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 교통 전시 박물관의 현황과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김정범 ( Kim Jung-bum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5 No.-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교통안전 교육은 중요한 정책적 화두 중 하나로, 정부는 여러 지역에 지속적으로 교통안전 교육을 위한 체험시설을 설립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체험 방식으로 어린이 교통안전 교육이 이루어지는 교통 전시 박물관의 역할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어린이 교통 전시 박물관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어린이를 대상으로 교통문화 관련 체험을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시설과, 교통수단과 관련된 전시 박물관에서 제공하는 어린이를 위한 공간 및 프로그램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써, 향후 국내에 건립되는 어린이 교통 전시 박물관 및 체험시설의 구성과 전시 방향을 제시하였다. 국내에는 어린이 전용의 교통 전시 박물관이 부재하므로 전 연령층을 위한 교통 전시 박물관의 일부로 운영하는 어린이 교통 전시 박물관과 전시보다 체험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는 체험시설 5개를 선정하여 시설별 운영방식과 체험전시 사례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국내 어린이 교통 전시 박물관의 전시방식은 대부분 상설전시에 체험과 관람을 함께 하는 방식이었고, 실물과 모형 전시, 패널과 영상 활용, 체험을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물리적ㆍ기술적 제약이 크지 않은 일부 시설에서는 3D나 4D 시뮬레이터,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등의 체험전시 유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어린이 교통 전시 박물관의 발전을 위해서는 첫째, 어린이를 위한 맞춤형 전용 체험전시 공간을 마련하여야 하며, 둘째, 현장 체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전시 연출 방안을 모색하여야 하고, 셋째, 어린이 교통 문화 체험 및 교통안전 교육 분야에 대해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연구하고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education of transportation safety for children is one of the important policy issues in many countri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been establishing experiential facilities in many of the regions in South Korea for transportation safety education. In this context, the role of the transportation exhibition museums, where experiential child transportation safety education is provided, becomes more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facilities where comprehensive transportation culture-related experience is provided to children and the spaces or programs for children that are provided by such exhibition museums related to the modes of transport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such children’s transportation exhibition museums, with a view to providing the future direction for the composition of the transportation exhibition museum for children and related experiential facilities to be built in South Korea in the future and their exhibitions. There is no dedicated children’s transportation exhibition museum in South Korea. For this reason,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ases of the children’s transportation exhibition museums operated as a part of transportation exhibition museums for all age groups and five experiential facilities which are more focused on experiential education rather than an exhibition to review how they are operated and their experiential exhibition programs.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hibition method for the transportation exhibition museums for children in South Korea, in most cases, combined exhibition and experiential programs, composed of the exhibitions of live objects, models, panels, and videos, joined by experiential programs. Some facilities with less physical/technological restrictions were found to be utilizing experiential exhibition types, such as 3D, 4D simulators or augmented reality simulators, etc.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children’s transportation exhibition museums, first, it would be necessary to secure dedicated experiential exhibition spaces for children; second, effective exhibition production strategies must be sough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field experience; and, third, continued efforts to study the contents for transportation culture experience and transportation safety education and train experts in these fields will be essential.

      • KCI등재

        체험형 전시연출 기법 활용에 관한 연구

        장은경(Eun Kyung J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4

        최근 전시공간은 관람자가 흥미로운 접근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전자기술을 도입하여 이용자가 주체가 되는 공간을 만들고 있다. 이에 전시기법 및 연출이 적극적인 관람자의 참여를 전제로 하는 체험형 전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엑스포 또한 기존의 주제별 분류를 통한 전시물의 단순 관람형 전시연출에서 벗어나 관람객이 직접 참여하고 체험하는 공간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으며, 제천국제한방바이오엑스포에서는 체험형 전시를 활용함으로써 적극적인 관객참여 형태의 전시연출을 표현한 성공사례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체험형 전시개념과 연출기법을 소개하고, 이를 제천국제한방 바이오엑스포에 적용하여 체험형 전시기법을 통한 전시연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체험형 전시연출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체험형 전시의 개념 및 분류, 기능과 역할을 살펴본 후, 제천국제한방바이오엑스포의 체험전시 사례를 분석한다. 체험전시 사례 분석은 체험형 전시 연출방법을 토대로 엑스포에서 실제 사용한 조작식 전시, 인터렉티브 전시, 참여 전시, 시연 전시, 실험 전시, 현장체감형 전시로 구분하여 각각의 연출방법 및 전시장에서의 활용방법을 나타낸 후 시사점을 제안한다. 향후, 전시연출은 전시품을 전시공간을 통하여 관람객에게 체험하게 함으로써 관람객이 전시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체험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시기술과 창의적인 기획을 적절하게 융합시켜야 하며 전시 연출환경을 체험하는 관람객을 연결해 줄 수 있는 체험형 전시연출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Lately the exhibition space is making the space where the user can take the main body that in order to make the viewer`s interesting approach by the introduction of the various information & electronic techniques. Consequently, the experiential exhibition on the assumption that the active viewer`s participation is the strongest part of the exhibition techniques and directing. Expo also has deviated from the simple viewing exhibition directing through the exist subject classification and is changing to the space where the viewer can take a part and experience directly, and so Jecheon International Oriental Medicine Expo can be said that the successful case that expressed the exhibition directing of active viewer`s participation form by the use of the experiential exhibi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experiential exhibition concept and directing techniques and apply it to Jecheon International Oriental Medicine Expo and try to seek the solution for the exhibition directing through the experiential exhibition techniques. The scoping study is the examination for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the experiential exhibition, the function and roles through the theoretical study and after then, the analysis for the experiential exhibition instances of Jecheon International Oriental Medicine Expo. The analysis of the experience exhibition instances are divided to the controlled type exhibition, interactive exhibition, participation exhibition, demonstration exhibition, experiment exhibition, interactive site exhibition that used actually in Expo based on the experiential exhibition directing method, and the these each directing method and how to use in the exhibition are proven and suggestions are offered. In the future, the exhibition directing make the viewer to experience the exhibits in the exhibition space and due to this the viewer will obtain the information through the experiment that they participate actively in the exhibition. To this aim, the exhibition technique and the creative plan should harmonize appropriately and study constantly for the experiential exhibition directing which can connect the viewers who experience the exhibition directing environment.

      • 유아체험 전시관에 대한 요구조사와 효과적인 체험학습 방안 연구

        이순자 ( Soon Ja Lee ) 영유아교육학회 2010 영유아교육연구 Vol.13 No.-

        본 연구는 대구시 유치원교사 182명과 학부모 343명을 대상으로 유아체험전시관의 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도를 분석하고 체험전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체험학습 장소는 작년체험학습 관련문서를 통해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시물 위주의 체험학습 프로그램이 이루어졌다. 유아체험관에 대한 태도는 매력성과 효과성 및 효율성이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며, 유아교사보다도 학부모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유아체험전시관의 실태는 학습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5점 만점에 교사 3.86 학부모 3.84로 운영이나 공간에 대한 만족 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체험전시관에 대한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학부모는 운동과 심신수련, 교사는 생태와 환경 보존체험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체험학습장소 선정은 다양한 체험활동 프로그램의 여부가 가장 높게 나타나 체험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오감으로 체험하는 활동의 요구도가 높았다. 문제점으로는 학부모는 뚜렷한 테마가 없는 형식적인 체험 전시관을 교사는 안전에 대한 문제점을 꼽았다. 조사결과 체험학습은 매력성이나 효과성은 인식하나 가까운 곳에 유아교육기관과 연계되는, 지속적이고 다양화된 프로그램의 에듀테인먼트파크 구축이 절실함을 나타내었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is real condition of child experiential exhibition Hall, satisfaction, requirement and to find experiential exhibition ways by survey of182 kindergarten teachers and 343 school parents. 1) There is a shortage of Child Experiential Learning places. Experiential Learning place is selected by related document of last year and the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is made by mainly displayed exhibition. 2) The attitude of the child experiential exhibition hall is positive in attraction and effectrealm. The satisfaction of learning program is more higher than the management or the spaces. The teacher`s satisfaction is 3.86 and the parents satisfaction is 3.84. 3) The parents demand more exercise and mind training, the teachers asks the ecology and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to experiential exhibition hall. The selecting of experiential learning places depend on the diversity of programs. The parents indicate the formalness, the teachers indicate the safety as a problem. Edutainment park that is nearby location, connected with child education institution, included continuous and various programs should be constructed.

      • KCI등재

        커피전시박람회 관람체험, 관계품질 및 행동의도의 구조적 관계 연구

        김정인,임채관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어가는 우리나라의 커피문화와 급속도로 성장하는 커피산업 등을 고려하여 커피전문점의 장기적 영위와 직접적인 연계성을 지닌 고객의 행동의도를 파악하고자 관람체험, 관계품질 및 행동의도의 영향 관계를 구조방정식 경로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람체험의 오락적 체험, 교육적 체험 및 심미적 체험은 관계품질의 몰입과 신뢰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람체험의 일탈적 체험은 관계품질의 신뢰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관계품질의 몰입과 만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관계품질의 몰입, 만족 및 신뢰는 행동의도의 재관람의도와 방문의도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가 갖는 의미는 첫째, 커피전시박람회에 참여하는 업체는 관람객에게 체험요소 중 일탈적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아이디어나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커피전시박람회의 관계품질을 통해 커피전시박람회의 재관람과 커피전시박람회 참여업체를 방문하고자 하는 관람객의 방문의도는 높아짐을 인지하여 커피전시박람회 주최 측은 커피전시박람회 참여업체의 관계품질 고취를 위한 서비스제공과 전시박람회의 환경개선에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커피전시박람회 참여업체와 주최 측은 전시박람회 환경의 지속적인 개선과 커피와 관련된 지식전달 및 최신의 커피 트랜드 소개 등의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진행과정에서 나타난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커피전시박람회 규모나 관람객의 수가 서울, 부산 및 대구와 같은 대도시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있는 현실적 한계성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국내 중소도시에서 개최되는 커피전시박람회의 관람객의 설문참여도를 높여 보다 객관적인 정량적 분석을 할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In this study, in consideration of Korea's continuously expanding coffee culture and the rapidly growing coffee industry, the relationship between viewing experience, relationship quality, and behavioral intention was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path analysis to grasp the behavioral intention of customers who have a direct connection with the long-term operation of coffee shop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ntertainment experience, educational experience, and aesthetic experience of the viewing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immersion and trust in the relationship quality.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deviant experience of the viewing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trust of the relationship quality. Still, the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immersion and satisfaction of the relationship quality. Second, it was found that immersion, satisfaction, and trust in relationship qua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both the intention to revisit and the intention to visit. The meaning of the above research results is, first,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coffee exhibition need to develop ideas or programs that can provide deviant experiences among the experience factors to visitors. Second, the coffee exhibition organizers should make efforts to provide services and improve the exhibition's environment to promote the quality of relationships among coffee exhibition participants and to promote the quality of relationships among coffee exhibition participants, recognizing the increased intention of visitors to visit coffee exhibition participants through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Third, coffee exhibition participants and organizers should continuously improve the exhibition environment, transfer coffee-related knowledge, and introduce the latest coffee trends. The limitations revealed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practical limitation in that the size of coffee exhibitions and the number of visitors are studied mainly in large cities such as Seoul, Busan, and Daegu. Therefore, in future studies, it is hoped that more objec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can be conducted by increasing the survey participation of visitors to coffee exhibitions held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Korea.

      • KCI등재

        체험요소를 적용한 인물기념관 전시연출에 관한 연구

        이성숙,이경화,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6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 날 여가 시간이 증대되고 생활 패턴이 변화하면서 대중들의 문화 의식과 문화 수준이 향상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의 흐름에 발 맞춰 인물기념관 또한 특정인물을 추모하고자 유품, 어록 등을 전시하는 일방적 공간에서 정보와 교육을 적극적으로 교류하는 체험적 공간으로 점차 변화되고 있다. 이 때, 파인과 길모어의 체험경제론은 전시연출에 있어 더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오락적·교육적·일탈적·심미적 요인이 적용된 전시 공간에 관람자 스스로가 전시를 즐기고 몰입하는 것을 확인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체험경제론의 체험요소가 적용된 인물기념관의 전시유형별 연출 방법을 도출하여, 더 많은 관람자에게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기억에 남는 인물기념관 공간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된 문헌연구를 통해 체험경제론과 인물기념관을 이론적 고찰한다. 둘째, 사례분석 단계로서 파인과 길모어의 체험경제론을 적용한 인물기념관 사례를 분석하여 인물기념관의 효과적 전시연출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사례 대상 선정 기준은 최근 체험요소를 가장 활발히 적용하고 있어 체험경제론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인물기념관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사례분석으로 도출된 결과를 정리 및 해석하고 인물기념관의 전시연출 방향을 제안한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능동적 참여 유형의 국내 인물기념관은 실험학습형 전시가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참여유도형·현장체감형 전시 비율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수동적 참여 유형의 국내 인물기념관은 정지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전시유형이 높게 나타났으며, 국외 인물기념관은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체험경제론의 구성요인(4Es)의 국내 인물기념관은 일탈적·심미적 요소를 함께 갖춘 구성요인은 찾기 어려우며 주로 오락적·교육적 요소를 많이 사용했다. 국외는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교육적·일탈적 요소가 오락적·심미적 요소보다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넷째, 체험요소의 세부적 특성(8Es)은 국내 인물기념관은 탐구성이 비교적 낮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국외는 전체적으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오락성·관계성·참여성이 비교적 높은 비율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두 가지로 도출 할 수 있다. 첫째, 앞으로의 전시연출 방향성은 체험요소 중 탐구성을 기반으로 한 전시연출이다. 직접적·간접적 체험 활동을 통해 인물에 대해 관찰하고 탐구하도록 유도한다면 관람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성취의욕을 고취시키는데 적적한 동기부여가 될 것이다. 둘째, 국내외 모두 오락적·교육적 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최근에 지어진 기념관일수록 심미적·일탈적 요인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나 모두 오락적·교육적 요인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상태였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기념관의 전시연출 방향을 토대로 향후 기념관 설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보다 활성화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of Research) As the leisure time increases and the patterns of life change today, the cultural awareness and cultural level of the public are improving. In line with the trends of society, the People Memorial Hall is also gradually changing from a one-sided space where exhibitions of items are displayed in order to people’s memorial exhibitions, to an experiential space where information and education are actively exchanged. At this time, the experience economy theory of Pine and Gilmour can present clear direction in exhibition. This study will suggest a design guide for the spaces of memorial halls, which will draw further attention and interest from a wider audience. (Research Method) This study will analyze cases of memorial halls that applied experiential economics, and propose an effective direction for memorial exhibitions. First, the theories of experiential economy and memorials will be examined theoretically through literary studies. Second, we will analyze cases of people’s memorials that applied Pine and Gilmore experience economy theory, to understand the effective direction for people’s memorial. Third, we will examine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es and provide guidelines for people’s memorial exhibitions. (Result) First, the domestic people’s memorial hall with the active participation type showed the lowest rate of experiment learning type exhibition, and it was evaluated that the exhibition ratio of participatory induction type and field experience type was relatively high. Second, the passive participation type domestic people’s memorial hall showed the highest rate of all exhibition type except the still image. Thirdly, The domestic people’s memorial hall, which is a component of the experiential economics theory, has difficulty in finding a constituent factor that combines an aberrant and aesthetic factor, and mainly uses entertainment and educational elements. Fourth,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tial factor are the domestic people’s memorial hall has a relatively low rate of exploration, and a high percentage of the overseas. Among them, entertainment, relationship, and participation were analyzed at a relatively high rate. (Conclusion) First, Future exhibition direction is exhibition based on exploration of experience elements. If we encourage them to observe and explore the characters through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activities, they will be motivated to stimulate the curiosity of viewers and motivate them to achieve. Second, entertainment and educational factors were high both at home and abroad. The more recent memorials were occupied by aesthetic and deviant factors, but all of them were based on recreational and educational factors.

      • KCI등재

        기록콘텐츠 기반의 아카이브 전시 활성화 방안

        서은경,박희진 한국기록관리학회 2019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9 No.1

        아카이브 전시는 아카이브의 가치를 높이고 이용자의 관심 및 긍정적인 이미지를 높이는데 기여하는 아카이브의 중요한 업무 중 하나이지만, 아직까지도 활성화가 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기록콘텐츠를 이용하여 일방적인 정보전달식의 아카이브 전시에서 벗어난 이용자의 관심과 이해를 이끌어낼 수 있는 새로운 전시방안을 시도하고 모색하는 움직임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문화유산 기관의 전시 사례들을 종합 분석하여 기록콘텐츠를 활용한 아카이브 전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록콘텐츠를 통하여 기록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증진하는 방안에 초점을 두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아카이브 전시프로그램 개발 전략은 3-way 콘텐츠 기반 전시, 체험 기반 전시, 디지털 환경 기반의 아카이브 전시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이용자의 관심과 이해를 이끌어낼 수 있는 아카이브 전시프로그램 설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rchive exhibitions are one of the important tasks of archives that promote the value of archives and contribute to increasing users’ interest and positive image but have not yet been activated. Recently, there has been a shift from a one-way archive exhibition to a new way to draw attention and understanding from users by using archival contents. This study aims to propose ways to activate archive exhibitions by utilizing archival contents by analyzing the exhibits of domestic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Focusing on way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records through archival contents, the proposed strategy for developing archive exhibition programs is a three-way contents-based exhibition, experiential exhibition, and digital environment-based exhib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develop archival exhibition programs that will enhance users’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records.

      • KCI등재

        융복합 전시의 체험요소가 관람객의 관람동기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윤여선,박좌용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0 조형디자인연구 Vol.23 No.4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enters, the concept of 'Convergence Art' has emerged, applying various media and technologies, and reflecting the changes in the culture and art industry. As research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vergence exhibitions and interaction of visitors are continuing, this study was also focused on this. In this study, experiential factors are defined in the convergence exhibition, and the effect on the visitor motivation and satisfaction is verified.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lan for execution of exhibition planning for visitors in Interactive exhibi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isitors of the exhibition, and applied and studied the factors of visitor motivation as an additional parameter based on the existing experiential factors theoretically. As a result of checking through this analysis,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visitor motivation factors used in this study are very useful variables. In the Interactive exhib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visitor motivation actually affects the satisfaction level. This study discussed conclusions and significance in that it was an early study in which the visitor motivation was used as an indirect route in accordance with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art in a convergence exhibition. 제4차 산업 시대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매체와 기술을 적용하며 문화예술산업에도 변화에 따라 이를 반영한 ‘융복합 예술’ 개념이 등장하고 있다. 국내외 융복합 전시와 관람객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기에 본 연구도 이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융복합 전시에 있어서 체험요소를 정의하고 관람객의 관람동기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인터랙티브(Interactive) 전시에 있어서 관람객에 대한 전시기획 실행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시 관람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기존의 체험요소를 이론적 바탕으로 두고 추가로 매개 변수인 관람동기 요인들을 적용 연구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본 연구에서 이용한 요소에서 관람동기 요인들은 매우 유용한 변수로 적용됨이 검증되었다. 인터랙티브 전시에서 관람객의 관람동기는 실질적으로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융복합 전시에서 예술의 체험적 특성에 맞게 관람객의 관람동기가 간접경로로 사용된 초기의 연구라는 점에서 결론 및 의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어린이박물관 전시분석 : 진단과 전망

        오명숙 한국콘텐츠산업학회 2023 콘텐츠와 산업 Vol.5 No.2

        본 연구는 체험전시를 비고츠키의 이론으로 분석한 뒤 전시개발의 주요 기준을 제시코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교육 비평의 관점과 질적 사례 연구방법을 취하였 다. 분석대상 전시로는 주요 국공립 어린이박물관의 전시 중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특성을 반영한 전시를 선정했다. 분석대상 어린이박물관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서울상상나라로 하였다. 이들 중 분석대상 전시는 상설전에서는 가장 인기있는 전시물을 택하였고, 특별전 중에서는 새로운 시도를 보인 전시로 개발자의 의도에 주목하여 선정하였다. 이들 전시에 대한 분석틀과 단위는 놀이규칙과 의미체계, 감정체계였다. 분석결과, 놀이규칙의 개발 기준에는 절차적 지식 과 핵심개념, 창조적 활동 및 몰입상태가 포함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의미체계 개발기준에는 상황설정 및 의미의 재구성, 자아존종감과 조망능력이 필요하고, 마지막 감정체계 개발기준에는 중재와 촉진, 상호이해의 감수성만이 아니라 경청과 공감이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체험전시개발의 주요 기준은 첫째, 어린이의 현실 세계 인식을 통한 사고력 향상에 두어야 하고, 둘째, 개발자들의 전시콘텐츠에 대한 재 해석이 필요하며, 셋째, 관람자 간 활발한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상상’의 접촉지대를 전시에 배치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한정된 체험전시 분석이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고, 반면 의의라면, 어린이 박물관 체험전시의 교육학적 분석과 재해석에 있다. This study tried to present the main criteria for exhibition development after analyzing experiential exhibitions with Vygotsky's theory.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criticism and the method of qualitative case study were taken. Among the exhibitions in major national and public children's museums, exhibitions that reflect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as the exhibitions to be analyzed. The children's museums analyzed were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nd the Seoul Sangsang Nara. Among them, the most popular exhibits were selected for the permanent exhibition, and among the special exhibitions, the exhibits that showed new attempts were select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developer's intention. The analysis framework for these exhibitions was set in three units. It was the rules of play, the semantic system, and the emotional sys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 criteria for play rules should include procedural knowledge, core concepts, creative activities, and state of immersion. Situational setting and meaning restructuring, self-esteem and perspective ability were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criteria of the semantic system, and listening and empathy as well as mediation, facilitation, and sensitivity for mutual understanding were required for the final criteria for the development of the emotional system.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main criteria for developing experiential exhibitions are, first, the improvement of thinking ability through children's perception of the real world, second, the need for developers to reinterpret exhibition contents, and third, active interaction between viewers It turns out that the contact zone of 'imaginary' that arises should be placed in the exhibition.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is an analysis of limited experiential exhibitions, but on the other hand, it is meaningful in terms of pedagogical analysis and reinterpretation of experiential exhibitions in children's museums.

      • KCI등재

        과학관 전시에 있어서 관람자 몰입경험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가빈 ( Han Gabin ),최익서 ( Choi Ikse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과학관은 전시물을 통해 과학기술과 다양한 분야의 발전을 보여주는 공간이다.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현대 과학기술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융합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ᅠ예술(Arts), 수학(Mathematics)의 교과목을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STEAM 융합교육이 강조되며, 과학전시에서도 다양한 방식의 과학 커뮤니케이션이 요구되고 있다. 때문에 과학전시 기획자는 다양한 매체, 공간을 통해 과학적 지식을 흥미로운 콘텐츠로 기획하여 선보이며 자연스러운 학습 분위기 속에서 몰입을 이끌어 관람자로 하여금 즐거운 학습경험을 느끼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전시에서 학습에 기반한 관람객의 통합적 경험의 필요성과 경험의 단계에 따른 구체적 활동요소를 확립하고,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몰입환경을 분석하여 이를 실제 과학전시 기획과정에서 관람객의 몰입경험을 설계하기 위한 통합적 경험설계 방법을 모색한다. (연구방법) 대표적 비형식 학습공간인 과학관에서의 단계적 학습과정과 학습의 효과적 수단으로서 과학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과학전시에서 관람객 경험의 특징에 대해 분석한다. 이러한 특징을 반영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경험의 구조적 특징과 창조적 사고를 위한 관람객의 단계적 활동요소를 도출하고, 효과적 학습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3가지(직관적, 사고적, 통합적 체험) 단계와 그에 따른 13가지(인지적, 감각적 경험)의 구체적 활동요소로 구조화 한다. 또한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몰입환경의 조건을 살펴보고 이를 종합한 ‘관람객 통합적 몰입경험 구조’를 제시하며, 국립과천과학관의 실제 기획전시를 사례로 삼아 관람객 경험 특성분석을 통해 과학전시 기획과정에서 관람객 경험설계 방법을 구체화한다. (결과) 과학전시에서 관람객은 학습의 관점에서 자신의 경험을 연결하여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전시 기획자는 관람객 스스로가 적극적인 탐구와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인지와 감각을 자극하는 복합적 경험을 제공하고, 적절한 수준의 참여기회를 주어 몰입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이를 위한 직관-사고-통합의 단계적 경험은 과학적 정보의 이해과정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험의 과정에서 인지적, 감각적 활동요소의 반복은 경험의 축적과 성장을 통해 관람객이 정보를 이해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통합적 이해의 단계로 확장시킬 수 있다. (결론) 과학전시에서의 관람경험은 학습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관람자가 보고, 듣고, 만지는 등의 인지, 감각적 참여를 통한 경험은 오랫동안 기억에 남고 효과적인 학습으로 연결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통합적 몰입경험 구조’는 과학전시를 통한 지식 전달과정을 관람자의 통합적인 경험의 과정으로 이해하고 구조를 확립하였다. 과학적 개념과 정보를 단순히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 창조적인 사고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고 과학적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관람객의 경험을 통합적으로 바라보고 구체적 활동요소를 짜임새 있게 구성하기 위한 하나의 전시기획 방법론으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Contemporary science museums are spaces that provide a window in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and various fields through the materials on display. Additional emphasis is placed on STEAM convergence education, which takes an integrated approach to curriculums of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to increase interest in and understanding of rapidly developing contemporary science technology and expand the convergence thinking power. Furthermore, various type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is required even for science exhibition. Therefore, science exhibition planners need to plan and showcase interesting content of scientific knowledge through various media and space and induce immersion in a natural learning atmosphere to ensure pleasant learning experiences for the visitor. Thu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stablish a specific activity that could accommodate the visitor’s need for an integrated experience and the phase of experience based on learning at science exhibitions and to analyze the immersion environment necessary for offering an optimal experience, which can be provided as an integrated experience structure for immersive experiences of visitors at science exhibitions. (Metho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museums and science exhibitions, and on this basis, analyze the phase of specific experience necessary for immersion of the visitor. To this end, w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science exhibitions differentiated from other museum exhibitions and considered the need for an integrated visitor experience by investigating the phased process of science learning and scientific communication in the non-formal learning space.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we established a framework for phased structure of an intuitive, thoughtful, and integrated experience with regards to the phase of experience of the visitor, and derived activity elements of specific experience accordingly. Moreover, we examined the conditions for an immersion environment necessary to provide an optimal experience and presented the integrated immersive experience by taking such an environment into overall consideration. (Results) Science exhibitions need to allow visitors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by linking their experience from a learning perspective. Thus, exhibition planners should provide visitors with multi-faceted experiences that stimulate their cognition and senses to allow them to interpret and understand on their own, and create an immersion environment by providing visitors with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at a proper level. If such experiences are accumulated continuously, they will be able to uncover their relationship or laws and gain a truly integrated understanding.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an exhibition planning method through an “integrated immersive experience structure.” This study hopes that such process will help not only merely convey scientific concepts and information but also form new meanings. Furthermore, it can be used as a methodology for exhibition planning to create activity elements conducive to developing a scientific attitude.

      • KCI등재

        Developing Experiential Exhibitions Based on Conservation Science Content of Bronze Mirror

        Jo, Young Hoon,Kim, Jikio,Yun, Yong Hyun,Cho, Nam Chul,Lee, Chan Hee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 2021 보존과학회지 Vol.37 No.4

        In museums, exhibition content focuses mostly on cultural heritage's historical values and functions, but doing so tends to limit visitors' interest and immersion. To counter this limitation, the study developed an experiential media art exhibition fusing bronze mirrors' traditional production technology and modern conservation science. First, for the exhibition system, scientific cultural heritage contents were projected on the three-dimensional (3D) printed bronze mirror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motion recognition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and the projector. Then, a scenario of 17 missions in four stages (production process, corrosion mechanism, scientific analysis and diagno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and restoration)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temporal spectrum. Additionally, various media art effects and interaction technologies were developed, so visitors could understand and become immersed in bronze mirrors' scientific content. A user test was evaluated through the living lab, reflecting generally high levels of satisfaction (90.2 points). Qualitative evaluation was generally positive, with comments such as "easy to understand and useful as the esoteric science exhibition was combined with media art" (16.7%), "wonderful and interesting" (11.7%), and "firsthand experience was good" (9.2%). By combining an esoteric science exhibition centered on principles and theories with visual media art and by developing an immersive directing method to provide high-level exhibition technology, the exhibition induced visitors' active participation. This exhibition's content can become an important platform for expanding universal museum exhibitions on archaeology, history, and art into conservation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