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성교육과 호모 에코노미쿠스

        김봉률 ( Bong Youl Kim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4 경제교육연구 Vol.21 No.2

        This paper deals with character education in the social and moral context in opposition to homo-economicus ethos. In my opinion, homo-economicus is the bad ethos that already shaped us in the way we cannot grasp. Character is a complex of mental and ethical traits marking a person or a group. Character can be divided into two qualities. One is a personal and distinguishing feature whose traits may be inborn, but the other is ethical and social ‘humanness’, what is so called ‘ethos’. Humanness can be in crisis in bad ethos. Subject is not longer Descartes’ clear and obvious subject. Judith Butler argues that self-non-transparency is crucial to an ethical understanding of the human, and our ethical activity is created in relation to a broader world. Therefore, we must have knowledge about the world and ourselves. In this sense, it is right that Thomas Hurka stressed on evading fallacy which can be evil to the other, rather than seeking ‘good will’ regardless of otherness. Homo-economicus is the concept of humans as rational and narrowly self-interested actors. This human model, with the dominance of the neo-liberalism since 1980’s, has come to prevail in substantial subfields of education, biology, evolutionary psychology, and politics as well as economy. Alongside this tendency, homo-economicus won common people’s hearts through tremendous self-help books. Especially,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has become entangled in the dilemma between the feudal virtue such as obedience, and the competitive individualism which can be ideology of homo-economicus. In conclusion, I think that homo-economicus ethos proved to be anachronical with 2008 Financial Crisis. So, I argue that character education with ethics of otherness and publicity should be responsible for modern subject’ ethical ethos beyond homo-economicus.

      • KCI등재

        푸코의 ‘자기 배려’에 관한 모색 바틀비를 중심으로

        김영희 ( Kim Young-hee )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4

        본 논의는 만약 누군가가 허먼 멜빌(Herman Melville,1819~1891)의 소설에 나오는 바틀비가 된다면, ‘바틀비’가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 그리고 마찬가지의 상황에서 기꺼이 바틀비의 선택을 따를 것인지에 대한 물음에서 비롯되었다. 이 물음의 해답을 찾기 위해, 논문의 내용은 두 부분으로 전개된다. 첫 번째 부분은 근대적 통치성의 변화를 고찰하고 신자유주의 통치성의 주체인 호모 에코노미쿠스에 관해 정리하는 것이다. 두 번째 부분은 예속화의 과정에 순응하지 않는 주체, 자기 배려 주체의 가능성을 바틀비를 통해 검토하는 것이다. 통치성이 국가의 존재 이유로 등장한 것은 16세기 중엽 이후의 일이며, 18세기에 이르러 근대적 통치성이 형성된다. 자유는 근대적 통치성의 중요한 통치기술이다. 자유주의 통치성은 자유를 유지하기 위해 오히려 그것과 대립적인 통제와 개입을 인정한다. 자유주의 전통의 뒤를 잇는 신자유주의 통치성도 마찬가지로 시장을 위한 조절을 수용한다. 신자유주의의 호모 에코노미쿠스는 조절과 경쟁을 시장의 본질이자 원리로 받아들인 주체이다. 호모 에코노미쿠스는 경제적 이성에 따르는 충실한 인적 자본이자 자기 자신의 경영 주체이다. 호모 에코노미쿠스가 신자유주의 통치성에 순응하는 예속적 주체라면, 바틀비는 탈예속적 주체이다. 호모 에코노미쿠스의 삶이 저항으로 서의 삶이기 위해서는 예속화된 주체로서의 삶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주체가 되어야 한다. 바틀비의 삶에 주목한 것은 바로 이런 이유에서이다. 바틀비는 단순히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을 수용하거나 거부하는 선택을 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사회에 할당된 어떤 역할도 주어지지 않는 추방자로서의 삶을 스스로 택한다. 그는 ‘자기 자신에로 돌아가기’라는 삶의 전향을 통해, 새로운 주체가 된다. 따라서 바틀비는 전향을 통해 자기 부정의 삶이 아니라 자신을 자유롭게 하는 삶을 선택함으로써, ‘자기 배려’의 주체가 된다. Suppose that one of these 'anonymous' is Bartleby in the novel by Herman Melville. Would you be willing to be Bartleby? If so, what does it mean to be 'Bartleby'? To answer this question, the direction of the discussion develops into two parts. In the first part, I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liberal and neoliberal governance, and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Homo Economicus’ as a subject subordinated under the present governmentality. In the second part, I examine the possibility of ‘subjectivation’ is to be explored through Bartleby who does not conform to the process of enslavement, a subject that takes care of himself. It is only after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that governmentality appeared as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a state, and ‘modern governmentality’ appeared in the 18th century. Modern governmentality is an economic reason, and Freedom is the art of government. Liberalism presupposes non-freedom. In order to preserve freedom, Liberalism introduced to control and management as opposed to freedom. Neoliberal governance intervenes in the market to achieve market freedom. The purpose of neoliberal government is to regulate and govern society for the sake of the market. ‘Homo Economicus’ accepts competition as a principle of the market. He is human capital following economic reasons and his own entrepreneur managing himself. If ‘Homo Economicus’ is a subject subordinated to the neoliberal government, then Bartleby is a ‘subjectivation’. For the life of ‘Homo Economicus’ to become resistant, it must become a new subject. He must get out of life as a subordinate subject. ‘Homo Economicus’ is not a subject of rejection, so we should pay attention to Bartleby's rejection. Bartleby does not simply refuse actions or self. He refuses to be ‘Homo Economicus’ and to turn to himself. Bartleby denies the role given to him through refusal and becomes an outsider. Bartleby's choice is not a denial of the self, but a choice to set oneself free and self-care as a conversion to the self. The concept of conversion is important because Bartleby becomes the subject of self-care through conversion. Bartleby becomes a maker of his new life through conversion.

      • KCI등재

        「필경사 바틀비」에 나타난 호모 에코노미쿠스적 삶에 대한 멜빌의 고찰

        이용화(Lee, Yong-Hwa)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인문학연구 Vol.29 No.-

        본고는 허먼 멜빌의 「필경사 바틀비」에서 화자가 바틀비와의 관계를 통해 호모 에코노미쿠스로 존재하는 자신의 삶에 대해 자아 성찰을 해나가는 과정을 살펴본다. 호모 에코노미쿠스, 즉 경제적 인간이란 미쉘 푸코가 신자유주의 경제체제에서 개인들이 인간 자본의 주체로서 형성되는 과정을 점검하는 과정에서 차용한 용어이다. 푸고는 호모 에코노미쿠스의 가장 중요한 특성을 “현저하게 통치하기 쉬운” 존재로 규정하면서 신자유주의 속에서 인간 주체는 그 체제의 시장원리와 환경을 내면화한 가운데 자신에게 배정된 역할을 무의식적으로 그리고 자발적으로 수행하게 됨을 강조한다. 멜빌의 작품은 비록 19세기 중반 미국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경제 체제가 그 구성원의 존재 양태를 규정하는 방식과 관련하여 푸코가 지적한 바와 유사한 통찰력을 보여준다고 판단된다. “현저하게 통치하기 쉬운” 화자는 작품에서 유일하게 호모 에코노미쿠스로 규정될 수 없는 인물, 바틀비의 수동적이지만 강력한 저항에 직면했을 때에야 비로소 자신의 존재방식으로부터 거리를 확보하고 그 존재 방식의 타당성과 의미에 대해 질문하기 시작한다. This essay examines the process by which the narrator in Herman Melville"s Bartleby, the Scrivener engages in self-reflection on his manner of existence as a homo economicus through his interactions with Bartleby. Homo economicus, or economic man, is a term Michel Foucault appropriates in his investigation of the ways in which individuals are constituted as subjects of human capital within the economic system of neoliberalism. Positing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homo economicus as being “eminently governable”, Foucault stresses that human subjects in neoliberalism unconsciously yet voluntarily internalize and perform roles assigned to them within the system. Although it is set in mid-nineteenth-century America, Melville"s story provides similar insights into how an economic system defines its members" manner of existence. It is only when the “eminently safe” narrator confronts the passive but powerful resistance of Bartleby, the only person in the story who cannot be regarded as homo economicus, that he distances himself from his mode of existence and questions its validity and meanings.

      • KCI등재

        로컬, 룸펜, 경제적 인간, 곽하신 소설의 세 좌표

        김양선 대중서사학회 2020 대중서사연구 Vol.26 No.3

        This paper seeks to expand the scale of literary history by restoring and analyzing the whole aspect of Kwak Hashin’s works, which has so far been studied little. For this purpose, I notice the rupture of discontinuity of his works which is greatly divided into the colonial period and post Korean war peri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works can be analyzed based on the three axis, local(colonial period), jobless person(post-war period), and Homo Economicus(some short stories, and popular novels in post-war period). In Chapter 2, ‘Local-the world of Munjang’, I evaluated that Kwak Hashin’s novel, which had been published in the late 1930s in the Journal of Munjang, embodied anti-modern aesthetic consciousness, as clearly revealing the sorrow for disappearing things, the pre-modern sense of time, and the preference for local. In Chapter 3, ‘Jobless Person’ and Chapter 4, ‘The State of All People’s Struggle against All People, The Appearance of Homo Economicus’, the Korean society in late 1950s, which entered underdeveloped capitalist countries after Korean war, can be characterized by two contrasting male-gender, one is the jobless, incompetent male, and the economic man on the other hand. In the late ‘50s, Lumpen(=Jobless Person) novels showed the problems of the Korean economy through incompetent male character. The intelligent men took the path to survival rather than morality or intimacy, projecting their own incompetence and anxiety to women/wives. In the popular novels Women’s Song and The Shadow of the Fig Tree, achievement-oriented male figures who betrayed their colleagues, and exploited women’s sex by using love relationships to rise to the top appeared. They can be defined as the Homo Economicus who embody the state of universal struggle against all people. These novels showed the formation of the masculinity in post Korean war period, which pursued the survival of the fittest, borrowing form of popular novel. As we have seen so far, Kwak Hashin needs to be re-evaluated as an writer who expanded the modern literary history in the outside of literature. He was the last generation writer written in Korean late colonial period, and provided the model of postwar literature by borrowing the form of journalism and popular novels.

      • KCI등재

        폴 니장의 『아덴 아라비아』: 호모 에코노미쿠스를 거부하는 젊음

        오은하 한국불어불문학회 2018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16

        Le premier livre de Paul Nizan, Aden Arabie, constitue un témoignage irremplaçable sur le désarroi des jeunes de l'entre-deux-guerres, qui vivaient en pleine révolte, en pleine mise en question des valeurs bourgeoises. Et la réhabilitation inattendue de ce livre aux années 1960 nous fait demander sur sa raison de succès de ces deux périodes. Afin d’aborder ce sujet, il nous semble crucial son dernier chapitre, consacré à la critique sur “Homo Economicus”. Dans ce portrait très impressionnant de Homo Economicus, isolé et narcissique, Nizan critique moins son matérialisme et égoïsme que son incapacité de jouir, n’ayant aucune satisfaction excepté quelques illusions du bonheur. De plus, ces hommes qui ressemblent plutô̂t à une machine à calculer ou un appareil automatique, tentent de conquérir les derniers vivants, “l’homme réel” selon Nizan. Ces critiques nettes et agressives, les jeunes de la génération 68 les font les siennes. Ce qui unit ces jeunes gens de deux générations, malgré des situations différentes, c’est leur angoisse, principalement occasionnée par l'ennui et le dégoût envers l’ordre usé de l’Occident étouffant. L’exigence fondamentale à la ‘vraie vie’, caractéristique à la jeunesse, les rend à résoudre de lutter contre Homo Economicus “pour les hommes”.

      • KCI등재

        1980년대 중산층 담론과 호모 에코노미쿠스의 확산 -시장은 사회와 인간을 어떻게 바꿨나? -

        이상록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30

        Many historians interpreted that individual freedom was oppressed and liberalism was absent in Korea from 1961 to 1987 due to the authoritarian rule of military dictators such as Park Chung-hee and Chun Doo-hwan.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Park Chung-hee and Chun Doo-hwan government have constantly intervened in the market, but paradoxically, it has resulted in expanding the free market and expanding the capital’s capabilities through export growth. In this context, Korean society in the 1970s and 1980s needs to be reinterpreted as an extension of economic liberalism. In this period, the ‘market and capital function’ absorbed the society and manifested itself as a person who invested in himself for socio-economic self-interest. As the income of the people increased due to the effect of industrialization, the middle class was increasing in Korea in the 1980s. However, it was the spread of self-consciousness that “I am a middle class” that was increasing more than the middle class increase on the objective indicator. The gap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has arisen from two dimensions: the desire of lower-class workers to “I want to be a middle class” and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consumer life in society as a whole. With the spread of the middle class in the 1980s, social polarization has been partially alleviated, but the sensitivity to inequality has increased. The tutorship of the Chun Doo-hwan regime was a governing act that gathers the public’s desire for equality, but due to the competitive structure of the entrance examination at the bottom of the ban and the rising pressure of the social hierarchy, the ban has become increasingly ineffective. In the 1970s, the self-development craze started from the white-collar workers spread to students and housewives in the 1980s. In the competitive society, the individualistic desire to “live better than others” was increasing with homo-economicus. The practice of speculative capitalism and the visible consumption of the upper class provided relative poverty to the lower middle class and their sensitivity to the inequality society became more sensitive. The popular egalitarian pressure acted as the driving force of the democratic movement in the 1980s. Of all the energies that led to the democratic uprising in June 1987, w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is the resistance to homo-politicus for life as homo-economicus. From 1987 onwards, the performance of democratization should be reinterpreted from the historical reflection on the attempts to visualize and make the ‘non-shareholders’ as political subjects. 많은 역사가들은 박정희와 전두환이라는 군인 출신 독재자들의 권위주의적 통치로 인해 1961년부터 1987년까지 한국에서 개인의 자유가 억압되고 자유주의가 부재했던 것으로 해석해왔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 때 박정희․전두환 정부는 시장에 끊임없이 개입하고 간섭하는 정책을 폈지만, 역설적으로 그것은 자유시장의 확장과 수출증대를 통한 자본의 역능 확대로 귀결되었다. 이런 맥락에서 1970~80년대 한국사회는 경제적 자유주의의 확장기로 재해석될 필요가 있다. 이 시기 ‘시장과 자본의 역능’은 사회를 잠식해가고, 인간을 사회경제적 자기이익을 위해 스스로에게 투자하는 존재로 주체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했다. 산업화의 효과로 국민소득이 증대함에 따라 1980년대 한국에서는 중산층이 늘어나고 있었다. 그런데 객관적 지표상의 중산층 증가보다 더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던 것은 ‘나도 중산층이다’라는 자의식의 확산이었다. 객관과 주관 사이의 간극은 ‘나도 중산층이 되고 싶다’는 하층 노동자들의 상승 욕구와 사회전반의 소비생활 수준 향상이라는 두 차원으로부터 발생하였다. 1980년대 중산층의 확산과 더불어 사회적 양극화는 부분적으로 완화되었지만, 불평등에 대한 감수성은 증대되고 있었다. 1980년 7월 국보위의 과외금지 조치는 대중의 평등욕구를 수렴하는 통치행위였지만, 금지의 밑바닥에 놓인 입시경쟁 구조와 사회계층적 상승 압력으로 인해 과외금지 조치는 점점 무력화되어 갔다. 1970년대 샐러리맨으로부터 시작된 자기계발 열풍이 1980년대에는 학생과 주부로까지 확산되는 등 경쟁사회 속에서 호모 에코노미쿠스로 ‘남보다 더 잘 살아야 한다’는 개인주의적 욕망이 증가하고 있었다. 투기자본주의의 성행과 상류층의 과시적 소비는 중산층 이하의 계층에 상대적 빈곤감을 제공하였고, 불평등 사회에 대한 이들의 감수성은 예민해져있었다. 대중의 평등주의적 압력은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의 동력으로 작용했다. 1987년 6월 민주항쟁을 이끌었던 여러 에너지 가운데 우리가 주목해야할 것은 ‘호모 에코노미쿠스’로서의 삶에 대한 ‘호모 폴리티쿠스’로의 저항이다. ‘몫이 없는 자들’을 가시화시키고 정치적 주체로 세우려던 시도에 대한 역사적 성찰로부터 1987년 이후 민주화의 수행적 기능은 재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위화(余華)의 『제7일』에 나타난 불평등과 ‘경제적 인간

        김명희 한국하이데거학회 2021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60

        The Seventh Day (第七天), by Yu Hua (余華), was published in 2013—30 years after China announced the reform and opened up and executed its socialist market economy. China continued its high-speed growth in the 21st century, joining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hosting the Beijing Olympics successfully in 2008, conducting its first successful manned space (神舟; Shen Zhou) flight, and effectively organizing the Shanghai EXPO in 2010. However,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has been deepening because the benefits of the economic growth were not evenly distributed. Therefore, this situation led to the violation of human dignity beyond the social inequality phenomena.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social inequality and 'homo economicus' depicted in The Seventh Day, a novel by Yu Hua. First, this work tries to examine how inequality in the socialist market economy has been shown in the aforementioned work of fiction. Second, it tries to study how the death of the homo economicus, the fictional characters, is connected to the economic aspects. Third, it investigates the writer's critical perception of Chinese society and the orientation of his ideals through his analysis of the governmental policies and inclinations toward equality. The thesis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how the cultural,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hips of the Chinese society—which is already a combination of 'culture, politics, and economy' as a unified body—are interconnected in the socialist market economy. 중국이 개혁개방을 내세우고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실행한지 35년이 넘은 시점인 2013년에 위화(余華)의 『제7일(第七天)』이 출판되었다. 중국의 21세기는 세계무역기구(WTO)의 가입과 2008년 베이징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 유인 우주선 션저우(神舟;Shen Zhou)호의 비행 성공, 2010년 상하이엑스포(EXPO)의 원만한 개최와 함께 계속되는 고속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성장의 결실을 제대로 분배하지 못한 결과 빈부격차가 갈수록 커졌고, 이런 상황은 사회적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켰다. 이 글은 위화의 소설 『제7일』에 나타난 사회적 불평등과 ‘경제적 인간’에 관해 고찰해 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첫째, 사회주의 시장경제 속의 불평등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경제적 인간의 죽음은 소설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죽음이 어떻게 경제적 요소와 연결되며 죽음에 이르렀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셋째, 정부정책에 대한 비판과 평등지향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작가의 중국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작가가 지향하는 이상을 탐색해 보았다. 이 글은 ‘문화정치경제’가 이미 하나의 통일체로서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중국사회의 문화와 정치와 경제의 관계가 사회주의 시장경제 안에서 어떻게 서로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그 의미를 둔다.

      • KCI등재

        호모에코노미쿠스 이후에 누가 오는가?: 데리다와 도래할 계산의 주체를 중심으로

        정재식 ( Jae Sik Chung ) 한국비교문학회 2015 比較文學 Vol.0 No.66

        본 연구는 데리다의 “계산” 개념을 중심으로 신자유주의 호모에코노미쿠스 이후에 도래할 경제적 주체의 양태를 구상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작업을 위해서 본 논문은 “삶을 가치 있게 만드는 것을 측정하기”(Measuring what makes life worthwhile)라는 미국의 호텔 최고 경영자 칩 콘리(Chip Conley)의 강연문과 “계산 불가능한 것을 계산하는 것”에 관한 데리다의 사유를 접목시켜 보면서, 주체 중심의 동일성을 잣대로 타자를 측정하고 지배하는 폭력의 행위와는 다른 방식의 계산 형식을 탐구한다. 데리다에게 계산은 수리적, 경제적 개념에 국한되지 않고, 독특성으로서 주체와 타자와의 관계 양태와 삶의 형식을 결정하는 철학적, 존재론적 개념에 해당한다. 그의 계산 개념은 주체의 동일성을 내부에서 분화시키는 타자의 “이질적인 낯섬”(a troubling foreignness)을 핵심 범주로 삼는 “불가능성에 의한 계산”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해체론적 계산을 통해 우리는 경쟁과 효율을 계산의 기본 원리로 삼으면서 자본의 무한 확장과 시장 논리 그리고 기업의 조직과 운영 방식을 인간 행동의 합리성의 정점에 놓은 신자유주의적 호모에코노미쿠스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계산 불가능한 것을 계산하는 독특성의 주체 형식을 창안해야 한다. 상처와 변질의 위험 속에서도 계산 불가능한 것을 현실 제도와 다양한 실천들 속에서 지속적으로 계산하면서 타자의 목소리에 윤리적으로 응답할 수 있는 새로운 계산과 실천의 양태를 발명하는 주체, 그것이 바로 신자유주의적 호모에코노미쿠스 이후 도래할 주체, 더 정확히 말하면 우리가 창안해야 할 “도래할 계산의 주체”이다. This paper proposes the new mode of the economic subject, who could come after the Neo-liberalistic Homo-economicus, by employing the Derridean notion of calculation. For this project, juxtaposing American hotel CEO, Chip Conley`s TED lecture, entitled “Measuring what makes life worthwhile” with Derrida’s thought on “calculating the incalculable,” we will attempt to invent the new mode of calculation. This fundamentally differs from that of the voracious subject-based calculation, which measures and appropriates the alterity of the other through the logic of the identity and the economic interest. For Derrida, the act of the calculation is not simply reduced to be a simply mathematical and economic concept; rather, it is an ontological concept that can determine a particular mode of life based on the methods by which one subject measures the singularity of the other. His notion of calculation can be defined as the calculation conducted by the impossibility, which takes as its core category “a troubling foreignness” that can deconstruct the solid identity of the subject within itself through traces of the other. This notion of the new calculation is designed to challenge and confront the dominant power of the Neo-liberalistic Homo-economicus method of calculation, which privileges the unlimited freedom of capital and market by placing entrepreneurial logic (in particular the logic of competition and efficiency) at the heart of current human rationality. In spite of the risk of contamination and distortion, our task is to invent “the subject of the calculation to come,”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and inscribing the incalculable trace of the other at the heart of law and social and economic practices. We attempt this by creating ethical responses to the immeasurable voice of the other, and, in doing so, we can elevate the newly invented calculation into the principle of life in times to come.

      • KCI등재

        “서양의 대두”와 인간의 본성

        배영수(Bae, Young-soo) 역사학회 2012 역사학보 Vol.0 No.216

        This essay argues that the human nature is an essential, though neglected, topic to the controversy on "the Rise of the West". William McNeil, Eric Jones or David Landes does not treat the human nature in explicit ways. But they regard European modernity as something achieved by secular and rational men, particularly by those who were in pursuit of economic interests among other things. In other words, homo economicus is the determinant agent that explains "the Rise of the West". The so-called "California School", critics of Eurocentric perspectives, does not properly examine the human nature. Andre Gunder Frank, Kenneth Pomeranz, and Roy Bin Wong have paid attention to structures and environments, such as state systems, world economy or ecology, but they make light of human agency in history. When they stress similar patterns of development up to the early 19th century, these critics tend to describe traditional Chinese in terms of homo economicus. What"s more, Dipesch Charkrabarty, who attempts to shape an alternative to Eurocentric perspectives, does not explore the human nature, taking much the same position as the "California School". Therefore, Eurocentric historians share their idea of human nature with their critics. In their idea, centered around homo economicus, however, the human nature is treated as something universal and transhistorical. Such an idea does not help explain the diversity of modern history.

      • KCI등재

        모리배의 탄생 :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빈자(貧者)’의 도덕과 ‘경제적 인간’의 정치학

        임세화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50 No.-

        This study aims to inspect various aspects, possibilities of lives and the ways to understand human beings which novels during the liberation era showed. In South Korea during the liberation era, overcoming poverty and distribution of wealth were the most important economic agenda connected to the ideal goal of the building-independent-nation. However, senses about the ideal distribution and the need of survival were divided between official slogan which emphasized ‘the nation’ and private dimension, and were restructured each ways. Systems and decrees which US military government employed in South Korea during the liberation era caused terribly unstable and chaotic economic situation, which was called ‘the state of anarchy’ sometimes. Although the liberation era was represented as the period of political liberation which joyful emotion accompanied, economic chaos during the liberation era made the individual sense the vulnerability of the state. They questioned how to earn a living, how to protect and keep their lives which the state could not take care of. And they answered their own question in private ways. They could not internalize public perspectives about human beings and the world, systems, and regulations any more. New human types, new art of living, and new moral sentiments in contrast to the notion of ‘the nation’ appeared instead. In this respect, the liberation era w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The acts that abusing the law, cheating or swindling others were called the act of ‘Mori(謀利)’. ‘Moribae’(the profiteers, 謀利輩) as anti-national actors who pocketed national property and sabotaged the state-building were condemned and thought as main culprit behind economic chaos and difficulties. So-called ‘Moribae’ as anti-national actors were a new human type who appeared on chaos of new econoic-system formed in a dissolution of Japanese empire’s economic area and controlled economic system. The birth of ‘Moribae’ and the criticism to them show that the sense of economic moral and values changed remarkably. To put it concretely, these show a irreconcilable point between the sense of political moral justified in the name of ‘nation’ and the sense of economic moral justified by the need of survival. ‘Moribae’ as opportunistic human type were the heterogeneous beings made by social inequality. And the birth of ‘Moribae’ and the criticism to them formed an archetype of ‘Homo economicus’ which also exist today in South Korea. 이 글은 해방기 문제적으로 지목되었던 ‘모리배’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현실의 빈곤 타개와 분배라는 경제적 의제가 민족주권국가 수립이라는 이상태와 교묘히 결합되며 해방기 최대의 현안으로 부상했던 상황에서 이상적 분배와 생존을 둘러싼 감각과 의식이 ‘민족’이라는 공동의 구호와 사적인 차원에서 각기 새롭게 재구성되던 맥락에 주목하여, 해방기 문학에서 ‘경제’와 인간의 접속이 주조해냈던 삶의 양태와 가능성, 인간 이해의 양가적인 방식에 내재된 이데올로기를 해명하고자 했다. 해방 이후 남한에서 미군정이 운용했던 체제와 법령들은 ‘무정부 상태’라고 호명될 만큼 불안하고 혼탁한 경제 상황을 초래하였다. ‘민족’의 일원이라는 당위는 해방을 맞은 사람들에게 ‘정치적 주체’로 바로 설 것을 요구했지만, 당장의 호구지책과 경제적 안정을 보장해줄 수는 없었다. 정치적인 해방을 맞은 기쁨의 시기에 도래한 경제적 대혼란은 각 개인들에게 국가가 얼마나 허약하게 작동하는 구성물인지를 감각하게 해주는 동시에 그렇다면 국가가 지켜주지 않는 생명, 생계의 문제를 어떻게 자족적으로 유지해나갈 수 있는가에 대한 답안을 체득하게 만들었던 분기점이었던 것이다. ‘모리배’로 통칭된 ‘경제적 인간’들은 민족국가의 이상적인 ‘정치적 주체’로서의 역할에서 스스로를 탈각시키고, 생존과 치부를 최우선시하며 도모했던 인간형이었다. 당대의 담론은 모리배를 악질적인 ‘반민족자’로 규탄했지만, 동시대의 소설들은 ‘모리행위’에 대한 단죄보다는 그것을 불가피한 선택으로 형상화했다. 이러한 (반)도덕적인 소설들의 서사는 ‘정치적 해방’과 ‘경제적 파멸’을 분리하여 감각했던 당대의 양가적인 도덕감각의 분화와 균열을 정확히 포착한 것이었다. 한편 모리배를 해방기 경제 혼란과 민생고의 원흉으로 지목했던 당대의 담론은 경제 혼란을 안정시킬 실질적인 정책과 대안이 부재했던 상황에서, 이른바 절대악으로서 ‘모리배’들을 타자화함으로써 안정과 결속을 꾀했던 정치적 수사이자 전략이었다. 이른바 ‘반민족적 모리배’는 일본 제국의 경제권역과 통제경제체제가 해체되면서 도래한 경제 상황 속에서의 무질서와 혼란의 격류를 틈타 다수로 생성된 인간 유형이었고, 그 층위와 종류를 한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현상적인 동시에 수사적인 용어였다고 할 수 있다. ‘모리행위’라는 문제적 삶의 처세와 이에 대한 비판은 해방기 사회를 구성하던 개인들의 경제도덕 감각과 가치관의 중핵에 중대한 변이가 일어났다는 점을 방증한다. 모리배의 준동을 규탄하는 당대의 목소리들은 공동체 구성원들의 도덕률의 변화를 기민하게 포착하고 이를 재조정하려던 움직임이었다. 공동체의 윤리가 더 이상 개인 삶의 내밀한 층위에서 합치되지 못하고, 그 좌절과 어긋남이 본격화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 도덕감각의 분화는 ‘민족’이라는 이념을 경유하여 도덕적 헤게모니를 구축하고 모리행위를 규탄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치부의 욕망을 성취할 수 있는 가능성이 현시되었던 해방기라는 도덕적 전환기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 ‘반민족적’ 선택은 민족공동체의 일원이라는 정치적 주체로서의 상상적 기입이 각 개인에게 최소한의 생존과 안전에 대한 보장조차 해줄 수 없는 허위라는 사실을 인지한 사람들이 새롭게 수행할 수 있는 꿈의 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