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6.25”전쟁과 남북분단에 대한 성찰과 문학적 서사 : 중국문학과 조선족문학을 중심으로

        김호웅(Jin Hu Xiong)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2011 통일인문학 Vol.51 No.-

        “6.25”전쟁이 터진지 지 60년이 되고 휴전이 된지도 57년이 되었지만 이 전쟁의 당위성에 대한 중국정부 측의 견해에는 거의 변함이 없다. 민간에는 이 전쟁의 정의성 여부, 중국의 득과 실 등에 대해 찬반양론이 엇갈리고 있지만 미국의 일방주의논리에 의한 패권주의가 지속되는 한 이 전쟁에 대한 보다 다양한 접근, 역사적 반성은 유보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정치적인 상황은 문학의 자유로운 표현을 제한하는 멍에의 구실을 하고 있다. “6.25”전쟁은 중국문학에 “항미원조문학”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열게 했다. “항미원조문학”은 중국 당대문학의 중요한 성과로 인정된다. 이 전쟁 초기부터 중국정부는 전국 군민을 단결해 전쟁의 승리를 쟁취하기 위해 중국 문인들의 협력을 요구했고 중국문인들도 무조건 정치성을 우선적인 자리에 놓고 중국인민지원군과 후방의 인민들이 보여준 애국주의, 국제주의, 혁명적 영웅주의정신을 찬미하는데 주력했다. 1978년 나온 위외의 『동방』은 이러한 정통적인 문학관을 대변한 작품이며 “항미원조전쟁”의 전반 과정을 예술적으로 집대성한 대작으로 평가된다. “항미원조전쟁”에 대한 새로운 탐구는 이 문학의 초창기부터 싹텄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쟁 에 의한 아름다운 것들의 소실, 즉 전쟁의 비인간성을 고발한 로령의 「저지대에서의 ‘전역’」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하지만 로령의 “온정주의(溫情主義)”는 “항미원조전쟁”의 현실과 저촉되고 군민의 의지와 사기를 떨어뜨릴 수 있었으므로 비판을 면치 못하게 된다. 이는 “항미원조문학”의 한차례 좌절이라고 하겠다. 새로운 역사시기에 와서 “6.25전쟁”에 관한 중국문학은 새로운 탐구의 조짐을 보인다. 작가들은 전쟁과 평화에 대한 새로운 사고를 하며 전쟁으로 인한 인간 운명의 변화, 보통 사병의 정신적 아름다움과 그들의 실존적 고뇌를 다루고 있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후의 냉전체재가 여러 민족공동체에 얼마나 큰 불행을 몰고 왔는가를 고발하면서 항구적인 평화를 갈구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6.25”전쟁을 다룬 중국소설도 점차 세계의 반전평화문학과 대화를 하고 있으며 새로운 전쟁문학의 공동 분모를 찾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바꾸어 말하면 중국정부 측의 공식적인 입장과 엘리트 및 문학자들 사이에 균열의 조짐이 보이고 있다고 하겠다. 조선족문학은 주로 장편소설의 형식이 아니라 단편소설의 형식으로 “6.25”전쟁과 남북분단의 아픔을 다루고 있는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중국의 주류문학에 비해 훨씬 더 깊이 있는 반성과 성찰을 보여주고 있다. 일부 작품들은 “6.25”전쟁을 동서냉전체재의 대립에 의한 대리전쟁이고 그것은 동족상잔의 참극이었으며 이에 참여한 자신들을 두고 깊이 반성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오랜 분단에 의해 이질화된 남과 북, 그리고 연변의 모습을 생생하게 증언함으로써 인문학적 통합의 필요성을 호소하고 있으며 반복적인 만남과 대화, 상호 이해와 존중을 통해 혈육의 정에 바탕을 둔 통합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lthough it has been 60 years since the beginning of “6.25”war and 57 years since the ceasing of the war, it has been consistent view of Chinese government that the war was righteous. There are two opposite opinions on the justice of the war, and on the gain and loss of China among civilians. However, unilateralism caused by the hegemony of the US prevents various perspectives and historical reflection on the war. Such political situation confines freedom of literary expression. “6.25” war opened the new field in Chinese literature--the literature of the War to Resist U.S. Aggression and Aid Korea . It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achievement of contemporary Chinese literature. Concerted efforts of Chinese intellectuals are necessary in order to gain the victory of the war. Chinese intellectuals put political issues at the first place and wrote literary works praising the patriotism, internationalism and heroism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and Chinese people. Wei Wei’s Orient published in 1978 is not only the representative work, but also the artistic integration of the process of the War to Resist U.S. Aggression and Aid Korea. The exploration of the War to Resist U.S. Aggression and Aid Korea from new perspective star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war literature. Lu Ling’s the Campaign on the Depression is an important work, exposing the inhumanity of the war which destroyed the beautiful things. However, it was criticised for its “excessive tenderheartedness” which was conflicted with the reality and shook the will and morale of the soldiers and civilians. So it can be seen as the setback of the literature of the War to Resist U.S. Aggression and Aid Korea. The literature regarding “6.25” war demonstrates new aspects in the new era, The authors reconsiders the issue of war and peace, and in their works, they deal with man’s change of fate because of the war, and spiritual beauty and existing affliction of ordinary soldiers. Especially, they expose the misery brought to national community by the Cold War after the World War II. At the same time, they show their yearning for permanent peace. In this regard, Chinese novels concerning “6.25” gradually have dialogue with world’s anti-war literature and seeks for common features with the new war literatur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concerning the war, there are two different opinions between the Chinese government and Chinese elite and authors. Literature of Korean Chinese deals with the pain of “6.25” war and the Division of Korea in the form of short stories other than novels. In spite of its limitation, it shows deeper reflection and self-examination comparing with main stream Chinese literature. Some works points out that “6.25” war is only the substitute of the Cold War between the East and West, and it is the war among its own people. The authors reflect on the fact that had participated in the war. The works depicts vividly heterogenized North and South Korea caused by the Division of Korea over a long period, and they also give a vivid picture of the phase of Yanbian. In this way, they call upon the necessity of integration from the humanity perspective . They seek for a way of integration on the basis of blood ties through repetitive meetings and dialogues,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 KCI등재

        6·25전쟁의 트라우마와 미술가들의 대응방식

        김이순(Kim Yisoon)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0 No.-

        본고는 6·25전쟁 발발 70년 주년을 맞아 한국 현대미술가들이 전쟁 체험을 어떻게 표현하고 전쟁 트라우마를 어떻게 미술작품으로 형상화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세계사적으로 보기 드문 동족상잔인 6·25전쟁은 직접 체험한 세대에게는 지독한 트라우마를 남겼으며, 여전히 분단의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한 현실은 전쟁을 직접 체험하지 않은 세대에게도 억압의 기제로 작동하고 있다. 한국 현대미술가들은 6·25전쟁 발발 직후부터 지금까지 6·25전쟁을 작품의 제재로 삼았는데, 작가가 전쟁을 직접 체험했는지, 그리고 인생의 어떤 시기에 전쟁을 겪었는지에 따라 6·25전쟁을 다루는 방식이 다르다. 전쟁을 직접 체험한 세대는 주로 1950-60년대에 각자 자신이 겪은 상황을 토대로 전쟁의 처참함과 비극성을 표현했는데, 적과 직접 마주하거나 전투에 참여했는지, 부산과 같은 피난지에서 전쟁을 겪었는지, 그리고 성년기에 전쟁을 겪었 는지, 청소년기에 겪었는지 등에 따라 형상화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양상을 비극적 상황을 직접 체험한 작가인 이철이, 김창열, 오종욱, 윤명로의 1950-6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들은 이후의 작품에서 전쟁 트라우마를 적극적으로 드러내지는 않았지만 평생 벗어날 수 없었음을 밝혔다. 전쟁 동안에 김환기, 장욱진, 이중섭 등이 전쟁과 무관한 ‘낙원’을 표현한 것도 일종의 트라우마 대응방식으로 해석했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 6·25전쟁과 직접 관련된 미술작품은 주춤했다가 1980년대에 다시 부상했다. 이때는 6·25전쟁을 직접 체험하지 않은 세대가 6·25전쟁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흥미로운데, 6·25전쟁 자체로 인한 상처나 비극적인 상황을 표현하기보다는 분단의 현실에 무게를 두고 분단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했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현실과 발언’ 동인들이 1984년 개최한 《6.25》展에 출품했던 작품들을 분석하였으며, 전쟁 미체험 세대의 6·25전쟁에 대한 인식에 대한 분석과 함께, 통일이 지연되면서 형성된 또 다른 트라우마, 즉 ‘분단 트라우마’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With the 70<SUP>th</SUP> anniversary of the outbreak of Korean War, this paper studies how Korean contemporary artists represented their war experience and configurated the trauma into artwork. A fratricidal Korean War which can rarely be seen in world history, left a dreadful trauma to generation of the time. Yet, it also formed a suppress mechanism to the later generation as reality still is not free from the state of division. Korean contemporary artists have worked with the subject of Korean War since its outbreak until now. The artists have different methods of handling the subject based on whether or not they experienced the war, and when in their lives they were involved in the war. A generation of the time mostly depicted horribleness and tragedy of the war based on what they experienced in the 1950’s to 60’s. There are differences in methods of figuration depending on their participation in the war, confrontation with the opponent, experience in a refuge shelter like Busan, or experience of the war in their adulthood or adolesce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aspect of the works from 1950’s to 60’s by artists like Lee Cheul-yi, Kim Tschang-yeul, Oh Jong Wook, and Youn Myeung-Ro who directly experienced the tragedy. Although, later works of these artists do not vigorously represent trauma of the war, they mentioned it is something they cannot escape from, for their entire lives. This study analyzes artists like Kim Whanki, Chang Ucchin, and Lee Jung Seob’s representation of the Paradise which is irrelevant to the war, is kind of a respondence strategy of their own. Works related to Korean War began to slow down in the 1970’s, then emerged again in the 1980’s. At this time, it is interesting to observe that later generation, which was not involved in the war, dealt with the same subject. Rather than representing the wound or tragic moment, these works sought to figure out the cause of division with the weight of reality. As an example, this paper examines works from the exhibition 6.25 in 1984 by members of Reality and Utterance along with the analysis of the later generation’s perception of Korean War. Finally, it also evaluates the aspect of the ‘division trauma’ which has developed as another trauma after delay of the unification.

      • 6ㆍ25 남침전쟁 당시 국제관계, 전쟁의 개시·휴전과 교훈

        송종환 ( Song Jong-hwan ) 한국외교협회 2020 외교 Vol.135 No.0

        6ㆍ25 전쟁은 스탈린(Joseph V. Stalin) 감독, 김일성 주연, 마오쩌둥(毛澤東)이 조연을 하여 남침한 전쟁이라는 것이 역사적 사실임에도 2018년 이후 남ㆍ북한 관계와 주변정세의 변화로 역사적 사실이 흐려지고 있다. 2020년 6ㆍ25 남침전쟁 70주년을 맞아 필자가 1992년부터 공개된 6ㆍ25 남침전쟁 관련 소련 문서를 활용하여 과거에 썼던 학술 논문ㆍ글들과 중국 측 학자가 중국 측 자료를 활용하여 쓴 중공군의 6ㆍ25 전쟁 참전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당시 국제관계, 전쟁의 개시ㆍ중공군 참전, 휴전 과정을 정리하였다. 6ㆍ25 전쟁은 67년 전에 휴전을 하였지만 끝나지 않고 진행 중이다. 그간의 국제정세 변화로 6ㆍ25 남침전쟁의 최대 피해 당사자였던 대한민국의 현 정부는 피아(彼我)를 구분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6ㆍ25 남침전쟁이 주는 교훈과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서구권과 한국 학계에서 그동안 무의식적으로 사용해온 ‘한국전쟁(The Korean War)’이라는 용어가 한국에 의한 북침이라는 북한 측 선전에 악용될 우려가 있으므로 앞으로 ‘6ㆍ25 남침전쟁(North Korea’s Invasion War on June 25, 1950)’ 또는 ‘6ㆍ25 전쟁(6ㆍ25 War)’으로 부를 것을 제의한다. The War on the Korean Peninsula was started through North Korea’s surprise invasion of South Korea at 4:00 a. m. on June 25, 1950 in a scenario starring Joseph Stalin as director, Kim Il Sung as lead actor, and Mao Zedong as supporting actor. However, that historical fact has been muddled by the political climate and relationshi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especially since 2018. On the 70<sup>th</sup> anniversary of that War, the author synthesizes: (1) his prior academic papers analyzing Russian documents relating to North Korea’s invasion of South Korea which were made public since 1992 by the Russian Government; (2) a Chinese scholar’s research paper concerning the Chinese participation in North Korea’s invasion of South Korea, based on Chinese records; and expounds upo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during the initiation, Chinese participation and truce of that War. Although it has been 67 years since cease fire was declared, war between the two Koreas still continues. South Korea, which was the biggest victim of North Korea’s invasion, is having difficulty discerning ally versus enemy due to changes in its political climate. In this plight, the author discusses the lessons that were taught by the War which was initiated by North Korea’s invasion of South Korea, and proposes methods of handling South Korea’s current state of affairs.

      • KCI등재후보

        제3장 6·25전쟁과 남북한관계 - 교훈과 과제 -

        김강녕 한국통일전략학회 2010 통일전략 Vol.10 No.1

        본 연구는 6‧25전쟁의 교훈과 남북한관계: 교훈과 과제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6‧25전쟁의 전개과정과 교훈, 6·25전쟁 이후 남북한관계, 한국의 안보와 통일을 위한 과제 등의 순서로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보았다. 6·25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한 공산군이 북위 38도선 이남으로 무력침공함으로써 남한과 북한 간에 발생하여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이 조인될 때까지 약 3년 1개월에 걸쳐 지속된 전쟁으로서 실로 엄청난 인적․물적․정신적 피해를 안겨준 전쟁이었다. 6‧25전쟁의 발발원인과 관련해서는 치열한 논쟁이 지속되어왔지만 그동안의 논의과정에서 명백해진 사실은 6‧25전쟁이 소련과 중국의 지원으로 무력통일을 기도한 북한의 남침에 의해 발발하였으며, 전쟁의 일차적 책임은 김일성을 비롯한 북한 지배층에 있다는 점이다. 6‧25전쟁은 한국 역사상 가장 비참한 동족상잔의 비극이었으며 자유․공산 양대 세력의 세계적인 전쟁이었다. 한국전쟁은 대내외적으로 실로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국제적으로 미국을 세계 최강대군사대국화하고 미소냉전을 악화시키는 등 국제정치에도 실로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국내적으로 국토가 초토화되고 민족의 이질화가 심화되었다. 최근 2000년 남북정상회담 이후에도 남북관계는 아직도 군사적으로 주적관계로서 분단체제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6·25전쟁은 이러한 비참한 전쟁이 이 땅에 다시 되풀이되어서는 아니 됨을 우리에게 가르쳐준 전쟁이었다. 북한의 변함없는 대남전략과 군사위협, 그리고 정전체제의 존속이 말해주듯이, 6‧25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북한은 사회주의권의 대변혁으로 인한 세계적인 탈냉전 이후에도 선군정치의 기치 아래 사상무장을 강화하고 대량살상무기 개발과 전력증강에 주력하는 등 군사적 위협의 실체에는 아직 변함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는 튼튼한 안보역량의 기반 위에서 한반도에서 전쟁을 방지하고, 남북대화․교류협력과 주변 관련국들과의 외교적 협력을 통해 한반도의 평화를 정착시키고, 나아가 우리 민족 최대의 숙원인 남북통일을 이룩해내는 일이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미국은 1950~53년까지 한국 전쟁에서 북한과 싸웠고, 오늘날까지 한국의 든든한 후원자이다. 6‧25전쟁 당시 미국을 위시한 유엔군의 도움을 우리가 받지 못했더라면 북한의 공산화통일에서 한국을 지켜낼 수 없음은 물론 오늘과 같은 국운융성의 기회를 갖기 어려웠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통일과정에서는 물론 통일 이후에도 한반도를 둘러싼 동북아지역의 안정과 평화를 위해서도 한미군사협력관계는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at analysing the Korean War and inter-Korean relations. It is focused on the lessons of Korean War and ROK's military and diplomatic tasks. On June 25, 1950, North Korea launched an unprovoked full-scale invasion of the South, triggering a three years war which drew in U.S., Chinese and other foreign forces. The Korean War lasted about three years 1950-1953. The Korean War ended with the armistice of 1953. The Korean War was the first armed confrontation of the Cold War and set the standard for many later conflicts. It created the idea of a limited war, where the two superpowers would fight in another country, forcing the people in that nation to suffer the bulk of the destruction and death involved in a war between such large nations. The superpowers avoided descending into an all-out war with one another, as well as the mutual use of nuclear weapons. The North Korean army armed with the Russian tanks and guns. The leader of them, Kim Il-sung prepared the war for a long time. He wanted to make Korea as a communist country. He kept in touch with Russia and China and got weapons from those countries. But the South Korean army and allied forces including the US army and other decades of countries' army were not defeated easily. The entire peninsula was devastated by the conflict. Many people got injured or died. For three years during the war, everything was destroyed and people had to leave their hometown to be alive. South and North Korea are still technically in a state of war, since the 1950-53 Korean War ended in a truce and not a peace treaty. The Korean war is a sad history for us and it cannot be happend again. The Korean War had a transformative impact on North and South Korea, and consolidated the postwar division of the two Korea. Nowadays, North Korea is making hot issues. They launched missiles and did nuclear experiment. They treated the world with missiles and nuclear weapons. They still want to make a whole Korea as a communist county but the South Korean army is definately different from 60 years ago and they are armed with a lot better weapons than North Korea's to prevent from the war. The Korean War damaged both Koreas heavily. Although South Korea stagnated economically in the decade following the war, it was later able to modernize and industrialize. In contrast, the North Korean economy recovered quickly after the war and until around 1975 surpassed that of South Korea. However, North Korea’s economy eventually slowed. Today, the North Korean economy is virtually nonexistent while the South Korean economy is expanding. Therefore we should work toward a durable structure of peace on the peninsula and common prosperity for South and North Korea through peace,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while at the same time maintaining a firm and combined defense posture. The United States fought North Korea in the 1950-53 Korean War and should remain a staunch supporter of the Republic of Korea. Based on the outcome of the past 50 years, Korea-U.S. alliance should be continued to develop to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through close assistance and cooperation.

      • KCI등재후보

        제2장 6‧25전쟁의 기본성격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정경환 한국통일전략학회 2010 통일전략 Vol.10 No.1

        This study attends to analyse the basic characters and meanings of the 6‧25 war. In spite of the 60 period of the 6‧25 war, many peoples have the wrong idea about the 6‧25 war. That is to say, the basis of this peoples's thinkings is located the pro-North Korean emotion. From now on, we must end the argument against the 6‧25 war. With this knowledge about the 6‧25 war, the basic characters of the 6‧25 war run as follows; First, the 6‧25 war has character of the practicing strategy of Kim Il-sung's communist surrender about the Korean peninsula. Second, the 6‧25 war has character of the front of East-West cold war' confrontation. Third, the 6‧25 war has spreaded the Europe's cold war the worldwide cold war. Finally, the 6‧25 war had aggravated proliferation of authoritarianism in the Korean peninsula. The meanings of the 6‧25 war with the above mentioned characters are follows; First, We must recognize the character of anti-democracy and anti-history of North korean regime in light of Kim's distinct invasion of the South. Second, the 6‧25 war has meaning as the direct fighting front between US and USSR. Third, the 6‧25 war has made the regional cold war the global cold war. Fianally, the 6‧25 war had paved the way for new arms race in the region of Northeast Asia containing the Korean peninsula. 본 연구는 6‧25전쟁의 기본성격과 그 의미에 관한 것이다. 6‧25전쟁 60주기를 맞이하여 아직까지 6‧25전쟁에 대해 잘못된 생각을 가지고 있는 이들이 많이 있다. 한국사회 내에 반민주적이고 시대착오적인 김정일 정권에 대해 친북적 사고와 인식을 가지고 6‧25전쟁을 왜곡해서 해석하는 이들이 있다. 이제 6‧25전쟁의 성격과 그 의미에 대한 명확한 분석과 해석을 통해 그 논란에 종지부를 찍어야 하는 시기에 이르렀다. 6‧25전쟁은 첫째, 김일성의 전한반도 공산화전략의 실천전략이라는 분명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둘째, 6‧25전쟁은 동서냉전의 대결장으로서의 성격을 함유하고 있다. 셋째, 6‧25전쟁은 국제적 냉전의 전세계적 확산의 결정적 계기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마지막으로 6‧25전쟁은 남북한체제의 냉전구도의 가속화를 조성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성격을 지니고 있는 6‧25전쟁의 기본성격이 지니는 의미는 무엇보다도 첫째, 김일성의 남침을 볼 때 북한 정권의 반민주적이고 반역사적인 성격을 명확히 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6‧25전쟁은 단순히 남북한의 대결이 아니라 미소 간의 직접적인 대결장으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셋째, 6‧25전쟁은 유럽의 냉전을 세계적 냉전으로 확산되는 결정적인 계기를 조성하였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6‧25전쟁은 남북한 간에 군비경쟁을 가속화시키고 남북한 체제 모두 체제의 독재성을 조성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 회화자료를 통해 본 6 . 25전쟁

        조은정 육군군사연구소 2010 군사연구 Vol.- No.130

        In modern warfare, photographs seem to capture the reality of the war. However, since photographs are taken only from one-side of selective standpoints, actually they convey manipulated and distorted reality. Thus,artworks which were created by people had in fact expressed the truthful side of the reality more than photographs in many cases. Unlike photographs that are based on selective perspectives, the visual images created by artists are meaningful, since they are records of the people who experienced the devastated war. In other words, the artworks exist as the results of the actual war experiences. Since experiences are personal matters and they are outcomes of limited notion and distorted memories, like oral histories, they must be followed by definite analysis. Nevertheless, since Korean War related visual references, especially artworks, had depicted the experiences of the Korean War, they are valued differently from the historical descriptions or data. It concentrates on one human being, who is living in the middle of the war; which means that, the Korean War that is recorded by artists, like battlefields, soldiers, and the everyday life after the war and etc., were considered to be their up to date experiences. During Korean War, artists worked as military artists in organizations,served in the army as artists, and as part of the Troop Information and Education Department, they created flyers for United Nations and South Korean troops and actively performed their role in the anti-communism guerrilla units. Military artists were in charge of recording the scenes of the war in images, and portraying soldiers’ activities. As a duty of cultured men,who are living in urgent times, military artists were in between the boundaries of soldiers who will be leading the pacification, and the general public who contains the passion of pure creation. Therefore, the war sights they drew had sustained an observer’s point of view, unlike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battles as soldiers. Thus, in battles, the artists tend to focus on soldiers as human beings, who are the subjects and objects. When concentrating on general life, they created artworks that convey the exhausted reality of life by maintaining the viewpoint of humanism. The information about the new world had expanded the most during the Korean War, than any other time period. Moreover, it was when the artworks which could inform the country’s ideology, and that require strong spontaneity were both needed, and also being created in a great deal. Even though the Korean War was in a form of a civil war, the impact was the size of a world war, and even it was seemed to occur due to internal conflicts in Korea, just like the complexity of the war, the variety of artworks could be tracked and classified in a diversity of aspects. This study aims on analyzing the Korean War in the sense of the visual system, by examining the contents of artworks, which were created during the Korean War. Flyers and posters are weapons that directly waged the war, when considering the part of the psychological warfare. Consequently,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y grasped the nature of the Korean War, or reflected the aspects. Thus, only the artworks, which are known to be created by artists, were considered as the research targets. The war played a major role in creating artworks as military artists, and also recording their own daily lives as pure art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aspects of the war as Koreans’trauma, in terms of the experiences and records of the Korean War. 현대전에서는 사진이 전쟁의 실상을 나타내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사진은작가에 의해 선택된 관점의 한 면에서만 찍혀지기 때문에 실제로는 조작되고 왜곡된 사실을 전달한다. 그러므로 실제로 사람들에 의해 창조된 예술작품이 많은경우에서 사진보다 사실의 진실한 면을 표현한다. 선택적인 관점에 기초하는 사진과 달리 예술가에 의해 창조된 시각적 이미지는 참혹한 전쟁을 경험한 사람들의 기록인 만큼 그 의미가 더 깊다. 다른 말로 예술작품은 실제 전쟁 경험의 결과물로서 존재한다. 구술역사와 마찬가지로 경험은 개인적이고, 또 제한된 관념과왜곡된 기억의 결과이기 때문에 경험은 명확한 분석을 거쳐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예술작품을 비롯하여 6․25전쟁과 관련된 시각적 참고자료는 6․25전쟁의 경험을 묘사하고 있는 만큼 역사적 기술이나 자료와 다르게 평가된다. 그러한 참고자료는 전쟁 한가운데를 직접 살아나갔던 한 인간에 집중된다. 이는 예술가가 기록한 6․25전쟁은 전장과 군인, 전후 일상생활 등과 마찬가지로 예술가의 최근 경험으로 간주된다는 의미가 된다. 6․25전쟁 동안 각종 단체의 종군화가나 군대의 종군화가, 군대정보교육부(Troop Information and Education Department) 소속으로 활동해온 예술가들은유엔과 남한군 측의 전단지를 만들고 반(反) 공산주의 게릴라 부대에서 적극적으로 역할을 맡았다. 종군화가들은 전쟁 장면을 이미지로 기록하고 병사들의 활동을 묘사하는 임무를 담당했다. 급박한 시대에 휩쓸린 교양인의 의무를 가진 종군화가들은 게릴라 활동 근거지의 파괴 작전을 주도하는 군인의 신분과 순수한 창작에 대한 열정으로 찬 일반 사회의 경계선에 있었다. 그러므로 종군화가들이 그린 전쟁에 대한 시각은 병사로 전투에 참여한 이들과는 다른 관찰자 입장의 시선을 나타냈다. 이런 이유로 전투에 참가한 종군화가들은 주체이자 객체가 된 인간으로서의 병사들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 생활에서는 인도주의의관점을 유지함으로써 삶의 피폐된 사실을 전하는 예술작품을 창조하였다. 신세계에 대한 정보는 다른 어떤 시대보다 6․25전쟁 기간 동안 가장 많이 확대되었다. 더욱이 국가이념을 형성할 수 있는 예술작품의 시기야말로 강력한 자생력이 요구되고 많이 창조되었다. 6․25전쟁은 내전의 형식이었지만 그 영향력은 세계 전쟁의 규모였다. 한반도내부 갈등으로 발생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전쟁의 복잡성을 가지고 있는것처럼 다양한 예술작품이 발견되어 다양한 관점에서 분류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6․25전쟁동안 창조된 예술작품의 내용을 조사함으로써 시각적 체제의 맥락에서 6․25전쟁을 분석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심리전의 일환으로 생각할 때전단지와 포스터는 전쟁을 시작하게 한 직접적인 무기였다. 이 결과 전단지와 포스터가 6․25전쟁의 본질을 함유하거나 그러한 관점을 반영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예술가에 의해 창조되었다고 알려진 예술작품만이 이 연구 대상으로 간주되었다. 전쟁은 종군화가로서는 예술작품을 창조하고, 순수 예술가로서는 그들자신의 일상생활을 기록하는데 주요 역할을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6․25전쟁의 경험과 기록 면에서 봤을 때 한국인의 정신적 외상으로서 6․25전쟁의 관점을조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 교과서에서의 국가수호가치 훼손 사례분석: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6·25 전쟁을 중심으로

        김주환 한국보훈학회 2014 한국보훈논총 Vol.13 No.2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if main events in Korean modern history are described in the textbook of Korean history for highschool students to respect the contribution and sacrifice for the value of protecting homeland, one of the 3 values in the ideology of reward for patriots and veterans, to find the problems, and to find a way to solve them. The events in the textbook of Korean history to analyze in this article are the establishment of ROK and the 6·25 War which almost destructed the ROK, which are directly related with the value of protecting homeland in the ideology of reward for patriots and veterans. Material for research is the 8 kinds of textbook of Korean history which passed the review by Ministry of Education and Technology in 2013 and is being used in high schools from Spring Semester, 2014. The foundation of the legitimacy of ROK Government and the reason to protect ROK in the 6·25 War converge on the issue of democracy and the theoretical reference to analyze 2 cases is the people's sovereignty and 4 principles of democratic election which is defined as the minimum democracy by Sartori, Beetham and Boyle. The 8 textbooks shows that the reason 5·10 General Election led to a separate one only for South Korea is because USSR refused the entrance of UN Temporary Commission to North Korea but they missed the main reason of separate election was because North Korean leadership and USSR worried about the democratic election which wouldn't guarantee the victory of communist party. The 8 textbooks didn't also compare the 5·10 General Election with the Election for North Korean Supreme Council and reveal the undemocratic nature of North Korean election, and failed to show the legitimacy of ROK Government. The analysis of 8 textbooks shows that they failed to explain the character of the 6·25 War, what the 6·25 War was to Korean Veterans and Korea peopl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section of 6·25 War. The problems with the textbook of Korean history should be solved soon to reflect the value of protecting homeland and respect the contribution and sacrifice of Korean War veterans. 본 연구는 2013년 검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의 국가수호가치 훼손 사례를 분석하고 어떻게 개선되어야 할지를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국가수호 가치의 핵심영역인 ‘대한민국정부 수립’과 국가존립을 위협했던 ‘6·25전쟁’을 사례로 선정했다. 대한민국정부의 정통성 근거와 6·25 전쟁에서 대한민국을 수호해야 할 이유는 민주주의 문제로 수렴하는 바, 두 가지 사례분석을 위한 준거틀로 사르토리(Sartori)와 비담과 보일(Beetham and Boyle)이 공통적으로 제시하는 주권재민의 원리와 그것을 구현하는 방법으로서 민주선거의 4대원칙에 두었다. 분석결과, ① 대한민국정부 수립에 대해 8종의 교과서들은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선거가 5·10 총선거라는 단독선거로 귀결된 이유에 대해 소련의 유엔임시위원단 입북거부라는 피상적 사실만 제시했다. 반면에 선거를 민주선거로 할 것인가 아니면 통제된 조작선거로 할 것인가라는 근본적 쟁점에 대한 논쟁을 누락시켰다. ② 민주주의에 대한 최소한의 정의를 충족시킨 5·10총선거와 민주주의에 대한 총체적 부정이었던 북한의 최고인민회의 선거를 대비시키지 않음으로써 북한 선거의 비민주성과 대한민국정부의 정통성을 확연히 부각시키지 못했다. ③ 6·25전쟁에 대한 서술에서는 교학사를 포함한 7종이 6·25전쟁이 대한민국 수호 전쟁이자 민주주의 수호 전쟁이라는 성격을 생략했으며, 교학사를 제외한 7종이 전쟁 초기 북한이 남한점령지역에서 실시한 인민위원회 선거가 비민주적인 조작선거임을 언급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고등학교 교과서들은 물론 교학사 교과서도 대한민국정부의 탄생 및 6·25전쟁과 관련된 핵심적 내용을 시급히 수정·보완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과서에 보훈이념의 국가수호 가치가 제대로 반영되어야 참전 국가유공자들의 공헌과 희생이 선양되고 기억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6·25전쟁 전사자 유해발굴 및 유품의 사료적 가치 검토

        고종성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2 군사 Vol.- No.123

        This study inquires if the remains and their leftover objects collected by an excavation of the Korean War fallen could be used as essential historical source for the research of Korean War history. The fallen who were dead in the middle of battle did not receive any proper attention from existing studies. Along with the excavation which has been conducted as the 50th anniversary commemorative project of the Korean War, the objects left over by the fallen began to get spotlighted for the first time. The Korean armed forces confronted the outbreak of war in the absence of experience and a record system, especially the case of the war fallen. The outcome of this excavation in the current situation is the critical source for an empirical understanding of the existence of the Korean War fallen. North-Gyeongsang Province is the area where the sacrifice of the Korean soldiers eventually got the opportunity for counterattack: the defense line of the Nakdong River had been built there in alliance with the military forces of United Nations by a delaying action throughout the region of Sobaek Mountains. The distribution of the Korean War fallen in the major battlefields of Gyeongsangbukdo shows that in the battlefields such as Punggi, Andong, Mungyeong, Yeongdeok, Uiseong, and Chilgok, which had been recorded in the existing research of war history, a significant number of the fallen were excavated. Moreover, the excavated number of the fallen in the battlefields of Pohang and Yeongcheon exceeds the previously expected scale, which makes a new base to re-confirm the existing studies of the Korean War history. The objects excavated with the Korean War can be classified by types as weapon, ammunition, clothing, military boots, equipment, and personal belongings. These are used as an essential material for identification: successfully analyzing the properties of objects by types can identify the nationality of the deceased person, i.e., to distinguish whether they are friendly or foe. In conclusion, information on the remains and the objects of the Korean War fallen obtained by excavation can be used as historical source through the various ways of analysis. This allows a more empirical approach to the Korean War fallen who had been left just as an object of simple commemoration. 본 연구는 6·25전쟁 전사자 유해발굴을 통해 수습한 전사자 유해와 유품을 6·25전쟁사 연구에 필요한 하나의 사료(史料)로써 활용할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6·25전쟁 중 적과 싸우다 사망한 전사자(戰死者)는 기존의 6·25전쟁사 연구에서는 주목받지 못하다가 6·25전쟁 5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된 전사자 유해발굴과 맞물리면서 처음으로 그 성격을 조명받기 시작했다. 한국군은 전사자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한 경험과 기록 체계가 부족한 상태에서 전쟁을 맞이하였다. 따라서 현 상황에서 전사자 유해발굴을 통해 공개된 정보는 6·25전쟁 전사자의 존재를 실증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핵심 자료이다. 경상북도 지역은 한국군이 소백산맥 일대의 지연전을 거쳐 유엔군과 함께 낙동강 전선에서 방어전을 수행하며 반격의 발판을 만들어낸 곳이다. 이러한 경북의 주요 전투지역에서 한국군 전사자 유해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본 결과 문경, 풍기, 안동, 의성, 영천, 칠곡(다부동), 영덕, 포항 등 기존 전투사에 기록된 격전지에서 상당수의 6·25전쟁 전사자 유해가 발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포항과 영천 지역의 경우 기존에 알려졌던 전사자 규모보다 더 많은 수의 한국군 전사자 유해가 발굴되어 기존의 6·25전쟁 전투사를 재확인하는 새로운 근거로 삼을 수 있었다. 6·25전쟁 전사자의 유품은 말 그대로 전사자가 소지하고 있던 유류품을 뜻한다. 그 종류에 따라 화기류, 탄약류, 피복류, 군화류, 장구류, 개인유품 등으로 분류되는데 이러한 유품들은 종류별로 특징을 분석하여 전사자의 국적, 즉 피아(彼我)식별에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전사자의 신원확인을 위한 핵심적인 근거자료로 활용된다. 위와 같이 6·25전쟁 전사자 유해발굴을 통해 파악한 전사자 유해와 유품에 대한 정보는 다양한 분석을 통해 사료적 활용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그동안 단순히 추모의 대상으로만 해석되어왔던 6·25전쟁 전사자에 대해 실증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 KCI등재

        전쟁명명의 정치학: "아시아ㆍ태평양전쟁"과 "6∙25전쟁"

        김명섭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09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0 No.2

        This paper deals with the politics of “war naming” which often leads to “naming wars,” by focusing on two military conflicts that involved Korea. First, the military conflict from 1931(or 1937 or 1941) to 1945(or 1952) in the Asia-Pacific area has been variously named as the Pacific War, the American- Japanese War, the Asia-Pacific War, or the Great East Asian War(Daitowa Senso). Second, the military conflict from 1950(or 1948) to 1953(or to the present) on the Korean peninsula has different names such as the 6•25 sabyon(incident), the 6•25 jeonjaeng(War), Hanguk jeonjaeng, or Kim Il- Sung’s War. In North Korea, it is formally called the Joguk haebang jeonjaeng(the War of Fatherland Liberation). In China, the conflict was officially known as “the War to Resist America and Aid Korea”(抗美援朝). Analyzing the politics of naming in these two cases, this paper argues that the term of “the Asia-Pacific War” is the tempo-spatially most adequate and the term of “6•25 War in Korea” is politically most nonprejucial which can be used even after the Korean reunification. 이 논문은 명명의 전쟁으로 이어지곤 하는 전쟁명명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1931년(혹은 1937년이나 1941년)부터 1945년(혹은 1952년)까지 아시아ㆍ태평양지역의 집단적 무력분쟁에 관해서는 태평양전쟁, 대동아전쟁, 미-일전쟁, 그리고 아시아ㆍ태평양전쟁 등의 용어들이 혼재한다. 1950년(혹은 1945년이나 1948년)부터 1953년(혹은 현재)까지 한반도지역의 집단적 무력분쟁에 관해서는 6∙25사변(동란), 6∙25전쟁, 한국전쟁(동란), 조선전쟁, 조국해방전쟁, 항미원조전쟁, 그리고 김일성공란 등의 용어들이 혼재한다. 이 연구는 이들 용어들 중 아시아ㆍ태평양전쟁이라는 용어 가 전쟁의 시공간적 성격을 좀 더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한반도) 6∙25전쟁이라는 용어가 적어도 남북한통일 이후에까지 가치중립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용어라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 KCI등재

        대전 지역 6ㆍ25 전쟁 체험담의 유형별 특성과 존재 양상

        백민정(Baek Min jeong)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5 No.-

        이 논문에서는 현재(2012~2016년) 대전 지역에서 채록된 6ㆍ25 전쟁 체험담을 대상으로 유형별 특징과 존재 양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현존하는 대전 지역의 6ㆍ25 전쟁 체험담의 유형은 경험의 주체가 군인이었는가, 민간인이었는가에 따라 전투체험담과 민간인 전쟁 체험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투 체험담은 경험의 주체는 군인이고, 주체와 갈등하는 객체는 적군으로 설정되어 6ㆍ25 전투에 참전하여 겪은 일들에 대한 담화이다. 민간인 전쟁 체험담은 피란민으로서 전쟁을 겪었느냐, 주거 지역에 잔존한 민간인으로서 전쟁을 겪었느냐에 따라 피란 체험담과 민간인 전쟁 체험담으로 나뉜다. 피란 체험담은 전쟁으로 인해 생존의 터전을 잃고 떠돌아다니며 고생한 경험을 이야기한 담화로서, 경험의 주체인 피란민과 갈등하는 객체는 전쟁 자체라 볼 수 있다. 민간인 전쟁 체험담은 전쟁이 나서 자신이 주거하고 있는 지역을 점령한 이가 이북 진영의 인민군인가, 이남 진영인 남한의 군인과 경찰인가에 따라 적군에 의한 피해담과 아군에 의한 피해담으로 나뉜다. 적군에 의한 피해담은 인민군이나 인민군에 협력한 이남 진영의 ‘지역 빨갱이’ 및 빨치산이 갈등의 객체로 설정되어 경험의 주체인 민간인을 죽이거나 고초를 가한 담화의 서사이다. 아군에 의한 피해담은 우리 군인 및 경찰이 특정 지역민을 빨갱이로 지목하여 이들을 죽이거나 고초를 가한 담화의 서사이다. 대전 지역 6ㆍ25 전쟁체험담의 존재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화롭던 어느 날 ‘갑작스럽게 전쟁이 발발했다’는 담화이다. 둘째 전쟁의 참상을 그리는 담화로서 주로 총칼이나 폭격으로 서로를 죽이고 죽는 전투의 참상, 굶주림의 참상으로 표현된다. 셋째 군인과 경찰에게서 받은 고초 담화로서 전쟁 직후 인민군과 지역 빨갱이 및 빨치산 등 이북 진영에게 받은 고초담, 수복 후 이남의 군인과 경찰에게 받은 고초담이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전쟁 중에 빛을 발하는 인간애로, 죽을 위기에 처한 이웃을 도운 미담들이 여기에 속한다. 대전 지역의 6ㆍ25 전쟁체험담은 강력한 담화 욕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차적으로 구비문학적 연구 가치를 지닌다. 또한 대전 지역에서 있었던 집단 학살 담화가 전승 집단 내에서 실제 지명과 함께 단편적으로라도 반드시 언급이 된다는 점과 이것이 일부 와전되어 담지되는 현상을 통해 경험담의 전설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구비문학적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fter collecting and recorded stories about the Korean War experiences in the Daejeon area for a period from 2012 to 2016,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existence aspects of the stories according to their types. The types of stories about the Korean War experiences currently available in the Daejeon area can be divided into stories about combat experiences and stories about civilians’ war experiences according to whether the subjects of the experiences are soldiers or civilians. The stories about combat experiences are discourses on the experiences of battles in the Korean War, with soldiers being set as the subjects of the experiences, and enemy forces as the objects that came in conflict with the subjects. The stories about civilians’ war experiences are divided into stories about war experiences as refugees and stories about war experiences as civilians according to whether they experienced the war as refugees or civilians who remained in their residential regions. The stories about experiences as refugees are discourses on hardships during the war as wanderers leaving their homes due to the war, and it may be said that the object in conflict with refugees, who are the subjects of the experiences, is the very war itself. The stories about war experiences as civilians are divided into stories about damage by the enemy and stories about damage by our troops according to whether the occupiers of one’s own residential region were North Korean people’s army, or South Korean army or police. The stories about damage by the enemy are narratives in which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or ‘local commies’ and partizans in South Korea taking the side with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who are set as the objects of conflict, killed or imposed hardships on civilians, who are the subjects of experiences. The stories about damage by our troops are narratives in which our army and police killed or imposed hardships on residents of specific regions, pointing out them as commies. The existence aspects of stories about Korean War experiences in the Daejeon region are as follows: The first is discourses saying that one day ‘the war broke out suddenly.’ The second is discourses depicting the horrors of the war, such as hunger and mutual killing in battles with guns & swords or bombing. The third is discourses on hardships caused by army or police. They include stories about hardships inflicted by the North Korean camp such as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and local reds & partizans directly after the outbreak of the war, and stories about hardships inflicted by South Korean army and police after recapture. The last one is humanity having shone in the war. Beautiful stories about helping neighbors in peril of death fall under this. The stories about the Korean War experiences in the Daejeon region primarily have research value as oral literature in that they are based on strong desire for discourse. In addition, it may be said that they have value as oral literature because discourses on slaughter committed on a mass scale in the Daejeon region are surely mentioned within the transmission group, albeit partially, with actual place names, and the phenomenon of stories about the experiences being legendized is found from the phenomenon that some of the discourses are misrepresented and suppor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