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플라톤의 모방예술론(模倣藝術論)에 대한 일고(一考)

        손청문 유럽문화예술학회 2010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 No.1

        1n Republic 2,3 and 10 and many other dialogues, clear conception is not defined about Plato’s theory on imitation 따ts; whether it is the possibility of ’imitation of real existence itself' or simple ’imitation of extemals’ Generally speaking, in his frame, the status of imitation has a passive tendency in a great measure independence and alienation on real existence. 1n addition, the disfunction of imitation arts is sometimes emphasized, because it is more harmful than any other spheres at the point of political, social, and educational view. But, this thesis doesn’t make a conclusion negatively, related with developing the conception of imitation, lack of consistency, but takes notice of stratum structure of real existence, that is, existence theoretical structure which urges to transfer to the stage related with real existence from image or imitation. nobody can pass over that, though unclear and suggestive, image or imitation has a meaning as a negative, but essential process for the access to real eX1stence. The metaphysical examination, centering on the relationship with imitation and its prototype, real existence, presents clearly existence theoretical background and ideological view of arts that Plato considered that the aim of arts is concrete presentation on absolute real existence. 1n addition, the core of the analysis implicates real existence foundation on image. His theory of imitation arts can be defined as the metaphysics, and it is closely related with the frame, stratum of existence that is, stratum structure of existence intemally. The questions, "how many prototypes appear in copy and imitation? How beauty appears from beautiful things?" suggest Plato’s general philosophy such as existence and generation, respective things and Eidos, image and substance, the one and the many, and usual affairs under the frame of stratum structure of existence So, basic understanding on imitation aπS 1S understanding on the ways how existing conditions are related with and communicate with real existence. Plato expects the transformation into imitation skills of describing image faithfully and ideological imitation skills on the basis of proper relationship of dependence with real existence, recovering phantasm or monotonous realistic imitation skills by artists as concrete ways to caπY out ascending transformation to real existence. He accepts imitation skills creating image of real existence as a trustworthy and beautiful imitation by pursuing and looking after order and beauty of symmetry, where artistic works appear from the models. Considering the facts, this thesis views that interpretation of Plato’s imitation as a low class copy of simple appearance is an distortion of his true arts. He lays an emphasis of weakness of aπs and limitation of imitation image, but thought that the ideology of true artist is to recognize lack of copy, but to understand the substance of aesthetic objects at the back of existing condition.

      • KCI등재

        호모 리플리쿠스(Homo replicus)

        장대익(Dayk Jang) 한국인지과학회 2012 인지과학 Vol.23 No.4

        우리는 모방하는 동물이다. ‘참된 모방(true imitation)’은 한 행위가 행해진 것을 보는 것으로부터 그 행위를 하는 법을 새롭게 배우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타 개체의 기술과 지식을 모방함으로써 다른 동물의 세계에서 찾아보기 힘든 문화와 문명을 이룩할 수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모방 능력이 어떻게 진화하고 발달하는지를 묻는 것은 중요하다. 또한 인간이 아닌 다른 동물들이 참된 모방을 할 수 있는지, 그리고 모방 학습 측면에서 인간과 동물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는 작업도 매우 흥미로운 과제이다. 이 논문에서 나는 우선, 인간과 다른 동물들의 모방 능력에 대한 경험적 연구들을 검토해볼 것이다. 이런 비교 연구를 통해 동물과 인간의 모방 능력의 차이에 주목할 것이며, 그들에게서 보이는 복제 충실도의 차이가 왜 발생하는지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그런 다음에 모방의 신경생물학적 메커니즘에 대한 최신 연구들을 검토할 것이다. 하전두회(inferior Frontal Gyrus, IFG)와 하두정엽(inferior Parietal Lobule, IPL)으로 구성된 인간의 거울 뉴런계(mirror neuron system)가 이 대목에서 가장 중요하게 등장한다. 거울 뉴런계는 타 개체의 행동을 이해하고 공감하고 따라하는 데에 필수적인 신경세포 다발이다. 나는 거울 뉴런계의 기능과 진화에 대한 최신 연구들을 소개할 것이다. 인간의 모방을 가능하게 하는 신경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처음에 거울 뉴런계와 후부상측두이랑(posterior Superior Temporal Sulcus, pSTS)로 구성된 ‘핵심 모방 회로’에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더 최신의 연구들은 핵심 모방 회로 밖에서도 모방의 신경 메커니즘이 작동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마지막으로 나는 이러한 모방의 심리학과 생물학이 문화 진화에 어떤 함의를 지니는지를 탐구한다. 구체적으로 나는 밈과 거울뉴런계의 관계를 탐구한 최신 연구를 통해 문화 진화에 대한 밈학적 접근을 시도할 것이다. We are imitating animals. True imitation can be defined as a learning to do an act from seeing it done by others. We have been building culture by imitating others’ skills and knowledge with high fidelity. In this regard, it is important to ask how the faculty of imitation has evolved and how imitation behaviors develop ontogenetically. It is also interesting to see whether nonhuman animals can imitate truly or not and how different imitation learning is among human and non-human animals. In this paper, first I review empirical data from imitation studies with human and nonhuman animals. Comparing different species, I highlight their different levels of copying fidelity and explain the reason why they are showing the difference. Then I review recent studies on neurobi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imitation. The initial neurobiological studies on imitation in humans suggested a core imitation circuitry composed of mirror neuron system [inferior parietal lobule(IPL) and inferior frontal gyrus(IFG)] and the posterior part of the superior temporal sulcus(pSTS). More recent studies on the neurobiology of imitation, however, has gone beyond the studies on the core mechanisms. Finally, I try to find out implications of psychology and biology of imitation for cultural evolution. I argue for a memetic approach to cultural evolution, along the lines with a recent study on measuring memes by mirror neurons system.

      • KCI등재후보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의 모방능력에 대한 연구문헌 분석

        이은주,김영태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9 특수교육 Vol.8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ynthesize the trends of research regarding imitation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y analyzing the articles from 1997 to 2009 in international foreign journals. Twenty-two studies met the strict criteria for this review.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selecting twenty-two experimental studies throughout 1997 to July 2009 and by analyzing their participants, research methods, dependent variables, results, and experimental trends. The results explained that children with ASD were significantly more impaired in overall imitation abilities than children without ASD in all of the other groups, especially in motor function imitation. However, the imitation type varies across areas. It is describe that experiments on motor imitation require motor learning, elicited imitation, cognitive imitation that doesn’t required motor learning, and vocal imitation. Those imitation types of children with ASD had different defects. Reciprocal Imitation Training(RIT), a naturalistic imitation intervention, has been shown to increase objects imitation skills in young children with ASD. In conclusion,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are provided.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아동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모방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1997년부터 2009년 7월까지의 국외주요 저널에서 이루어진 실험연구 22편을 선정하여 연구 참여자, 연구방법, 독립변인 및 연구결과 및 연구 실태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논문 분석 결과 ASD 아동은 언어능력을 매치한 정상발달 및 발달지체 아동들과 비교하여 특히 운동 모방능력에 손상을 보였다. 하지만 모방능력은 운동모방 이외의 음성모방, 인지모방, 유도모방 등 그 유형이 다양한데 이러한 모방유형은 ASD 아동에게서 운동모방과는 다른 결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모방결함에 대하여 자연주의적 중재(Naturalistic intervention) 방법인 상호적 모방 훈련(RIT: Reciprocal Imitation Training)을 적용한 모방중재법이 이용되고 있고 이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분석 내용들을 토대로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들의 모방결함연구들에 대한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현장에서의 적용의 문제를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

        网络语言中模仿现象的模因论特征研究

        김정훈 대한중국학회 2023 중국학 Vol.83 No.-

        This article studies the process of imit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imi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emetics. Firstly, imitation is a linguistic phenomenon that imitates and modifies existing language forms based on the speaker's purpose to generate novel expressions. Dawkins and Blackmore define memetics as evolutionary replicons, which replicate information from one person to another through imitation. Imitation is a linguistic phenomenon that arises and spreads through imitation; At the same time, it satisfies three necessary conditions for becoming a replicon: mutation, selection, and inheritance. Therefore, imitation can be seen as a meme, establishing an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wo concepts, paving the way for further research. Secondly, based on Heylighen's meme lifecycle, we believe that under the influence of language memes, the generation process of network language imitation has gone through four stages: assimilation of imitation sources, preservation of imitation sources, expression and production of imitation. Transfer imitation to other hosts through the internet. In the expression stage of imitation, information intention and communicative intention are the motivations for imitation expression; The similarity between imitation and source is the mechanism of imitation expression. Then the author analyzed some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imitation based on meme selection criteria, namely novelty, coherence, practicality, and humor.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imitation is widely spread online. This paper provides a new perspective for imitation research; This helps to better understand and appreciate imitation in online language, and also contributes to further research on imitation and online language.

      • KCI등재

        빌립보서에 나타난 본받음의 윤리

        현경식(Hyun, Kyung-Sik) 한국신약학회 2015 신약논단 Vol.22 No.3

        이 논문은 빌립보서에 나타난 본받음의 윤리에 대한 배경과 본받음의 윤리에 내포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연구한 것이다. 먼저 이 논문은 본받음의 윤리가 헬라 철학적 배경을 갖고 있음을 밝히려고 한다. 모방의 철학으로 불리는 본받음은 헬라 철학의 이론적 기본이 되는 인식론적 우주론에서 출발하여 건축, 연극, 예술 등 연설을 연구하는 수사학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의 삶 속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었다. 본받음의 윤리가 헬라철학에서의 단어 사용과 구조에 있어서 일치한다 할지라도 그 내용은 전혀 다르다. 빌립보서에 나타난 본받음의 윤리는 본받음의 원형을 예수 그리스도로 바꾼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적 윤리가 된 것이다. 신약 성서 전체가 그렇듯이 빌립보서에서도 본받음의 윤리는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신학화의 작업이 이루어진 윤리 체계를 갖고 있다. 이 논문은 바울이 사용한 쉼미메테스(symmimetes)와 쉼모르포스(symmorphos)의 두 용어를 통해서 신학화 된 윤리의 내용을 밝히려고 한다. 헬라 수사학에서 모방 훈련을 위해서 쉼모르포스를 사용하지 않고 주로 미메시스(mimesis) 혹은 미메테스(mimetes)를 사용한다. 그러나 바울은 쉼모르포스를 통하여 본받음의 원형인 그리스도를 모방한다. 그 이유는 빌 2:6-11에 고백되는 그리스도의 존재론적 형체(morphe)를 본받기 위함이다. 이 구절을 통해서 제시되는 그리스도의 성품은 자기-비움, 자기-낮춤, 자기-희생의 성품이다. 그리고 바울은 3:4-14에서 자신의 자서전적인 고백을 통해서 “나”라는 인물이 그리스도의 형체적 성품을 그대로 본받고 있음을 증거하고 있다. 그리고 미메테스 용어를 사용하여 나를 본받는 것이 곧 그리스도를 본받는 것임을 강조한다(3:17). 더 나아가 본받음의 윤리는 부정과 갈등 아래있는 믿음의 공동체 안에서 교인들의 잘못된 성품을 초월하게 만들며 동시에 그리스도 안에서 연합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1:27-2:2). 이러한 윤리의 수사학적 기능은 본받음의 윤리가 동일화의 효과를 가져 온다. 바울은 이중적 동일화, 즉 그리스도가 윤리의 원형적 본이 되고 자신도 본이 되는 이중적 동일화를 요구한다. 본받음의 윤리의 최종적 목표는 그리스도인들의 종말론적 소망인 부활에 참여하여 영원한 생명을 얻는 데에 있다(3:11,21). 이런 점에서 본받음의 윤리는 목적론적 윤리라고 할 수 있으며 이 윤리는 오늘을 사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세상 철학이 제시하는 윤리적 원형이 아닌 그리스도를 본받음의 원형으로 사는 삶의 윤리적 기준이 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thics of imitation in Philippians through the study of its background and concrete contents. In Hellenism the philosophy of imitation was deeply embedded into the lives of people in areas of architecture, painting, play, rhetoric, etc. The epistemological cosmology which was the foundation of Hellenistic philosophy had provided the foundation of imitation philosophy. Especially Gymnasmata students exercised the imitation through speech in character (prosopopoeia). Under the influence of Hellenism it is said that the Hellenistic imitation ethics is the same as that of Philippians in using words and terminologies. But the contents are so different that we may find out the Christ centered ethics which was theologised by Paul. The crucial and primary type of imitation ethics in Philippians is in the character of Jesus Christ in Phil 2:6-11. Paul uses symmorphos and symmimetes to suggest the contents of imitation ethics. First he proposes the character of Christ in 2:6-11 as the prototype of imitation: self-emptiness, self-coming down and self-sacrifice. The term, symmorphos is used to imitate Christ especially in 3:10. This is related to the ontological form (morphe) of Christ. In 3:4-14 Paul witnesses that he imitated the character of Christ and exhorted the believers to imitate him using the term, symmimetes (3:17). Paul’s imitation ethics rhetorically has the function of double identification. That is, Christ is not only the type of imitation ethics but also Paul is. This identification asks the believers and church to have transcendence to empty themselves beyond the conflict and division. What is important for the ethics of imitation is that the ethics should have the purpose of salvation and eternal life. The result of the adversaries of Paul who were Judaizers are destruction and punishment (3:19) but that of the imitators of Christ and Paul will participate in resurrection and have eternal life (3:11. 21). The ethics of imitation, in this sense, is the teleological ethics. Today, we Christians are asked to have the character of Christ as the prototype of imitation, not worldly psychology, management, materialism, secular heros, etc.

      • KCI등재

        설화 <쥐좆도 모른다>와 영화 <마제스틱>의 서사를 통해 본 가짜에게 영향을 미치는 진짜

        강미정 ( Kang Mi-jeo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문학치료연구 Vol.32 No.-

        이 글의 목적은 가짜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진짜의 잠재력의 문제를 풀어가는 데 있었다. 그를 위하여 이 글에서는 <쥐좆도 모른다>와 <마제스틱>을 주요 논의 자료로 삼았다. <쥐좆도 모른다>는 진짜의 자리를 훔친 가짜의 이야기로 이해할 수 있으면서도 진짜의 자리로 들어가고 싶었던 가짜의 소망을 담은 이야기이기도 하다. 동시에 <쥐좆도 모른다>는 진짜의 영향력을 받은 가짜의 모습이 어렴풋하게 담아낸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런데 <쥐좆도 모른다>에서는 가짜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진짜의 잠재력이 미미하게 그려지고 있다. 그에 따라 <쥐좆도 모른다>와 유사한 내용을 가진 작품을 비교하고, 그 작품에서 가짜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진짜의 모습이 뚜렷하게 그려진다면 이야기는 달라질 것이다. 그래서 이 글은 <쥐좆도 모른다>와 <마제스틱>을 비교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풀어가고자 하였다. 그에 따라 두 편의 작품의 공통 취지와 영화에서 더 확장된 부분을 살펴 보았다. 간단히 말하자면 <쥐좆도 모른다>에서 수백 년 묵은 쥐는 인간으로 모습을 바꾸면서 진짜 인간이 되기를 소망하였고, <마제스틱>에서 속물 작가는 애국 청년의 자리로 옮겨졌다가 돌아오면서 정의로운 작가로 바뀐다. 그런 점에서 두 작품 속의 진짜들은 가짜들이 닮고 싶은 인생살이의 주인공들이었으며, 그렇기에 가짜의 서사들을 변화시키는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존재들이 되는 것이다. 특히 <마제스틱>에서의 가짜가 진짜의 못다 이룬 꿈을 실현시키면서 진짜의 영향으로 달라질 수 있는 이상적 지점까지 보여 준다. 사실 우리들은 누군가에게 닮고 싶은 진짜이고, 또 누군가를 닮고 싶어하는 가짜이기도 하다. 그리고 <마제스틱>이 갖는 특별함 중의 하나는 <쥐좆도 모른다>에서 어렴풋했던 진짜의 영향력을 확실하게 보여준 데 있다. 나아가 가짜와 진짜 간에 작용하는 긍정적 힘의 결과가 얼마나 위대해 질 수 있는지도 전망케 한다. 그런 점에서 두 작품을 함께 연결해보면서 가짜를 이끌어가는 진짜의 장점을 발견하고 생육할 수 있는 경험이 가능하리라 본다. 또한 그 과정에서 서사의 변환이 가능한 문학치료학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olve the problem of real potential power which can exercise influence over Imitation. In this article, I suggest the tale < Gyjotdo morenta > and the movie < The Majestic > as main discussion materials. But, In the tale < Gyjotdo morenta >, real potential power which can exercise influence over Imitation is to be expressed in insignificant way. Thus, comparing the tale < Gyjotdo morenta > with the work which have similar content with this, and if the reflection of the original which can exercise influence over Imitation appears clearly in the work, the story of discussion will be different. So I suggest to solve a problem drawing a comparison between the tale < Gyjotdo morenta > and the movie < The Majestic >. Under the purpose, I search the common object these two works and an expanded domain in the movie. In short, the mouse which live over a few centuries hopes to be a real human transforming a human figure in the tale < Gyjotdo morenta >, materialistic author change righteously through the position of patriotic young man in the movie < The Majestic >. In that sense, the original thing in these two works is roll model to the imitation, and is to be important existence which changed the epics of imitation. Especially, the movie < The Majestic > shows us ideal point that imitation could be changed by the influence of original thing accomplishing the dream of original. In fact, we are the original as role models to someone and the imitation wanting to be someone at th same time. And the one of the special point in the movie < The Majestic > should be is the influence of original thing which have a double meaning in the tale < Gyjotdo morenta >. Furthermore, I suggest how the result of positive power working between original thing and imitation can be achieved greatness. In that point, linking these two works, it is possible to find the advantage of original thing-lead imitation- and to hav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original thing. In that process, I expect Literary Therapeutic Effects which can be changed by the epic.

      • KCI등재

        동성애와 AI의 모티프로서의 앨런 튜링의 이미테이션 게임

        전대경 한국개혁신학회 2019 한국개혁신학 Vol.61 No.-

        In the engagement of the somewhat anomalous diction and theme of “homosexual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 would not be a better person than Alan Mathison Turing(1912-1954). While he is remembered as “the genius mathematician who ended the World War II” to lay people, he is commemorated as “the father of AI” or “the inventor of computer” to engineers and technologists. Behind the curtain of these three nick names, an underplot is laid that “just because of his being gay, the unlucky genius had to accept the tragic death in spite of his heroic life.” In other words, although Turing is a great person who could be compared to only a few such as Einstein and Newton who changed the trajectory of the world, only due to his being gay, he had been persecuted by the British government. And that closed his life earlier, and the world is not commemorating his legacy as much as he deserves. However, despite his life and death, and his legacy and love for homosexuality and machine, it is not found yet that interprets him with consistency by concatenating his homosexuality and Turing machine including his life and death. Thus, it is not exaggerating that the interwoven theme of his homosexuality with his invention of the Enigma interpreter, Bombe, and his death has never been thoroughly dealt by any one so far. Therefore, this article shows that homosexuality and machine can 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Turing, and this also has relevant clue to his death. By doing so, it is indicated that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homosexuality and machine(or computer), which initiated from the beginning of AI shall be unavoidable even in the forthcoming future. To do this, the imitation game throughout Turing’s homosexual life is firstly dealt. And then, it is observed that Turing’s homosexuality and his lover’s death motivated him to inscribe his vision both by “inventing a machine which has artificial consciousness,” and by suggesting imitation game as the principle theory for it. And after that, it is shown that his death is on an extension of his imitation game. Lastly, it is shown that reformed imitation game can be only achieved by imitating the image of Christ. In breaking off the engagement, it is argued that imitation is totally different with mere “behavior replication” or “mimicry” and is only feasible when there is a close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behavior agent and the imitator. It is why AI as an invention is not to be used for human pleasure or self-satisfaction but to be used according as its nature of creation which is to glorify God the creator. By doing so, this research argues that homosexuality and AI are in close unavoidable relationship and Alan Turing’s imitation game is the motif of both. ‘동성애와 AI’라는 다소 생경한 표현과 주제에 접근함에 있어서 앨런 튜링(Alan Mathison Turing, 1912-1954)보다 더 좋은 인물은 없을 것이다. 튜링은 일반인들에게는 ‘2차 세계대전을 종식시킨 천재 수학자’로 기억되는 반면, 공학인들과 기술전문가들에게는 ‘인공지능의 아버지’ 또는 ‘컴퓨터의 창시자’라고도 불린다. 튜링이 가지고 있는 세 종류의 별명 뒤에는 모두, ‘그의 영웅적 삶에도 불구하고 단지 동성애자라는 이유만으로 비극을 맞게 된 비운의 천재’라는 복선이 깔려 있다. 다시 말해서, 세상을 바꾼 아인슈타인이나 뉴턴 정도로 엄청난 사람이었지만, 동성애 하나 때문에 (그리고 그로인한 불합당한 영국 정부의 탄압 때문에) 일찍 생을 마감했으며, 세상도 그의 업적에 합당한 기념을 하고 있지 않다는 말이다. 하지만 그의 삶과 죽음에 있어서, 동성애적 성향과 기계에 대한 애착과 업적이 매우 두드러짐에도 불구하고, 그의 동성애 성향과 튜링 머신 그리고 그의 죽음을 연관시켜 일관된 관점으로 해석하는 연구는 아직 찾아보지 못했다. 즉, 튜링의 동성애적 성향과 맞엮여(interwoven) 있는 그의 에니그마(Enigma) 해독기(봄브, Bombe) 제작, 그리고 그의 죽음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한 번도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본 소고는 튜링에게 있어서 기계와 동성애가 서로 뗄 수 없는 관계였으며, 이것이 그의 죽음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는 것을 보이고자 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 시작 단계부터 깊은 관련이 있었던 기계(컴퓨터)와 동성애는 다가올 미래에도 반드시 결부될 수밖에 없는 사회적 종교적 문제임을 지적할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튜링의 동성애자로서의 삶을 통한 이미테이션 게임을 다룬다. 그런 다음, 이러한 튜링의 동성애적 성향과 그의 연인의 죽음이 동기부여가 되어 ‘자의식이 있는 기계 개발’에 자신의 비전을 투사(inscribing)하게 하였으며 그 핵심이론으로 이미테이션 게임을 그가 제시했음을 밝힌다. 그런 다음, 튜링의 죽음 또한 그의 이미테이션 게임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개혁주의 이미테이션 게임은 그리스도의 형상을 모방함을 통해서만 이루어짐을 보인다. 글을 마무리 하며, 모방이라는 것은 단순한 행위적 복제나 의태와는 다르며, 모방의 원형과 모방자가 밀접한 인격적 관계가 있을 때에만 가능하기 때문에, 창조물인 AI는 인간의 쾌락이나 자기만족을 위해서가 아닌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 사용되어야 하는 창조 질서의 본래 목적대로 쓰임 받아야 함을 주장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동성애와 인공지능을 다루면서, 이 둘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 둘의 모티프가 바로 앨런 튜링 이미테이션 게임이라는 것을 주장한다.

      • KCI등재

        에라스무스의 『키케로주의자』에 나타난 “모방”의 의미

        박영희 ( Young Hee Park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4

        본 연구에서는 16세기에 출판된 에라스무스의 『키케로주의자』에 나타난 모방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르네상스시기에 모방은 수사학과 웅변을 공부하는 방법으로서 이견 없이 받아들여졌는데, 모방에 관한 구체적 내용과 방법에 관해서는 다양한 논의가 있었다. 그리하여 『키케로주의자』에서는 모방에 관해 다양한 비유(발자국, 벌, 암양, 아버지-자녀, 원숭이)가 등장하며, 모방을 하는 목적에 대해서도 ‘변형을 위한 모방’, ‘은폐를 위한 모방’, ‘경쟁을 위한 모방’ 등이 나타난다. 이 중에서 에라스무스가 모방에 관해 취한 관점은 최고의 다양한 모델을 골라 선택하는 ‘절충주의’와, 모방은 궁극적으로 모델과 경쟁을 하기 위한 것이라는 ‘경쟁주의’와, 마지막으로 모든 모방은 시대적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는 ‘역사적 데코룸’의 기준이었다. 이 중에서 르네상스 학습이론에 에라스무스가 기여한 바가 있다면 ‘경쟁’을 위한 모방의 강조와 그의 ‘역사적 데코룸’ 논의이다. 이것은 모든 모방은 경쟁을 위해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언어의 형식과 내용 면에서 16세기 당시에 적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기준에 따라 에라스무스는 노예적 모방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형식에 치우쳐 내용면에서 공허한 사장 경향을 부추기는 키케 로주의자들을 ``공허한 형식주의자’라고 비판했다. 결론적으로, 르네상스기에 모방은 그렇게 단순하거나 기피해야 할 공부 방법이기는커녕, 수사학을 공부하는 다소 복잡하면서도 훌륭한 공부 방법이었다. 특별히 모델을 뛰어넘는 ‘경쟁’의 목적을 가지고, 또 ‘시대’에 적합하게 모델의 내용과 형식을 적용할 수 있을 정도로 치밀하게 공부할 때 그것은 가장 바람직한 웅변가가 될 수 있는 최적의 공부 방법이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of imitation in Erasmus` Ciceronianus. In Renaissance imitation was taken as a method of studying the rhetoric or the eloquence for granted. But there were indeed various views about how to imitate and what to imitate in detail. Therefore, in Ciceronianus, we can see various metaphors such as footsteps, filial image, digestive, apian and simian metaphors. Also it shows ``transformative imitation``, ``dissimulative imitation`` and ``eristic imitation`` in terms of the aim of imitation. But we can summarize Erasmian theory of imitation in three points: Eclecticism: choose the various best ones among many good models. Emulation: imitate your models in order to surpass them. Historical decorum: make your texts appropriate with your time. Among these, the concept of ``the historical decorum`` has played a pivotal role on the criticism of the Ciceronians in 16th century. According to Erasmus, the Ciceronians made great mistakes of debasing content and exalting form, thus abusing the eloquence with empty formalism. In conclusion, in Renaissance the imitation as a method of study was not so simple nor bad a concept but quite complex and great one for studying the rhetoric especially when you imitated your models in order to surpass them and when you imitated your models in order to accommodate your ages. But, for Erasmus, the Ciceronians were the ones who imitated their models in order to follow like a slave of Cicero and ignored the historical propriety.

      • KCI등재

        플라톤의 예술론에 나타난 "모방"의 교육적 함의

        홍윤경 ( Yun Kyung Ho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4 교육철학연구 Vol.36 No.3

        본 논문의 목적은 플라톤의 예술론에 나타난 모방의 개념을 명확히 규명하고 그것이 교육이론에 주는 시사점을 밝히는 것에 있다. 플라톤은『국가론』제 3권에서 모방을 가리켜 훌륭한 성격을 제 2의 본성으로 삼도록 만드는 교육의 핵심원리라고 찬양하지만, 제 10권에서는 그것이 이성의 원리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비난한다. 이러한 모순은 각각의 경우 모방의 ‘대상’이 무엇인가에 주목할 때 해소될 수 있다. 플라톤이 비판하는 것은 경험적 차원에 속하는 감각과 의견의 대상을 모방하는 것이며 이것이 우리에게 익숙한 통념상의 모방의 개념이다. 이에 반해 플라톤이 교육의 원리로 중시하는 모방의 대상은 지혜, 절제 등 감각과 의견을 통해 파악할 수 없는 초경험적 성격을 가진다. 콜린슨에 의하면 ‘심미적 비평’은 예술작품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심미적 몰입’은 예술가의 탐색의 과정을 유사한 방식으로 따라가는 것을 의미한다. 심미적 몰입은 지식과 기술에 의거하지 않고서도 예술가와 감상자가 공유하는 상상력의 신비를 드러낸다. 콜린슨의 이 구분에 비추어 볼 때, 플라톤의 모방의 초경험적 차원은 심미적 몰입이 나타내는 신비를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때의 신비는 단순한 비합리가 아니라 예술가가 창조한 ‘이미지’에 상응하는 최상의 보편적 가치, 즉 실재의 암시를 가리킨다. 콜링우드의 해석에 의하면 플라톤의 모방은 자신과 유사한 것을 닮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과 위계를 달리하는 상위의 존재를 닮고자 하는 것이다. 플라톤의 실재의 위계이론에 비추어 보면 예술가의 이미지는 최상위의 실재를 간접적으로 상징하므로 그 이미지를 접하는 감상자는 최상의 가치가 존재한다는, 규정 불가능한 느낌을 획득하게 된다. 플라톤은 가시적인 것들을 대상으로 하는 모방은 비판하였지만 모방의 초경험적 차원을 부각시킴으로써 최상의 가치가 존재한다는 느낌의 획득으로서의 모방을 교육의 중요한 원리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out an educational implication based on clarifying the concept of Plato’s ‘imitation’. The meaning of imitation in Plato’s sense is ambiguous, for imitation in Book Ⅲ of Republic is described as the core principle of education, while in Book Ⅹ, it is blamed for not meeting the principle of reason. The apparent contradiction is resolved when we attend to the ‘objects’ of imitation. The objects of imitation which Plato criticize is those of sense and opinion. On the other hand, the objects of imitation as the core principle of education are ideal realities such as wisdom and self-control, which are not apprehended by sense and opinion. Therefore, the concept of imitation implies mystery which does not depend on knowledge and technique concerning the works of art. According to Collinson, “aesthetic commentating” is to be interpreted as knowledge and technique, while “aesthetic involvement” refers to the mystery implied in imitation. Aesthetic involvement is, according to Collinson, to follow through the way the artist went in order to reach his visions. According to Collingwood, the mystery is not to be considered as mere irrationality but “intimation of reality”, that is, invocation of supreme value accompanying a feeling that we are in the presence of a mystery. Plato’s imitation is not a facsimile or replica, that is, an object of the same order and possess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original, but an object of a wholly different order. Plato’s theory of degrees of reality shows that the image created by an artist is an indirect symbol of reality, which is of supreme value. The appreciator, as a recipient of the image, acquires a feeling that we are in the presence of a mystery revealed and yet not revealed. Plato blamed the imitation for copying the objects of sense and opinion, while he advocated the imitation as the intimation of reality.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인기 운동선수 모방 행동에 관한 연구

        조은정(EunJeongCho)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2

        이 연구는 체육전공 대학생들의 인기 운동선수에 대한 모방행동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성별과 나이는 인기 운동선수 모방 의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미디어 이용량의 경우 TV 시청량이 인기 운동선수 모방 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방의도에 모방태도(가설 1)와 주관적 규범(가설 2)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셋째, 인기 운동선수 모방행동은 인구통계학적 변인들과 미디어 이용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방의도와 동일시는 모방행동에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준 반면, 자기 효능감은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합리적 행위이론에 대한 가설들은 지지되었고 동일시와 행동에 대한 가설도 지지되었다. 그러나 자기 효능감과 행동에 대한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end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in an attempt to examine the star-sportsman imitation behavior in relation to college students' gender and age, use of media(TV), social psychological variables. Data were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liability test.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ender and age didn't have an effect on intention of star-sportsman imitation. But use of media had an effect on intention of star-sportsman imitation. second, intention of star-sportsman imitation had an effect on attitude of star-sportsman imitation and subject norm. third, star-sportsman imitation behavior didn't have an effect on gender, age, and use of media. Also, intention of star-sportsman imitation, identification had an effect on star-sportsman imitation behavior. but self-evaluation didn't had an effect on star-sportsman imitation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