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더 피어선의 저작과 선행연구 고찰: 그의 단행본 작품에 대한 생애사적 접근과 그에 관한 선행연구의 연구사적 참고문헌 제시

        전대경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3 피어선 신학 논단 Vol.2 No.1

        This research is dealing with works of Arthur T. Pierson and precedent studies about him. First, it is presented that there are 58 books of A. T. Pierson, which have been published so far. Those books are being introduced along with a short sketch of his life. And then, it is presented that there are 47 precedent studies about him so far. They are being sorted by their topics. All who have studied theology, thoughts or legacies of A. T. Pierson must have felt somewhat difficulties such as "where to or how to" get started with researches. This research is for those of who wish to study on him. And this will give a lot of help to them since it has almost every work of and precedent work about him. Since this article is presenting them works of and about A. T. Pierson along with their topics also, following researchers might not have to waste a lot of time just on finding references about him. 본 연구는 아더 피어선의 저작과 그에 대한 선행연구를 다룬다. 먼저, 피어선의저작을 다룸으로써 그의 출판된 단행본이 58권임을 보일 것이다. 짧게나마 그의 생애와 함께 그의 저작을 다룸으로써 선행연구들이 가지고 있었던 연대 혹은 신학적저평가 등의 오류들을 바로잡고자 할 것이다. 다음으로, 그의 선행연구를 주제별로다룸으로써 그것이 47개임을 보일 것이다. 피어선의 신학과 사상 그리고 그의 업적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하나같이 ‘어디에서부터 어떻게’ 연구를시작해야할지 막연함과 막막함을 느끼는 것이 현실이다. 피어선의 저작들과 그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주제들 또한 제시하기 때문에, 후속연구자들은 자신이 연구하고자하는 주제에 어떠한 작품들이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선행연구들이 있었는지를 알아보는 데에 큰 시간을 낭비하지 않아도 된다. 그래서 본 논문의 목적은 피어선을 연구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피어선 연구 자료의 범위를 제공해 주어, 그들로 하여금 피어선 연구를 더 용이하게 하는 데에 있다.

      • KCI등재후보

        피어선의 고등비평적 성서 해석 방법의 문제

        전대경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8 피어선 신학 논단 Vol.7 No.1

        This article examines the issue of higher-criticism in the biblical interpretation method of Arthur T. Pierson. It is argued that Pierson critically accommodates the methodology of Modernism theology for his apologetics. It is not, however, to follow their deconstructive understanding of the Bible, but to let people know the divine revelation of God better. Higher-criticism is called historical-literary criticism often. Pierson employs rhetoric-criticism, which is one of literary-criticism methods. Since Pierson understands the Bible has dual authorship - divine and human - he studies the Bible critically. It is, however, to elevate the authority of the Bible and to know the word of God deeper. The purpose of his critical interpretation is different with that of higher-criticism. Pierson sees it would be better as critical as possible for interpreting the Bible. Therefore, as long as its presuppositional intention and purpose is to elevate the authority of the word of God, it is even beneficial to embrace, not the purpose or intention, but the critical interpretation modus operandi of modernism theology, which is higher-criticism. 본 논문은 피어선의 고등비평적 성서 해석 방법의 문제를 다룬다. 논증하려는 것은 피어선이 기독교 변증을 위해 현대 신학의 방법론을 비판적으로 수용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해체주의적인 성서해석 방법을 따르기 위함이 아니라, 사람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거룩한 계시를 더 잘 알게 하고자 함이다. 고등비평은종종 역사-문학 비평이라고도 불린다. 피어선은 문학 비평의 한 분야인 수사 비평을 차용한다. 피어선은 성서가 신적 저작권과 인간 저작권이라는 이중 저작권을 가지고 있다고 이해하기 때문에, 성서를 비판적으로 연구한다. 하지만, 이는오직 성서의 권위를 더 높이고 하나님의 말씀을 더 깊이 알고자 하는 목적에 한해서이다. 피어선의 비평적 성서 해석은 고등비평의 그것과는 목적 자체가 다르다. 피어선은 성서 연구가 더 비평적이면 비평적일수록 더 좋다고 한다. 따라서 , 피어선은 하나님의 말씀의 권위를 더 높이려는 의도와 목적을 전제로 한다면, 현대신학의 비평적 성서 해석 방법론인 고등비평의 기술을 받아들이고 사용하는것도 유익하다고 본다.

      • KCI등재후보

        쯔빙글리와 재세례파는 적인가 동지인가? 아니면 불편한 이웃인가? 쯔빙글리의 스위스 종교개혁 500주년과 경계선상의 종교개혁 전통의 재세례파를 기념하며

        전대경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22 피어선 신학 논단 Vol.11 No.2

        In remembrance of the Quinquecentennial of Swiss Protestant Reformation, at the bottom of this paper the question lies: Were Zwingli, the swiss magisterial reformer, and Anabaptists, the radical reformers, enemies or kindreds, or uncomfortable neighbors? In order for a comprehensive answer for the question in this paper, about 120 precedent anabaptist-related studies have been reviewed. Externally, the conflict, which was deeply rooted to their different views on the nation-state, between the mainstream reformers and the anabaptists was sparked over the forms of baptism: infant aspersion baptism and adult (believer’s) immersion baptism. The Anabaptists were born in 1525 in Zurich, Switzerland, in the bosom of Zwingli. The Anabaptist movement has sprung up in various forms such as rationalism, mysticism, spiritualism, revolutionism and so forth. Of course, there are baptist scholars, like Harold S. Bender, who try to separate and cut out spiritualists and revolutionists such as Thomas Müncher from Anabaptist history.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Anabaptist movement was a Reformation movement that most thoroughly followed the original vision of Luther and Zwingli and wanted to accomplish it. Although the impact of the Anabaptist movement that occurred in the 16th century on the church and society was not ignorable, researching on this movement has been somewhat neglected or biased toward two extremes. On the one extreme, it is a negative prejudice (which condemns the Anabaptists as heretical) unilaterally injected by scholars who follow the latter views of Luther, Calvin, and Zwingli. I think it is fortunate that there are recent movements to find the positive side of the Anabaptist movement. On the other extreme, however, within the Anabaptists (or Baptist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move from Anabaptist history most of their spiritual ancestors, who were called zealots by the mainstream Reformers. By overly glorifying the activities of the rest of the Anabaptists, who were non-enthusiastic, they do not fully consider the positions and concerns of the mainstream Reformers, such as Luther, Calvin, Zwingli, etc., at the time when they opposed the entire Anabaptists. In the 2000s, a number of balanced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the Anabaptists have already been made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is still an unresolved differences in the taxonomical divisions for dozens of Anabaptist groups at the time of the 16th century.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no studies found in South Korea on the similarity and connection between the Anabaptists’ Spiritual Baptism and today’s Pentecostalism. In this sense, it can be said that this study has its own originality and significan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urch. With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first deals with the Anabaptists as kindreds of the mainstream Reformers, as they started the Reformation together. Then, the “conflict as the enemies” is dealt with between the magisterial Reformers, who rejected adult anabaptism, and the radical Anabaptists, who denied infant baptism. Next, it deals with the uncomfortable neighbors' relationship found between the moderate Anabaptists, the radical spiritual Baptists and the mainstream Reformers, and between their descendants. Finally, it deals with the Anabaptist movement as a marginal Reformed tradition. It is to clarify that the Anabaptist movement was a group with both Baptist and Pentecostal characteristics today, and these were the Christian communities of the Reformation tradition that took charge of the borderline between the left and right extremes of the Reformation. 본고는 스위스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며, 그 중심에 있었던 ‘제도권(magisterial) 종교개혁자 쯔빙글리와 극단적(radical) 종교개혁자 재침례파가 과연 서로 적이었는가, 동지였는가, 아니면 불편한 이웃이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국내의 관련 선행연구 약 20편, 해외의 약 100편에 대한 종합적 논평을 바탕으로한 일종의 답변이다. 표면적으로 주류 종교개혁가들과 재침례파사이의 갈등은 국가관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유아) 세례(洗 禮, aspersion baptism)와 (성인) 침례(浸禮, immersion baptism)를 두고 촉발된 것이었다. 재침례파는 1525년 스위스 취리히의 쯔빙글리 품에서 탄생했다. 재침례파 운동은 합리주의, 신비주의, 영성주의, 혁명주의등의 다양한 형태로 우후죽순처럼 일어났다. 물론, 헤롤드 벤더(Harold S. Bender)처럼, 영성주의자들이나 토마스 뮌처 같은 혁명주의자들을 재침례파 역사로부터 구분하고 도려내려는 노력을하는 침례교 학자들도 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재침례주의운동은 루터와 쯔빙글리가 종교개혁을 일으켰던 초심(original vision)을 가장 철저히 따르면서 그것을 그대로 완수하고자 했던종교개혁 운동이었다는 것이다. 16세기에 발생한 재침례파 운동의 영향이 교회와 사회에 적지 않았음에도, 이 운동에 대한 연구는 다소 소홀했거나 양극단으로 편향된 측면이 없지 않았다. 한 편에서는 루터, 칼빈, 쯔빙글리 등의 후기 견해를 그대로 따르는 학자들로부터 일방적으로주입된 (재침례파를 이단적이라고 정죄하는) 부정적 선입견이다. 근래에 이 입장 내에서 재침례파 운동의 긍정적인 면을 찾아내려는 움직임들이 있음은 그나마 다행이라고 본다. 하지만 재침례파(혹은 침례교) 내부에서는 주류 종교개혁가들로부터 열광주의자들이라고 불렸던 자신들의 영적 조상들 중 대부분을 재침례파 역사로부터 도려내려는 노력을 해왔다. 그리고 비열광주의적이었던 나머지 재침례파들의 활동을 지나치게 미화시킴으로써주류 종교개혁자들(루터, 칼빈, 쯔빙글리 등)이 재침례파 전체를반대한 당시 이들의 입장과 고민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다. 2000년대에 들어 국내에 재세례파(혹은 재침례파)와 관련된균형 있는 선행연구가 이미 적지 않게 이루어졌다. 하지만, (16 세기 당시 수십개의 재침례파 그룹들에 대한) 구분과 비구분 사이에서 아직 좁혀지지 않는 시각차가 보인다. 특별히 재침례파의 성령세례주의와 오늘날의 오순절주의에 대한 유사성과 연결성과 관련하여 다룬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찾아보지 못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소고가 교회의 발전을 위한 나름의 독창성과의의가 있다 하겠다. 이러한 정황 속에서, 본 소고는 먼저 종교개혁과 함께 시작된주류 종교개혁자들과 동지로서의 재침례파를 다룬다. 그런 다음, 유아세례를 지지하는 제도적 종교개혁파와 성인침례를 지지하는급진적 재침례파 간의 ‘적으로서의 갈등’을 다룬다. 다음으로, 온건한 재침례파와 급진적 성령세례파, 그리고 주류 종교개혁자들사이에서 그리고 그 후손들 사이에서 발견되는 불편한 이웃으로서의 관계를 다룬다. 마지막으로, 경계선상의 종교개혁 전통으로서의 재침례파 운동을 다룬다. 규명하려는 것은 ‘재침례파 운동은 오늘날의 침례교적 성격과 오순절적 성격을 모두 가진 그룹들이었으며 이들은 종교개혁의 좌측과 우측 극단에서 경계선을 담당했던 종교개혁 전통 기독교 공동체였다....

      • KCI등재

        마틴 루터와 존 칼빈의 렌즈로 본 존 머레이의 ‘결정적 성화’ 개념에 대한 비평적 이해: 온고지신을 통한 ‘신분적 성화’ 로의 수정을 위하여

        전대경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8 영산신학저널 Vol.0 No.43

        This article deals with an attempt to “definitive sanctification,” a doctrine inherited from John Murray, in the perspective of Reformers, Martin Luther and John Calvin. Luther and Calvin would not disagree with a definitive aspect in sanctification. Definitive sanctification is not, however, understood as different concept with judicial justification likewise critics argue. Moreover, if the concept of definitive sanctification either be added to or be considered as the other aspect in sanctification, there occurs more significant problem of consistency of the concept of holiness in sanctification. Thus, it is contradictory while the former to be understood as nominal scale of dual concepts as holy or corrupted, the latter to be considered as ordinal scale of procedure to be gradually holy more and more. In addition to that, definitive sanctification can not explain that it is different with the concept in Wesleyan or Pentecostal Spirit Baptism. The sanctification that Luther and Calvin understand also include the aspect of Spirit Baptism. Those three problems could be minimized if definitive A sanctification is understood as positional transition under the concept of justification as Luther, Calvin and many other later scholars suggest. As Luther and Calvin emphasize, holiness of Christians is to be for the Church. However, since the concept of definitive sanctification explains that Christians are once-for-all holy, it would give negative effect on Christians so that they would ignore the significance of progressiveness of sanctification. This would not be helpful for Churches in Korea to be renewed and sanctified. Rather than that, while embracing the definitive aspect in sanctification, calling it positional sanctification under justification, criticism on Socio-linguistic synonym and inconsistency of holiness can be waived or minimized. Moreover, love for the grace from above by faith alone can be even nourished among Christians. Therefore, in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dimensions, ‘definitive sanctification’ would rather be called ‘positional sanctification.’ 본 논문은 존 머레이에 의해서 제기된 “결정적 성화” 개념을 종교개혁자 마틴 루 터와 존 칼빈의 입장에서 비평적인 이해를 시도한다. 루터와 칼빈은 성화의 결정적 측면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비판론자들이 제기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성화 의 결정적인 측면, 즉 결정적 성화를 법정적 칭의와 전혀 다른 개념으로 이해하지 도 않는다. 기존의 성화 개념에 추가적으로 ‘결정적 성화’ 개념을 삽입하고, 그것이 점진적 성화의 또 다른 국면이라고 할 경우 거룩함 개념의 일관성에 문제가 생긴다. 즉, 전자는 거룩함과 타락함의 이원론적 ‘명목 척도’ 개념인 데에 반하여 후자는 점 차적으로 거룩해지는 ‘과정’으로서의 ‘순서 척도’이기 때문에 거룩함 개념 자체에 모순이 생긴다. 결정적 성화는 웨슬리안이나 오순절에서 말하는 성령충만의 개념 과도 겹친다. 루터와 칼빈이 이해한 성화도 성령세례의 측면을 분명히 포함하고 있 다. 루터와 칼빈 그리고 후대의 많은 학자들이 제기하는 것처럼 결정적 성화를 신 분적 성화로 보고 성화 아래에 있는 개념이 아닌 칭의 아래에 있는 개념으로 본다 면, 앞에서 제기된 세 가지 문제점을 모두 보완할 수 있다. 그리고 루터와 칼빈이 강 조하는 것처럼 신자의 거룩함은 교회를 위함이어야 한다. 하지만 결정적 성화 개념은 이미 온전히 거룩하다 일컬음을 받은 것이기 때문에 점진적 성화의 측면을 신 자들이 간과하게 할 원인을 제공하게 될 수도 있다. 이는 종교개혁 500주년을 넘어 서는 한국교회의 거룩함 회복에 큰 도움이 되기 어려울 것이다. 오히려, 결정적 성 화를 신분적 성화라고 함으로써, 성화의 결정적 측면은 받아들이면서, 칭의 아래 에 둠으로써, ‘법정적 칭의’나 ‘성령세례’와의 위상적 유의어 관계라는 비판이나 거 룩함 개념의 비일관성에 대한 비판을 보완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성화의 점진적 인 측면을 위해서는 결정적인 측면 즉 위로부터의 성령의 강력한 도움을 통해서만 신자가 거룩한 삶을 살게 될 수 있다는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믿음과 은혜를 사 모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신학적 측면과 실천적 측면 모두에서 ‘결정적 성화’는 칭의 아래에 있는 ‘신분적 성화’로 부르는 것이 좋다.

      • KCI등재후보

        케직(Keswick) 사경회와 케직 지도자 아더 피어선의 은사 지속론적 성령 이해에 대한 신학적 정통성 탐구 - 칼빈, 루터, 어거스틴의 ‘기적’ 및 ‘방언’ 이해를 중심으로

        전대경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21 피어선 신학 논단 Vol.10 No.1

        One of the most important figures in the Keswick movement around 1900, Arthur T. Pierson, saw the Keswick pneumatology in a broader sense than the old Princeton school’s Reformed one, but saw it in a narrower sense than the Pentecostal one. While the Keswick pneumatology does not embrace the concept of Wesleyan perfection of sanctification, it seeks Christian holy life. As can be seen in this comprehensive nature of the Keswick pneumatology, the Keswick movement became the birthplace of both movements of the Pentecostal and the Holiness due to the intervention of the Holy Spirit in 1905. Since 1905, Keswick pneumatology seemed to be divided into roughly three trajectories: on the left that pursues the spiritual gifts passionately, on the right that cleaves to cessationism, and in the middle, somewhat mild continuationism that seeks not to lean on any sides but to stand on the christology and the Word firmly. However, both the pentecostal and reformed have become somewhat distant from the Keswick movement due to the conflict between charismaticism, which asserts speaking in tongue as “the” initial physical evidence for salvation, and cessationism, which warns that the miracles have been ceased since early church apostolic era and speaking in tongue today is the devil-given. This conflict seems still divergent and shows little sign of converging. With the withdrawals of charismaticism and cessationism, Keswick pneumatology has taken the mild continuationism path and continued for the past 100 years in a way to pursue the Word, holy lives, and social services.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s of “miracles” and “speaking in tongue” in the major works of the leading Christian orthodox theologians: Augustine of Hippo, Martin Luther and John Calvin. And it aims to examine if the Keswick pneumatology has the “genuinity” as the orthodox pneumatology. To do this, first, the concepts of “miracles” and “speaking in tongue” in Calvin’s Institutes(1559) and Commentaries are dealt. It is true that there are remarks that seem to support cessationism in Calvin’s works. However, surprisingly, Calvin’s also have references that acknowledge “speaking in tongue” still prevalent today. Secondly, it is investigated if there have been any semantic changes with the concepts of “miracles” and “speaking in tongue” throughout the 1st all the way to the 4th edition of Calvin’s Institut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inal with the first through fourth editions of Calvin’s Institutes, it is clarified that, unlike previously known, Calvin was a continuationist who acknowledges that both “miracles” and “speaking in tongue” are persistent even today. Last but not least, references to “miracles” and “speaking in tongues” in Luther’s Commentary on the Epistle to the Romans and Sermons and Augustine’s the City of God and Sermons are examined. In his sermon, criticizing cessationists Luther asserts that his remarks ought not to be misunderstood as supporting cessationism. Although Augustine was a cessationist in his early days, he became a continuationist himself after seeing numerous miracles and experiencing healing by his own prayer. This article reveals that there have been rampant misunderstanding and misconstruing as to cessationism and continuationism in Augustine, Luther and Calvin. In the works of these Christian Orthodox theologians, remarks related to “miracles” and “speaking in tongue” never meant that the gifts have been ceased completely since apostolic era but meant not to abuse gifts apart from spreading the word of God. It is argued, in this article, that the Bible and Christian Orthodox theologians neither acknowledge “speaking in tongue as the initial physical evidence” nor assert “speaking in tongue today is devil-given.” Therefore, it is legitimated that the mild continuationistic pneumatology of the Keswick ... 1900년을 전후로 케직(Keswick) 운동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들 가운데 하나였던 아더 T. 피어선을 통해 본 케직 사경회의 성령 이해는 좁은 의미에서의 (프린스턴 학파의 정통) 개혁주의 성령론보다는 넓고, 오순절의 성령론보다는 좁지만, 웨슬리안의 ‘완전’ 성화론은 받아들이지 않으면서도, 성결의 영성을 추구한다. 이와 같은 케직 성령론의 종합적 성격에서도 볼 수 있는 것처럼, 1905년 케직 사경회를 중심으로 성령의 강권적인 역사로 인하여 케직 운동은 오순절 운동과 성결 운동의 모태가 된다. 케직 성령론은 1905년을 기점으로 은사지속론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좌측의 입장과 은사중지론을 견지하는 우측의 입장, 그리고 그 가운데에서 기독론과 말씀을 중심으로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으려고 하는 소극적인정론의 입장으로 구분되는 것을 보게 된다. 하지만 ‘구원의 유일한 초기적 증거로서의 방언’을 주장하며 ‘치유 등의 기적’을 적극적으로 권하는 오순절의 은사주의와 ‘초대교회 사도시대 이후로 기적과 방언은 멈추었으며 오늘날의 방언은 마귀가 주는 방언’이라고 경고하는 개혁주의의 중지주의가 마찰을 빚으면서 둘 모두 케직운동과 다소 멀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은 오늘날 현대까지 평행선을 그리고 있으며 그 거리가 좁혀질 기미가 거의 보이지 않고 있다. 케직 운동으로부터 은사주의와 중지주의가 이탈하게 되면서, 케직의 성령론은 소극적 인정론의 중간적 입장을 취하면서 말씀과 거룩한 삶, 그리고 사회봉사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지난 100여 년간 이어져 왔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 소고의 목적은, 대표적인 기독교 정통신학자들인 어거스틴(Augustine), 마틴 루터(Martin Luther), 존 칼빈(John Calvin)의 주요 저작들에 나타난 ‘기적’과 ‘방언’ 개념들을 조사해 봄으로써, 케직의 성령 이해가 기독교 성령론으로서 신학적 정통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칼빈의 『기독교 강요』(최종판)과 『주석』에 나타난 ‘기적’과 ‘방언’ 이해를 살핀다. 칼빈의 저작들에는 그가 기적 중지론으로 보일만한 요소를 다수 갖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의외로 방언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인정하는 모습을 보인다. 다음으로, 칼빈의 『기독교 강요』 1판부터 4판까지 ‘기적’과 ‘방언’에 대한 칼빈의 이해에서 변화 여부를 조사한다. 1판부터 4판에 나온 부분들과 최종판(5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칼빈이 기존에 알려진 것과는 달리 오늘날에도 지속되는 ‘기적’과 ‘방언’을 모두 인정하는 은사지속론자였음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루터의 『로마서 주석』과 『설교』 그리고 어거스틴의 『신국론』과 『설교』에 나타난 ‘기적’과 ‘방언’을 조사한다. 루터는 그의 설교에서 은사 중지론자들을 비판하며, 자신의 말들을 중지주의로 오해하지 말라고 역설한다. 어거스틴도 초기에는 중지론자였지만, 직접 기적을 목도할 뿐 아니라 자신의 기도로 치유의 기적이 일어나는 등의 수많은 체험 후에는 스스로 기적지속론자가 되었음을 밝힌다. 본 연구는 기존에 팽배했던 어거스틴, 루터, 칼빈과 관련한 은사중지론에 다소 오해와 곡해가 있었음을 밝힌다. 어거스틴, 루터, 칼빈 등의 기독교 정통신학자들의 저작에 나타난 ‘기적’과 ‘방언’에 대한 언급들은 은사를 ‘말씀의 전파’를 떠나 남용하지 말라는 의미이지, 은사가 완...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아더 피어선의 복음주의 개인 종말관-신자의 중간기 상태를 중심으로-

        전대경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8 피어선 신학 논단 Vol.7 No.2

        This article deals with Arthur T. Pierson's Eschatology. First, general eschatology is being dealt. Secondly, it is explained that theer has been a transition of A. T. Pierson's Eschatology from Post-Millennialism to Pre- Millennialism. Lastly, Pierson's Individual Eschatology is being dealt. It is to clarify that Pierson follows, in his eschatology, Evangelical – biblical, traditional, and contextual. In that, Pierson is seeking to interpret what the Bible says - including second coming of Christ, tribulation, millennialism - literally, not allegorically, while not ignoring spiritual interpretation. 본 연구는 아더 피어선(Arthur T. Pierson, 1837~1911)의 종말론을 다룬다. 먼저, 종말론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을 다룬다. 그런 다음, 피어선의 종말론이후천년주의에서 전천년주의로 바뀐 것에 대해서 다룬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성도 개인의 종말에 대한 피어선의 이해를 다룬다. 규명하려는 것은 피어선의 종말론은 복음주의(1. 성경, 2. 전통, 3. 상황)를 따랐다는 것이다. 즉, 피어선은 성경이 말하는 그리스도의 재림, 환란, 천년왕국을 알레고리로 해석하지 않으면서도문자적 해석을 중심으로 영적인 해석도 간과하지 않고 있음을 논증한다.

      • KCI등재

        Re-envisioning the Reformer’s Spirituality, Provisioning the Reformed Spiritual Reality: Toward a Reforming of the Misunderstanding of Martin Luther’s View on the Epistle of James

        전대경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7 영산신학저널 Vol.0 No.41

        This article deals with Martin Luther’s understanding of the epistle of James. It is argued that the Reformed Church has understood the reformer’s “justification by faith” only partially. It is to clarify that since Korean Society and Church resemble those of the era of the Reformation, a second great awakening or spiritual reformation is needed in Korea. First, Luther’s spirituality is being dealt with comprehensively within this context. Secondly, it is clarified that Luther’s quote of James as the “epistle of straw” in his first edition of the German New Testament is not his final position. By doing so, it is examining that Luther’s doctrine of justification cannot be understood apart from good works. In addition to a general inclusive understanding of the spirituality of Martin Luther, a genuine and conclusive diagnosticating of the corruption of the society and churches of Korea can give us a solution to the problem that we have. Luther’s spirituality explains that a Christian is being saved by faith by hearing the word of God, transcending the internal holiness and prayer, and linking to a life of helping neighbors as to the word. This spirituality embraces but also goes beyond the bounds of the contemplative vision of spirituality. It goes to the social participation of loving neighbors. Luther’s understanding of James is not to abandon “justification by faith” and adopt “justification by works” but to assert that a Christian claiming “justification by faith” ought to be “a man of his/her faith.” In his youth, it is true that Luther had doubts regarding the epistle of James. However, in his latter years, he never doubted on the apostleship and canonicity of James. John Calvin agrees with the latter Luther’s position and asserts the epistle of James is last but not least, straw, a constructional part, for the palace of the word and faith.

      • KCI등재

        ‘CRISPR-CAS(유전자 가위) 기술’에게 있어서 치료와 증강 사이의 모호한 경계선 문제와 트랜스휴머니즘적 메타모포시스 비판 - 생명공학·의료기술의 개혁주의 생명윤리적 메타모포시스를 위하여 -

        전대경 한국개혁신학회 2020 한국개혁신학 Vol.66 No.-

        A representative gene editing technique, CRISPR-CAS, which stands for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CRISPR Associated Sequences, means “short sequence of repetitive structures that are spaced and distributed periodically.” This “site-directed palindromic nucleic acid modifying enzyme” is also commonly called “CRISPR scissors” or “genetic scissors.” Including producing customized babies through this technology, contemporary ge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pose dangerous challenges against God’s creation order. There are two aspects to this genetic scissors technology - healing and enhancement - and there is ambiguity to its boundary. There are precedented studies that have dealt with related to gene editing technology in theology and philosophy including ethics. Among them are claims: a boundary should be left to individual morality, the government is responsible for the absence of current laws, drawing a borderline is useless that enhancement should be seen as a healing, moratorium that it should stop here, and exaggerated criticisms on the side effects of the technology. However, while all are clearly aware of the ambiguity of the boundary, none of them clearly suggest what the boundary should be, and tend to push the responsibilities off to governments, individuals or developers. This paper seeks to become a CRISPR scissors that finds a site-specific defect that appears to have ambiguity and illegitimacy in genetic technology and its bioethics, cuts and replaces the part with scissors. Ambiguity refers to the boundary between treatment and enhancement, and illegitimacy refers to an excessive evaluation resulting from misunderstanding and misconstruing of this technique.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in South Korea that have dealt with the technology of CRISPR scissors on bio-ethical basis, but it was hard to find any paper that clearly laid out a boundary Christian bio-ethically - to be more specific, reformed bio-ethically. In dealing with CRISPR Scissors technology, which eliminates the cause of the disease by precisely finding defects in the nucleic acid containing genetic information and cutting and replacing them with scissor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domestic research so far has neither found, dealt with, nor presented the “boundary between healing and enhancement.” It is the reason why excessive assessments with misunderstanding on the technology are prevalent and they are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use of this technology.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be a CRISPER scissors to this somewhat widespread social defects in the country, preventing some, if not all, exhausting critiques of the bioethics on this technology resulting from misunderstandings. 대표적인 유전자 편집기술에는 ‘주기적으로 간격을 띄고 분포하는 짧은 회문구조(回文構造) 반복서열’을 뜻하는 CRISPR-CAS(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 CRISPR Associated Sequences) 기술이 있다. 이 ‘부위특이적 회문형 핵산분해효소’는 일반적으로 ‘크리스퍼 가위’ 혹은 ‘유전자 가위’라고도 불린다. 현대 유전자공학이 이 기술을 통해 맞춤형 아기를 생산하는 등 하나님의 창조질서에 어긋나는 위험한 도전을 하고 있다. ‘유전자 가위 기술’에는 치료(healing)와 증강(enhancement)이라는 양면성이 있으며, 그 경계면에 모호성이 있다. 철학(및 윤리학)이나 신학에서 유전자 편집(가위) 기술과 관련한 생명윤리를 다룬 선행 연구들이 있다. 이 가운데에는 경계선에 대하여, 개인의 도덕성에 맡겨야 한다는 주장, 현행법이 부재하다며 정부의 책임이 있다는 주장, 증강도 치료로 보아야 한다고 하는 경계선 무용론, 여기에서 멈추어야 한다는 모라토리엄, 그리고 다소 이 기술의 부작용에 대해 과장하는 지나친 비판론 등이 있다. 하지만 모두 경계선의 모호성 문제를 분명히 인지하고는 있으면서도 ‘그 경계선이 무엇이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제시를 하지 않고, 정부나 개인 혹은 개발자에게 서로 책임을 미루는 경향을 보인다. 본 논문은 유전·생명 공학 기술과 그에 대한 생명윤리에 있어서 모호성과 부당성을 지닌 것으로 보이는 부위특이적 결함을 찾아내어 그 부분을 가위로 자르고 치환하는 크리스퍼 가위가 되고자 한다. 여기서 모호성은 치료와 증강 사이의 경계면을 지칭하며, 부당성은 이 기술에 대한 오해와 곡해에서 비롯된 지나친 평가를 지칭한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크리스퍼 가위 기술을 생명윤리 차원에서 다룬 연구는 더러 있었지만, 그 경계선을 기독교 생명윤리적으로 (더 정확히는 개혁주의 생명윤리적으로) 명확하게 제시한 논문은 찾기 어려웠다. 유전정보를 담은 핵산에서 결함을 정확히 찾아 그것을 가위로 자르고 치환함으로써 질병의 원인을 제거하는 크리스퍼 가위 기술을 다룸에 있어서, 지금까지의 국내 연구는 이 기술에서 가장 논란이 되는 핵심적 결함으로 보이는 ‘치료와 증강 사이의 경계선’을 제대로 찾지도 못했고 다루지도 못했으며 제시하지도 못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도한 평가가 난무하여 기술 자체에 대해서 왜곡해서 이해하기도 하며 더 나아가 치료 기술의 발전도 막고 있다. 본 논문이 이러한 국내에 다소 팽배한 사회적 결함에 크리스퍼 가위가 되어, 오해와 곡해에서 비롯된 이 기술에 대한 생명윤리 차원에서의 소모적 비판을, 비록 완전히는 아닐지라도, 일부는 방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