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반도평화체제 구축: 현황과 과제

        박종철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08 한국과 국제정치 Vol.24 No.1

        Establishing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was included in the September 19 Joint Statement of the Six-Party Talks. The Statement was a comprehensive approach which compensates economic assistance, energy provision, and diplomatic normalization between North Korea, the U.S., and Japan for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It also aimed at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construction of a multilateral security arrangement in Northeast Asia in order to 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development problem. As a result, it became linked with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This paper focuses on the following points and is a review of the efforts of constructing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First, the peace and prosperity policy and the goals of establishing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that was a major goal of the Roh government were reviewed. The background against which the peace regime agenda was pursued within the wider context of the peace and prosperity policy was explained. Second, the linkage between the peace regime issue and denuclearization was analyzed. The Roh government’s peace initiative on the Korean peninsula was overshadowed by the nuclear issue as the second nuclear crisis arose in October 2002, even before the inauguration of Roh Moo-hyun. However,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 over the nuclear issue, th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was included in the joint statement of the Six-Party Talks. This opened a new opportunity for the pursuit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On the other hand, it resulted in the advancement of the peace regime being linked to and dependent upon denuclearization. Third, the formation of the Korean Peace Forum, mandated with dealing with th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was suggested. Several related issues were reviewed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x-Party Talks and the Korean Peace Forum, the actual makeup, the timing of the formation, and its pattern of implementation. 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Korean War, its relationship to a peace treaty, and the declaration on the part of the three or four major parties were summarized. Fourth, the current state of arms control on the Korean peninsula was analyzed. Arms control on the Korean peninsula is a necessary element in guaranteeingthe peace and stability on the peninsula and promoting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 KCI등재

        평화경제를 통한 한반도경제공동체 건설의 대전략 구상

        윤황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3 평화학연구 Vol.14 No.5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meaning and value of peace and peace economy in the Korean Peninsula, and based on such analysis, to propose the grand strategic picture to establish the Korean Peninsula Economic Communit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meaning of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is defined as strengthening the political, military,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trust between two countries, and as keeping a state without physical and structural violence in order to bring in the integration and unification on the peninsula. Accordingly, this report blamed the gloomy outlook on the value of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such as the enlargement of the political stakes and the trust relationship, the detente and reduction of the war threats, the escalation of the mutual accessibility and interdependence, the change of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and mistrust, and so on. Secondly, the peace economics of this article is on the basis of peace through trade or interdependence theory, and on the viewpoint of inter-Korean economic interests toward the s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divided,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Consequently, this paper analyzed the value of the peace economy in the peninsula. Finally, in order to come to conclusions based on this research's results as a whol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future step-by-step strategies to establish a Korean Peninsula Economic Community will be achieved progress in the clear direction of three-level steps: ‘the economic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wo Koreas (the first phase) → a Korean Peninsula Economic Community (the second phase) → the unification of the divided Korean peninsular (the third phase)’. Under this great strategy, this thesis underlines that two Koreas will have to pay attention on the foundation of a Korean Peninsula Economic Community towards co-prosperity under the peace economy of the North-South Korean integration. In conclusion, if a Korean Peninsula Economic Community is created, it will also contribute to explaining the look of a new Korean Peninsula as a situation where peace is settled, and members of people in two Koreas freely travel each other, and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stable and prosperous Northeast Asia.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한반도에서 평화와 평화경제의 의미와 가치를 규명하여 한반도경제공동체 건설의 대전략 구상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 목적에 따른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반도에서 평화의 의미란 남과 북이 정치적∙군사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 신뢰와 협력을 강화하고, 한반도에서 번영과 발전의 통합과 통일을 향한 물리적∙구조적 폭력이 없는 상태라고 규정되었다. 이에 따라 한반도에서 평화의 가치는 정치적 이해관계와 신뢰관계의 증대, 긴장 완화와 전쟁위협 감소, 상호접근성과 의존성의 확대, 이념적 대결과 불신의 변화, 평화적 통일방식의 희망, 개발협력의 증대 등에서 분석되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의미하고 있는 평화경제란 ‘교역 또는 상호의존을 통한 평화이론’에 근거하여, 한반도분단의 해소와 남북통합 및 남북통일의 달성을 향한 남북 상호간 경제적 이익의 확보 관점에서 ‘평화적 통일’의 지향과 동시에 세계 평화와 인류 공동번영을 위한 ‘국제평화주의’ 추구에 기여하는 것이라고 규정한다. 이런 규정 하에서 남북경제교류협력을 통한 한반도경제공동체 건설의 평화경제적 가치는 동북아경제권의 중심축, G8 국가들과의 대등한 규모 실현, 통일의 경제적 토대 구축, 남과 북의 상호보완∙상생발전∙공동번영구도 고착 등에서 분석되었다. 셋째, 한반도경제공동체 건설추진의 대전략은 남북교류∙협력의 성과에 토대하여 한반도경제공동체의 건설단계로 진입한 후 남북연합(남북통합)의 완전한 통일경제권 달성이라는 방향성을 갖고 추진되는 것이다. 이 대전략은 평화경제의 한반도 공간확대전략의 차원에서, 즉 ‘한반도-동북아-세계’의 경제시장영토를 확대해나가는 방향성을 갖고 4단계 이행전략의 방향으로 추진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한반도에서 평화경제론에 입각한 교류협력과 공동체의 건설만이 한반도평화체제의 구축과 남북연합(남북통합)의 달성과정에서 가장 결정적 기준점이라고 보았다. 즉 평화경제만이 남북관계의 미래발전 동력, 평화적 통일의 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고 확증하였다.

      • KCI등재

        한반도 평화체제의 비관적 전망

        여현철 ( Hyunchul Yeo ),이장영 ( Jangyoung Lee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7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5 No.3

        평화체제란 평화에 관한 권리나 규칙의 집합을 나타낸다. 한반도 평화체제는 평화의 제도화에 의해서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에 평화의 제도화를 위해서는 평화협정이 전제되어져야 한다. 평화협정이란 문서에 의한 교전 당사자 간의 합의를 뜻한다. 평화협정은 내전 혹은 국제전에서 분쟁을 종결하고 평화의 길로 나아가는 필요조건의 역할이다. 이처럼 평화협정은 전쟁의 종결을 넘어 평화의 과정 속에서 분쟁을 최소화해가는 정치적인 협상이다. 한반도의 평화체제를 위한 평화협정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풀어야 할 난제들이 겹겹이 쌓여 있다. 지금 한반도는 북한의 핵위기(핵·미사일)와 강대국들의 이익이 충돌하고 있는 힘의 각축장이 되었다. 때문에 한반도 평화체제는 남과 북 어느 한쪽의 노력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한반도 평화체제는 분단체제의 극복과 동북아의 평화에 잇닿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반도 평화체제, 과연 실현 가능한가?”라는 질문에서 시작한다. 한반도의 평화체제는 다음의 요인들로 인해 비관적으로 전망할 수밖에 없다. 첫째, 핵개발(대륙간탄도미사일)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가진 북한의 김정은이 존재하는 이상 더 이상 북핵은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없다. 둘째, 북한이 여전히 중국의 전략자산으로 활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어떠한 대북제재도 성과를 내기 어렵다는 점이다. 셋째, 미·중 간 갈등과 대립이 한반도를 중심으로 충돌하고 있는 지금 한반도의 평화체제는 남과 북이 논의할 수 있는 선택지가 아니라는 점이다. 한반도의 분단체제가 김정은 정권의 생존과 맞닿아 있고, 북한의 지정학적 위치가 강대국간의 이익충돌을 양상하고 있기에 요원한 과제로 남아 있다. 북한은 핵무기 보유와 미사일 발사를 통해서 핵보유국으로서의 지위 인정과 더불어 체제의 안정을 보장받고 싶어 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북한의 핵포기 가능성이 전무해 보이는 이 시점에서 국제사회와 주변국의 공조가 어느 때 보다 더욱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A peace regime represents a set of rights or rules of peace. Since th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can be guaranteed b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eace, a peace treaty must be established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eace. A peace treaty means an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involved in the document. A peace treaty is the role of a necessary condition to conclude disputes in the civil war or international war and to move toward peace. Such a peace agreement is a political negotiation that goes beyond the end of the war and minimizes disputes in the process of peace. To conclude a peace treaty for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there are layers of difficulties to solve. The Korean peninsula has become the center of power in which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nuclear and missile) and the interests of the great powers are in conflict. Therefore, th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can not be accomplished by the efforts of either South or North Korea. Th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is due to the overcoming of the division system and peace in Northeast Asia. Therefore, this paper begins with the question “Is the peace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possible”. Th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is pessimistic because of the following factors. First, since there is Kim Jung Eun of North Korea with a firm commitment to nuclear development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can no longer be subject to negotiations. Second, North Korea is still being used as a strategic asset in China, and it is difficult for any North Korean sanctions to achieve results. Third, th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where US-China conflict and confrontation are centering on the Korean peninsula, is not an option that the South and the North can discuss.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linked to the survival of the Kim Jung Eun regime, and the geopolitical position of North Korea remains a challenge because it faces a conflict of interests between the great powers. North Korea wants to be assured of its stability as well as its status as a nuclear weapon state through the possession of nuclear weapons and the launch of missiles. In conclusi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he neighboring countries are more urgently required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when the possibility of North Korea’s abandonment of nuclear weapons is unlikely.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반도 통일교육의 방향: 한반도 평화와 공존의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김창근 ( Kim Changgeun )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2021 분쟁해결연구 Vol.19 No.3

        이 논문은 코로나19를 지나면서 나타나고 있는 국제관계 패러다임의 변화가 한반도 평화·공존의 의미에 주는 내용을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반도 통일교육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첫째, 통일교육은 포괄안보의 관점에서 다양한 한반도 평화의 의미와 융합적 접근을 강조해야 한다. 한반도 평화 이슈의 다차원성과 한반도 지역의 시·공간적인 평화·공존의 의미가 새롭게 설명되어야 한다. 기존 남북한 협력의 차원을 넘어 ‘한반도라는 상위의 미래 정체성’에 대한 인식 위에 새로운 남북한 협력의 의제가 상상되어야 한다. 둘째, 통일교육은 한반도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남북한 평화·공존 협력의 연결과 활성화를 강조해야 한다. 한반도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남북경협의 인식과 실천이 강조되어야 한다. 남북한 주민의 삶의 문제와 연관지어 일상적 평화가 강조되어야 하며, 일상적 작은 평화를 큰 평화로 연결하려는 노력이 한반도 평화·공존의 토대가 된다는 점이 부각되어야 한다. 셋째, 통일교육은 한반도 평화·공존의 규범과 레짐의 활성화를 위한 남북한 및 국제협력의 필요를 강조해야 한다. 남북한 생명·안전 공동체로서의 연결성의 의미가 우선 부각되어야 하며, 북한 비핵화가 한반도 평화체제의 구조 변경과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이 인식되어야 한다. 북한 비핵화 대화·외교와 함께 구조적 차원에서의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려는 정부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하며, 한반도 평화·공존 협력을 위한 국제 공공외교의 중요성이 부각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suggested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the Korean peninsula in the post-corona era based on th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 paradigm appearing after the COVID-19 in the meaning of peace and coexistence on the Korean Peninsula. First,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emphasize the meaning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 convergent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comprehensive security. The multidimensionality of the peace issue and the meaning of temporal and spatial peace and coexistence on the Korean peninsula must be newly explained. In addition, a new agenda for inter-Korean cooperation must be imagined on the basis of the recognition of the “superior future identity as the Korean Peninsula” beyond the current cooperative dimension. Second,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emphasize the connection and vitalization of peace and coexistenc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recognition and practice of th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n the Korean Peninsula should be emphasized. Furthermore, the peace in the ordinary lives should be emphasized in relation to the problems of the North and South Korean residents’ lives, and it should be highlighted that the efforts to connect the peace in the ordinary lives build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peace and coexistence on the Korean Peninsula. Third,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emphasize the need for inter-Korean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revitalize the norm and regime for peace and coexistenc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meaning of the connection as a life-safety commun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must first be highlighted, and it must be recognized that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must go hand in hand with restructuring of th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to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dialogue and diplomacy,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role in establishing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at a structural level should be emphasized, and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public diplomacy for peace and coexistence and cooper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should be highlighted.

      • 한반도 평화체제 논의와 구축방향

        김동성(Dong Sung Kim),이상현,유재의,김종원,좌승희 경기연구원 2008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Vol.2008 No.12

        The peace and stability i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since the end of the Korean War. Not only the two parties of the peninsula, North and South Korea, but also the surrounding states such as the US, China, Japan, Russia all have the deep stakes in maintaining the peaceful environments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argue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eninsula Peace System and proposes stepwise strategies for its attainment. This study divides the road to the Korean Peninsula Peace System and the beyon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has the goal of institutionalizing problem solving and conflict resolu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introducing the framework for their peaceful coexistence. The second stage has the goal of constructing the positive peace between the two Koreas by resolving the fundamental causes of their conflict and setting up the nexus of co-prosperity and cooperation. The third and final stage opts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the ultimate way of realizing the true peace in the peninsula. This study suggests nine strategi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Korean Peninsula Peace System and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y are securement of the deterrent power, maintenance of power balance, formation of regimes, encouragement and promotion of North Korean democratization, deepening of economic interdependence, support of international society, guarantee of security, pursuit of integration, dismantlement of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program. These measures, combined together and applied timely, will be effective in bringing the peace into the Korean peninsula.

      • 6자회담과 한반도 평화구축 프로세스

        전경만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06 동아시아 : 비교와 전망 Vol.5 No.2

        9.19공동성명을 도출한 6자회담은,그 취약성에도 불구하고,미국과 북한이 상대방에 대해 자국 안보이익을 담보해줄 수 있는 다자 틀의 역할을 하므로 당장 필요하고 나아가 향후 동북아 안정을 위한 다자협력 모멘텀으로서도 필요하다.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양 문제는 9.19공동성명을 계기로 다자협상 의제로 부상하였다.이들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가에 따라 한반도 안정은 물론, 동북아에서의 다자협력 틀이 발족할 수 있는지가 시험될 것이다. 특히,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은 과거의 연계추진 경험을 살려 한반도 안보를 위해 6자회담 틀에서 연계해 치밀하게 추진하지 않을 수 없다.단계적 한반도 비핵화 추진은 북한의 핵폐기 선언과 NPT및 IAEA체제 복귀 등의 폐기착수,핵시설에 대한 전면 사찰 및 동결, 그리고 폐기 및 검증 등의 세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둘을 연계해 추진하는 방안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과정에 북핵 폐기 단계를 철저하게 결부시키는 것과 한반도 비핵화를 공동성명대로 우선적으로 추진해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이전 시기에 핵폐기를 완료하는것 등 두 가지가 상정된다.전자의 경우,미국이 핵전력의 수월성(supremacy)에 미사일 방어체제(MD)까지 구축해 북한 핵위협을 실질적으로 극복할 수 있어서 오히려 북한의 핵폐기보다 체제 자체의 변환을 시도할 것이다. 후자의 경우는 ‘선 비핵화, 후 평화협정 체결’에 해당되어 미국이 ‘협력적 위협감소’정책(cooperativethreatreduction:CTR)을 북한에도 적용하여 북한의 핵 폐기를 위시하여 장기적으로 각종 대량살상무기를 폐기하는데 재정적으로, 기술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프로세스의 성패 관건은 북한의 핵포기에 관한 세 단계 행동이 모두 평화협정 체결 이전 단계에서 종료되도록 하는 것이다. 평화협정 체결은 한반도 비핵화를 토대로 하는 문제이며, 북한의 대미․일 수교는 평화협정 체결의 전제조건이 되고, 또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필요조건으로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한반도 비핵화 이행이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제대로 기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6자회담 참가국들이 한반도 비핵화 이정표가 아니라 그 일정표를 완성시키겠다는 태도로 차기회의에 임하는 것이 가장 필요하며, 이에 따라 공동성명에서 이미 식별된 북한 핵 폐기에 요구되는 많은 이행과제들이 모호성과 불확실성에서 벗어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Six-party Talks that generated the Joint Statement of September 19, 2005 can work not only as a framework reciprocally assuring security interests of the US and North Korea in the near term but also as a multilateral cooperative momentum insuring the stability in Northeast Asia in the long run, in spite of its few weaknesses. Both the issues of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building of a peace regime in the Peninsula have been put down on the agenda for multilateral negotiations by the adoption of the Joint Statement. How these two issues will be resolved may affect both the stabil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start of a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ve mechanism in Northeast Asia. Primarily,these two issues need to proceed precisely in a mutually connected way based upon the past experiences in trying to solve them while integating the two an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six-party talks. A stepwise approach to the denuclearization can be framed of three phases like North Korea's declaration on its nuclear abandonment to be directly followed by its return to the NPT and IAEA,full—scaled inspections to the North Korean nuclear facilities and freezing them, and North Korea's dismantlement of the whole facilities including the nuclear materials and verifications of the dismantling. There are two approaches to linking denuclearization and building of a peace regime in the Korean peninsula for their solutions. One is connecting every step of the North Korean dismantling of its nuclear facilities with every process of the building of a peace regime, and the other is finishing the nuclear dismantlement prior to the building of a peace regime according to the Joint Statement. For the former, the US might move its policy weight regarding North Korea from nuclear dismantlement to regime transformation. It is because the US would believe that it can get over the threats from the North with confidence in both its global nuclear supremacy and its missile defense system. For the latter, that corresponds just to the case of 'achieving the denuclearization prior to the building of a peace regim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US might adopt a policy of cooperative threat reduction and provide financial and technological assistance to the North in its pursuit of abolishing all North Korean WMD programs including the nuclear facilities in the long run. Success of building a peace regime in the Korean pninsula may depend upon whether the three phases of implementing the denuclearization can terminate before a peace agreement in the Korean pninsula is reached. This is not only because a peace agreement should requie a denuclearized Korean pninsula, but also because normalization of North Korean relations with both the US and Japan need to be made for a peace agreement, and also because peace agreement is perceived as a prerequisite for building a peace regime in the Korean peninsula. In order that the denuclearization will sincerely make any contributions to a peace regim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participating states in the Six—party Talks need to have a firm attitude to willingly draw a timeline rather a roadmap far the North Korean denuclearization. Accordingly, ambiguities and uncertainties in the Joint Statement should be eliminated in implementing the dismantlement of North Korean nuclear facilities.

      • KCI등재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전제와 전략

        김강녕 한국통일전략학회 2018 통일전략 Vol.18 No.4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emise and strategy of establishing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5 chapters titled introduction; the formation,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armistice system; the discussion and necessity of establishing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premise and strategy of establishing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conclusion. The two Koreas have decided to actively promote the three-party talks of South Korea,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r the four-party talks of South Korea, Nor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 order to establish a permanent and secure peace regime through the April 27th Panmunjom Declaration. The premises for establishing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include ①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and ②eligibility as a party to Korea. The government of Moon Jae-in is pursuing strategies to promote peace and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①a step-by-step and comprehensive approach, ②the parallel advance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③securing sustainability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and ④building a foundation for peaceful reunification through reciprocal cooperation. In the future,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①creation of a unique model of a peace treaty on the Korean peninsula, ②presence of the USFK regardless of the dismantling of the UNC, ③stipulation of future-oriented peace, prosperity and unification efforts. There is a saying, ‘The future belongs to the man who prepares.’ We should seek harmonious coexistence of South-South cooperation, inter-Korean cooperation,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especially the US-ROK cooperation) for peaceful settlemen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unified Korea on the basis of self-help, cooperative and robust security. 본 논문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전제와 전략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정전체제의 형성·특징·한계,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논의와 필요성,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전제와 전략을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본 것이다. 남북은 4·27 판문점 선언을 통해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회담 개최를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하였다. 한반도 평화체제의 전제로는 ①북한의 비핵화, ②한국의 당사자로서의 적격성 등을 들 수 있다. 문재인 정부는 한반도 평화번영정책의 추진전략으로는 ①단계적·포괄적 접근, ②남북관계와 북핵문제의 병행진전, ③제도화를 통한 지속 가능성 확보, ④호혜적 협력을 통한 평화적 통일기반 조성 등을 추진하고 있다. 향후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전략추진 시 고려사항으로는 ①고유한 한반도 평화협정 모델 창출, ②유엔사 해체와 무관한 주한미군 주둔, ③미래지향적 평화·공영·통일노력의 명문화 등을 들 수 있다. ‘미래는 준비하는 자의 몫이다.’라는 말이 있다. 우리는 자주적·공조적 튼튼한 안보적 바탕 위에서 한반도의 평화정착과 통일한국을 위해 남남화합, 남북공조, 국제공조(특히 한미공조)를 조화롭게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한국의 전략방향과 과제

        김강녕 한국통일전략학회 2019 통일전략 Vol.19 No.3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strategic directions and tasks of Korea for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5 chapters titled introduction; the concept of peace and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related discussions and constraints on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strategic directions and priorities for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conclusion. The Korean Peninsula has maintained unstable peace since the Korean War armistice, and after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the two Koreas and the U.S.-North Korea summit reached an agreement on efforts to establish a stable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Strategic direc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include ①the s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problem led by Korea and shared by the people, ②the establishment of a gradual and phased peace regime, ③the maintenance of strong security and inter-Korean arms control, ④the development of inter- Korean relations based on the enhancement of mutual respect and exchange cooperation, and ⑤the promotion of coopera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development into international regime. Also, military priorities include ①peaceful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complete denuclearization, ②reduction of military tension and the settlement of peace, and ③peaceful utilization of the DMZ. What is important in the future is the implementation of agreements related to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To this end, Korea's detailed security, diplomacy, and unification strategies and short-term, medium-term and long-term countermeasures are required. 본 논문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한국의 전략방향과 과제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평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의미,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관련논의와 제약요인, 한국의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전략방향과 우선과제를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 본 것이다. 한반도는 6·25전쟁 정전이후 정전체제는 불안정한 평화를 유지해왔고 2018 평창동계올림픽이후 남북미 정상회담 등을 통해 한반도 안정적 평화체제 구축노력을 위한 합의가 이루어진 바 있다.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관련논의가 결실을 거두기 위한 전략방향으로는 ①한국주도·국민공감의 한반도 문제해결, ②점진적·단계적 평화체제 구축, ③강한 안보와 남북한 군비통제를 통한 평화유지, ④상호존중·교류협력 증진에 기초한 남북관계발전, ⑤국제사회의 협력유도와 국제레짐으로의 발전을 들 수 있고, 군사적 우선과제로는 ①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완전한 비핵화, ②군사적 긴장완화와 평화정착, ③비무장지대의 평화지대화를 들 수 있다. 향후 중요한 것은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관련된 합의내용의 이행이다. 이를 위한 우리정부의 치밀한 안보·외교·통일전략과 단·중·장기적 대비책이 요구된다.

      • 문재인 정부 비무장지대 정책의 성과와 과제

        김효은 ( Kim Hyeo-en ) 한국접경지역통일학회 2021 접경지역통일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문재인 정부 들어 한반도 항구적 평화정착을 위해 더욱 중요시된 비무장지대의 의미와 정책 변화를 살펴보고 향후 한반도 평화정착의 함의를 얻고자 한다. 2017년 5월 북한의 핵무력 강화로 인한 군사적 긴장이 첨예할 때 출범한 문재인 정부의 최우선 과제는 한반도 평화정착이었다. 비무장지대의 평화는 평화공존과 공동번영이 핵심인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추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문재인 정부 비무장지대 정책은 DMZ를 특정 개념으로 규정하는 공간적 요소보다 정치·군사, 경제, 생태·환경 등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지는 평화와 번영의 공간으로 확장했다. 4.27 판문점선언과 9.19 평양공동선언은 비무장지대를 평화지대로 만드는 실질적 조치들을 이뤄냈다. 남북이 적대행위를 중지할 것을 합의하였고, 비무장지대 내 GP 철수와 JSA 비무장화, 공동 유해발굴과 한강하구 수로 조사 등의 성과를 냈다. 남북은 과거의 선언적 합의에서 실천적 결과를 도출해 낸 것이다. 또한 비무장지대 정책은 한반도 신경제지도의 핵심인 평화경제와 새로운 100년의 평화체제인 신한반도 체제의 틀 속에서 펼쳐진다.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국제사회의 협력과 지지를 강조한 문재인 정부는 비무장지대 또한 국제평화지대로 조성하여 평화와 경제번영을 함께 이룰 것을 제안하였다. 비무장지대에 평화의 길을 만들어 일반 국민들이 다닐 수 있게 함으로써 남북의 분단보다 연결을 지향했다. 남북이 생명공동체라는 인식은 한반도는 물론 접경지역에서의 협력을 요구한다. 비무장지대 정책은 비무장지대를 넘어선 접경지역의 안전과 경제발전, 국민 공감대 확산 정책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여전히 한반도는 전쟁 중이다. 종전선언을 통해 평화의 기반 위에 남북교류협력을 통해 경제적 번영을 공유하고 이것이 다시 평화를 공고히 하여 동북아는 물론 세계의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and policy changes of the Demilitarized Zone (DMZ), which have become more important for the permanent peace settl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peace settl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future. The top priority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which was launched in May 2017 when military tensions stemming from North Korea’s strengthening of nuclear power, were to establish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Peace in the DMZ is very important for promoting a peace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where peace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are the key. The Moon Jae-In government’s DMZ policy has expanded into a space of peace and prosperity where politics, military, economy, ecology, and environment are combined rather than spatial elements defining the DMZ as a specific concept. According to the 4.27 Panmunjom Declaration and the 9.19 Pyongyang Joint Declaration, practical measures have been taken to make the DMZ a peaceful zone. The two Koreas agreed to stop hostile acts, and achieved results such as withdrawal of GPs in the DMZ, demilitarization of JSA, joint excavation of remains, and investigation into the Han River Estuary waterway. It derived practical results from declarative agreements in the past. In addition, the policy of the DMZ takes place within the framework of the peace economy, the core of the New Economic Map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new 100-year peace regime on the New Korean Peninsula. The Moon Jae-In government, which emphasized cooperation and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establish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proposed that the DMZ be created as an international peace zone to achieve peace and economic prosperity together. By creating a path of peace in the DMZ so that the general public can travel, it aimed for connection rather than divis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 perception that the two Koreas are a life community requires cooperation not only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in the border region. The policy of the DMZ should be expanded to the policy of safety,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spread of public consensus in the border region beyond the DMZ. The Korean Peninsula is still at war in principle. Through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war, economic prosperity should be shared through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on the basis of peace, and this strengthens peace again so that it contributes to peace and prosperity in Northeast Asia as well as the world.

      • KCI등재

        한반도 평화정착과 4.27 판문점 선언

        김창희(Kim, Chang Hee)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8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40 No.1

        남북관계는 국가 대 국가가 아닌 특수관계로 설정하고 있지만, 국가 간의 관계를 전제로 한 국제관계이론의 영역에서 다루어야 한다. 국제 관계에서 신뢰는 안정적인 평화와 협력으로 특징지워지는 것으로 갈등을 풀거나 관계전환의 노력에서 필수적이다. 켈먼(Kelman)은 신뢰는 모든 관계에서 평화와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중심적인 요구라 하면서, 국가 간에 어느 정도의 신뢰 없이 평화과정으로 진입할 수 없고 평화과정으로 진입 없이 신뢰를 구축할 수 없다고 하였다. 남북관계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한반도 평화정착이다. 평화가 유지되기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것이 협력이고, 여기에 필수적인 것이 신뢰이다. 적대관계 속에서는 국가이익을 창출할 수 없으므로, 협력을 통해 위협으로부터 조금 더 자유로운 안보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독일의 베를린에서 내놓은 ‘신 베를린 선언’은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정책에 기인한 것이었다.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은 ‘전쟁억지력’ 이라는 명분으로 핵무력 강화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였다. 그러나 북한의 평창동계올림픽 참가를 계기로 남북간에 특사가 교환되고, 남북정상회담 개최에 합의하였다. 2018년 4월 27일 남북정상회담이 ‘평화의 집’에서 열려,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문>을 도출해 냈다. 구체적인 내용은 ① 남북관계의 전면적이고 획기적인 개선, ② 군사적 긴장상태 완화와 전쟁위협 해소, ③ 항구적인 평화체제 구축이다. 이를 위해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을 추진하자는 것이다. 남북 정상회담은 북미정상회담의 추동력이 되었고 그 핵심은 신뢰구축이었다. 한반도 평화정착은 우리에게 중요한 가치라는 것은 누구도 부인 할 수 없는 사실이다.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국제적인 공조가 필요하고, 남북간에는 협력과 신뢰구축으로 평화를 정착시켜야 할 것이다. Although inter-Korean relations are set up as special relations that are not state-to-state, they should be dealt with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which presupposes relations between stat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trust is characterized by stable peace and cooperation, which is essential in resolving conflicts and in the efforts to transform relations. Herbert C. Kelman believes that trust is a central demand for the peaceful and effective management in all relationships, and that it can not enter the peace process without some trust between nations and can not build trust without entering the peace process. What is most important in inter-Korean relations is peace settl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Cooperation is prerequisite for peace, which inevitably requires trust. Because it can not create national interests in hostile relations, it will create a more free security environment from threats by cooperation. The New Berlin Declaration presented by President Mun Jae-in of Germany in Berlin was due to the policy of peace and prosperity of the Korean peninsula .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concentrated all his efforts on strengthening the nuclear armed forces as a deterrent force . However, with the participation of North Korea in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special envoys were exchanged between the two Koreas and agreed to host the summit. On April 27, 2018, the South-North summit was held at the ‘Peace House’, which led to <the Panmunjeom Declaration for Peace, Prosperity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Specific details include ① comprehensive and groundbreaking advancement in inter-Korean relations, ② relaxation of military tensions and threats to war ③ establishing a robust peace regime. To do this, we will push forward the declaration of war and the peace treaty. The inter-Korean summit was the driving force of the North American summit, and its core was trust building. No one can deny tha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s an important value to us.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is needed, and peace should be settled by cooperation and building trust between inter-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