ages Integra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SSK). A total of 997 adults from 20 to 86 ears of ag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was measured using the age-friendly city guidelines set out by WHO and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was measured using questions that asked about age flexibility and age diversity. Also, the social capital scale was used to measure perception of social bonding.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s, age, gender, educational achievement and residential area were controll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was employ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ceived social bonding in a positive direction, controlling for age, gender, educational achievement and residential area. Second,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ge-friendly environment and perceived social bonding controlling for covariat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political and practical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omote age-friendly environment and age-integration.

      • KCI우수등재

        고령사회 대안 패러다임으로써 연령통합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

        최혜지(Choi, Hye-Ji),박정화(Park, Junghwa),권미리(Kwon, Miri),정순둘(Jung, Soon-Dool)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3

        본 연구는 연령통합이 고령사회의 대안 패러다임으로 주목되고 있음에도 국내에서는 담론적 논의마저 부진하며, 사회일반은 논의에서 조차 배제되어 왔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하고 있다. 연령통합이 사회와 개인에게 가져올 영향에 대한 사회일반의 인식을 통해, 고령사회의 대안 패러다임으로서 연령통합이 갖는 유용성을 고찰하고자 했다. 분석의 입체성을 부각하기 위해 사회일반과 전문가의 인식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사회일반은 연령통합의 사회적 및 개인적 영향에 대해 전문가 보다 회의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일반은 고령친화적 지역사회 환경조성, 노인의 사회적 기여증가 등 물리적이고 일상적인 변화를 중심으로 연령통합의 사회적 영향을 이해했다. 반면 전문가는 사회적 연대의 증가, 세대간 이해증진 등 세대간 관계의 질적 변화를 중심으로 인식했다. 연령통합의 개인적 영향은 사회일반의 경우 자기결정권의 중요성 증가, 생애탄력성과 자율성 증가 등 사적 영역을 중심으로 인식해 사회참여 기회의 증가를 중심으로 이해하는 전문가와 차이를 보였다. 사회일반 또는 전문가의 집단소속은 연령통합의 개인적 영향에 대한 인식을 유의미하게 결정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This study started from ideas on lack of discussion regarding age integration emphasized as an alternative paradigm for aged society and exclusion of policy target from discussion on age integration. This study analyzed potentiality of age integration through comparing the perception on impacts of age integration between policy target and professional. Results showed that policy target perceived social and individual effects of age integration more sceptically than professional. Also, policy target reported higher levels of agreement on development of age friendly environment and increase in social contribution by the aged as social impacts of age integration. Otherwise policy target, professional showed higher levels of agreement on enhancement of social solidarity and increase in mutual understanding among generations. In perception on individual impacts of age integration, policy target differed from professional by emphasizing extension of self-determination and self-autonomy. Lastly, group membership of policy target or professional significantly determined levels of agreement on positive impacts of age integration.

      • KCI등재

        자녀교류, 사회적 교류, 고령친화적환경과 연령다양성의 관계: 연령집단별 분석

        정순둘 ( Chung Soondool ),정세미 ( Chung Semi ),이미우 ( Lee Miwo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3

        본 연구는 자녀교류, 사회적 교류와 고령친화적 환경이 연령다양성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연령통합적 사회구성을 위한 대안방안에 모색해보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만 45세 이상 응답자 6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65세의 연령을 기준으로 중년층과 노년층의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 간 자녀교류, 사회적 교류, 고령친화적 환경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t-test를 사용하였으며, 연령다양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두 집단에 각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령다양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중년층과 노년층 모두 고령친화적 환경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류에 있어서 중년층은 사회교류가, 노년층은 자녀의 교류가 연령다양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연령다양성 인식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차원에서 고령친화적 환경의 마련이 필요하며, 개인적 차원에서 중년층은 사회적 교류를 활발하게 하는 방안과 노년층은 자녀와의 교류가 강화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연령통합인식을 연령다양성 관점에서 조망하였으며, 개인차원의 가족, 사회의 교류와 지역적 차원인 고령친화적 환경의 마련이 연령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탐색해 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arent-child interaction, social interaction, and age-friendly environment on the perspective of age heterogeneity, and seeks measures for building an age integrated society. A total of 659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middle-age group consisted of those aged between 45 and 64, and the old-age group consisted of those aged over 65.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ge-friendly environment was a significant predictor in explaining age heterogeneity in both the middle-age and old-age groups. However, social interaction was only significant in explaining age heterogeneity in the middle-age group, while parent-child interaction was only significant in explaining age integration in the old-age group. As a result, establishing an age-friendly environment for both groups, interacting more actively with their children for the old-age group, and engaging in more social interactions with other people for the middle-age group could be suggest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awareness of age integr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examines age integ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ge heterogeneity, and that it explores the influence of human interaction and age-friendly in an integrated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