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그림책을 통한 유아의 문식성 변화 연구

        윤수진 ( Yoon Soojin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22 독서아카고라연구 Vol.4 No.-

        본 연구는 그림책을 통한 유아의 문식성 변화를 알아본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연구자와 만 4세 유아 12명이다. 2022년 4월12일부터 2022년 7월5일까지 13주 동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기간동안 연구자는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반복적인 그림책 읽기, 유아의 경험을 반영한 쓰기 활동, 통합적인 문식성 활동, 개인차에 따른 유아중심 문식성 활동을 통해, 유아의 읽기, 쓰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 in literacy of infants through picture book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researchers and 12 4-year-old infants. The study was conducted for 13 weeks from April 12, 2022 to July 5, 2022. During the study period, researchers collected and analyzed data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In conclusion, children’s reading and writing skills were improved through repetitive picture book reading, writing activities reflecting infants' experiences, integrated literacy activities, and infant-centered literacy activities according to individual differences.

      • 문화해석방법론으로 그림책 세계관 읽기 -앤서니 브라운의 『돼지책』을 중심으로-

        김현경 ( Kim Hyeon Kyeong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21 독서아카고라연구 Vol.3 No.-

        본 연구에서는 앤서니 브라운의 그림책 『돼지책』에 담긴 세계관을 분석해 보기 위해 Vanhoozer의 문화해석방법론에 기초하여 ‘텍스트 자체의 세계’, ‘텍스트 뒤의 세계’, ‘텍스트 앞의 세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돼지책』에서 피곳씨의 가족들은 남자와 여자로 나뉘어 대조적, 대립적으로 표현되었으며, 가족이 함께 어우러지는 모습이 나타나지 않았다. 피곳씨 가족은 부유함과 재산의 가치를 우선시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작가는 결말을 모호하게 마무리 지어 이들의 문제가 쉽게 해결되지 못할 것임을 암시했다. 독자들은 이 책을 대체로 재미있게 받아들였으나 책 속의 문제가 남자와 여자의 갈등임을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결론적으로 『돼지책』에는 소비주의 세계관과 포스트모던 부족주의 세계관이 담겨 있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림책에는 작가의 신념이 담겨 있고, 그림책의 세계관은 독자의 삶에 영향을 끼치므로 독자들은 그림책의 세계관을 읽으려는 자세가 요구된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worldview contained in Anthony Browne’s 『Piggybook』, ‘world-of-the-text’, ‘world-behind-the-text’, and ‘world-in-front-of-the-text’ were analyzed based on Vanhoozer’s cultural interpretation methodology. As a result of the study, in 『Piggybook』, Mr. Piggott’s family was divided into male and female, and expressed in contrast and opposition, and the family did not appear to be in harmony. The Piggott’s family can be seen as prioritizing wealth and the value of their property, and the author’s vague ending suggests that their problems will not be easily resolved. Readers generally enjoyed this book, but it is analyzed that they recognize that the problem in the book is a conflict between a male and female. In conclusion, 『Piggybook』 can be summarized as containing the worldview of consumerism and the worldview of postmodern tribalism. Since picture books contain the author’s beliefs, and the worldview of picture books affects the lives of the readers, readers are required to read the world view of picture books.

      • 재미 한글학교의 발전적 방향에 대한 연구 -재미 한글학교 교사 대상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중심으로-

        홍유화 ( Hong Yoo Wha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21 독서아카고라연구 Vol.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재미 한글학교가 당면한 시대적 변화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한 재미 한글학교 교사들의 의견을 수집하여, 향후 재미 한글학교가 나아갈 발전적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포커스그룹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활용하였으며, 인터뷰를 통해 현지에서 오랫동안 한글학교에 몸담아 온 교사들의 경험에서 나오는 통찰적 견해를 수집하였다. 재미한글학교가 대면한 급변하는 시대적 변화를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내부적으로 ‘재미동포의 세대교체’, 거주국 미국의 정책적 변화로 ‘현지 대학 입시에서 한국어 과목 폐지’, 모국인 한국의 자국어 보급 정책으로 ‘세종학당의 미국 진출’이 그것이다. 인터뷰를 통하여, 이러한 변화들이 한글학교에 실제적으로 미치는 영향들을 파악하였으며,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글학교가 나아갈 발전적 방향을 논의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세대교체로 인한 다양한 학습자와 그 동기에 대처할 수 있는 내용과 시스템 구축하고 순발력 있게 대처해야 하며, 다음으로, 입시 준비반의 폐지로 한글학교를 떠나는 청소년 재미동포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커뮤니티 스쿨로 거듭나야 하고, 마지막으로 세종학당의 추진사업들과 연계해서 한글학교 교사들의 오랜 경험을 활용될 수 있도록 교사 역량 증진에 힘써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nges of the times that Korean schools in America are facing, and to collect the opinions of teachers of Korean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in this regard, and to find the direction for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For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 (FGI),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used, and through the interviews, insightful views from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have been at Korean schools for a long time were collected. The rapidly changing times faced by Korean language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generational change of Korean Americans’ internally, ‘abolition of Korean language courses in local university entrance exams’ due to policy changes in the US, and dissemination of the native language of Korea. The policy is ‘King Sejong Institute’s entry into the US’. Through the interview, the practical effects of these changes on the Korean language school were identified,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Korean language school was discussed in the backgroun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build a content and system that can cope with various learners and their motives due to generational change and to respond promptly. Second, the abolition of the entrance exam preparation class can provide various experiences to young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who are leaving the Korean language school. It should be reborn as a community school that has a place for it, and lastly, in connection with the projects promoted by King Sejong Institute,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eacher competency so that the long experience of Korean language school teachers can be utilized.

      • 옛이야기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한 실행연구 -유튜브 「말글살림연구소」의 <오늘이> 시리즈를 중심으로-

        김윤경 ( Kim Yun Kyoung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21 독서아카고라연구 Vol.3 No.-

        이 논문의 목적은 <오늘이> 이야기를 중심으로 옛이야기 기반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영상 제작을 위한 실행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디지털 콘텐츠 제작의 효과는 첫째, 옛이야기 디지털 콘텐츠 제작의 즐거움을 경험하였고, 둘째, 디지털 원주민인 딸과 디지털 이주민인 엄마(연구자) 간 디지털 미디어를 매개로 한 소통이 빈번했으며, 셋째, 디지털 콘텐츠 제작을 통한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이 이루어진 것이다. 1차 실행연구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이후에는 디지털 이주민(연구자) 주체의 옛이야기 디지털 콘텐츠 제작과 디지털 원주민(딸) 주체의 자유주제 콘텐츠 제작을 수행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duct an action study for the production of digital storytelling video based of an old story focused on < Onuri > story. The effect of digital content production was first, experienced the joy of creating old-fashioned digital content, second, communication through digital media was frequent between a digital native daughter and a digital migrant mother (researcher), and third, the cultivation of digital literacy through digital content production. Based on the reflection on the first action research, thereafter, digital content production of old stories by digital migrants (researchers) and free-themed content production by digital natives (daughters) will be carried out.

      • 일 놀이와 글쓰기로 가꾸는 책읽기

        전정일 ( Jeon Jeong-il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20 독서아카고라연구 Vol.2 No.-

        일놀이와 글쓰기로 가꾸는 책읽기는 독서와 독서교육, 독서지도를 풍요롭게 하는 실천이다. 영상매체와 스마트폰이 정보를 검색하고 취합하는 도구가 되며 과거의 책이 지닌 기능은 빠르게 대체되고 있다. 굳이 책을 보지 않아도 사는데 지장 없는 디지털 사회로 바뀌고 있다. 초등과정에서 자유롭게 통합교과를 구성하는 대안교육 현장이라는 특성을 살려 독서를 모든 교과와 연결하고 있으며, 마음을 살찌우는 독서로 몸과 마음이 건강한 사람으로 키워가는 교육을 실천하며, 입시와 경쟁의 교육체제에서 벗어나 독서의 즐거움에 주목하고, 일놀이 교육과 글쓰기 교육으로 아이들 삶을 가꾸는 교과통합으로서 독서를 교육과정의 바탕으로 삼는 작은학교의 일놀이와 독서교육을 살펴보았다. 가장 좋은 독서 교육은 독서 환경을 구축하고, 어른이 모범을 보일 때 가능하다. 작은 학교의 독서 교육이 지닌 한계는 있지만 어린이 마음을 살찌우는 독서교육을 위해 애써 온 어린이도서연구회의 교육 실천을 학교의 중요한 교육과정으로 삼고, 모든 교과의 바탕으로 책읽기를 배치한 교육 현장의 보기라는데 뜻이 있겠다. Reading education, cultivated through work and writing, is a practice that enriches reading, reading education, and reading instruction. Video media and smartphones become tools for searching and collecting information, and the functions of old books are rapidly being replaced. It is changing into a digital society where people can live without having to read books. I looked at work and reading education in small schools that take reading as the basis of the curriculum as a curriculum integration that makes children’s lives through work and writing education. By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an alternative education field that freely composes an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school, Malgeunsam School connects reading with all subjects, and practices education that nurtures people with healthy body and mind through reading that strengthens the strength of the mind. It pays attention to the joy of reading outside the educational system of entrance examinations and competition. The best reading education is possible when a reading environment is established and an adult sets an example. Although there are limitations of reading education in small schools, it is an example of an educational field in which the children’s book research group, which has been striving for reading education to enrich children’s hearts, is an important educational curriculum of the school, and reading is arranged based on all subjects. It has a meaning.

      • 독서교육에서의 그릿(GRIT) 고찰

        오길주 ( Oh Kil-ju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19 독서아카고라연구 Vol.1 No.-

        그릿을 독서교육 관점에서 연구해보았다. 그릿과 독서는 그 경계를 구분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으며 서로가 가진 역량과 특성으로 발전을 견인하는 역할을 하고, 독서역량 향상과 독서능력 발달에 그릿의 역할은 매우 의미 있는 것이었다. 특히 그릿의 이타성은 독서교육 목적에 부합되는 것으로 성숙한 평생독자를 만드는데 핵심적 역할을 한다. 앞으로 그릿성장요인을 접목한 프로그램, 실행, 평가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I studied grit from reading education viewpoint. The grit and the reading cannot be easily distinguishable in terms of drawing boundaries and each played a role in driving development with each other's competencies and characteristics. Grit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building capability and ability in reading. Grit's altruism, in particular, serves the purpose of reading education and plays a key role in making mature lifetime readers. From this point forward, studies on programs, implementations, and evaluations that incorporate grit growth factors are required.

      • 독자가 채우는 텍스트의 틈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의 그림책을 중심으로-

        김현경 ( Kim Hyeon-kyeong ),방애니 ( Bang Annie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19 독서아카고라연구 Vol.1 No.-

        본 연구에서는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작가의 그림책을 텍스트의 틈을 넉넉하게 가진 창조적인 텍스트로 보고, 작가가 독자를 위해 어떠한 방식으로 ‘텍스트의 틈’을 구성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메타픽션, 상호텍스트성, 주변 텍스트의 활용의 세가지로 나누어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의 그림책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작가는 그림책의 물리적인 속성을 활용하여 독자로 하여금 놀이하듯 그림책 읽기에 참여하도록 격려하였고, 하나의 기표에서 다양한 기의를 생산함으로써 독자가 상상력을 가지고 확장적인 읽기를 하도록 유도하였다. 또한 언어적·시각적으로 독자에게 말 걸기를 하여 작가의 일방적인 메시지를 수용하는 것이 아닌 독자가 의미를 구성 및 확장해 가도록 하였다.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그림책의 상호텍스트성은 자기참조, 유명한 예술작품의 참조, 기존 이야기의 참조 등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상호텍스트성은 독자가 가진 레퍼토리에 따라 의미가 풍성하여지기도 하고, 그림책 읽기의 새로운 즐거움을 안겨준다. 마지막으로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그림책에서는 주변 텍스트를 활용하여 작가의 메시지가 더욱 일관적이고 깊이 있게 전달됨을 알 수 있었는데, 독자들은 그림책의 주요 텍스트인 본문뿐만 아니라, 표지와 면지, 종이 재질을 탐색함으로써 작가의 메시지에 몰입할 뿐 아니라, 동시에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가 치밀하게 구성한 ‘텍스트의 틈’은 독자를 자신의 그림책으로 더욱 적극적으로 초대하여 그림책의 의미를 능동적으로 구성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In this study, Iwona Chmielewska's picture book is regarded as a creative text with plenty of text gaps, and the author analyzes how the artist organizes the 'gaps' for the reader. To this end, the artist looked at Iwona Chmielewska's picture books in three categories: metafiction, intertextuality, and the use of paratex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rtist us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icture book to encourage the reader to participate in reading the picture book like playing. Also, by speaking to the reader verbally and visually, the reader did not accept the artist's one-sided message, but instead, the reader composes and expands the meaning. The intertextuality of Iwona Chmielewska's picture books appeared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self-referencing, references to famous works of art, and references to existing stories. Lastly, Iwona Chmielewska picture book used the paratexts to convey the artist's message more consistently and deeply. Not only was the reader immersed in artist’s message, but the reader was also constantly asking questions. The 'gap of the text' carefully organized by Iwona Chmielewska plays a role in actively inviting the reader into her picture book to actively compose the meaning of the picture book.

      •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유형별 특성과 사례 탐구를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도 내 작은도서관을 중심으로-

        김수연 ( Kim Su-yeon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19 독서아카고라연구 Vol.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reading culture programs that were run in small libraries in GyeongGi-Do. Futhermore, this study suggests improvement strategies for reading culture programs with best practic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mall libraries that were supported by the business group assisted small libraries for reading culture program in GyeongGi-Do from 2013 to 2016 more than once. The present study used the literature survey and case study and suggested five improvement strategies for reading culture programs.

      • 문해력 향상을 위한 ‘코딩독서’의 가능성과 열린 활동성 탐색

        오길주 ( Oh Kil Ju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22 독서아카고라연구 Vol.4 No.-

        독자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독서전략이 독서를 활성화하고 문해력을 향상시킨다는 취지로 코딩의 컴퓨터적 사고능력과 원리를 독서방법으로 적용시켜 ‘코딩독서’라는 새로운 독서 방법을 모색해보았다. 국어교과의 성취역량을 독서수업의 실천 방안으로 삼아 구체적인 활용 방법을 제안하고 코딩독서방법을 적용해 수업계획안을 구상하여 실제 수업에 활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With the intention that the reader’s active and positive reading strategy activates reading and improves literacy, a new reading method called “Coding Reading” was sought by applying the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and principles of coding as a new reading method. Using the achievement capabilities from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as a practical measure in reading classes, a specific method of use was proposed, and a “Coding Reading” method was applied to develop a well designed lesson plan in order to be used in actual class set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