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현대 한국의 가톨릭신자를 위한 중세와 성 로베르토의 아르스 모리엔디

        최의정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17 가톨릭사상 Vol.- No.54

        일선 사목현장에서 봉성체를 다니다 보면, 죽음을 목전에 둔 신자들을 만나게 되고, 교회나 사제가 해 줄 수 있는 것이 더 없는 것인지 안타까워 하는 일이 자주 있다. 종말론적 가르침은 우리 그리스도교 신앙의 요체일 텐데, 과연 우리 신자들은 이를 잘 알고 굳건히 믿고 있는지, 사목자인 나는 그들이 자신의 죽음을 잘 준비하며 삶을 잘 살고, 그리하여 궁극으로 구원과 영복을 얻게 돕고 있는지 거듭 자문하게 된다. 교회의 본질은… 종말론적 삶에 있다… 미래에 성취될 구원. 하느님 나라의 도래. 그를 향한 희망… 그것으로 현실을 살아가는 것. 그런 것들로 자신의 죽음을 준비하여야 할 것인데라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교회 전통 안에 필시 도움이 될 만한 것이 있으리라는 기대는 본 연구의 출발점이 되었다. 그리고 ‘아르스 모리엔디’ 즉 죽음의 기술이 있었음을 알게 되었고, 그것은 문학의 한 장르이기도 하겠지만, 동시에 작품의 이름이기도 하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또한 그중에서도 특별히 중세의 아르스 모리엔디란 작품에 흥미를 갖게 되었으며, 더불어 이 죽음의 기술이란 장르가 과연 그냥 사장되어도 좋은 것인지, 중세의 아르스 모리엔디는 또 한때를 풍미하고 사라져도 아쉽지 않은지 생각하게 되었다. 죽음이 인간의 삶에서 사라지지 않는 한, 인간이 직면하는 유일한 진리가 죽음이라는 자각이 성립하는 한, 죽음의 기술은 여전히 유효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였다. 고전은 고전인 이유가 있으니, 누대를 거치며 여전히 통하는 유익함이 있을 것이었다.

      • 천주실의(天主實義) 에 나타난 불교사상에 대한 재고찰 – 제2편, 제5편을 중심으로

        최동석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18 가톨릭사상 Vol.- No.57

        1552년 이탈리아 마체레타(Macereta)에서 태어난 마테오 리치(Matteo Ricci)는 1583년 중국 조칭에 입국했다. 그리고 1603년 그의 대표작 천주 실의 를 출판하게 되었다. 천주실의 를 통해 중국경전 속에 등장하는‘상 제가 곧 천주’라는 사실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당시 중국 사상의 주류인 불교, 도교, 신유학적 관념의 문제점을 비판하면서, 자연스럽게 중국 선비를 설득하는 방식을 다루었다. 특별히 천주실의 2편과 5편은 불교의 ‘공’사상과 ‘윤회’사상에 대한 비판을 그 내용으로 삼았다. 첫째로, ‘공’과 관련된 비판의 내용을 살펴보면, 마테오 리치는 공은 아무 것도 없는 비어있는 것이므로 일체의 것을 창조할 수 없다고 한다. 더나아가, 공은 그 자체로 공허한 것이므로 운동을 일으키는 동력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이러한 관념의 근거는 서양 철학과 신학, 특히 아리스토텔레 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영향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불교가 말하는 공의 관념은 ‘연기설’이 핵심이다. 둘째로, ‘윤회’에 대한 마테오 리치의 비판이다. 사실 불교가 말하는 윤회에 관해서는 몇 가지 학설들이 존재하지만, 마테오 리치가 이해한 윤회 설은 육신은 없어져도 영혼은 지속된다는 교리에 입각하여 윤회를 바라본 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적 영혼관으로 볼 때, 사람과 짐승은 서로 바뀔수 없음을 주장한다. 주체가 없이 과보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무아설을 주장하는 불교적 관점과 전혀 다름을 알 수 있다.본 논문을 통해 불교를 이해하는 천주실의 의 문제점을 지적하기 보다는 마테오 리치가 이해하는 불교적 관념과 실제 불교적 개념의 공과 윤회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검토해 보고 서로 대화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보기 위해 오늘날 관점에서 재고찰 해보고자 한 것이다. Matteo Ricci (1552-1610) was born in Macerata, Italy, entered southern China, Zhaoqing in 1583. Then, in 1603, he published his masterpiece,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He tried to find out that the Chinese scholar and the Western scholar were talking about the ‘Shang Di(上帝) to mean God’. He criticized Buddhism, Taoism and Neo-Confucianism, which were the pillars of Chinese thought, and persuaded Chinese scholar. In particular, the chapter 2 and chapter 5 of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contains criticisms of the ‘Śūnyatā(空)’ and ‘saṃsāra(輪迴)’ Buddhist concepts. First, looking at the content of the criticism related to the ‘Śūnyatā’, Matteo Ricci says that he cannot create anything because the Śūnyatā is an empty space. In addition, the ‘Śūnyatā’ itself is empty, so it does not becom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movement. The basis of this idea is the influence of Western philosophy and theology, especially Aristotle and Thomas Aquinas. In Buddhism, however the theory of dependent arising is a key principle of the Śūnyatā. Secondly, it is a criticism of the saṃsāra of Matteo Ricci. The theory that he understood is that although the body is gone, the soul continues. According to Aristotle, the realm of sublunary living creatures into three souls, for example vegetative soul, sensitive soul, rational soul. To each sub-realm he assigns a different soul-principle. Based on these claims, Matteo Ricci insists that humans and animals cannot be changed. This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Buddhist point of view. This paper is intended to review the differences between Buddhist ideas and actual Buddhist concepts understood by Matteo Ricci in today s view to provide a forum for dialogue.

      • 요한네스 타울러의 근저(grunt)에 대한 연구

        허찬욱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16 가톨릭사상 Vol.- No.53

        마이스터 엑카르트(Meister Eckhart, 1260-1328), 하인리히 소이세(Heinrich Seuse, 1295-1366)와 함께 ‘독일 신비사상 1) 의 세 성좌(Dreigestirn der deutschenMystik)’ 2) 로 일컬어지는 요한네스 타울러(Johannes Tauler, 1300-1361)는 마이 스터 엑카르트가 정초한 신비사상의 주요주제들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 이면서도, 동시에 나름의 독창적인 시각으로 그 문제들을 해석해나간다. 타울러는 마이스터 엑카르트의 일부 개념을 의도적으로 축소, 혹은 확장해 가는 방식으로 자신의 사상의 독특한 기조를 만들어간다. 그중 가장 중요 하게 평가되는 타울러의 해석이 바로 이 논고에서 다루어질 ‘근저(根底, grunt)’에 대한 해석이다. 타울러가 근저를 어떠한 개념들을 통해 설명하고 있으며, 또 그 근저를 ‘자기인식’으로의 요구와 어떠한 방식으로 연결시키 는지를 고찰해보는 것이 본 논고의 중심내용이다.

      • 解放神學의 神學的 現實과 그 展望

        李成培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1987 가톨릭사상 Vol.- No.1

        Liberation theology have never been insisted as a perfect systhematic theory of God that would be the definition of the traditional theology since the middles ages, but many scholars and politicians criticize it in their own point of view like a complete theory and praxis. Actual situation of the liberation theology is very complex and different according to the scholars or pastoral agents and then the perspectives are also so ambigueus in spite of its common caracteristics that no one can criticize correctly because of its various currents. In fact, the liberation theology is seeking and making a language about God (definition of a theology in a large sense) together with a people living the faith in the midst of a situation of injustice and exploitation which is denial of God, starting from the real expression and experience of the poor people. So, we were trying to analyze the term ""liberation"" and ""theology"", then search the background of it. For Gustave Gutierrez and Leonard Baff are the well-known theologians of the liberation theology, we have glanced at their discourses about God and his people of the Latin America in order to present the common principles or caracteristics of the liberation theology separating from their various currents. As a consequence of this analysis we can know the positive contributions of the liberation theology for the Church and the theology. That is to obtain a discourse on the faith which deals with the true and most vital questions for the modern world, in which the basic communities live and bear witness about Jesus Christ loving poor people injustly oppressed. It means that the liberation theology is a real true theology even though its expressions and categories must be purified. Political abuses also have to be rejected. At last we metion some directives and encouragements of the official Catholic Church's teaching about the liberation theology for its recognition and purification along its perspectives.

      • 중세 독일 신비사상의 시간성 문제

        허찬욱(Chan-Wook HEO)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18 가톨릭사상 Vol.- No.57

        본고는 중세 독일 신비사상 내의 시간이해를 마이스터 엑카르트와 요한 네스 타울러의 사상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종교적 체험과 관련된 이러한 시간이해가 어떠한 종교적, 철학적 함의를 지니는지 고찰하였다. 엑카르트와 타울러는 기본적인 사상에서는 큰 차이점을 보이지 않지만, 시간이해와 관련해서는 극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엑카르트는 그의 사상 에서 의도적으로 시간성을 배제하였다. 존재의 단일성과 일치하는 과정에 서, 가변적이고 상대적인 시간성은 배제되어야 한다는 것이 엑카르트의 기본사상이다. 이에 반해, 타울러는 신비적 합일(unio mystica)구조에서 시간 성을 적극적인 방식으로 강조했다. 신비적 합일에 이르고자 하는 인간은 심지어 점진적인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타울러는 가르쳤다. 타울러는 엑카르트의 무시간성이 인간적 경험의 범주 내에서 해석될 때일어날 수 있는 위험을 경고하였고, 이 결과로 야기될 수 있는 오류를 막기 위해 타울러는 자신의 단계론을 설정하였다. 타울러의 단계론은 신플라 톤주의 전통의 단순한 수용이 아니라, 엑카르트 사상과의 비판적 대결의 결과였던 것이다. 본고는 엑카르트와 타울러의 상이한 시간이해를 고찰함으로써, 동일한 신비적 합일의 구조가 접근하는 방식에 따라서 어떻게 다르게 해석될 수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존재의 단일성을 강조하는 존재론적 접근 방식과 인간실존의 한계를 강조하는 인간학적인 접근 방식이 동일한 신비적 합일을 설명하는데, 상이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음을 본고는 밝히고 있다. This thesis set out to explore the understanding of temporality in the mediaeval german mysticism focused on the thoughts of Meister Eckhart and Johannes Tauler.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figure out the religious and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is understanding of temporality related to religious experiences. There were no fundamental differences in basic thoughts between Eckhart and Tauler, but they had clear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of temporality. Eckhart excluded temporality from his thoughts intentionally. His main thought was that variable and relative temporality should be excluded from the process of mystical union with the unity of being. In contrast to Eckhart, who dismissed temporality, Tauler emphasized temporality in the process of mystical union(unio mystica) in an active manner. He taught that human beings trying to reach mystical union should even go through gradual stages. Tauler warned about the risk that could happen when Eckhart s atemporality was interpreted within the category of human experience and set his stages theory to prevent potential errors caused by this. His stages theory was not the result of his naive acceptance of neoplatonic tradition but that of his critical acceptance of Eckhart s ideas. The present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of temporality between Eckhart and Tauler, figuring out how the same mystical union could be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approaches. The study thus demonstrated that the ontological approach emphasizing the unity of being and the anthropological approach emphasizing the limits of human existence were used as different ways to explain the same mystical un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