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igmergy-and-Neighborhood Based Ant Algorithm for Clustering Data

        Heesang Lee,Gyuseok Shim 한국경영과학회 2009 Management Science and Financial Engineering Vol.15 No.1

        Data mining, specially clustering is one of exciting research areas for ant based algorithms. Ant clustering algorithm, however, has many difficulties for resolving practical situations in clustering. We propose a new grid-based ant colony algorithm for clustering of data. The previous ant based clustering algorithms usually tried to find the clusters during picking up or dropping down process of the items of ants using some stigmergy information. In our ant clustering algorithm we try to make the ants reflect neighborhood information within the storage nests. We use two ant classes, search ants and labor ants. In the initial step of the proposed algorithm, the search ants try to guid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rage nests. Then the labor ants try to classify the items using the guide information that has set by the search ants and the stigmergy information that has set by other labor ants. In this procedure the clustering decision of ants is quickly guided and keeping out of from the stagnated process. We experimented and compared our algorithm with other known algorithms for the known and statistically-made data. From these experiments we prove that the suggested ant mining algorithm found the clusters quickly and effectively comparing with a known ant clustering algorithm.

      • KCI등재

        논문 : 라투르, 데닛을 만나다: 행위자 연결망과 지향계 이론

        장대익 ( Da Yk Jang ) 한국과학철학회 2014 과학철학 Vol.17 No.2

        행위자 연결망 이론(actor-network theory, 이하 ANT)에서는 근대를 지탱해온 가장 핵심적인 구분 중 하나인 인간/비인간의 이분법이 사라진다. 거기서 자연과 사회는 인간 행위자와 비인간 행위자 들-비인간 생물과 인공물-의 집합적 행위의 결과일 뿐이며, 과학도 그런 행위자들의 복잡한 네트워크다. 이처럼 ANT는 마음이나 의식이 없는 인공물이나 생명체에게도 행위능력을 부여 하는데, 이 때문에 STS 학계에서 종종 ‘확장된 대칭성’ 또는 ‘일반적 대칭성’을 주장하는 급진 이론으로 간주된다. 그런데 역설적이게도 이 ANT는 과학적 환원주의자라 불릴만한 도킨스, 데닛, 블랙모어 등이 제시하고 발전시킨 밈(meme) 이론과 근본적으로 유사하다. 특히 데닛은 자신의 지향계 이론을 통해 복제자인 밈도 유전자와 마찬가지로 인간 행동에 영향을 주는 행위자라고 주장한다. 게다가 이 이론은 인공물에 정신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왜 가능한지를 말해주기 때문에 비인간 행위자의 지위에 관해 ANT보다 오히려 더 급진적이다. 나는 이 논문에서 ANT와 지향계 이론의 관계를 탐구한다. 두 이론은 부자연스러운 조합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매우 자연스럽고 상보적이기까지 하다는 것이 나의 주장이다. 이를 위해 나는 라투르 류의 ANT와 데닛의 지향계 이론이 피상적 수준을 넘어서는 깊은 유사성을 가진다는 점, 그리고 ANT의 효시라 할 수 있는 타르드의 모방 이론과 모나드론이 그 유사성의 배후에 존재한다는 점을 논증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나는 지향계 이론이 ANT를 새롭게 이해하고 더욱 급진적으로 만드는데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According to actor-network theory (hereafter ANT), a fundamental dichotomy of human/nonhuman that has sustained the modern world has been disappeared. In ANT, nature and society are just products of the aggregates of human and nonhuman actants. ANT scholars argue that sciences are complex networks of heterogeneous agents such as human, nonhuman beings, and artifacts. Because ANT regards artifacts and nonhuman beings as same agents like humans, it has been considered the most radical theory on ‘symmetry thesis’ in the STS field. Ironically, ANT resembles the meme theory conceptually which has been developed by Dawkins, Dennett, and Blackmore etc. and considered to be a scientific reductionism. Especially, Dennett’s intentional systems theory (IST) claims that memes, the new replicators behave as agents like genes and we cannot understand human behaviors and even cultural evolution properly without meme’s eye view. According to the theory, the dichotomy of nature and artifacts has been disappeared as in ANT. Additionally, IST is more radical than ANT on the status of nonhuman actants because IST can make artifacts use mental terms. In this paper, I am going to combine ANT and IST. I argue that both of the two are very similar in a fundamental way and even complementary. For these, I will review an essence of ANT briefly and introduce IST in STS. Then I explore the cross section of IST and ANT. I excavate Gabriel Tarde’s sociology because I believe that his sociology which is considered the forefather of ANT by Latour can shed light on the intentional talks in ANT. Finally I claim that ANTcan be more radical and robust if ANT theorists embrace IST.

      • KCI등재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을 통한 다중공간(space multiple)의 이해 : 코로나19 사태에서 관찰되는 다중공간성

        이준석(June-Seok Lee) 한국공간환경학회 2020 공간과 사회 Vol.30 No.3

        이 연구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이하 ANT)이 공간성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분석한 다음, 그 외연을 현재의 코로나19 사태에 적용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우선 필자는 ANT가 공간성을논의하는 방식을 고찰하기 위해 몇 개의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ANT를 개괄하고자 한다. 그리고 현대사회에서 인간이 살아가는 자연문화(natureculture)의 한 축인 테크노사이언스를ANT가 이해하는 방식을 살펴볼 것이고, 이와 관련하여 공간성이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 검토해볼 것이다. 라투르(Latour)는 자연과 사회의 이분법을 부정하며 근대화의 과정이 아닌 생태화의 과정을 주장하고 있다. 미지의 병원체가 사회와 유리된 자연, 가령 박쥐의 몸 안에만존재할 것이라는 막연한 근대주의적 이분법은 현재의 코로나19 사태를 야기한 이데올로기적배경이 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연구는 ANT 연구자인 몰(Mol)과 로(Law) 등의 다중체(body multiple) 및 다중세계(world multiple) 개념을 차용하는 다중공간(space multiple)의 개념을활용하고자 한다. 이 분석과정에서 ANT에서 주장하는 네 가지 공간성, 즉 네트워크 공간·유클리드 공간·유동적 공간·화염 공간의 분류를 사용할 것이며, 코로나19 사태에서 관찰되는공간은 이러한 다중공간성을 가짐을 보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 다중공간성을 어떻게 다룰 때 코로나19 사태에서 의미 있는 방역적 실천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In this article, I will describe the main concepts of the actor-network theory regarding the spatiality. After analyzing the spatial implications of the key concepts of ANT such as actors/actants, network, and the concept of theories, I will analyze how they can be applied to the understanding of technoscience and spatiality. Lastly, I will describe how ANT can be used to analyze the space laden with COVID-19 pandemic. By doing it, the concept of the space multiple which is a concept borrowed from Mol and Law’s concepts of the body multiple and the world multiple, will be used. Also four modes of spatialities that ANT argues network spatiality, Euclidean spatiality, fluid spatiality and fire spatiality will be discussed to analyze how we can use ANT to prevent the epidemic.

      • KCI등재
      • KCI등재

        자동화와 연결의 시대 일의 교육 연구를 위한 행위자—관계망 이론의 적용 가능성 탐색

        장경진(Kyoungjin Jang),장원섭(Wonsup Chang) 한국성인교육학회 2020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3 No.4

        이 연구는 자동화와 연결의 시대에 변화하고 있는 일의 교육을 기술하고 해석하기 위한 관점으로서 행위자—관계망 이론(Actor-Network Theory, ANT)이 가진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이 연구는 ANT의 주요 개념과 관점을 소개하고, 관계론적 확장이라는 접근법을 중심으로 일의 교육 연구에 있어 ANT가 가진 시사점과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ANT의 핵심 개념인 행위자—관계망, 인간과 비인간의 행위 능력을 동등한 위치에 놓는 대칭성, 현상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는 번역과 번역 과정의 의미를 개관하였다. 나아가, ‘ANT와 그 후(After-ANT)’의 논의를 소개함으로써 ANT의 적용이란 ANT의 용어 자체에 연연하기보다, ANT적 세계관을 연구의 대상이 되는 현상을 기술하는데 적용하는 것임을 밝혔다. 그 후, ANT가 일의 교육에서 사용되던 관계론적 접근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관계론의 해석력을 더욱 확장하는 차원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그러나 ANT 논의가 가진 모호함과 난해함으로 인해 ANT적 관점을 연구에 반영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이다. 이에 앞선 연구의 시도와 연구방법론에 대한 논의를 소개함으로써 ANT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implications of the actor-network theory (ANT) as a perspective for describing and interpreting the education of work, which is facing numerous changes during the era of automation and connectivity. The researchers introduce the main concepts and aspects of ANT and explicate its implications for expanding the explicability of relational approaches in the research on education of work. The meanings of the key ANT concepts, that are ‘actor,’ ‘network,’ ‘translation’ and ‘symmetry’ are explained. Further, the researchers introduce ‘After-ANT approaches to delineate that adopting ANT perspective is not merely adopting the terms of ANT, but utilizing the perspective to describe and critically analyze the subject phenomena. The following section discusses and asserts that ANT can provide insights to expand the implications of the relational approach further. However, due to ANT s ambiguity and difficulty, it remains challenging to adopt the ANT perspective in research. This article attempts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ANT by introducing empirical studies that applied ANT in the themes in the education of work. Discussion on methodology follows.

      • KCI등재

        개미에 대한 여러 가지 생각과 표현

        姜玟求 ( Kang¸ Min-koo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8

        개미는 매우 작은 곤충이기에 미약한 자신의 존재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는 논리를 전개할 때 차용되는 자연물이었다. 한편 개미는 지극히 작지만 제 몸의 크기를 뛰어넘는 힘이 있다는 사실로부터 大小와 强弱을 단순히 결부하는 것은 편견에 불과하다는 논거로도 활용되었다. 미물인 개미가 제 주제도 모르고 强大한 상대에 덤비며, 그것이 추구하는 목표도 하찮고 추잡한 것에 불과하다는 부정적 평가와 시각이 존재하였다. 또 한편으로는 미물이지만 큰 힘을 내는 존재라는 긍정적 시각과 평가도 있었다. 한문학에서 ‘槐安國’·‘槐國’은 허구 세계를 의미하고 ‘槐安夢’·‘槐夢’은 인생이란 꿈을 꾸는 것과 같고 부귀 득실은 無常하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였다. 士人들은 科場에서 경쟁적으로 답안을 작성하는 수험생들의 모습을 ‘개미의 전쟁’이라고 비유적으로 표현하였다. 한문학에서는 특히 ‘개미의 전쟁’에 가치를 부여하려는 의식이 강하였다. 개미의 전쟁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개미가 종족과 영역을 지키기 위해 치열하게 싸우는 것으로부터 군신의 의리를 알고 나라를 지키고 임금을 보위하기 위하여 목숨도 아끼지 않아야 한다는 윤리적 가치를 추출하는 것이다. 부정적 인식은 ‘분쟁’ 자체에 대한 거부감으로 표출된다. 그리고 개미가 미물이기에 그것들의 전쟁을 하찮은 짓으로 간주하였다. 개미의 처지에서는 생사가 걸린 일이지만, 인간의 눈으로 볼 때는 하찮기 그지없고 의미도 없다. 그와 같은 의식을 확장한다면 사람의 전쟁도 매한가지이다. 인간의 전쟁도 인간계 너머에서는 하찮게 보일 것이다. 그러나 엄밀히 생각해 본다면 인간의 윤리와 가치를 개미에게 투사하여 역으로 증명해 내려는 시도일 수도 있다. 한편 옛날 사람들에게 개미가 싸우는 광경은 하나의 소일거리였다. 무료한 한때를 개미 싸움을 보면서 보냈고 그것을 시의 소재로 삼기도 하였다. 이런 경우 개미의 싸움에 대한 가치나 의미에 대한 평론은 유로하지 않았다. As ants are very tiny insects, it has been one of the most popularly-referred natural objects to set out a logical argument saying that it’s important to exactly know one’s humble place. However, it’s been also often referred as a ground for an argument that tying largeness- and-smallness and strongness-and- weakness is just the prejudice since it was found that ants are able to lift objects that are much bigger than they are.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negative perspective and thoughts, on the one hand, that small and insignificant ants dare to challenge big and strong opponents, not knowing themselves, and what they seek to achieve is just trivial and vulgar. 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also positive perspective and thoughts that they have great potentials in spite of their small body. In Sino-Korean Literature, ‘Goeanguk(槐安國, the Imaginary Kingdom of Ants)’, also called Gueguk(槐國), was used to refer to a fictional world, and ‘Goeanmong(槐安夢, a Fond Dream), also called ’Goemong(槐夢)’, was used to imply that life is just like a dream and that obtainment and loss of wealth and honor are all meaningless. In old times, scholars also referred to examinees competitively writing answers at the exam venue as ‘the battle of ants’ in the metaphorical sense. Especially in Sino-Korean Literature, the intention to give meaning to ant wars was strongly shown. The positive perspective on the ant wars was to extract ethical values - to know the fidelity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defend the country, and willingly die for the king - from the ants fiercely fighting against the enemy to protect those species and territory. On the contrary, the negative perspective was expressed as the repulsion against strife itself. It, also, considered ants’ wars as mere trifles because they are just small and insignificant creatures. Although it’s such a life-and-death matter for ants, it looks just trivial and meaningless to humans. When extending this viewpoint, human wars also could be regarded in the same way. If it’s seen from beyond the world of human beings, it could be looked just trivial. But technically, it could be an attempt to reversely prove human ethics and values by projecting those to ants. To people in old days, watching ants fighting each other was a kind of a good time killer. They spent time watching them, and people were sometimes inspired by those to write poems as well. And in that case, they didn’t express reviews about the values or meaning of ants’ battles.

      • KCI등재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theory)을 기반으로 한교육공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구

        류재훈 ( Jae Hoon Ryu ),최윤미 ( Yoon Mee Choi ),김령희 ( Ryeong Hee Kim ),유영만 ( Yeong Mahn You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과 기술의 관계에 급진적 관점을 제시하는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 theory: 이하에서 ANT로 표시)에 비추어 교육공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ANT는 기술을 포함한 비인간 행위자에게 인간과 동등한 지위를 부여함으로써, 그동안 서양철학에 내재되어 있는 주체/객체, 인간/기술 등의 이분법적인 관념의 틀을 탈피하는 대안적 관점을 제시한다. 인간과 기술을 둘러싼 다양한 현상을 여러 행위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관계적 효과로 이해하는 ANT의 철학적 입장을 분석함으로써 교육공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재조명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ANT의 개념과 원리가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이는 ANT에 비추어 교육공학을 바라보는 관점을 확대하고자하는 본 연구의 자연스러운 출발점이 된다. ANT의 개념과 원리를 토대로 ANT를 기반으로 한 교육공학을 상정하고, 이것이 기존(실증주의, 구성주의 기반)의 교육공학과 어떠한 패러다임의 차이가 있는지 존재론적(ontological), 인식론적(epistemological), 가치론적(axiological), 방법론적(methodological) 측면에서 논의한다. ANT에 기반 한 교육공학은 첨단기술이 교육에 유입되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기존 교육공학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dentity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the light of actor-network theory(ANT), which has been considered the most radical theory of the relation of human and technology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STS) field. ANT regards artifacts and nonhuman beings like technology, as same agents like humans, and explains how the couple human/non-human should be substituted for the insurmountable dichotomy between subject and object, human and technology, entrenched in western philosophy. ANT refers phenomena surrounding people to the complex networks of heterogeneous agents such as human, nonhuman beings, and artifacts, and with the following review of ANT philosophy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the theoretical explication of the educational technology``s academic identity. In this regard, first, it elucidates ANT conceptual terms. Secondly, it interprets the educational technology in the light of ANT philosophy -the ontological, epistemological, axiological, methodological aspects, by comparing two dominant traditional paradigm in educational technology(positivism and constructionism), with the alternative one.

      • 손진태의 <개미전설>에 나타난 동화작법

        김경희 ( Kim Kyung Hee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21 독서아카고라연구 Vol.3 No.-

        1928년 『별건곤』에서 조선 자랑호를 기획하였다. 손진태는 이 기획호에 <개미전설>을 조선 최고의 전설로 뽑았다. 이 논문은 손진태가 어떤 의미에서 조선 최고의 전설로 <개미전설>을 선정한 것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손진태는 민속학자로, 조선 민담을 집대성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개미전설>의 내용을 분석하여, 손진태가 생각하고 있는 동화작법의 요소를 찾아보고자 한다. <개미전설>은 개미허리가 어떻게 생기게 되었는지에 대한 유래와 관련된 이야기이다. 개미허리에 대한 이야기는 크게 <개미전설>처럼 개미가 굶주려서 허리가 가늘어졌다는 유형과 메뚜기, 물새가 벌이를 실랑이를 개미가 보면서 너무 웃어서 허리가 가늘게 되었다는 <메뚜기, 개미, 물새>유형으로 나뉜다. 현재 전승되고 있는 이야기는 <메뚜기, 개미, 물새>유형이 지배적이다. <개미전설>의 두 가지 유형 중에서 개미의 굶주림에 대한 이야기를 조선 최고의 전설이라고 선정한 것은 이 작품에 함유된 동화 작법과 관련성이 깊다. <개미전설>에 나타난 세밀한 관찰력, 교묘한 구상, 합리적 교훈성은 동화작법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In 1928, in Byeolgeongon, the Chosun Bogang issue was planned. Son Jin-tae selected < The Legend of Ants > as the best legend of Joseon in this issue. This thesis is to reveal in what sense Son Jin-tae selected < The Legend of Ants > as the best legend of Joseon. So far, Jintae Son has been known as a folklorist and a person who compiled Joseon folktales.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 The Legend of Ants >, we will try to find the elements of storytelling that Son Jin-tae thinks. < Legend of Ants > is a story related to the origin of how the ant’s waist came to be. The story of the ant’s waist is broadly divided into the type in which the ants became thin because of hunger as in < The Legend of the Ants >, and the < Locust, Ant, Waterfowl > type, in which the waist became thin because the ants laughed too much while watching the grasshoppers and waterbirds quarrel with them. The story that is being passed down is dominated by the < Grasshopper, Ant, and Waterfowl > type. Although the current tradition of < Legend of Ants > has disappeared, the selection of the story of the hunger of ants as the best legend of Joseon among the two types is closely related to the storytelling contained in this work. The meticulous observation, clever conception, and rational instructiveness shown in < Legend of the Ants > have very important meanings in story writing.

      • KCI등재

        상법상 상인과 상행위제도에 관한 현황과 과제

        원용수(Won, Yong-Soo)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성균관법학 Vol.22 No.3

        Cette étude a pour objet la recherche du commerçant et l'acte de commerce entre la Corée et la France sur le plan juridique. Dans le droit coréen, les articles 4 et 5 du Code de commerce définissent les commerçants. Par ailleurs, l'artide 46 du Code de commerce énumère vingt deux sortes des actes de commerce par nature. Ce régime juridique s'est fait à l'imitation de droit japonais. L'article 4 du Code de commerce définit les commerçants ceux qui exercent des actes de commerce au nom de leurs auteurs. Et, l'article 5 du Code de commerce définit les commerçants ceux qui exercent les actes de commerce qui ne sont pas énumérés par l'article 46 du Code de commerce avec la méthode commerciale dans l'installation de commerçants pareils ou similaires. L'article 5 du Code de commerce également considère comme les commerçants les sociétés civiles qui ne font pas les actes de commerce qui sont prévus par l'article 46 du Code de commerce. Récemment plusieurs juristes coréens soutiennent que ce dualisme n'est ni acquis ni parfait. Ils se sont inspirés du changement qui s'est produit dans le Code de commerce allemand de 1998. En France, l'article 121-1 du Code de commerce définit le commerçant qui résultait de l'accomplissement d'actes de commerce qui sont énumérés par les articles 110-1 et suivants de Code de commerce. L'article 121-1 du Code de commerce définit les commerçants ceux qui exercent des actes de commerce et en font leur profession habituelle. Dans le droit français, on sait que deux conditions sont nécessaires pour devenir un commerçant. En premier lieu, le commerçant doit accomplir des actes de commerce par nature. En second lieu, le commerçant doit faire de l'activité commerciale sa profession habituelle. La définition de l'article 121-1 du Code de commerce constitue la définition de base, chaque fois que la qualification de commerçant ne résulte pas d'une disposition spéciale de la loi. En France, en ce qui concerne la notion de l'acte de commerce, à l'origine, la théorie objective jouait un rôle très important. Ensuite la règle de l'accessoire et la reconnaissance des actes mixtes ont été apportés à la théorie objective. Au cours du développement de cette théorie, on a vu beaucoup de critiques. Il en résulte que la jurisprudence a consacré dans une large mesure la théorie subjective. Reconnue aujourd'hui par une grande partie de la doctrine, la théorie subjective tend à prendre la première place. Et, de plus, de nombreux auteurs estiment que le droit français connait un système mixte. Parce que la théorie subjective n'a cependant pas totalement évincé la conception objective, de sorte que le droit positif consacre en réalité une théorie mixte ou dualiste. Le semblable phénomène s'est arrivé en Corée. Dans ce domaine, une étude de droit français devrait nous permettre d'attacher une grande importance et la voie à suivre aux auteurs coréens. Il est évident que la notion du commerçant devra être unifiée pour faire face à la situation actuelle en droit coréen.

      • KCI등재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NT)을 활용한 지역문화예술 공간콘텐츠의 활성화

        송은아 한국예술교육학회 2023 예술교육연구 Vol.21 No.2

        This study deals with ways to revitalize local cultural and artistic space contents by applying the actor-network theory (ANT).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technology is changing society at a rapid pace and enabling a completely different way of producing culture and art and accepting it by audiences. These environmental changes require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and artistic space contents and new management methods. ANT sees the world as a network of humans, technologies and objects, all equally functioning as actors. Therefore, in ANT, since actors called cultural and ar- tistic spaces are beings intertwined with heterogeneous connections between material and immaterial beings, it is seen that science and technology have traces and memories of colliding with and re- sponding to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factors. Local culture and arts space contents also include various contents (performances, exhibitions, amateur theater groups, education, meetings with artists, cafes, souvenir shops, bookstores, seminars, etc.). It is translated not only as a space for consuming culture and art, but also as a function as a network of cultural actors. As the role of non-human ac- tors is emphasize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media, various types of cultural spaces that utilize IT technology as a collection of networks linked to social relationships are required. Therefore, as an actor who forms a network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heories and knowledge of culture and arts and connects them to the network with ANT-applied contents, the contents of the local cul- ture and arts space must become the practical subject of the network. In this study, by applying ANT, which looks a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technology, and objects, which were previously viewed as exclusive, from the perspective of a network, spatial com- position and management of local cultural and artistic space contents were sought. And, from that, a plan for revitalizing the contents of the local culture and art space was presented. 본 연구는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NT)을 활용한 지역문화예술 공간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을 다룬다. 디지털 매체 기술의 발전은 빠른 속도로 사회를 변화시키고 있고 문화예술의 생산과 관객의 수용방식에도 이전과는 전혀 다른 방식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지역문화예술 공간 콘텐츠의 개발과 새로운운영방식을 필요로 하고 있다. ANT는 세계가 인간과 기술, 사물들이 네트워크로 엮여 있고 그들 모두 동등하게 행위자로서 기능한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ANT에서 문화예술 공간이라는 행위자는 물질적, 비물질적 존재들의 이질적 접속으로 엮여 있는 존재들이기 때문에 과학·기술이 역사적, 사회 문화적 요인들과 충돌하고 대응한 흔적들과 기억들을 갖고 있다고 보고 있다. 지역문화예술 공간 콘텐츠도 기존의 문화예술 공간에 관람객의요구와 비행위자로서의 다양한 콘텐츠들(공연, 전시, 아마추어극단, 교육, 작가와의 만남, 카페, 기념품 숍, 서점, 세미나 등)을 포함하여 문화예술을 소비하는 공간으로서 만이 아니라 문화행위자 네트워크로서의 기능으로번역된다. 기술매체의 발달에 따라 비인간 행위자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사회적 관계와 연계된 네트워크의 집합체로서 IT기술을 활용하는 다양한 유형의 문화공간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문화예술의 인적 물적자원, 이론과 지식들의 연결망을 형성해서 ANT를 적용한 콘텐츠들로 네트워크에 연결시킨 행위자로서 지역문화예술공간 콘텐츠가 네트워크의 실천적 주체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배타적인 것으로 보았던 인간과 기술, 사물들 간의 관계를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ANT를 적용하여 지역문화예술 공간 콘텐츠의 공간구성과 운영방안을 모색하고 그로부터 지역문화예술공간 콘텐츠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