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동화와 연결의 시대 일의 교육 연구를 위한 행위자—관계망 이론의 적용 가능성 탐색

        장경진(Kyoungjin Jang),장원섭(Wonsup Chang) 한국성인교육학회 2020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3 No.4

        이 연구는 자동화와 연결의 시대에 변화하고 있는 일의 교육을 기술하고 해석하기 위한 관점으로서 행위자—관계망 이론(Actor-Network Theory, ANT)이 가진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이 연구는 ANT의 주요 개념과 관점을 소개하고, 관계론적 확장이라는 접근법을 중심으로 일의 교육 연구에 있어 ANT가 가진 시사점과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ANT의 핵심 개념인 행위자—관계망, 인간과 비인간의 행위 능력을 동등한 위치에 놓는 대칭성, 현상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는 번역과 번역 과정의 의미를 개관하였다. 나아가, ‘ANT와 그 후(After-ANT)’의 논의를 소개함으로써 ANT의 적용이란 ANT의 용어 자체에 연연하기보다, ANT적 세계관을 연구의 대상이 되는 현상을 기술하는데 적용하는 것임을 밝혔다. 그 후, ANT가 일의 교육에서 사용되던 관계론적 접근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관계론의 해석력을 더욱 확장하는 차원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그러나 ANT 논의가 가진 모호함과 난해함으로 인해 ANT적 관점을 연구에 반영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이다. 이에 앞선 연구의 시도와 연구방법론에 대한 논의를 소개함으로써 ANT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implications of the actor-network theory (ANT) as a perspective for describing and interpreting the education of work, which is facing numerous changes during the era of automation and connectivity. The researchers introduce the main concepts and aspects of ANT and explicate its implications for expanding the explicability of relational approaches in the research on education of work. The meanings of the key ANT concepts, that are ‘actor,’ ‘network,’ ‘translation’ and ‘symmetry’ are explained. Further, the researchers introduce ‘After-ANT approaches to delineate that adopting ANT perspective is not merely adopting the terms of ANT, but utilizing the perspective to describe and critically analyze the subject phenomena. The following section discusses and asserts that ANT can provide insights to expand the implications of the relational approach further. However, due to ANT s ambiguity and difficulty, it remains challenging to adopt the ANT perspective in research. This article attempts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ANT by introducing empirical studies that applied ANT in the themes in the education of work. Discussion on methodology follows.

      • KCI등재

        장인적 학습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장경진(Kyoungjin Jang),이호진(Hojin Lee),장원섭(Wonsup Chang) 한국성인교육학회 202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4 No.2

        이 연구는 현대 장인들의 일을 통한 배움과 성장의 특징인 장인성(장원섭, 2015) 개념을 바탕으로 장인적 학습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장인적 학습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장인성 및 장인 관련 문헌, 성인교육 및 일터학습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고 장인적 학습의 5개 세부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5개 요인은 자주적 학습, 학습 집념, 통합적 학습, 열린 학습관계망, 도구를 통한 학습이다. 내용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제작된 세부요인, 조작적 정의, 측정 문항을 바탕으로 2차에 걸쳐 전문가 대상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수집된 의견을 바탕으로 척도를 수정하였다. 이후 각 요인 당 4문항씩 총 20문항으로 된 설문을 제작하여 219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도출된 5개 세부요인의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요인 계수와 요인적재치를 기준으로 일부 문항을 삭제, 수정하여 525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조사 요인 분석 결과, 모든 문항이 요인 계수 기준을 충족하였으나 2개 이상의 요인에서 요인적재치가 높게 나온 3개 문항을 삭제하여 총 17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도출하였다. 장인적 학습 최종 척도와 장인적 학습의 결과 변인인 장인적 영향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준거 관련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의 이론적, 실천적 활용방안과 척도의 타당성,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Masteristic Learning Scale (MLS) based on the concept of Masterity (Chang, 2015), which refers to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masters. A content analysis of relevant literature and theories was conducted, resulting in five dimensions of Masteristic Learning: Self-driven Learning, Tenacity of Learning, Integrative Learning, Open Learning Network, and Tool-focused Learning. The initial version of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ntent analysis result and was revised based on the two open-question expert surveys. The first round of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was conducted based on the data from a sample of 219 working adults. The researchers revised the questions that did not meet the factor coefficient and factor loading requirements. The second round of valid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data from a sample of 525 working adults.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scale has a valid construct and that all questions exceed the required factor coefficient. Three questions did not meet the factor loading requirement and were removed from the final version of the scale. As a result, this study presents an empirically validated instrument that consists of 5 factors and 17 questions, which was validated through concurrent criterion-related validation with Masteristic Influence. Discussions abou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ML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followed.

      • KCI등재

        조기유학 현상 변화(2000-2016년)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분석

        박대권(Daekwon Park),장경진(Kyoungjin Jang)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미래교육학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6년까지의 조기유학 증감추이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분석이다. 기존 연구에서 조기유학은 우리나라 공교육의 실패에 기인한 결과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조기유학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이 다른 이유에 있음을 밝히고 있다. 즉, 유학생수의 증가는 조기유학 자유화 조치로 인해 촉발되었으며 이러한 환경이 다양한 아이디어와 담합하여 자기 강화적 경로 의존을 거치게 된 결과임을 제시한다. (공교육 위기에 대한 아이디어, 사교육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는 아이디어, 그리고 조기유학이 학생들의 노동시장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아이디어 등이다.) 조기유학 자유화 직후의 시기에는 조기유학에 대한 평가 및 정보가 축적되어 있지 않은 상태였기에 조기유학을 부추기는 아이디어와 담론이 무비판적으로 수용된 경향이 드러났다. 그러나 조기유학에 대한 정보와 평가가 축적되면서 조기유학이 단순히 긍정적인 측면만을 가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사회적으로 학습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더해 세계금융위기라는 외생적 충격이 더해짐으로써 조기유학의 확대 경향은 경로 이탈을 겪게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기유학으로부터의 경로 이탈 과정에서 국제학교, 단기어학연수 등이 대안으로 검토되기 시작함에 따라 조기유학생 수의 감소 추세가 고착화되는 현상이 드러났다. This study conducted a neo-institutional analysis of the early study abroad trends in South Korea from 2000 to 2016. Early study abroad has been regarded as a result of the failure of public education in Korea.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abolition of the regulation, which restricted early study abroad, actually created the trend. The idea of the public education crisis, the idea of the increasing cost of public education, and the idea that early study abroad improves students labor market competitiveness also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the trend. The ideas and discourses that encourage early study abroad were widely accepted without much criticism in the early 2000s because the evaluation and information pertaining to early study abroad had not been sufficient. In addition, the exogenous shock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9 led to a significant decrease in early study abroad. As early study abroad became less appealing, international schools and short-term language studies started to be considered as alternatives.

      • KCI등재

        기업가 학습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이호진(Hojin Lee),장경진(Kyoungjin Jang),최솔(Sol Choi),장원섭(Wonsup Chang) 한국기업교육학회 2020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수행된 기업가 학습에 관한 국외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그 개념을 이해 함으로써 향후 HRD 연구와 실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기업가 학습 관련 국외 문헌 중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론을 통해 최종 86편을 선정하였다. 게 재연도, 학술지 학문 분야, 연구방법, 연구차원, 연구대상 특성, 이론적 틀, 분석 변수를 기준으로 범 주로 하여 논문들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 학습 연구는 개념이 대두된 이래 지속적으로 경영학 학술지와 연구자를 위주로 수행되고 있으며, 그 개념이 기업가 특성 연구에 서 파생되었기 때문으로 유추할 수 있다. 둘째, 연구 대상 기업의 분야가 다양해지고 있음에도 불구 하고 대다수의 연구는 창업 초기 단계의 기업에 관심이 있었다. 셋째, 기업가 학습 연구에 가장 활발 하게 사용된 질적 접근법은 최근 그 주제를 기업가 개인의 경험에서 사회적인 맥락으로 확장해가고 있으며, 양적연구방법의 비중도 증가추세이지만 측정 도구와 모델에서 아직 한계를 보인다. 넷째, 기 업가 학습을 논의하는 이론적 틀은 다양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경험학습 위주로 수행되고 있 어 기업가 학습의 복합적 특성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향후 기업가 학습의 발전을 위해서는 이들 의 성장과 학습에 초점을 두는 교육학적인 접근과 더불어 체계적인 이론을 통해 개념과 현상을 드러 낼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한국 사회 맥락에서 기업가 학습을 분석하고 확산하고자 하는 연구가 지속 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HRD research and practice by examining the research trends on entrepreneurship learning conducted over the past ten years. The final 86 articles were selected through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published from 2010 to 2019.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year of publication, the journal’s academic field, the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dimension, the research subject’s characteristics, the theoretical frame, and the analysis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business management journals and researchers have continuously led entrepreneurial learning research since the concept emerged. Second, despite the diversification of the subject, most of the research was interested in companies in the early stages. Third, the qualitative studies on entrepreneurial learning have expanded its subject from the entrepreneur’s individual experience to social relationships and contexts. Although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quantitative studies, it lacks measurement and models comprehensively examines entrepreneurial learning. Fourth,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discussing entrepreneurial learning remains focused on experiential learning, which is limited to explore the diverse mechanisms of entrepreneurial learning. For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ial learning research, more coherent,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theories are required, which can be achieved by bringing more educational perspectives in the field. Research to analyze and spread entrepreneurial learning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is also necessary.

      • KCI등재
      • KCI등재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인적 학습의 매개효과와 일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호진(Hojin Lee),최지예(Jiye Choi),고민석(Meanseok Ko),장경진(Kyoungjin Jang),장원섭(Wonsup Chang)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미래교육학연구 Vol.34 No.3

        이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적 업무행동 간의 관계에서 장인적 학습의 매개효과와 일의 의미 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직종, 직 무, 연령대의 직장인 남녀 1,56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장인적 학습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고, 둘째, 일의 의미는 임파워링 리더십 과 장인적 학습 관계를 조절하였으며, 셋째, 일의 의미는 임파워링 리더십에서 장인적 학습 그리고 혁신적 업무행동으로 연결되는 간접효과 과정에서 정적인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조직구성원들이 장인적 학습을 실천하는 것과 일의 의미를 인식하는 것이 임파워링 리더십의 효과를 높이고 혁신적 업무행동을 고취하는데 필요한 요소임을 보여준다. 더불어 이 연구는 일의 의미, 장인적 학습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구조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처음으로 시도 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 of masteristic learning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eaningful wor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A survey data collected from 1,563 workers from various occupations, jobs, and age groups were used for our investigation. The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first, masteristic learning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Second, meaningful work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masteristic learning. Third, meaningful work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s among empowering leadership, masteristic learning,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This study broadens ou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empowering leadership that leads to innovative work behavior, especially by demonstr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masteristic learning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meaningful work. As the first of its kind,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s of masteristic learning which opens a possibility of exploring its effects on various workplace contexts. Implications on theories and practice were discussed in dep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