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자 철학에 나타난 서양적 사유 : 허심, 좌망, 상존과 포월을 중심으로

        사공일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4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40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westem thought in Zhuangzi’s philosophy, especially focusing on the concepts of xuxin, chengxin, zuowang, sangjon, and powol. According to Zhuangzi, world is a field that changes constantly as well as has unfixedness. Also, it is a complex network in which things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world, things are connected and communicate with others spontaneously. In this sense, he says that each thing is different from others and has its own particularity, respecting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re exists the difference and equality between things. This thought appears in xuxin, chengxin, zuowang, sangjon, and powol. Chengxin, constituted mind, causes narrow-minded thought. As a result, it leads to not cognizing correctly things or humans by distorted mind. Zhuangzi proposes xuxin to escape from chengxin. Xuxin is a kind of mind or a practical act that can accept difference and be able to comrnunicate with things. Xuxin is embodied in zuowang, emptiness and forgetting. Zuowang enables to empty all of fixed idea or consciousness, to be aware of world and humans in the perspective of difference and becoming, and to communicate with things equally. It shares the meaning of sangjon and powol. Sangjon and powol is aimed at respecting things and banding together equally. They are concepts that togethemess exists. Also, they are practical thoughts able to generate communities.

      • 『천은자天隱子』에 대한 소개

        최동석(Dong-Seok CHOI)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22 가톨릭사상 Vol.- No.65

        『천은자』는 도사 사마승정이 지었다고 전해져 내려온다. 분량이 많지 않지만 그 내용은 신선이 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 인간을 구성하는 육체와 정신을 어떻게 단련하고 수행해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깊은 연구와 체험이 담겨 있다. 이 책은 서문을 시작으로 신선, 이간, 점문, 재계, 안처, 존상, 좌망, 신해의 여덟 가지를 그 주제로 삼고 있다. 신선이 되기 위한 주체는 다름 아닌 사람이다. 사람 안에 ‘신’이 거처하면서, 모든 것을 잊고, 집착도 없고, 흘러가는 대로 내어맡긴다면 이는 신선이다. 신선이 되기 위해서는 생각도 지극히 단순하고 쉬워야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이 말처럼 쉬운 것은 아니며, 수행의 과정 없이 한순간에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른바 점진적 과정이 필요한 것이다. 먼저 몸을 씻고 마음을 비우는 ‘재계’가 필요하고 머무는 장소가 중요한데, 깊고 조용해야 편안해진다. 이렇게 육체와 관련된 준비를 마치면 다음으로 마음을 다스려야 하는데, 존상을 통해 마음을 거두어들이고 본성을 회복한다. 그런 다음 높은 단계로써 ‘좌망’을 통해 형체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마저 잊어버린다. 이 단계에 들어서면 더 이상 어떠한 변화에도 흔들리지 않게 된다. 모든 법에 신이 통하는 절대적 경지에 들어서 마침내 신선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The Tianyinzi(Master of the Heavenly Seclusion) is a Daoist book written by the Daoist master Sima Chengzhen. This is a small book, but it presents a concrete way to become a Shenxian. The Tianyinzi is divided into 8 chapters. Starting with the preface, the eight themes are Shenxian(Immortals), Yijie(Change to simplicity), Jianmen(Gradual gate), Zhaijie(Diet and fasting), Anchu(Peaceful living), Cunxiang(Resting in thoughtfulness), Zuowang(Sitting in forgetfulness) and Shenjie(Explanation of deities). The subject to become a Shenxian is none other than a person. If ‘spirit’ resides in a person, forgetting everything, not having attachments, and letting go as it flows, this is Shenxian. In order to become a Shenxian, your thoughts must be extremely simple and easy. However, this process is not as easy as it sounds, and it is not accomplished in an instant without a process of practice. This is what is called a gradual process. Even if they are different religions, they should be willing to talk and interested if they can help, so the introduction of Tianyinzi itself is considered meaningful.

      • KCI등재

        소식의 “技道兩進”을 논함

        안희진 한국중국문화학회 2013 中國學論叢 Vol.40 No.-

        蘇轼在《跋秦少遊書》說: “少遊近日草書便有東晉風味,作詩增奇麗。乃知此人不可使閑,遂兼百技矣。技進而道不進則不可,少遊乃技道兩進矣。” 其中,“技、道兩進”是蘇轼對秦觀書法藝術的肯定。從蘇轼對秦觀的贊揚中我們不難看出,蘇轼認爲,書法不能僅限於純熟的技巧,更要講求“道”,正所謂“道由技進”、“道進乎技”,正是整個道理。他認爲,“技”和“道”作爲不可分割的整體,不能孤立看待。蘇轼借助對秦觀的贊賞,表達了他技中有道、道中有技、技道合一的思想。無論是書法還是繪畫,“技”僅僅是藝術創作的基礎,只有將“道”融入其中,才能創作出上乘的作品。所謂“道”,廣義上指的是事物的內在規律或自然之理,狹義上亦指學者文人內心的思想與精神境界。一個作品只有被賦予了“道”,才能夠充分表達創作者的內心,才算擁有了靈魂,才能感動欣賞它的人。因此,我們可以說,一個優秀的作品,其“道”是必要條件,而“技”是充分條件。蘇轼還認爲,書法或繪畫與世間所有藝術一樣,如果想要表達出足夠高的藝術境界,除了內心的情感與意境,創作者還要具備足夠的修養,掌握純熟的藝術技巧,這就是“技藝”。譬如,有人對家人産生了懷念之情,希望借繪畫創作將思親之情賦予紙上,但只有當他具備足夠的繪畫技巧時,方能將內心的情感完整的表達。由此可見,一切藝術創作離不開紮實的“表現技藝”。蘇轼文藝理論可以追索到韓柳的古文運動。他們“文以載道”的理論主張重點在於儒家的“道”,主要側重於人倫道德和社會秩序。宋代古文革新運動的領袖歐陽修就承前啓後提出了“文以明道”的觀點。這是與韓柳的主張大致相同的。而蘇轼倡導的不止於此,他更進一步地提出了所謂“技道兩進”的嶄新理論。這就是我們在這片文章裏重新討論的關鍵詞。蘇轼在“技道兩進”的文學理論上,說:“出新意於法度之中,寄妙理於豪放之外”,這就強調了作家一定要注重文學或藝術的“法度”,進而開創一個“妙理”的藝術世界。蘇轼這種觀點的淵源卻是與《莊子》息息相關的。《莊子》裏許多寓言故事都是強調由技入道的過程。如;庖丁解牛、輪扁斫輪、佝偻承蜩、南人沒水、紀渻子養雞等等。他們都在技藝的頂峰上“技與道相半,習與空相會”開展了嶄新的藝術境界。總之,蘇轼則在前人的理論基礎上,進一步強調了“技道兩進”的重要性,同時,更加突出了“技藝”的不可或缺性。他認爲,一切的藝術都是創作者先天的智慧和後天才藝融合而成,缺一不可,只有將思想性和藝術性完美的結合,才能成就“文理自然,姿態橫生”的藝術作品。

      • KCI등재

        장자의 `수양론修養論`으로 본 승무의 심미성 연구

        이용희 ( Lee Yong-hee ) 한국무용교육학회 2017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28 No.2

        This thesis analyses the aesthetical trai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ivation of mind`, the innate essential emotion of Buddhist dance and the mental training of Chuangtzu`s Cultivation. The Buddhist dance expresses most importantly the human inner sensibility and mental activity, by emptying and cleaning the desire coming from the body and mind through training, it overcomes and sublimates the innate emotion of the dancing styles, which makes the dance a masterpiece. Likewise, through the costume`s smooth line manifested from the dancing styles, Buddhist dance styles, and Enjoy-hit-drum-beat based on the innate `cultivation of mind` of Buddhist dance in perspective of Chuangtzu`s Cultivation, there are aesthetic traits like these. Firstly, it can be known that elegant beauty, which creates a traditional Korean emotional atmosphere, exists in the dancer`s pitiful and faintness that artistically sublimates the human inner suffering that is shown in the Kokal(Peaked hat). Secondly, in terms of the extrospective mechanism of Buddhist dance styles, diverse Buddhist dance styles can be seen as leading the dancer`s desire to Tao(The Way) through the humility of perservance mind. Because these dance motions change human desire into static condition, it can be understood as having the beauty of moderation which can control desires. Also, in terms of the introspective spirit, the Buddhist dance based on the philosophy of Grudge and Emptying, sublimate sadness into happiness through internal emotion expression that uses patience and perservance, there exists the beauty of grief inside it. Thirdly, in Enjoy-hit-drum-beat, as the Jangdan`s rhythmic sense continues the style of batting through using the dynamics, combining the middle hit drum beat and drum variation, and playing fast and slow leads to an excited accompaniment. At this point due to the feeling of cathartic excitement given by movement seasoned with traditional Heung and improvisation, there exists a beauty of dynmaic innate in Enjoy-hit-drum-beat.

      • KCI등재후보

        莊子의 자유인의 삶의 모습

        이순연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0 철학논집 Vol.20 No.-

        모든 사람들은 외적으로나 내적으로 그 어떤 구속에 매여 있는 것을 싫어하고 자유롭기를 원한다. 만약에 사람들이 원하지 않는 곳에서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다면 숨이 막힐 것 같은 답답함을 느낄 것이다. 갖고 싶은 물건을 가지지 못할 때나 하고 싶은 일을 하지 못할 때 혹은 함께 하고 싶은 사람들과 함께 있지 못할 때 그것에 대한 집착과 갈망으로 정신적인 고통을 당하기도 한다. 이처럼 대부분의 사람들은 집착이나 욕심 때문에 스스로를 구속한다. 사실 욕심을 버리고 집착을 끊어 버리면 쇠사슬에 얽매인 마음이 풀어지면서 진정한 자유를 맛볼 수 있지만 마음의 주인이 되지 못하고 종이 되어 탐욕에 끌려 다닌다. 어쩌면 한 뼘 밖에 되지 않는 감 옥 속에서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하고 있다가 그 안에서 그렇게 죽음을 맞이하기도 한다. 莊子의 입장에서 보면 있고 없는 것도 별 의미가 없고 좋고 나쁜 것도 차이가 없으며 높고 낮음도 결국엔 모두가 땅위에서 시작했을 뿐인데 그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올려다보고 비교하면서 자신을 점점 고통의 수렁 속으로 빠져들게 하고 있다. 겉보기에 화려하고 좋아 보이는 것에 미혹되어 자신을 구속하고 있으니 그 좋아 보이는 것에서 벗어나오면 참다운 편안함과 고요함을 만끽할 수 있다. 莊子는 인간을 구속하고 있는 가장 큰 요인은 外物로 인한 成心으로 보아 心齋와 坐忘을 통하여 수행을 하여 성심을 제거하고 원래의 마음으로 돌아가라고 했다. 본심인 常心으로 돌아가면 대립이나 편견에서 벗어나게 되니 자연적으로 욕망과 집착이 없어지면서 온갖 구속의 쇠사슬에서 벗어난다. 그 경계에서 세상을 바라보게 되면 여전히 고통 속에 있는 사람들이 비로소 눈에 들어오게 된다. 그들의 아픔과 고통이 자신의 아픔과 고통으로 공감되면서 자신의 깨달음의 목적이 결국엔 이웃을 위해 봉사하고 희생하기 위한 것임을 알게 된다. 그래서 깨달음을 얻어 혼자 고요함과 평온함에서 자유를 즐기는 것이 아니라 다시 고통 속에서 몸부림치고 있는 이웃을 위해 자신을 기꺼이 내어주는 삶을 살게 된다. 이것이 莊子가 그렇게 원했던 자유인의 삶의 모습일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장자(莊子)의 "도(道)"와 게슈탈트 심리치료의 "게슈탈트Gestalt"

        양승권 ( Seung Gueon Yang )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4 No.-

        이 논문은 장자莊子사상과 게슈탈트 심리치료의 방법론적인 친화성을 연구해 장자 사상의 현재적 의의를 확장했다. 펄스F.Perls에 의해서창안된 게슈탈트Gestalt 치료 기법은 기존의 여러 서양 심리학 분야들과동양의 도가道家사상 및 선불교 등이 접목되어 탄생한 분야다. 장자사상과 게슈탈트 심리치료는 실존적인 위기 상황에 대처해 삶의 방식을 ``존재중심``으로 이끌도록 자극한다. 이 논문은 장자 사상을 게슈탈트 심리치료와 연접시키면서 특히 장자의 ``도道`` 심급에 대해 집중했다. 필자는 ``게슈탈트Gestalt``를 개체에게 내재되어 있는 도道가 전체로서의 도道와 그때그때 합일되는 이미지 형성이라고 간주한다. 또한 게슈탈트심리치료에서 말하는 ``게슈탈트`` 형성을 잠시 스쳐가는 도의 실현에 대한 그때그때의 ``근본적인 느낌``과 실현이라고 전제한다. 총합적 의미의도道가 나에게 편재되어 있는 미시적 도道와 같은 지평에 있다는 것은 장자가 설파하는 도道담론의 핵심이다. 장자의 도는 일의적인 의미성도 아니고 무無의미성도 아닌 범汎의미성이다. 장자 사상이나 게슈탈트 심리치료는 모두 ``호모 파티엔스Homo Patiens``로서의 인간의 고통을 걷어내기 위한 이론이다. 장자 사상과 게슈탈트 심리치료는 ``공감 의식``을 중시한다. ``공감 의식``이란 나와 타자(자연환경을 포함한)의 단절을 다시 화해시키는 마음가짐이다. 장자의 방법과 게슈탈트 심리치료의 전제는 남에 의해서가 아닌 내 스스로에 의한 ``나 자신의 보살핌``이다. 펄스에 의하면 인간은 오직 자신의 진실한 본성으로서만 성장할 수 있다. 장자에게도 마음의 치료는 인위적인 노력이 아니라 ``본래 스스로 그러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게슈탈트 심리치료도 인간을 결함을 가진존재라고 보지 않는다. 펄스에 따르면 식물이나 동물은 자신의 성장을 스스로 막지 않는데, 단지 인간만이 자신의 성장을 막는다. 장자도 하늘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뭇 생명들이 호흡을 원활히 하도록 구멍을 뚫어주고 있는데 인간만이 스스로 자기 구멍을 틀어막고 있다고 개탄한다. 인간의 타고난 본성은 정해진 원칙이 아니라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므로, 마치 아름다운 자연 대상을 완상하듯이 인간을 바라보아야만 한다. 이 점은 장자가 사람을 대하는 태도였으며 게슈탈트 심리치료에서도 상담자가 내담자를 향해 지녀야만 할 기본적 태도다. 주로 우주론적 성격이 농후한 노자의 도道에 비해 장자의 도道가 유심론적 경향이 강한 측면을 생각해 보면, 장자 사상에 대한 현대 심리학적 연구는 지금보다 더욱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 장자는 모든 변별되는 가치들을 하나로 소통시키고자 하는 데에 관심을 집중했으며, 현실 참여와 뒤로 물러섬 사이의 순환 체계를 특별히 강조했다. 이런 측면을 전면에 내세운 심리치료 유파가 바로 게슈탈트 심리치료다. 게슈탈트 심리치료는 크게 보아 ``동양사상+서구심리학``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본논문에서는 이를 ``동양사상×서구심리학``이라는 ``적분``적 차원으로 승화시키고자 했다. This paper has expanded present meanings of the ideas of Chuang Tzu by comparing them with the methodology of psychological treatment. Gestalt therapy developed by Fritz Perls is a field which was created by grafting Western various existing psychology fields onto Taoism and Zen Buddhism. The ideas of Chuang Tzu and Gestalt therapy stimulate ways of life into the "center of existence" from dealing with existential crisis situations. This paper especially focused on the concept of "Tao" of Chuang Tzu while compared with the Gestalt therapy. The writer considers Tao inside an individual to be united with Tao of the whole from time to time. Also, I premise that formation of "Gestalt" is a "fundamental feeling" case by case about the realization of Tao passing for a while. The thing that Tao of macroscopic meanings are on the same line with microscopic Tao inside me is the core in discussion of Tao which is said by Chuang Tzu. The ideas of Chuang Tzu and Gestalt therapy are all theories to remove pains of humans as "Homo Patiens". The ideas of Chuang Tzu and Gestalt therapy emphasize "awareness of sympathy". The awareness is mental attitude to reconcile severance between me and others (including natural environment) again. The method of Chuang Tzu and the premise of Gestalt therapy are "caring for myself" by not others but myself. According to Perls, humans can grow only by their true essentiality. In Chuang Tzu, mental treatment can be realized by "originally being done of itself", not by artificial effort. In Gestalt therapy, humans are considered as existence equipped with everything already. According to Perls, plants or animals do not block their own growth but only humans block their own growth. Chuang Tzu laments that the sky drills holes day and night so that lives can breathe smoothly but only humans close their own holes for themselves. The innate natures of humans are different per person. So, we should see humans like appreciating beautiful nature. The point was the attitude that Chuang Tzu treated people and also a basic attitude which should be had by counselors for clients. Tao of Chuang Tzu emphasizes minds compared with Tao of Lao Tzu which is mainly imbued with cosmology. Considering the character of the ideas of Chuang Tzu, modern psychological studies on the ideas of Chuang Tzu are necessary to expedite more actively. Chuang Tzu intended to make diverse values communicated into one. And, he particularly underlined circulation between participation in reality and stepping back from reality. A school of psychological treatment which asserted this aspect on the front is Gestalt therapy. The therapy may be expressed "Orientalism + Occidental psychology" broadly. However, this paper tried to sublimate it into the dimension of "integral" called "Orientalism × Occidental psycholog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