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교사용 지도서 개발의 쟁점과 실제 적용에 관한 연구 -제3국 출생 탈북 아동을 위한 한국어 교재 『돋움한국어』의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홍혜란 ( Hong Hye-ran ),유소영 ( Yoo So-young ),최수정 ( Choi Su-jeong ),김령 ( Jin Ling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1 국제어문 Vol.- No.89

        본고는 교사용 지도서 개발에 관한 연구로 제3국 출생 탈북 아동 대상 한국어 교재의 활용도를 높이고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그간 이루어진 한국어 지도서 개발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 중 요구분석 연구의 성과를 집중 분석하여 그 결과를 실제 지도서 개발의 기초 자료로 삼을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다문화 가정 아동, 재외동포 아동, KSL 초, 중, 고등학생 등 다양한 변인을 대상으로 한 지도서의 개발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도서 개발과 관련한 쟁점을 지도서의 구성 체제와 내용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고 원리를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제3국 출생 탈북 아동 대상 한국어 교재의 교사용 지도서 개발 원리를 첫째, 수업 준비와 운영의 흐름을 고려한 구성 체제, 둘째, 아동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수업 활동 구성, 셋째, 효율적인 수업 준비를 돕기 위한 내용의 이원화, 넷째, 대조분석을 바탕으로 한 학습자 오류 클리닉 제공, 다섯째, 수업 운영의 편의성과 활용도 제고를 위한 수업 보조 자료 개발의 다섯 가지로 설정하였다. 나아가 실제 지도서에서의 적용 예시를 보였다. 이 연구는 교사의 요구분석 내용을 지도서에 반영하고 지도서 개발과 관련한 쟁점을 검토함으로써 교사, 학습자 변인을 고려한 지도서 체계와 내용을 마련한 교사용 지도서의 실제를 보여줬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한국어 교재의 활용도를 높이고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acher’s guidebook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Korean textbooks for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This guidebook is also intended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Before developing an actual teacher’s guidebook, this paper reviewed previous relevant studies to collect results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 of a teacher’s guidebook. In addition, the various factors that a teacher’s guidebook must address were analyzed, including multicultural children; overseas Korean children; and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KSL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development of a teacher’s guidebook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composition, and the contents and principles necessary for teachers’ guidebooks were established. The following are five principles for developing a teacher’s guidebook for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to North Korean defectors based on this study: 1) a system of composition considering the flow of class preparation and management; 2) class activitie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child learners; 3) dualization of contents to help efficient class preparation; 4) providing learner error clinics based on contrast analysis; and 5) development of class materials for the enhancement of convenience and utilization in classroom operation. Furthermore, this paper shows examples of applications in the teacher’s guidebook.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it show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a teacher’s guidebook based on a system and contents that consider both teachers and learners’ variabl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and the guidebook that it created will enhance Korean textbooks and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 KCI등재

        초등 교과교육 : 초등 교사의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 사용 실태 연구

        김지은 ( Ji Eun Kim ),엄해영 ( Hae Young U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2

        이 연구는 초등 교사가 국어과 교수·학습 실행에 있어서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를 어떻게 사용하는 지에 관하여 조사한 실태 연구이다. 연구 결과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를 자주 사용한다고 인식한 응답이 우세하였으며, 약 83%의 교사들이 1주일에 1회에서 5회 정도 지도서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교사들은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에서 교수·학습 활동의 안내 기능을 가장 중요한 기능이라고 응답하였으며,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반면, 평가 자료 및 활동 자료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 개선 방안으로 크기 및 제본 방식의 변화, 이독성 증대, 자료의 유형 한글 파일화, CD 및 인터넷 사이트 운영을 통한 자료 제공 방식의 개선, 수업 모형과 아이디어의 다양화, 내용의 적정화, 평가 및 활동 자료의 보완을 요구하였다. 자료 활용에 있어서 전반적으로는 교사 온라인 커뮤니티의 도움이 컸다고 응답하였다. 이미지 및 동영상 자료는 교사 온라인 커뮤니티 및 유료 사이트를 통하여, 교수·학습 활동 안내 자료 역시 교사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하여 마련한다고 응답하였다. 평가 자료는 유료 사이트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활동 자료는 교사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하여 마련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를 통해 국어과 지도서가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으며, 전반적인 만족도고 높은 편이나, 일부 기능에 있어서 다른 자료원에 비하여 활용도가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u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ag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guidebook according to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vised in 2009. For this purpose, A survey about elementary school teachers` korean language guidebook usage was conducted by 158 teachers.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83%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 Korean language teacher`s guidebook approximately one to five times per week. The overall satisfaction for the guidebook was high. But satisfaction for the textbook understanding was the highest, and for the activity resources was the lowe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quired the external, and internal revolutionary changes on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guidebook. Elementary teachers required change in the way of size and binding, increase the text readability, printable resources, CD and internet sites offer to make it easier to use, and diversification of evaluation and activity resources. Sources other than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guidebook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verall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So, we found that Korean language teacher`s guidebook which are currently used needs to be checked in order to make changes considering the improvement of teacher`s guidebook.

      • KCI등재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가정 교사의 인식 및 활용

        강은영,신혜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2

        This study analyzed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regarding teacher's guidebook for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class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The data were collected via e-mail to teachers teaching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s. These e-mail addresses were acquired from middle school web pages registered on the Educational Board. The 355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teachers recognized highly the necessity of teacher's guidebook. However, as the actual guidebook was not adequately helpful, the overall degree of satisfaction was relatively low. Teachers utilizing guidebook had more positive recognition on teacher's guidebook than teachers who did not. And teachers majored in technology education thought teacher's guidebook more helpful compared with teachers majored in home economics education.Second, teachers referenced teacher's guidebook mostly for field practice guidance.Third, teachers who did not utilize teacher's guidebook used other reference materials such as Internet Web sites and audiovisual materials. They were most commonly used for the reason that the contents were ample and easy to access. Fourth,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to improve teacher's guidebook. The provision of learning contents that can be practically used in class, the various samples of teaching-learning method, the specified methodsof planning and criteria for performance assessment, the adequate supplementations regarding textbook contents, and the improvement of the outward layout format of the guidebook.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가정 교사의 인식 및 활용실태를 분석하여 우리 교육 현실에 맞는 새로운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에 대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는 이메일을 통하여 수집하였는데 전국의 중학교를 대상으로 서울시교육청 및 각 도교육청 그리고 각 광역시 교육청에 등록되어 있는 중학교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홈페이지에 등록되어 있는 가정 교사의 이메일을 토대로 하였으며, 설문은 Web을 구축하여 사이트에 접속해서 답변을 할 수 있게 하였다. 855명에게 이메일을 발송한 결과 366명이 설문에 응답을 해주었으나 기술교사 9명과 중복 답변 2명을 제외한 355명의 응답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에 대해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나 필요성에 비해 교사용 지도서가 도움이 되지 못하며 따라서 만족도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용 지도서 활용교사가 미활용교사보다 교사용 지도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기술교육 전공 교사가 가정교육 전공 교사보다 교사용 지도서가 더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둘째, 가정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에서 가장 많이 참고하는 부분은 ‘차시별 지도의 실제’로 나타났고, 각 부분에 따라 총론은 ‘교수-학습 방법’, 각론은 ‘차시별지도의 실제(학습내용해설)’, 차시별 지도의 실제는 ‘학습 자료’와 ‘학습 내용 및 활동’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용 지도서를 활용하지 않는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가 충분한 도움을 주지 못하거나 다른 참고 자료를 활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용 지도서 외에 인터넷 사이트, 시청각 자료를 가장 많이 참고하며, 이런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사용하기 편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사항으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자료의 제시, 다양한 교수-학습 과정안 제시, 수행평가 계획 및 기준에 대한 구체적 제시, 교과서 내용에 대한 충분한 보충 설명, 지도서의 외형적 체재 개선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 개선 방안 탐구

        김세영 ( Seyoung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교육을 중심으로 한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의 모습을 탐색하는 것에 있다. 교사용 지도서는 교과서를 설명하는 교재로 보조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교사용 지도서에 관한 독자적인 연구보다도 교과서와 관련하여 연구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와 수업을 두 축으로 하여, 교사와 교육과정 자료와의 관계, 교사의 전문성 단계, 수업의 종류에 따라 교사용 지도서의 형태와 내용 구성이 상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설명서로서의 교사용 지도서, 자료집으로서의 교사용 지도서, 해석서로서의 교사용 지도서로 구체화하였으며, 이를 통해 차기 교사용 지도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improve teacher's guidebook for the integrated subjects. The purpose of the teacher's guidebook is to guide and assist textbooks. For this reason, it is true that a research about teacher's guidebook did not go well. In this study, it adopt two criterion that explore the alternative form of teacher's guideboo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teacher's guidebook depend on 1)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curriculum materials, 2) th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3) the concept of instruction. Second, there are three forms of teacher's guidebook; teacher's guidebook as a manual, teacher's guidebook as a teaching sourcebook, teacher's guidebook as a interpretation.

      • KCI등재

        2011 개정 실과 교사용 지도서의 ‘가정생활’ 영역 단원체제 및 내용 분석

        김형균(Kim Hyung Gyun) 한국실과교육학회 201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0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 교사용 지도서‘가정생활’영역에 해당하는 6개 단원의 단원체제 및 내용을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2011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모든 검정 교사용 지도서의‘가정생활’영역 단원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내용은 교사용 지도서 단원의 체제, 교수·학습지도안, 보충자료 내용요소, 수행평가 내용과 지필평가 문항 수 이었다. 이들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 및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되어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의 유형은 강의법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앞으로 개발될 지도서에서는 강의법 보다는 실과 교수·학습 방법과 밀접한 문제해결 교수·학습법, 프로젝트법, 실습법등이 많이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용 지도서에서 제공된 보충자료의 양과 내용의 수준은 교사가 교수·학습 중에 활용할 수 있기에 충분할 정도는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분석 결과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개발될 지도서는 교과서 내용과 관련된 풍부한 보충자료들이 제시될 필요성이 있다. 셋째, 교사용 지도서에서 제공된 수행평가 문항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개발될 교사용 지도서는 다양한 수행평가의 유형이 더 많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넷째, 현행 실과지도서를 분석한 결과 지필평가문항 대부분이 이원목적분류에 의한 내용영역, 행동영역, 난이도에 관한 분류가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이점은 평가의 기준과 근거 방법 측면에서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앞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units on the ‘Family Life’ domains of practical arts teachers’ guidebooks according to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and previous related studies were analyzed. Six teacher’s guidebooks published in 2011 were analyzed. Analysis criteria include contents, time allocation, lesson plan, supplementary materials and assessment tools. 1. All six teacher‘s guidebooks were rather well designed and composed of former and detailed exposition. 2. Each guide-book contains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3. The contents in 6 teacher’s guidebooks was mostly similar. But there was some suggestions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usability of the teacher’s guidebooks The teachers’ guidebooks provide teachers with sufficient complementary materials and information to teach practical arts. Guidebooks under this study need to be reformed. More studies on the teacher’s guidebooks and developmental study for the model guidebooks is needed along with the revised curriculum and new textbooks.

      • KCI등재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동화활동에 제시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 분석

        전유영,이은영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s of teacher’s verbal interaction in storytelling activities in the 3, 4, and 5-year-old Teachers’ Guidebook of the Nuri Curriculum. For this study, 126 storytelling activities were chosen by checking an activity list in 32 guidebooks and 1,279 verbal interactions were analyzed by using the criteria of the teacher’s verbal interaction type during the reading of a picture book which was revised by researchers based on Nam(2009) and Lee(2011). Study procedures were done in the following order as follows: subject selection for the analysis, criteria setting in this study, reliability review and data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first, teacher’s verbal interaction types presented in the storytelling activities for 3 and 4 year olds are in the order of instructional interactions, diffusive interactions, and passive interactions. However, for the 5 year olds, the types of teacher's verbal interactions are diffusive, instructional, and passive interactions, in that order. The difference in teacher’s verbal interaction types according to the children’s 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types of teacher's verbal interactions before and after reading fairy tales were high in the order of instructional interaction, followed by diffusive interaction and passive interaction.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reading fairy tal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ers should use higher quality interaction strategies while implementing storytelling activities. Moreover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when developing the storytelling activities of the Teachers’ Guidebook according to future curriculum revision. 본 연구는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동화활동에 제시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포함된 활동 중에서 활동유형은 대․소집단으로, 활동영역은 동화로 표기된 126개 활동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기준은 남규(2009)와 이정아(2011)가 구성한 것을 참고하고 예비분석의 과정을 거쳐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였으며, 연구절차는 분석대상 선정, 분석기준 설정, 본 연구, 신뢰도 검토, 자료 분석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동화활동에 제시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3, 4세는 교수적 상호작용, 확산적 상호작용, 소극적 상호작용의 순으로, 5세는 확산적 상호작용, 교수적 상호작용, 소극적 상호작용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연령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동화 읽기 전과 후,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은 모두 교수적 상호작용의 비율이 높고, 그 다음으로 확산적 상호작용, 소극적 상호작용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들이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토대로 동화활동을 실시할 때 보다 질 높은 상호작용 전략을 활용하도록 이끌고, 향후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 동화활동을 개발할 때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등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교사 자율성 분석

        이인혜,정광순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9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3 No.3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whether the teacher's guidebook for the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gave autonomy to teachers who performed the curriculum. Seven prim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analysis, a 'Teacher Implementation Autonomy Profile(TIAP)' method developed by Silverstein & Ben-Peretz(1987)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ly, the teacher's guidebook for the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has gradually increased the level of information to enable teachers to exercise autonomy in implementing the curriculum, the development of the seventh curriculum was seen as a turning point for change. Second, we could see that in the teacher's guidebook for the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teachers have been perceived as choosing rather than developing curriculum, and by extension as pedagogic experts rather than subject-matter exper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ee questions were discussed: why the development of the seventh curriculum was a turning point, does the amount of information was important or not, and what teacher concepts should be taken in relation to the curriculum.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가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에게 자율성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 초등 교사 7명이 참여했고, Silberstein & Ben-Peretz(1987)가 개발한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자율성 프로파일(Teacher Implementation Autonomy Profile, TIAP)’ 분석 도구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통합교과의 교사용 지도서는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자율성을 발휘하도록 하는 정보수준을 점차 늘려 왔고, 제7차 교육과정 교사용 지도서가 변화의 분기점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통합교과 지도서는 교사를 교육과정 자료 개발자보다는 선택자로, 내용 전문가(contents experts)보다는 교수학 전문가(pedagogic experts)로 인식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왜 제7차 교육과정 교사용 지도서가 변화의 분기점인가, 교사용 지도서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양이 중요한가, 교사용 지도서는 교육과정과 관련해서 어떤 교사 개념을 취해야 하는가 하는 세 가지 질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동화,동시 활동의 언어적 구성요소 분석

        박혜경 ( Hye Kyung Park ),강은진 ( Eun Jin Ka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의사소통영역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동화.동시 활동을 중심으로 의사소통영역의 내용범주 및 내용, 활동목표, 언어적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유아교사의 유아 언어교육 계획 시 언어적 구성요소를 고려하도록 함에 있다. 이를 위해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동화 활동 120건, 동시 활동 77건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동화와 동시 모두 의사소통영역의 내용범주로 ‘듣기’ 가 가장 많았으며, ‘읽기’나 ‘쓰기’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둘째, 동화활동에서는 ‘내용을 이해한다’가 동시 활동에서는 ‘동시 듣기를 즐긴다’가 활동 목표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서 동화 활동에서는 ‘의미론’과 관련된 발문이 많았으나 동시 활동에서는 ‘음운론’, ‘의미론’, ‘구문론’, ‘화용론’이 전반적으로 다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동화와 동시 활동이 유아 언어교육을 위해 적절히 활용되기 위해서는 듣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내용범주와 활동목표가 다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언어적 구성요소에 대한 지식도 고르게 다루어질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children’s story and poem activities in order to teach young children ‘communication`` in the Teachers`` Guidebooks for 3 to 5-year-old NURI Curriculum. The subjects were 120 children’s story activities and 77 children``s poem activities introduced in the Teacher``s Guidebooks for NURI Curriculum. The statistical data of children’s story and poem activities was analyzed by categories such as the contents category of communication field, activity objectives, and linguistic compon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hildren’s story and poem activities were mainly distributed in ‘listening’ among four content category of ‘Communication field’ in NURI Curriculum. Secondly, activity objectives of children’s stories were largely set up with ‘understanding content’, but activity objectives of children’s poems were largely set up with ‘enjoying listening to the poem``. Thirdly, ‘semantics’ of linguistic components were usually used by teacher’s questioning about children’s stories. On the contrary ‘phonology’, ‘syntax’, and ‘pragmatics’ were evenly used in teacher’s questioning about children’s poems. These conclusions suggest that content categories of communication field, activity objectives, and linguistic components should be evenly dealt with in Teachers`` Guidebooks for 3 to 5-year-old Nuri Curriculum in order to effectively teach language using children``s stories and poems.

      • KCI등재

        2022 개정 초등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 개발 방향 탐구

        김세영 ( Seyoung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2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uidebook for teachers of the 2022 revised integrated subject. To this end, research was conducted according to a series of procedures such as 1) checking the curriculum documents and intentions of developer, 2) extracting the direction of the teacher's guide, and 3) developing the teacher's guide. In order to extract the direction of the guidebook by grasping the more macroscopic context, the educational context was identifi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and various data were analyzed to specify the direction of the guidebook.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find the direction of the integrated subject of field subject development and 'here-now-our life'. The new teacher's guidebook were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implementing them. The new teacher's guidebook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Teacher's Educational Guide'. Specifically, the new teacher's guidebook can subdivide its role into professional books to help teachers' teaching expertise, explanations/information materials for lesson, and training tools to help teacher’s professionalism.

      • KCI등재후보

        2011 개정 실과 교사용 지도서의 ‘기술의 세계’ 영역 단원체제 및 내용 분석

        김형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 교사용 지도서 ‘기술의 세계’영역에 해당하는 6개 단원의 단원체제 및 내용을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2011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모든 검정 교사용 지도서의 ‘기술의 세계’영역 단원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내용은 교사용 지도서 단원의 체제, 교수·학습지도안, 보충자료 내용요소, 수행평가 내용과 지필평가 문항 수 이었다. 이들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 및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앞으로 개발될 교사용 지도서의 차시 구성은 출판서간 대·중단원의 시수의 차이가 너무 지나치게 나지 않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 둘째, 앞으로 개발될 지도서에서는 실과 교수·학습 방법과 밀접한 문제해결 교수·학습법, 프로젝트법, 실습법등이 많이 개발되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용 지도서에 교수·학습 지도안 예시는 전단원에 꼭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용 지도서에서 제공된 보충자료의 양과 내용의 수준이 단원과 지도서 별로 어느 일정 수준의 양과 질이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앞으로 개발될 교사용 지도서는 최근 일선 학교에서 지필평가를 지양하고 다양한 수행평가의 유형이 더 많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앞으로 지필평가는 지도서에서 가급적 제시되지 않는 편이 평가의 실용성 측면과 수행평가를 강조하는 현장의 현실적 측면에서 더 나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conduct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units on the ‘World of Technology’ domains of practical arts teachers’ guidebooks according to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related research materials, Six teacher’s guidebooks published in 2011 were analyzed. It was divided into ‘contents’, ‘time allocation’, ‘lesson plan’, ‘supplementary materials’ and ‘assessment tools’ to analysis of content organization. All six teachers guidebooks were rather well designed and composed of former and detailed exposition. Each guide-book contains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The contents in 6 teacher’s guidebooks was mostly similar. But there was some suggestions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usability of the teacher’s guidebooks The teachers’ guidebooks provide teachers with sufficient complementary materials and information to teach practical arts. Guidebooks under this study need to be reformed. More studies on the teacher’s guidebooks and developmental study for the model guidebooks is needed along with the revised curriculum and new textbooks. It will provide an analytical perspective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when comparing various types of teachers’ guide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