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5·18 국가폭력과 지역주의 정당지지 : 역사적 유산의 영향을 중심으로

        조영호,김용철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22 亞細亞硏究 Vol.65 No.4

        This study attempt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gionalist partisanship as a legacy of the 5·18 state violence. Existing literature on Korean regional politics posits that the 5·18 state violence is a root cause of the formation and persistence of regionalist party system but there have been few empirical studies and the study aims to fill out this gap. Analyzing the public opinion survey conducted 40 years after 5·18, the study reveals three findings. First, present attitudes about the People Power Party and the Democratic Party among citizens experiencing the 5·18 state violence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Honam and the other areas. Second, those citizens show stronger attitudes of pro-Democratic Party and anti-People Power Party than the others within Honam, which confirms that the great assimilation of partisanship has occurred with the center of the 5·18 victims. Finally, those citizens living outside of Honam are ambiguous simultaneously supporting both parties, although they are positive about the Democratic Party. These empirical results make new and important implications about Yeongnam regionalism and the persistence of Korean regional party system. 이 연구는 5·18 국가폭력이 지역주의 정당지지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그간 한국 지역주의 정치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5·18 국가폭력을 지역주의 정당구도의 형성 및 지속의 결정적 원인으로 진단해 왔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경험적 연구는 부재했다. 이러한 공백을 메우고자, 본 연구는 5·18 발생 40여 년이 지난 시점에서 조사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다음 세 가지 결과를 발견하였다. 첫째, 5·18 국가폭력을 겪었거나 목격한 사람들의 국민의힘과 민주당에 대한 태도는 그들의 거주 지역(호남과 비호남)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둘째, 호남지역 거주자들 가운데 5·18을 경험한 사람들은 비경험자들에 비해 ‘친(親)민주당-반(反)국민의힘’ 태도가 상대적으로 강했는데, 이는 호남지역에서 5·18 경험자들을 중심으로 정당지지를 둘러싼 거대한 동화가 일어났음을 보여준다. 셋째, 비호남 거주 5·18 국가폭력 경험자들은 민주당에 호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민주당과 국민의힘을 동시에 지지하는 비일관적인 양상을 보였다. 이 같은 경험적 결과는 영남지역주의는 물론, 지역주의 정당구도의 지속에 관해 새롭고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5・18진상규명특별법 제정의 의의와 향후과제

        김정호(Kim, Joung-Ho)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18 인권법평론 Vol.- No.21

        1980년 5・18민주화운동이 발생한지 38년의 세월이 지났음에도 불구하 고,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진상규명의 문제는 여전히 우리사회의 미완의 과제로 남아 있다. 5・18 역사왜곡을 집대성한 전두환회고록이 출간되고, 인터넷을 중심으로 인터넷의 익명성 때문에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왜곡과 폄훼 시도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계속적인 왜곡과 폄훼 시도는 오히려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의 필요성을 제기하게 하는 계기라고 할 것이다.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진상을 규명하고 왜곡과 폄훼를 막는 것이 가장 필요한 이유는 다름 아닌 국민통합을 위해서이다. 진상규명이 되지 않아서 가해자가 누구인지도 모르고 피해자로서는 누구를 용서해야 할지 용서할 대상조차 모른 상황에서 상처가 치유되지 않는 채로 국민통합을 주장하는 것은 합리성을 결여한 주장이다. 5・18민주화운동을 높이 평가하는 사람들이나 왜곡하고 부정하는 사람들 모두에게 ‘국가 차원의 공식적인 진상보고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5・18민주화운동을 높이 평가하는 사람들의 경우 그 정당성을 인정받기 위해서, 5・18민주화운동을 왜곡하고 부정하는 사람들에게는 더 이상의 논란을 제기하지 않도록 팩트 체크를 위해서라도 ‘국가차원의 공식적인 진상보고서’가 필요하다. 만시지탄이지만 지난 2018년 3월 14일 5・18진상규명특별법이 제정되었 다. 5・18진상규명특별법의 제정은 5・18진상규명의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5・18진상규명특별법 제정 이후 진상규명을 위한 산적한 문제들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5・18진상규명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했지만 인적 증거 확보방 안(동행명령제도의 개선)과 물적 증거 확보방안(압수수색검증 요청권한의 개선) 등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의 조사권한을 실질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방향으로 개정해야 할 내용이 존재하고, 시행령을 통해 보완해야 할 내용도 존재한다. 한편, 전두환회고록이 작년 4월 출판됨으로 인하여, 그 5・18 역사왜곡에 대한 형사사건으로 2018년 5월 3일 전두환의 사자명예훼손 사건이 공소 제기되었고, 민사사건으로는 2017년 8월 4일과 2018년 5월 14일 두 차례에 걸쳐 출판 및 배포금지가처분신청이 인용되었으며, 위 가처분에 대한 본안소 송(손해배상청구와 출판및배포금지청구)도 제기되어 사법부의 판단을 앞두고 있다. 5・18 당시 북한군개입설이나 헬기사격, 암매장 등 상당한 쟁점에 대하여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의 활동이 개시되기 이전에 대부분 사법부의 판단을 받아볼 수 있어서 객관성이 담보된 사법부의 판단이 5・18진 상규명특별법을 통한 진상규명활동의 디딤돌이거나 촉매제로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전두환회고록의 출판이 그 출판의도와 달리 오히려 5・18진상규명의 계기가 되고, 사법부 판단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되었다는 것은 역사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진상규명의 문제는 결코 진보와 보수의 문제가 아니고, 상식과 정의의 문제이자, 민주주의 가치를 보존하는 일이다. 5・18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왜곡하는 행위는 문명국으로서의 대한민국의 품격을 훼손하고 민주주의 자체를 위협하는 시대착오적인 행위라고 할 것이다. 5・18 민주화운동의 진상규명은 정치적 문제가 아닌 역사적 진실을 규명하여 국민통합을 위한 길이며, 우리사회의 품격과 민주주의의 성숙도와 법제도의 건강성을 지키는 길이 될 것이다. 역사의 교훈을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전두환회고록 관련 소송 등을 통한 사법부의 판결과 5・18진상규명특별 법에 의하여 구성될 진상규명조사위원회를 통한 진상조사가 상호 보완되어 5・18민주화운동의 진상규명작업이 결실을 맺기를 기대한다. Despite the fact that 38 years have passed since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in 1980, the problem of identifying the truth about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remains an incomplete task in our society. Chun Doo-hwan s memoir, which compiles the history distortions of May 18, has been published, and the distortion and denigration to the May 18 democracy movement is still ongoing centered on the Internet due to the anonymity of the Internet. The continuing distortions and denigration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will be an opportunity to raise the necessity of identifying the truth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It is for the sake of national unity that it is most necessary to identify the truth of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o prevent distortion and denigration. It is a lack of rationality to insist on the unification of the nation without knowing who the perpetrator is because the facts are not clarified, and the victims do not even know who to forgive and the wound remain unhealed. For the people who appreciate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official truth report at the national level’ is absolutely necessary in order to be recognized for its justification and for the fact check to avoid further controversy for those who distort and deny the May18th Democratic Movement. Although rather long overdue, on March 14, 2018, the special law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was enacted.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law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is not the end but the beginning. Although the special law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there is a content to be revised in the direction of substantially strengthening the investigation authority of the investigation committee, such as measures for securing human evidence (improvement of cooperative order system) and measures for securing physical evidence (improvement of authority to request seizure verification). There is a content to be revised in the direction, and there is content to be supplemented by the enforcement ordinance. Meanwhile, due to the publication of Chun Doo-hwan s memoir in April of last year, a case of defamation of the dead by Chun Doo-hwan was filed as a criminal case against May 18 history distortion on May 3, 2018, two civil cases were filed on August 4, 2017 and on May 14, 2018 for application of provisional disposition for prohibition of publishing and distribution, and the lawsuit against the above dispositions (claims for damages and prohibition of publishing and distribution) is also being filed and the judgment of the judiciary is on the way. Most of the issues such as North Korean intervention, helicopter shooting, and secret burial during the time of May 18 can be judged by the judiciary before the May 18 investigation committee commences its activities, and it became more likely that the judiciary s judgment, which has been secured with objectivity, could act positively as a stepping stone or as a catalyst for truth-clarification activities through the special law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It is an irony of history that unlike the publication intention of Chun Doo-hwan s memoir, it provided the occasion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and the opportunity to be judged by the judiciary. The issue of identifying the truth about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is not a question of liberal or conservative, but a matter of common sense and justice, and preserving democratic values. The act of distorting the history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would be an anachronistic act that undermines the quality of Korea as a civilized nation and threatens democracy itself.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will be a way to unite the people by identifying historical truths, not political ones, and it will be a way to maintain the dignity of our society, the maturi

      • KCI등재

        일기 속의 5・18: 항쟁 당시 쓰여진 일기의 가치와 의의

        박경섭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6

        Studies on 5・18 memory are mainly based on oral data and records collected after the end of a uprising. These data are closely related to the formal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5・18 as a product of the collective memory of victims and participants in the uprising. However, for the first time, the ‘May Diaries’ analyzed in this paper vividly and concretely describe the 5・18 experiences of ordinary citizens as data before the formalization and formation of collective memory, unlike the existing data. This Article intends to clarify its value and significance in the 5・18 research and the memory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eight diaries written during the 5・18 uprising. The Article explains the contents and features of the eight May Diaries, reinterprets the liberation period by taking advantage of the diary’s strengths, and reveals the confusion of the values of ordinary Gwangju citizens through a contradictory figure of evil rioter and good citizen. May diaries have limitations as subjective records, but their vividness of the uprising field and their diversities in the memory can enrich the study of 5・18. The diary also makes it easier for non-experienced and later generations to approach 5・18, which is difficult and distanced, through the transfer of emotions that ordinary people felt during the struggle. 5・18기억 연구는 주로 항쟁 이후 수집된 구술 자료와 기록들을 토대로 한다. 이러한 자료들은 항쟁 이후 형성된 피해자와 항쟁 참여자들의 집합 기억의 산물로 5・18의 공식화 및 제도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 최초로 분석한 오월 일기들은 기존의 자료들과 달리 집합 기억 형성과 공식화 이전의 기록물로서 평범한 시민들이 겪은 5・18을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 논문은 5・18항쟁 당시 쓰여진 8편의 일기를 분석하여 5・18 연구와 기억 연구에서 그 가치와 의의를 밝힌다. 논문에서는 8편의 오월 일기들의 내용과 특징을 설명하고 일기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살려 해방 기간을 재해석하고, 평범한 광주 시민들의 가치관의 혼란을 폭도이자 선량한 시민이라는 모순적 형상을 통해 드러낸다. 오월 일기들은 주관적 기록으로서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그 현장성과 기억의 다양성을 통해 5・18연구를 풍성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비경험자와 이후 세대에게 어렵고 거리감이 있는 5・18을 평범한 사람들이 항쟁 당시 느꼈던 감정에 대한 이입을 통해 조금 더 쉽게 접근하게 할 수 있다.

      • KCI등재

        5・18민주유공자 보훈 현황과 개선 방안: 5・18민주화운동 피해자 실태조사와 관련하여

        민병로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23 민주주의와 인권 Vol.23 No.3

        For the first time in 30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5・18 Democratic movement compensation law in 1990, 5・18 Democratic movement victim (hereinafter referred to as 5・18 victim) survey was conducted. Gwangju Metropolitan City commissioned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to conduct a fact-finding survey on 2,009 of the 4,417 5・18 Democratic meritorious persons registered with the National Veteran Office as of 2021 from May to October 2022,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y were experiencing serious mental, physical and economic suffering. The most serious problems since 5・18 democratic movement are found to be mental pain 56.4%, physical injury and disease sequelae 54.0% and economic hardship 34.2%. They answered health(58.5%) and age (33.6%) for the reason why they do not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The personal income stands at monthly average 18,210,000Won, and the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is researched to be 28,510,000Won. However, this stands at 75% of meritorious person income. The mental, physical and economic survey results of 5・18 victim as such disprove that they didn’t receive the proper compensation and respect commensurate with the degree of their sacrifice and contribution compared to other meritorious persons even if 5・18 victims could get the courtesy and support as a person of democratic merit according to the 「Act on the Respecting of Democratic Meritorious Persons」 enacted in 2002.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seek the problem and the improvement measure of current 5・18 meritorious person veteran systems in relation with the results of 5・18 Democratic movement victim survey.

      • KCI등재

        전남 5・18항쟁 진상규명의 과제와 대상 : 전남지역에서 발생한 국가폭력을 중심으로

        안진(Jean Ahn)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40 No.2

        지금까지 5・18항쟁은 ‘광주’라는 지역적 수식어가 붙음으로서 항쟁의 전국적 성격을 모호하게 만들었을 뿐 아니라, ‘5・18민주화운동’이라는 법적 개념의 정의에서도 ‘광주 일원에서’ 발생한 항쟁으로 규정함으로써, 전남지역에서 발생했던 5・18항쟁과 그것이 전체 항쟁에 기여했던 역할을 제대로 규명하지 못했다. 이 연구는 전남지역에서 발생했던 5・18항쟁의 내용과 국가폭력을 연구함으로써 5・18항쟁의 총체적 진실을 규명하는데 기여하고자 할 뿐만 아니라,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에 근거하여 이제 막 출범한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 조사위원회’가 지금까지 제대로 밝히지 못했던 광주시 이외의 전남 지역에서의 5・18항쟁의 진상을 규명할 수 있도록 조사과제와 쟁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남지역에서의 5・18항쟁은 처음부터 자생적으로 저항이 발생했던 목포를 비롯하여 해남 등 군 단위의 서남부 지역에서 격렬하게 일어났다. 전남도청 앞 집단발포에 대한 분노가 확산되면서 광주에서의 항쟁을 지원, 지지하기 위해 일어난 전남지역의 5・항쟁에 대해 계엄당국은 무자비한 봉쇄작전을 펼쳤고, 이로 인해 민간인에 대한 무차별적 발포와 학살이 발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제기된 과제들은 아래와 같은 세 가지이다. 첫째, 목포지역 외곽에 위치한 지산면 군부대의 민간인에 대한 총격사건과 병원 구급차에 대한 발포사건의 진실이 규명되어야 한다. 둘째, 해남지역에서 발생했던 31사단에 의한 민간인에 대한 발포사건들의 경위와 피해규모에 대해 철저한 진상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광주시를 고립시키고 외곽지역으로부터 봉쇄하기 위해 저질러진 나주 효천역 인근과 남평의 학살, 화순 너릿재 터널의 발포 사건의 진실이 규명되어야 한다. 앞으로 ‘5・18진상규명법’에 의해 출범한 ‘진상조사 위원회’는 노무현 정부시기에 이루어진 국방부 군 과거사조사위원회의 조사의 한계를 극복하여 국방부와 군의 협력 속에서 전면적인 재조사를 통해 전남지역에서 발생한 국가폭력의 진실을 규명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searching facts relating to 5・18 Uprising happened in Jeonnam region. This task is very significant to reveal the whole truth because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and written history have been focusing on the Citizen’s Army in Gwangju City whereas they have been neglecting the protest and state crime occurred in Jeonnam area except Gwangju region. Uprising expanded to other surrounding areas, mainly to the south-western region in Jeonnnam Province since massive shooting in front of Provincial Hall had happened. Martial army over-suppressed the demonstrators in many places, based on the containment policy which contributed to prevent the resistance from spreading outside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and gave rise to many civilian casualties. This study raised three cardinal themes to reveal the truth of 5・18 Uprising happened in Jeonnam region. Firstly, military attack to the civilian in Mokpo city. Secondly, massacre of citizen in Haenam county should be throughly investigated to disclose the state violence by the martial army. Thirdly, military attack occurred in Naju and Hwasoon along with carrying out the containment policy should be fully revealed in order to figure out the exact number of victims. Newly constructed ‘Truth Investigation Committee’ according to the Special Act on the Truth Revelation of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will be able to solve these problems and carry out the historic tasks to find out the whole truth of 5・18 uprising happened in Jeonnam as well as in Gwangju City.

      • KCI등재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에 대한 입법평론

        임지봉 한국입법학회 2023 입법학연구 Vol.20 No.1

        The Special Act of May 18th has been in effect since its revision in 2021. The core contents of the revised Act are as follows. Firstly, the Special Act enlarged the scope of the application by adding “the crimes against humanity.” Secondly, it added Article 8 which prohibited the distortion of the historical facts of the May 18th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punished the persons who defamed the victims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through the distortion. However, some commentators in Korea have insisted that the Article 8 of the Special Act would infringe upon the freedom of speech guaranteed by the Korean Constitutional Law. In addition, the expressions which distorted the historical facts of the May 18th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defamed its victims have been unceasing in conferences, assemblies, books and on the internet.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core contents of the revised Special Act of May 18th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suggesting the way how the Article 8 of the Act will have regulatory power. To achieve the aim, this paper will review the history and the purports of the revision of the Special Act at first. Then, it will analyze the core contents of the revised Special Act in 2021 and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Article 8 of the Special Act. Finally, this paper will suggest the way how the Article 8 of the Act will have regulatory power in the real world in Korea. 2021년에 개정된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해 2021년 1월 5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이 개정법률은 첫째, 5・18민주화운동이 1979년 12월 12일과 1980년 5월 18일을 전후해 발생한 “헌정질서파괴범죄”뿐만 아니라 이 기간에 일어난 “반(反)인도적 범죄”에 대항하여 시민들이 전개한 민주화운동으로 새로이 정의될 수 있도록 이 법의 적용범위를 “헌정질서파괴범죄”뿐만 아니라 “반인도적 범죄”로 확대한 점, 둘째,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왜곡과 5・18유공자들에 대한 폄훼를 막기 위해 소위 ‘5・18왜곡처벌법’ 조항을 신설한 점을 개정의 핵심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이 개정법률이 시행된 후 몇몇 학자들이 ‘5・18왜곡처벌법’ 조항이 표현의 자유 등을 침해한다는 주장을 펴면서 법 개정에 반대하기도 했고, 아직까지도 유튜브, 책, 토론회 등에서 5・18을 왜곡하고 폄훼하는 표현들이 끊이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2021년에 개정된 5・18특별법에 대해 분석해보고 더 나아가 5・18 왜곡・폄훼를 막고 5・18특별법 제8조가 제대로 된 규범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법 개정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먼저 2021년 5・18특별법 개정의 연혁적 배경과 그 취지에 대해 살펴보고, 2021년 5・18특별법 개정의 주요 내용에 대해 분석해보며, 특히 5・18특별법 제8조 신설 이후의 현황을 진단해보고, 끝으로 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서 5・18 왜곡・폄훼를 막고 5・18특별법 제8조가 제대로 된 규범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법 개정의 방향을 제시해본다.

      • KCI등재

        5.18의 법적 재현에서 나타난 대중봉기와 헌정

        김정한(Kim Jung Ha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서강인문논총 Vol.0 No.57

        5.18재판에서 사법부의 판결은 1) 서울지방법원 판결문(1996. 8. 26.), 2) 서울고등법원 판결문(1996. 12. 16.), 3) 대법원 판결문(1997. 4. 17.)으로 이루어져 있다. 5.18재판은 12.12 군사반란과 5.17 내란에 초점을 맞추고 5.18의 학살은 제대로 다루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고등법원의 판결은 5.18을 가장 급진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서울고등법원은 5.18에서 국민의 저항이 헌법제정권력이자 헌법기관이며, 학살자들의 국헌문란이 1987년 6월 항쟁에서 종료된다고 판결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급진적인 재현은 대법원에서 기각된다. 이는 대법원이 국민의 저항권 이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서울고등법원과 대법원 간의 판결의 차이에서 드러난 중요한 쟁점은 국민의 저항권을 어떤 차원에서 수용하느냐에 있다. 현행 헌법에 국민의 저항권은 구체적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으며, 4.19 민주 이념의 계승이라는 표현에서 유추해석되고 있을 뿐이다. 하지만 저항권을 명문화하는 것과 유추해석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 또한 헌법재판소의 판례처럼 일정한 조건의 제약이 있는 소극적인 저항권만이 아니라 적극적 저항권까지 헌법에 수용되어야 한다. 이것은 5.18 당시 국민의 결집된 저항을 헌법제정권력이자 헌법기관으로 승인했던 서울고등법원의 급진적 재현을 복원하는 일이기도 하다. 사법부의 판결은 5.18을 헌법수호운동으로 재현하고 있으며, 이는 비록 5.18이 1987년 헌법의 전문에 명문화되지는 않았지만 이미 대한민국 헌정체제의 일부로 인정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5.18의 법적 재현은 헌법에 국민의 저항권이 명시되어야 한다는 과제를 남기고 있다. The judiciary"s ruling in the 5.18 trial consists of 1) the Seoul District Court"s ruling (1996. 8. 26.), the Seoul High Court"s ruling(1996. 12. 16.), and 3) the Supreme Court"s ruling (1997. 4. 17.). The May 18 trial focused on the 12.12 military rebellion and the 5.17 civil war, but the massacre of the 5.18 was not handled properly. Nevertheless, the Seoul High Court"s ruling represents the 5.18 uprising most radically. The Seoul High Court ruled that the people"s resistance is constitutional power and a constitutional institution, that constitutional disorder crime of the massacres ends in the June 1987 uprising. But it was rejected by the Supreme Court. This is because the Supreme Court does not actively accept the theory of people"s right to resistance. An important issue revealed in the differences in rulings between the Seoul High Court and the Supreme Court lies in what dimension the people"s right to resistance is accepted. The people"s right to resistance is not specifically registered in the current Constitution, and it is only being inferred from the expression of inheriting the 4.19 democratic ideal. However,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specifying the right to resist and interpreting it in analogy. Also, as in the Constitutional Court"s case, not only the right to passive resistance with certain conditions of constraints, but also the right to active resistance should be accepted by the Constitution. This is to restore the radical representation of the Seoul High Court, which approved the people"s united resistance of the 5.18 as a constitutional power and a constitutional institution. The May 18th Trials shows that the 5.18 uprising is not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but already forms a part of the constitutional system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legal representation of the 5.18 uprising leaves the task that the people"s right to resistance should be specified in the Constitution.

      • KCI등재

        5・18 광주 항쟁과 사건의 신학: 계시 사건으로서 5・18 광주항쟁에 대한 신학적 해석

        허석헌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24 민주주의와 인권 Vol.24 No.1

        이 글은 5・18 광주항쟁을 ‘사건’ 개념으로 재구성하고 그 사건의 의미를 계시로 해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5・18을 하나님의 계시 사건으로 보는 것이 오늘 5・18을 기억하는 그리스도인의 참다운 방식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5・18을 계시 사건으로 보려는 것은 기독교 신학이 종교적 체계 안에 가두어 온 계시를 역사의 한복판으로 위치시키려는 시도이다. 이것은 계시라는 종교적 언어를 사건이라는 비종교적 언어로 해석함으로써 기독교의 진리체계를 탈종교화 한다는 의미이다. 이 글은 5・18 사건을 종교적으로 해석하고 그 의미를 기독교의 메시지에 귀속시키려는 방식을 역전시켜, 5・18을 사건의 조명에 의해 종교적 메시지를 넘어서는 현존의 계시로 읽어내려고 시도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프랑스 철학자 알랭 바디우(Alain Badiou)와 민중신학 시대를 열었던 신학자 안병무의 사건 개념을 토대로 5・18 사건의 전개과정을 진리 사건의 의미로 재구성한다. 구체적으로 계엄령의 포고와 국가권력의 통제, 민중저항과시민군, 도청사수와 죽음이라는 세 과정으로 구분하고, 이 과정을 5・18 사건 안에서 발생한 진리담론의 과정으로 보고 사건화의 흐름을 따라가며 그 의미를 추적해 나간다. 결론적으로 나사렛 예수의 사건과 광주 민중의 사건의 공시성에 주목하며 5・18의 사건이 한국교회의 복음 운동에 요구하는 변화의 지점을 살펴본다. This article aims to reconceptualize the May 18 Gwangju Democratic Uprising as an "event" and to interpret its meaning as revelation. In other words, I argues that seeing May 18 as an event of divine revelation should be an authentic Christian way of remembering May 18 today. Seeing 5・18 as a revelatory event is an attempt to situate revelation in the midst of history, where Christian theology has kept it locked up in a religious system. It means de-religionizing the Christian system of truth by interpreting the religious language of revelation in the non-religious language of events. By reversing the religious interpretation of the May 18 event and attributing its meaning to the Christian message, this article attempts to read May 18as a revelation of a presence that transcends the religious message byilluminating the event. The event is beyond the religious system ofChristianity.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reconstructs the unfolding process of theevents of May 18 in the sense of the process of formation of a truth event,drawing on the concept of event from French philosopher Alain Badiou andthe theologian Ahn Byung-mu, who opened the era of Korean Minjungtheology. Specifically, this study divides the events of May 18 into threeprocesses: the declaration of martial law and the control of state power,popular resistance and the citizen army, and eavesdroppers and deaths, and traces the flow of eventualization as a process of truth discourse within theevents of May 18. In the conclusion, it reveals the theological meaning ofthe revelation of the events of May 18 by focusing on the public natureof the events of Jesus of Nazareth and the people of Gwangju.

      • KCI등재

        5・18 민중항쟁과 1980년대 광주・전남 개신교계의 동향

        한규무 호남사학회 2012 역사학연구 Vol.47 No.-

        This paper traced back the movements of the Protestant communities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in relation to 5・18 Civil Resistance right after its occurrence in 1980 and during the Fifth Republic(1981~ 1987).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Even though mass rallies and group activities were banned right after the occurrence of 5・18 Civil Resistance in 1980, the Christian Emergency Relief Committee of Gwangju formed among different denominations continues to cope with the situation and do relief activities till November. In addition, the religious associations such as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Methodist Church also engaged in activities such as investigating the damages and consoling the wounded. The Protestant communities of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carried out 5・18-related activities including releasing those in custody, compensating for victims, punishing those who were responsible, investigating the event to find truth, and recovering honor from 1981 when the Fifth Republic was established to 1984. At the center of those activities were progressive religious associations and organizations such as the Religious Associa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Christian Association of Gwangju, NCC, EYC, YMCA and YWCA. With changes to the political situations such as the opposition party winning the 12th parliamentary election in 1985 and the opposition groups unifying around the New Democratic Party, the 5・18-related activities of the Protestant communities became even more active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The participating religious associations and organizations expanded in 1987 when Park Jong-cheol was tortured and killed and Protection of the Constitution was declared on April 13. In May of the same year when the zealous fight for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was fierce, 534 ministers of 14 religious bodies in Gwangju made a statement beyond difference in denomination. Although the Protestant communities of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had different positions(active and passive) for 5・18-related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nature(progressive and conservative) during the Fifth Republic after 5・18 Civil Resistance, they kept pace with each other in the coping and relief activities in 1980 and 5・18-related activities through fight for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in 1987. 이 논문은 1980년 5・18 직후부터 제5공화국기(1981~87) 광주・전남 개신교계의 5・18 관련 동향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80년 5・18 직후 대중집회와 단체활동이 금지되었지만 초교파적으로 구성된 광주시기독교비상구호대책위원회는 11월까지 수습 및 구호 활동을 계속했다. 그리고 기장・예장통합・기감 등 교단에서도 피해상황 조사 및 부상자 위문 등의 활동을 벌였다. 1981년 제5공화국의 성립 이후 1984년까지 광주・전남의 개신교계는 구속자 석방과 희생자 보상, 책임자 처벌과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 등 5・18 관련활동을 전개했다. 그리고 그 중심은 기장 교단 및 광주시기독교연합회・NCC・EYC・YMCA・YWCA 등 진보적 교단・기관들이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야당이 승리하고 신민당을 중심으로 야권이 통합되는 등 정국이 변화되면서 광주・전남 개신교계의 5・18 관련활동도 더욱 활기를 띄었다. 1987년 박종철군 고문치사와 4・13 호헌선언 이후에는 참여하는 교단・기관도 확대되었으며, 개헌투쟁의 열기가 뜨거웠던 같은해 5월에는 광주의 14개 교단 교역자 534명이 초교파적으로 성명을 발표했다. 이처럼 5・18 이후 제5공화국기 광주・전남의 개신교계는 1970년대와 같이 교단의 성격(진보・보수)에 따라 5・18 관련활동에 대해 다른 입장(적극・소극)을 보였으나, 1980년 수습・구호를 위한 활동과 1987년 개헌투쟁을 통한 5・18 관련활동에는 초교파적으로 보조를 같이하기도 했다.

      • KCI등재

        역사 왜곡에 대한 저항으로서 5.18 영화와 그 사회 치유적 힘

        박재인 ( Park Jai-i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8 문학치료연구 Vol.47 No.-

        이 글은 한국사회의 분열 속 5.18광주민주화운동의 역사가 왜곡되는 문제를 두고, ‘5.18의 역사를 어떻게 기억해야 하는가’의 문제에 대한 5.18영화들의 답변을 살펴보았다. 5.18영화는 반복적으로 창작되었고, 사회문화적 배경과 맞물려 일정의 변화를 거쳐 왔기에 5.18을 기억하는 방식의 변천과정은 하나의 ‘문화사’로 칭할 만하다. 그리고 그 상업적 도약은 5.18 역사를 대중의 수면 위로 부상시킨 중요한 전환점이자, 기억의 재현 문제에서 ‘상처’의 문제에 주목하기 시작한 예술적 도전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5.18을 그린 상업영화를 중심으로 그 대중적 확산의 효용성과 사회 치유적 의미를 고찰했다. <꽃잎>, <화려한 휴가>, <택시운전사>는 상업영화로서 화제성과 흥행정도로 보았을 때 5.18영화 가운데 가장 사회적 확산에 성공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사건과 직접 결부된 인물이 아니라 주변인을 다룬다는 점에서 5.18의 특정한 의미 전달에 목적을 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세 영화를 중심으로 보았을 때, 5.18을 기억하는 영화사적 흐름은 너무 아프다고 하면서 5.18을 직접적으로 보여주지 않고 있다가, 5.18의 진실을 목도하게 하고, 이제 그 상처를 기억하는 방법까지 제시한다. <꽃잎>의 경우는 5.18현장에 버려진 희생자들에 대한 죄의식, <화려한 휴가>는 당시의 분노와 저항의지로 5.18을 기억하게 했다면, <택시운전사>는 기억하는 일만으로도 5.18에 동참하는 참여의지라는 것을 깨우치게 하며 포용의 힘으로 5.18을 기억하게 한 것이다. 5.18 상업영화의 변천과정은 점차 5.18 상처를 고발하는 방식에서 분노와 저항의지를 담은 서사, 그리고 현재의 우리를 5.18 역사 쓰기에 참여하게 하는 서사로 발전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피해자에서 저항하는 시민군으로, 그리고 기꺼이 5.18 역사 쓰기에 동참하는 방어자의 모습들은 국가폭력에 대한 방어의 영화사적 흐름이자, 영화적 답변들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examine movies that deal with the GwangjuDemocratic Movement of May 18 address the problem of how the history of the movement is distorted and how it should be to remember. The commercial leap was the beginning of an artistic challenge that focused on the problem of “wound” in the matter of memory recollection, an important turning point that highlighted the history of 5.18 to the public. Korean 5.18 movies A Petal (1996), May 18 (2007), A Taxi Driver (2017) are commercial movies, with the most successful social propagation among 5.18 movies, when it was considered a topic for performance. A Petal depicted, the guilty consciousness of the victims of 5.18 abandoned in the field, May 18 was made to remember 5.18 through the anger and resistance of the time, and in A Taxi Driver And 5.18 was remembered for power of engagement. The process of commercial cinema is gradually evolving from the injustice narrative of 5.18 to narratives of anger and resistance, and narratives that enable us to participate in the writing of the 5.18 history. As defenders of the victims, as well as defenders who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writing of 5.18 history, are the cinematic responses and defense of movie history against national viol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