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 유학 연구와 방법론 모색

        한정수(Han Jeong-Su) 한국역사연구회 2007 역사와 현실 Vol.- No.66

        In this article, the current trends in historical studies of Goryeo Confucianism are examined, in an effort to search for new options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ies. In chapter 1, the achievements that have been made since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up until 2005 are examined throughout total of 4 distinct periods. In chapter 2, the most distinct terms and concepts that have been used in historical studies of Goryeo Confucianism are analyzed, to come up with certain data which would be necessary in determining several points inside existing achievements that should be revisited and reviewed, and to contribute to rectifying those problems found in earlier studies. With all these examinations and analyses, it is hoped that scholars would be able to establish new methodologies applicable to the historical studies of Goryeo Confucianism. Over the years, studies of Goryeo Confucianism have accumulated numerous achievements in many areas, such as studies of the education system, the national examination, classic texts, ideas of political reforms, industrial developments, social morality, ceremonial protocols, exchanges with Chinese dynasties such as Sung and Yuan, and Korea’s acceptance of Neo-Confucianism. Yet the very identity of Goryeo-Confucianism is still not fully explored. In order to address this problem, the Goryeo people’s study of classic texts in the past should be reviewed, the main terms and concepts used in researching Goryeo-Confucianism should be reanalyzed, and new ways of periodization in terms of Kings’ reigns or prominent Confucian figures should be developed. With all those new efforts, it is hoped that not only the general nature of Goryeo-Confucianism as one mere example of Confucian studies,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that could only be found in Goryeo Confucianism, would be determined.

      • KCI등재

        한국교육혁신론(韓國敎育革新論) – 도덕교육을 중심으로 –

        김익수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9 No.-

        현대 한국교육의 문제는 인성교육이 크게 문제이다. 우리나라는 동북아에서 인류의 시원국이라고 전해지는데 약 9천년 전에 국가형태로 桓國이 건국되었는데 건국자인 환인천제는 환인오훈을 내렸는데 다섯 가지 가르침가운데 세 번째로 부모에게 효도하고 순종하라(孝順)이다. 나머지 4가지 교훈도 어짐(仁)사상이다. 배달국을 건국한 한웅천왕은 한웅육훈(桓雄六訓)으로 계승발전시켰으며 고조선을 건국한 단군왕검은 단군8조교로 개천하던 날에 백성들에게 조칙을 내려 서약을 받고 평생교육으로 실행할 것으로 맹세케 하였다. 이들 세 어른을 三聖祖라고 한다. 이 분을 원천적으로 계승한 공자는 고조선사대의 제후국인 춘추시대의 인물인데 인효사상을 계승한 것이다. 공자는 六經을 통해 세계적인 儒學을 집성하였다. 공자의 인효학은 곧 國學이다. 환인천제가 내린 인효학은 외래의 어떤 사상이나 종교의 유입없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그렇다. 이를 공자는 수용하여 인(仁)사상을 핵심으로 세계적인 유교를 성립시켰기 때문이다. 공자의 인효학은 우리나라의 삼국시대에 고구려소수림왕2년에 전래되었는데 백제, 신라에도 양상은 다르지만 인성교육의 원리로 뿌리가 뻗었다. 고려는 국자감이란 국립대학에서 조선조는 성균관에서 한말까지 공자의 효교육의 원리가 인성교육으로 강조되었다. 그 뿐 아니라 서원, 사당, 향교에서도 효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은 절대적이었다. 세계적인 英主인 세종대왕은 윤리를 바로세우고 한국적 가치관을 바로 세우기 위하여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편술하여 孝, 忠, 烈을 골격으로 하여 우리의 가치관과 인성교육원리로 정치와 교육을 하였다. 백성들의 호응을 받자, 중종 때는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를 편술하여 더욱 윤리를 강화하였다. 정조는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를 편술하여 정치와 교육의 근간으로 삼았다. 조국이 광복되어 전국의 사범대학과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 국민윤리학과가 설치되고 초, 중고등학교에 도덕과 윤리과목이 개설되었다. 그러나 고전을 통한 전통교육만큼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오늘날 서구사상의 비판 없는 수용으로 교육의 본질이 실종되었으며 이기주의(利己主義)가 만연하여 공익을 모르고 사익에 치우쳐 공동체의식과 정신문화가 무너지고 도덕이 문란해지고 있으며 범죄율이 높아지고 이혼율과 저출산과 독거노인과 자살율이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교육위기시대에 처하여 학교교육만으로는 현대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가 어려워졌다.2007 효행장려 및 지원에 관한법률이 공포되고 2015년 7월 21일에 인성교유진흥법이 발효되고 있지만 기대한 만큼 현재의 교육계는 무감각이다. 이런 때에 우리의 교육은 공교육기관과 학교교육에만 의존하기 어렵게 되었다. 부모의 인성교육도 시급하고 교사도 인성교육이 요망되고 있고 학생들의 인성교육도 학교현장에서 실천되어야 한다. 거듭 강조하건대 지역사회는 물론이요, 마을학교 어른들의 조선일체(祖孫一體)교육도 중요하고 어린이집의 어린이교육, 유아교육, 현대판 서당교육, 서원교육 등 공발적으로 실행되어 교육공동문화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어른들이 협력하고 지방자치단체가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현재의 복지정책도 바꾸어야한다. 세계의 석학(碩學)들이 한국인의 경로효친(敬老孝親)과 삼강오륜(三綱五倫)이 다시 강조되어 ... The personality education is the most crucial problem of education in Korea today. Korea is the birth place of human civilization in the northeast Asia. Around 9,000 years ago Hanguk (Hwanguk) was established as a first form of state and founder was the Heavenly Emperor Hanin. He presented "Five Lessons of Hanin" and the third one was the obey and act of filial piety to one's parents. Rest of the lessons are fundamentally emphasizing the thought of benevolence. The founder of Baidalguk Heavenly Emperor Hanung inherited and developed the tradition with "Six Lessons of Hanung". Dangun Wanggeom who established Old Joseon also proclaimed the "Eight Morals of Dangun" to inherit the tradition. At the inaguration day, Dangun made his people to pledge to follow this morals and made them to pursuit as a lifetime educational goal. They are considered as the Three Holy Founders. Confucius of Spring and Autumn period fundamentally inherited the thought of filial piety and benevolence of them. Confucius established the Confucianism through six books of Confucianism. The study of benevolence and filial piety of Confucius is Korean Studies. The study of Confucius' benevolence and filial piety was introduced to Korea during the second reign year of King Sosurim of Goguryeo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Baikje and Shilla shared same elements although some details are diverse and made them as a fundation for the personality education.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Goryeo, Gukjagam and Seonggyungwan of Joseon also emphasized the education of filial piety of Confucius as the element of personality education until the late Joseon period. In addition,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education of filial piety was absolute value of the Seowon, Sadang and Hyanggyo. A world hero Sejong the Great ordered to publish the Diagram of Three Bonds to set up the moral and Korean identity. He ruled and educated people by emphasizing the filial piety, patriotism and passion as the backbone of Korean identity and the essence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With people's supports, Jungjong ordered to publish the Diagram of Two Relationships of Confucianism to emphasize the moral. Jeongjo also ordered to publish the Diagram of Five Relationships of Confucianism as a backbone of politics and education. Today the elements of education is missing and selfishness prevails because of the adoption of the western thoughts without criticism. Pursuing personal gains without considering public good caused the collapse of collective values and moral culture. As a result, moral values are contaminated and crime rates are high as well as the rate of divorce and low birth and the suicide rate of the single elderly people worldwide. Facing the era of crisis in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overcome the crisis of contemporary education through formal education in school. Although the Act of Encouraging and Supporting Filial Piety of 2007 and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Law of July 21, 2015 2were passed, the circles of education have not been reacted. This is why it is difficult to rely on the formal education institutions including the schools. It is urgent to start the personality education for parents. The personality education for teachers is needed, too. At the same time, school must teach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the students. Emphasizing again, local communities and grand-parents-children education in town schools are important. Also the educations in daycare, kindergarten, child care, contemporary Seodang, Seowon, etc. collectively cooperate to create the education collective culture. Adults must cooperate and local governments must support. Welfare policy also needs to change. Well-known scholars of the world note that the Korea's values of the respect for elderly, filial piety and collectivism as well as 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of Confucianism need to re-emphasized. I emphasize again that the education determines the future...

      • KCI등재

        고려시대 유학 교육과 여말선초 학맥의 형성

        河政承 ( Ha Jung-seung ) 동방한문학회 2020 東方漢文學 Vol.0 No.82

        우리나라는 이미 삼국시대부터 중국에서 儒學과 漢文이 수입되어 학문과 문학이 발달하였다. 고려조에 들어와서는 과거제의 시행과 학교 교육의 발달, 학자 간 교유와 서적의 수입 등 宋나라와의 활발한 교류 등으로 학문과 문학은 더욱 꽃을 피워 수많은 학자와 문인을 배출하게 되었다. 이 시대의 학문은 주로 孔孟을 근간으로 하는 儒學이 주류를 이루었고, 고려후기에 이르면 元나라로부터 性理學이 수입되었다. 본고의 제 2장에서는 고려전기부터 고려후기에 이르기까지 유학 교육의 현황과 실제를, 각 시대를 대표하는 학자들과 그들이 교육한 서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예컨대 崔沖→琴儀→安珦→白頤正→權溥·禹倬·李瑱·閔漬 등이 그들이다. 이들을 통해 고려시대 교육은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더불어 유학은 꽃을 피워 當代 최신의 학문인 성리학까지 수입되었으며 급기야 조선은 ‘성리학의 나라’로 개국하게 되어 16세기 퇴계·율곡에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제 3장에서는 여말선초 학맥과 집단지성의 형성에 초점을 맞추어 ‘학맥’, 또는 ‘집단지성’이라 일컬을 수 있는 학술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14세기 전반기 학계의 중심인물은 이제현이었다. 그는 李瑱의 아들이자 權溥의 사위이며 학통으로는 백이정과 권보를 계승하였다. 이제현의 수제자는 목은 이색이다. 이색은 성균관 대사성을 지내며 국학을 진흥 보급시킨 공로가 크고, 총 5차례에 걸쳐 과거를 主試하여 무려 132명이나 되는 과거급제자를 배출하였다. 목은의 학문은 조선조에 이르러 크게 두 갈래로 이어지는데, 하나는 포은 정몽주를 거쳐 야은 길재와 김숙자 등 조선조 성리학자들에게 계승되며 다른 하나는 양촌 권근을 거쳐 유방선·서거정·성간 등으로 이어진다. 여말선초의 학맥은 단순히 학문의 분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정치사·문학사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목은과 같은 특정 인물을 중심으로 소위 ‘牧隱系 士人’이라 불리는 집단지성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갓 도입된 성리학 연구에도 중요한 일익을 담당하였고, 문학적으로는 같은 학맥·동인들끼리의 교유를 통해 ‘耆老會’ 등과 같은 일종의 ‘詩會’가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문학사 발전에 큰 공헌을 하게 되었다. 또한 이같은 현상은 조선초의 학계와 문단에도 그대로 이어져 소위 말하는 ‘학파’의 형성과 ‘문풍’의 전개에 영향을 주게 되었고, 보다 거시적 관점에서 보면 조선시대 학술사·문학사의 端初가 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Confucianism and Chinese literature have been imported from China and the study and literature have developed. In the Koryo Dynasty, academic and literary works have been more flowering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 the development of school education, and active exchanges with the Song Dynasty. The study of of the times was mainly based on Confucius and Mencius, and Confucianism was imported from the Yuan Dynasty by the late Koryo Dynasty. In the second chapter of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Confucianism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 scholarly lineage from the early Koryo period to the late Koryo period were examined focusing on scholars representing each era and books they educated. For example, they are Choi Chung(崔沖) → Geum Ui(琴儀) → An Hyang(安珦) → Baek Leejung(白頤正)→ Kwon Bu(權溥), Woo Tak(禹倬), Lee Jin(李瑱), Minji(閔漬). The education of the Koryo Dynasty was actively carried out by them, and Confucian Studies reached its peak. As a result, the Neo-Confucianism, the latest study of the Tang Dynasty was imported and Chosun was opened as the ‘country of Neo-Confucianism’ and Toegye and Yulgok have brought up the highest level of Chosun Confucianism in the 16th century. In chapter 3,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the trend of literature, writers, and textbooks, which were popular at that time, were examined focusing on how the academic and literary classes of the late Koryo period and the early Chosun Dynasty were conducted, and the current status of academics that can be called scholarly lineage or collective intelligence was examined. The scholarly lineage of the early days of the late Koryo and early Chosun Dynasty is not merely a field of study, but it is closely related to political history and literature history. Especially, because of the form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around specific characters,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tudy of newly introduced Confucianism. In literary aspect, a kind of ‘Sihoe(詩會)’ was form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 the same scholarly lineage, which resulted in a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literary history. In addition, this phenomenon continued to the academic world and paragraphs of the early Chosun Dynasty, and i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so-called ‘schools’ and the development of ‘Moon-pung’. From a macro perspective, it could be said that it became the beginning of academic history and literature history in the Chosun Dynasty.

      • KCI등재

        도덕교육의 성격과 과제

        박종덕(Jong-Duk Park) 한국도덕교육학회 2021 道德敎育硏究 Vol.33 No.1

        듀이의 도덕의 이론은 도덕과 지식의 관련을 확립하려고 하였다는 것에 그 특징이있다. 이것은 곧, 도덕교육의 성격은 지식을 가르치는 교과교육의 구체적 맥락에 비추어 파악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적 공헌에도 불구하고 듀이의 도덕의이론은 한계를 가진다. 무엇보다도 듀이는 교과를 배워 성취하게 되는 유용한 목적에비추어 도덕의 개념을 설명하며, 따라서 듀이의 도덕은 일상의 삶에서 당면하는 직분을원만하게 잘 처리해가는 데에 필요한 일의 도덕일 뿐, 교과를 이루는 지식을 배워 획득하는 교과의 도덕은 아닌 것이다. 「중용」에 의하면 교과의 도덕은 교과의 안을 이루는것으로서, 생각과 말과 행동의 원천을 이루는 심성과 다른 것이 아니다. 도덕교육은 교과를 배워 획득되는 이 심성이 나날의 생각과 말과 행동으로 저절로 표출되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도덕교육의 과제는 도덕교육의 이러한 성격에서 도출될 수 있다. 도덕교육의 과제는 교과가 심성과 맺는 그러한 관련을 설명하는 교육이론을 그 내용으로 정립하는 것에 있는 것이다. 종래의 윤리학 또한 올바른 삶과 그 정당화를 다루고 있으며, 이 점에서 윤리학은 도덕교육의 내용으로 삼을 만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윤리학은 올바른 삶의 정당화를 그 자체로 설명할 뿐, 그 올바른 삶의 획득―교과의 내면화―과 관련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바로 이 점에서 윤리학은 올바른 삶의 정당화가 교과의내면화와 맺는 관련을 설명하는 교육이론의 하나로 재정립될 필요가 있다. 성리학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윤리학이 보여주는 교육이론 그 자체라는 점에서 향후 도덕교육이 노력을 기울일 과제는 바로 그 성리학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Dewey’s theory of morality is characterized by attempt to establish the relation of knowledge to morality. From Dewey’s point of view, the nature of moral education must be grasped in the light of the specific context of the subject education which leads us to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But Dewey’s theory of morality, in spite of these theoretical contributions, limits itself to some points. First of all, Dewey defines morality by way of the useful purpose that is achieved by learning the knowledge. Therefore, Dewey’s morality is not the morality of the studying subject acquired by learning the knowledge, but the morality of the work, meaning morality by which everyone conducts his occupational life. According to The Doctrine of the Mean, the morality of the studying subject, which is quite distinct from the morality of the work, but which is not different from the not-yet-manifested mind, an ingredient essential to the studying subject. Thus Moral educa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express the not-yet-manifested mind into daily words, thoughts, and actions by itself. It is the task of moral education that is derived from the nature of moral education. Conventional ethics can be regarded as deserving of the content of moral education in that it also deals with the moral life and its justifications. However, ethics explicate the justifications of the moral life, but it leaves the problem of the acquisition of moral life, which amounts to the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This would suffice to differentiate between educational theory and ethics. The more ethics depends on the educational theory which shows the relation of the studying subject to the not-yet-manifested mind, the more sufficiently ethics accomplishes what is most characteristic of it. In other words, ethics needs to be re-established as the educational theory which shows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rnalization of studying subject and the justification of the moral life. Since Neo-Confucianism is the theory of education through which ethics may be completed, we reach the statement that the task of moral education in the future centers around the Neo-Confucianism.

      • 한국인의 효사상과 효문화 : 한국사상과 효문화 ; 효에 대한 유교와 기독교의 차이점

        장재천 ( Jae Cheon Chang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2008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11 No.-

        이미 오래전부터 누구나 청소년들의 도덕·인성교육이 매우 절실하다고 말한다. 이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효를 비롯한 우리의 전통적인 윤리관이 갈수록 경시되고 있는 풍조 탓이기도 하다. 우리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물질주의에 우선하는 인간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효에 대한 연구는 인간세계가 존재하는 이상 언제나 그 가치가 높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러한 점과 관련하여 본고는 청소년 인성교육을 위하여 특히 유교와 기독교의 효가 어떻게 다른지 새롭게 통찰하여 보았다. 우선, 효관을 비교해보기 위해 유교 분야는 공자와 『효경』에 담겨 있는 효관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고, 이어 기독교(개신교)의 효관을 살펴보았다. 유교는 인간 중심의 윤리이기 때문에 분명 종교가 아니라고도 할 수 있지만, 기독교는 확실히 신 중심의 윤리를 가지고 있는 종교이다. 그렇기 때문에 효에 대한 기본 관점은 확연히 다르다. 관점이 다르므로 효도의 성격과 방법 또한 많이 다르다. 기독교는 유교와 달리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이 우선이기에 그 명령과 계명에 따라 부모를 구원의 길에 이르게 해야만 진정한 효도가 된다. 사실, 인간성 형성의 요람인 가정에서 청소년들이 첫 번째 지켜야 할 윤리는 두 말할 나위 없이 효다. 효는 자신을 사랑하는 것임과 동시에 부모, 즉 자기 생명의 근원을 사랑하는 것이다. 이러한 효가 유교의 입장에서 또 기독교의 입장에서 어떻게 발현되어야 하는지, 한편 가정에서 또 사회에서 얼마나 그 교육적인 가치를 상이하게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distinc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about filial piety. That is, it makes a comparative study of the concept, method, viewpoint, characteristics about filial piety between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Confucianism is humanism not religion because of nothing the future life after death but Christianity is true religion because of everything the future life after death. In contemporary Korea, Korean education received Western tradition with technological advance of the West without examine it carefully. From this, Korean education in general lost the true purposes of education to teach true nature of human being. Korea lost the nature of filial piety that causes chaotic situation from the collapse of the values of the society. Therefore, everybody says emphatically the necessity of human nature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for the younger generation. In relation to this point, all studies about filial piety take always high educational values and profound significances. After all, the concept, viewpoint, character and methods about filial piety between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unlike certainly each other. Because Christianity has a dread of the God, christians must obey to the order and commandments of the God. That is, only the parental salvation is true filial piety to christians believing in a life after death. Therefore, the filial piety of Christianity is wholly different with the filial piety of Confucianism in the starting point and terminal points. On the other hand, the home is the first cradle forming personality and humanity. In addition to, filial piety is loving self-life in facts. Also, it is loving own parents as the roots of self-life. However, the viewpoints as this contents are Confucianism`s perspective for the most part. In consequence, the distinctions between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about filial piety are so remarkable as above-mentioned.

      • KCI등재

        大東學會 漢文敎育 활동과 그 의도

        신재식(Jae-Sik Shi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3 동양한문학연구 Vol.64 No.-

        大東學會 임원진의 대다수는 일제강점기 보수유림을 친일화하는 부역에 종사하게 된다. 그런데 그 조짐이 이미 대한제국 말기에 시작되며, 이를 파악할 단서가 그 한문교육 활동에 있다. 대동학회 임원진은 근대 법학 전문지식인 양성 사립학교인 大東專門學校를 개설 운영한다. 특기할 점은 ‘한문’을 필수 교과로 특설하고 유림 자제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는 데 있다. 대동전문학교 초대 한문강사가 작성한 한문교육 관련 작품의 모음이 바로 「學校試士雜文」이다. 이는 대동학회 한문교육 활동의 실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학교시사잡문」의 내용을 검토한 결과, 한문 교과를 통해 유림 자제의 유교 이념을 강화하는 교육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이는 유교문화권으로 대변되는 동아시아 연대를 위한 지도층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 대동학회 임원진의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나뉜다. 하나는 한문 교육의 명분 확보이고, 또 하나는 유교 이념의 체화와 실현이다. 한문 교육의 명분 확보의 경우 한문 중심의 교육 정책의 기반, 이른바 文以載道의 이념을 정당화하는 논리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漢文이라는 언어를 곧 儒道 실현의 단서’로 간주한 임원진의 견해가 반영된 것이다. 유교 이념의 체화와 실현의 경우 전통 道學의 진리 구현, 이른바 修己治人의 방식을 내면화ㆍ현실화하는 유교적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지도자의 도덕 수양을 통한 사회 교화를 곧 통치 체제 확립의 관건’으로 간주한 임원진의 견해가 반영된 것이다. 즉 ‘유교 통치의 정당화가 곧 유림 계층의 정당화’로 귀결되는바 결국 유교 체제의 존속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대동학회 한문교육 활동의 보수성은 대한제국기 시대적 변화로 인한 보수유림의 위기감에서 촉발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학교시사잡문」의 사례는 친일 보수유림의 견해가 당대 한치유ㆍ장지연ㆍ박은식ㆍ신채호 등 개신유학자의 견해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 원인이 무엇인지 조명할 수 있는 사례라는 점에서 근대사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Great Eastern College is one of the significant activities of the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Curriculum Guide」, included in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Magazine』, was written by Budangnoin, an instructor at the Great Eastern College, and describes the content of the school curriculum. It is material that can show specific facts. It will examine the details of the Great Eastern College and become a great help in understanding the view of the ruling class and the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which had a tremendous political influence at the time on education, talent, world, and politics. As for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Guide」, most of it incorporated traditional education (Chinese Classics and Taoism) into the modern school system,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Eastern Ideas Policy of the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This includes formal, writing, and content education, such as ethics. The content is divided into beginner courses and advanced courses. This is closely related to traditional education. The beginner’s course is about learning the basics, such as improving writing and reading and learning how to study. Its goal is to secure the imperativeness in educating Chinese classics and the academic ability for the advanced course. The advanced course is divided into principles and applications. Principles it is about Confucian proprie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ethics. It is like the stage of ascetic practice in Taoism, which intends to secure the personal ethical view of the ruling class. For applications, it is about historical lessons and social reformation. It is like the stage of practicing Taoist ideas, which intends to establish social leadership for the ruling class. Such Eastern ideas-centered curriculum can be regarded as the manifestation of the crisis awareness of the established class, the Confucian scholars who wished to foster talented people to defend the Confucian system, the base of power.

      • KCI등재

        Lifelong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a critical policy discourse analysis

        Hongxia Shan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18 No.2

        Researchers in China have keenly explored how lifelong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as imports from “the West,” may become localized in China, although a small chorus has also tried to revitalize Confucianism to bear on the field. This paper adds to this domain of discussion with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Chinese lifelong education/learning policies. It finds that lifelong education and life learning have been positioned pragmatically to support the country’s modernist project of development, which culminates in the proclamation to shift from “made in China,” i.e., a manufacture-based economy, to “created in China,” i.e., a knowledge-based economy. Within this overall picture, the Marxist socialist and collective ideology has been made the hegemony in the promotion of lifelong education/learning practices. Western humanism and Confucian humanism have also had sketchy presence in the documents examined, although they are not necessarily invoked together with their original ideological connotations. The study also shows that given their directive genre, these policies have served to designate multiple actors to turn lifelong education and learning into practice and promote socialist lifelong learners as the ideal learning subjects; both mechanisms are implicated in entrenching existing governmental power structure.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태학지도(太學之道)

        김문식 ( Moon Sik Kim ) 다산학술문화재단 2006 다산학 Vol.- No.8

        This paper is to study Tasan`s interpretation on Great Learning『大學』, and his way of connecting classic studies with the real society. Tasan rated Zhu Xi`s merit high because he had distingush Great Learning from Book of Rates. Tasan took a serious view of Wang Yang-ming because he had regarded Great Learning`s text perfect. Tasan researched Great Learning and wrote many boo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upils of the Taehak太學, the uppermost educational facility in ancient times, were Kukja國子, the sons of the emperor and dignitaries. The pupils trained in the Taehak were responsible to rule over their feudal land and the world. 2. The contents of the Taehak education were these three virtues, filial piety[孝], respect for a senior[弟], parental love[慈]. Tasan proved that Kukja had trained these three virtues in the Taehak. It was possible to study confucian classic books, for example Book of Rates and Book of Documents『尙書』, 3. The results of the Taehak education were able to rule over their feudal land and the world well. It was possible for the pupils to exercise personally to prospect old peoples and to help peoples in a difficult situation. During researching Great Learning, Tasan accepted the theory of Mao Qi-ling毛奇齡`s and King Jeongjo正祖`s. Especially Tasan was taught by King Jeongjo himself while he was the staff of Kyujanggak奎章閣, royal library and research center established in 1776. At that time, King Jeongjo insisted that Great Learning was the book just for the king. Tasan accepted king`s insist and proved it was true. Tasan was also connecting classic studies with the real society. He insisted that to research confucian classic studies was to disclose the old saints` institution, to do practical learning was to make new institution supported by classic studies. I think Tasan Cheong Yagyong was the prominent scholar and politician on the point of connecting classic studies with the real society, and making the reform bill to remedy the abuses of the age.

      • KCI등재

        ‘경복궁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의 필요성과 그 의미

        문형진(Moon, Hyoung-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역사문화연구 Vol.37 No.-

        지금까지 경복궁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의 필요성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체험 학습에 목적을 두고 작성된 만큼 문화 교육 자료로서 경복궁이 갖는 가치에 주안점을 두었다. 본고가 지닌 문화교육적 의미와 그 효용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문화 속에 담긴 역사성에 주목함으로써 문화와 역사를 통섭하는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경복궁 속에 담겨 있는 한국인의 사상 체계를 유교사상, 풍수지리사상 등으로 체계화함으로써 실천 윤리와 사상 체계를 활용한 문화 교육이 되도록 하였다. 셋째, 그 동안 병렬적 개별적으로 소개된 건축물과 문화재들을 주제별로 묶어 설명함으로써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인의 의식 세계와 정서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문화재 견학을 통한 체험 학습이 한국 문화를 교육하는 방법적인 면에서 충분한 가치성과 효용성을 지니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So far this study researche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Korean Culture Education with applying Kyungbok Palace. Also, this study focused on the value of Kyungbok Palace as a material of culture education because it was purposed to practice foreign learners in the experience study. The significance and usefulness of this study in culture education are followings; Firstly, this study researched the educational method combining the cultural and historical education as focusing on the historical features in Korean culture. Secondly, this study researched the method of culture education utilizing the practical ethics and ideological system by systematizing Korean ideological system as the Confucian ideas and geomancy from Kyungbok Palace. Thirdly, this study researched the easy way for foreign learners to understand the Korean way of thinking and sentiment with explaining architectures and cultural properties not the way of arranging in a line but combining subjects. Fourthly, this study emphasized that the experience study of cultural properties is having the value and effectivenes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in aspectof the way of education.

      • KCI등재

        초등사회과 공동체 교육의 해법으로서 인仁

        이현지(Lee, Hyun-Ji) 동양사회사상학회 2018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2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구조 아래에서 이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은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협력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다. 따라서 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하는 이 시대 교육의 화두는 공동체 교육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사회변화에 어떻게 적응하고, 변화에 따라 대두되는 공동체의 삶을 위해서 어떤 가치를 추구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성찰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사회구조적으로는 공동체적 삶을 위한 지혜와 가치 부여에 대한 요구가 높은 반면, 현대를 살아가는 사회구성원들은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삶의 의미를 발견하지 못하고 있으며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책무에 대한 인식도낮다. 이러한 문제의 해법을 유가사상의 인仁이 내포하고 있는 진정한 사랑으로서의 지혜에서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초등사회과 공동체 교육의 해법으로서 인仁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먼저, 초등사회과 공동체 교육의 실태를 분석할 것이다. 그 다음에는 인仁이 공동체 교육의 사랑이론으로서 가지고 있는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공동체 교육의 해법으로서 인仁의 의미를 고찰할 것이다. Under the rapidly changing social structure with the adven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the talent awards required by this era are those who have the ability to cooperate and sympathize as members of the community. Therefore, it is safe to say that community education is the hot topic of education in this era, which is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A reflection is required on how to adapt to these social changes and what values to pursue in the life of the community as they arise. As such, members of society living in modern times can not find the meaning of life as members of the community, while the need for wisdom and values for the collective life is high.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will be sought from the wisdom of Confucian Ren(仁).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onfucian Ren(仁) as a solution to community education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o achieve this goal, we will analyze the status of community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first. Next, we will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Confucian Ren(仁) as the theory of love in community education. Lastly, we will consider the meaning of Confucian Ren(仁) as a solution to communit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