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각론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정창희,손정우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3 科學敎育硏究誌 Vol.47 No.2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서 초등교사들이 과학 수업을 준비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각론은 중요하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를 개발하는 데 시사점을 얻기 위해서는 지도서 각론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조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각론의 구성 요소와 디자인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개발하여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초등교사들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지도서 각론의 구성 요소별 필요성, 만족도와 활용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지도서 각론의 구성 요소와 디자인 등에 관한 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수업 준비와 진행에 도움이 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해 초등교사들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초등교사들은 수업에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배치와 가독성 높은 디자인 구성을 원하였다. 결론적으로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각론은 과학 교수·학습에 필요한 수업 준비, 수업 흐름, 교수·학습 자료 등을 한눈에 파악하고, 가독성 높게 구성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초등교사들이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교과용도서가 될 수 있게 새로운 접근과 시도를 해야 할 것이다. In a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 the guide in details that can help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difficulties when preparing and conducting science classes are essential. To gain insights into the development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guide in detail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by analyzing the components and design of a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 in details to explo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For this purpose, we first investiga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needs, satisfaction, and the utiliz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current guide in details. Next, we investigated teachers' needs regarding the specific components and design of a guid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delighted with the components that help them prepare and conduct lessons.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nted an easy-to-read design with a layout that allowed them to see the components they needed for their lessons at a glance. In conclusio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 in details to be readable and organized to provide at-a-glance information on lesson preparation, lesson flow,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needed for science teaching-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new approaches and attempts should be made to develop a textbook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n utilize in the future.

      • KCI등재

        통합 교육과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이효녕,오영재,권혁수,박경숙,한인기,정현일,이성수,오희진,남정철,손동일,서보현,안혜령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1 敎員敎育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integrated instruction and integrative STEM education and to draw recommendations for introducing integrative STEM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216 elementary school in-service teachers in Daegu-city and Kyungbuk provi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ive instruction among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had not been implemented well because of their burden for the integrative instruction and insufficient research with respect to the relevant integrations among school subjects. Seco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esented positive perception toward integrative instruction because it can help students apply concept or ability to real-life situations and increase students' creative thinking. They also recognized the need to extend the idea of integrative instruction in their classrooms. Thir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utilized only certain types of integrative instruction and were not sufficient in their competency to apply relevant integrative instruction models. Four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not fully aware of integrative STEM education, but have perceived positively about the need. Fif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esented perceived reasons for implementing integrative STEM education: Increasing students' creativity and thinking skills and cultivating application skills in real life. Six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at educational programs'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were firstly needed for introducing integrative STEM instruction and their understanding toward integrative STEM instruction was significantly needed. Seven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consented the integrative STEM education programs based on science subject because that could be applied to various subjects. Eigh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perceived that integrative STEM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with several concentrations to promote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solving, learning interest for STEM-related subjects, and relevance with real life. Finally,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expected positive impact on developing human resource in the fields of science and technology through integrative STEM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통합 수업과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통합 STEM 교육을 도입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와 경북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216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제작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서는 교과 간 통합 수업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그 원인은 통합 수업 준비에 대한 부담, 교과 간 관련성에 대한 연구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 교사들은 통합 수업에 대하여 개념이나 기능의 전이가 용이하기 때문에, 창의적인 사고력과 실생활에서의 적용력을 기를 수 있기 때문에 등의 이유로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합 수업 비중 확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초등 교사들은 교과 간 다양한 통합 수업의 유형에 대해서는 일부 유형만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통합 수업 유형을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통합 STEM 교육에 대하여 초등 교사들은 잘 모르고 있으나 필요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 교사 들은 통합 STEM 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하여 창의력과 사고력 배양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실생활에서의 적용력을 기를 수 있기 때문에 순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통합 수업에 대한 생각과 일치하였다. 여섯째, 초등 교사들은 통합 STEM 교육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통합 STEM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과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이해가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일곱째, 초등 교사들은 통합 STEM 교육 프로그램은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에 찬성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고 그 이유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여덟째, 초등 교사들은 통합 STEM 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적인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증진, STEM 관련 교과에 대한 학습 흥미 증진, 실생활과의 관련성의 순으로 중점을 두어 개발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 교사들은 통합 STEM 교육이 과학기술 분야 인재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텃밭 가꾸기 교사 연수의 방향성 탐색

        이보람,김기대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교사교육연구 Vol.5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ientation of gardening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cusing on biodiversity, and how to activate the diversity of gardening with native plants in the school garden. There were a total of nine participants in the study, including high-career teachers with experience in training, young teachers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appointment,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jor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the data being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analysis of existing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current status of training courses related to garde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need for training accordingly. Biodiversity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rare even after environment education training. Gardening was included as a small portion of this training with the main focus being on gardening skills. Since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must distributed basic knowledge and concepts about biodiversity throughout many subjects, it is difficult to emphasize biodiversity without teacher intention and professional knowledg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nhance teacher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professionalism which can be achieved by expanding the gardening train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training teachers in gardening has great environment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erms of urban biodiversity and ecological well-being, gardens are a great place to provide environmental education such as sustainability and biodiversi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here environmental education is not a separate subject. Gardening education can be a good mea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ould also be linked to promoting and educating students of mental health and well-being. Third, the direction of the training for the gardening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centered on environmental education was explored. It was hoped that the purpose of the training, improvement of the contents system and training method, implementation of the training materials,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aspects of the training policy, and the basic data of the gardening training program centered on environmental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uld b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t is not too much to repeat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several times, but at present, environmental education training is extremely insufficient compared to its necessity. Additionally, the current school gardening training is emphasized in the technical aspect of gardening, and now it is time to change the focus. It can be a very appropriate means to cultivate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rather than simply focusing on knowledge of the environment. If we provi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aithfully with the training of gardening centered on environmental education, we will be able to provide environment educatio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very effectively.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 대상의 학교 텃밭 가꾸기 연수의 주안점을 생물다양성 교육 중심으로 하기 위하여, 텃밭 가꾸기 연수 활동을 텃밭에 자라는 토종 식물을 이용한 생물다양성 교육으로 방향 전환을 하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집단은 연수에 경험이 많은 교사, 발령 5년차 이내의 교사, 환경교육 전공의 초등교사 등, 총 9명이었으며, 자료는 면담 및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 대상 생물다양성 및 텃밭 관련 연수의 현황을 알아본 결과 생물다양성 교육 연수는 거의 없었으며, 텃밭 가꾸기 연수는 비교적 실시되었으나 연구 내용이 텃밭을 가꾸는 원예 기술에 집중되어 있으며, 생물다양성 교육에 관련된 연수는 없었다. 특히, 초등학교 과정에서 생물다양성에 대한 기본 지식과 개념들이 여러 교과에 분산되어 있어 교사의 전문성 제고와 환경 감수성 신장을 위해 텃밭 가꾸기 활동을 이용한 생물다양성 교육 연수가 꼭 필요하다. 둘째, 환경교육 교과목이나 시간이 정해지지 않은 초등학교에서 텃밭 가꾸기 활동은 매우 효과적으로 지속가능한 교육을 할 수 있으며, 생물다양성 교육 활동을 위한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 셋째, 현재 실시하는 학교 텃밭 가꾸기 연수에서 정원 가꾸기와 관련된 기술적 측면이 강조되고 있는 것을 텃밭에 자라는 토종 식물의 다양성에 대한 내용으로 전환하면, 초등교사 대상 생물다양성 교육을 중심으로 한 텃밭 가꾸기 연수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가 인식한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 탐색

        고재천(Ko Jae Ch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이 지 각하는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에 대한 개념적 구조와 중요도는 어떠한가이다. 이를 위해 K광역시 소재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학급담임 교사 15명을 대상으로 개념 도 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은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을 교사-학생과 지도- 지원의 두 차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은 4개의 군집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부진학생의 학습 의욕과 능력 부족, 학부모의 관심 저조, 교사의 열의 부족 및 지도여건 미비, 학교의 지원체제 미흡이었다. 셋째,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에 대한 4개 군집별 중요도 의 차이는 그리 크지 않았으나, 교사의 열의 부족과 지도여건의 미비 요인과 학교의 지원체제 미흡 요인보다 학습부진학생의 학습 의욕과 능력 부족 요인과 학부모의 관심 저조 요인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이 인식한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은 학습부진학생 자신인 학 생, 학부모, 교사, 그리고 학교의 요인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 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은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과 관련하여 교사 요인과 학교 요인보다는 학습자 요인과 학부모 요인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이 연구가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가 인식하는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에 대한 개 념적 구조를 밝혀 줌으로써 학습부진학생 지도 관련 이론의 정립과 이와 관련된 정 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perceived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s using concept mapping methods.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at the conceptional structures are and what importance of the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a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are. This study analyzed data taken from interviews with 15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in two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s a result, 45 final statements were extracted and 15 participants classified and rated them. The methods of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were employed to estimate and categorize the dimensions and factors of stat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recognized this difficulties as ‘teacher-student dimension and ’instruction-support dimension. Second,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were recognized in four clusters: lack of motivation and ability of underachievers, poor attention of parents, lack of teacher’s passion and instructional conditions, and lack of support systems in school. Third,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perceived difficulties of ‘lack of motivation and ability of underachievers’ and ‘poor attention of parents’ were highly appreciat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at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perceived four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s were related with factors such as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schools.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were more highly important the difficulties of students and parents factors than other factors of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last, this study will provide appropriate basic data to identify the conceptual structures of the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언어지도 실태 및 요구도에 따른 유⋅초 연계 언어지도 방안 탐색

        류지원,이숙희,권미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3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 of language ability of children in the early stages of school, and the readiness for reading literacy, teacher’s needs of preschool children, based on the perceptions of first grade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An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or analysis. Methods Through this, a plan for linking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was derived from the actual conditions of Korean education and language education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2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orked as first grade form teacher and teachers who experienced in charge at an elementary school in city B,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 order to derive a linkage plan, 4 kindergarten teachers and 4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Results First, the current state of language ability of the 1st grade elementary schoolchild perceived by teachers is as follows.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listening and speaking level of the children in first grade were low, and the reading and writing were perceived as having high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Second,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regarding preschool children's readiness for literacy are as follows. Teachers recognized that preschooler's reading and writing instruction was necessary, and the actual teacher’s demand level was higher than the level required in the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at the beginning of admission. Third, development and sharing of specific educational materials to realize joint training and curriculum, reinforcement of language education in the first year of elementary school, and changes in parental perception regarding language education were shown, as a plan for linking language education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Conclusions The current 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exceeds the level of the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and this suggests that for improving this the two curriculums are to be linked from the development process, clear guidelines and standards of the curriculum are presented and implemented in the field in language education,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should be accompanied. 목적 본 연구는 취학 초기 아동의 언어능력 실태와 취학 전 아동의 문자 해득 준비도 및 교사 요구를 초등교사의 인식을 바탕으로조사하고, 언어지도에 관한 유⋅초 연계 방안을 탐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B시의 1학년 담임 경험이 있는 초등교사 282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계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유치원 교사 4명과 초등교사 4명에게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들이 인식한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언어능력 실태는 다음과 같다. 교사는 취학 초기 아동의 듣기와 말하기 수준이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읽기와 쓰기는 아동별로 개인차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취학 전 아동의 문자 해득 준비도에관한 교사 인식과 요구는 다음과 같다. 교사는 취학 전 읽기와 쓰기 지도가 필요하고, 교사 요구 수준은 입학 초기 초등교육과정에서요구하는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언어지도 연계 방안은 공동의 연수 시행, 교육과정을 실현하기 위한구체적인 교육자료 개발 및 공유, 초등학교 1학년 시기의 언어교육 강화 그리고 언어교육에 관한 부모 인식의 변화로 나타났다. 결론 언어지도에 있어 개정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개선과 함께 두 교육과정이다양한 방법으로 활발하게 연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국어능력 향상을 위한 교원 선발 및 경력 단계별 평가 개선 방안 연구

        이선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6 No.-

        In this study, I defined the linguistic competence of Korean for elementaryschool teacher which forms the basis and core contents of his/her professionalityas teacher and pointed three abilities as the key components of the linguisticcompetence of Korea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such as; the ability to teachwell and deliver the subject clearly in his/her lecture; the ability to manage andlead well his/her class as whole and also as individually ; and the ability toconduct administrative work. In view of these key components, inspected howthe linguistic competence of Korean of candidat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is checked at the national recruitment tes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drew some implications for improving evaluations for the linguistic competenceof Korea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lready passed the nationalrecruitment test and have work experience from National Board Certificationconducted by National Board for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NBPTS)of USA. After analysing the national recruitment tes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newly renovated from 2013,I found the test writers have tried to reflect these keycomponents of the linguistic competence of Korean for elementary schoolteacher in various form, however in content, they could not fully change the testto escape memorization of contents in the curriculum. For encouraging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develope their career as efficient doers withself-reflection, if we could adopt NBPTS program based on real interactionbetween students and their teacher, which is considered to train teachers to do self-reflect and cope with problem situation well, it would help every elementaryschool teacher to enhance his/her professionality and the linguistic competenceof Korea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Lastly, to improve the linguistic competence of Korean for elementary schoolteacher keeping abreast of the times and needs of learners, I suggested suchways as written as below; we should keep evaluate the linguistic competence ofKorea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through the entire procedure from trainingto recruiting instead of focusing one-time evaluation only at the recruiting; weshould present the evaluation standards and the stages of improvement for thelinguistic competence of Korea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specifically so thatevery elementary school teacher could refer those in the way of developinghis/her career continuously. 초등교사 전문성의 바탕이자 핵심 개념으로서 초등교사의 국어능력을 정의하고 초등교사의 국어능력의 요소로 교과수업운영 능력, 학급운영 및 지도 능력, 행정업무 수행 능력을 제시하였다. 이 요소를 바탕으로 초등임용고시에서 초등교사의 국어능력을 어떻게 반영하려 했는지 점검하고 미국 전문교사 기준을 위한 국가위원회(NBPTS)의 자격시험에 대한 소개를 통해 경력 단계에 있는 초등교사의 국어능력 평가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013학년도부터 바뀐 초등임용시험을 분석한 결과 문항의 형식면에서 국어능력 관련 요소를 다채롭게 반영하려 노력하였으나 문항의 내용면에서는 교육과정암기식 평가를 탈피하지 못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능률적이고 반성적인 실천가로서 교사의 경력 개발을 위해 NBPTS에서 실시하는 교사와 학생의 실제 상호작용에 근거한 성찰 및 문제 상황 대응력을 높이는 프로그램이 교사의 전문성 및 국어능력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시대와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 변화하는 초등교사의 국어능력 신장을 위해서 선발 단계의 일회적 평가를 지양하고 양성·선발의 유기적 연계를 통한국어능력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초등교사의 지속적 경력개발 차원에서 국어능력 평가 기준 및 향상의 단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유․초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 고찰: 교사효능감 수준에 따른 차이 분석

        이유미(Lee, You-me),안지혜(Ahn, Jee-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유․초 연계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러한 인식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초 연계교육에 대 한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본 결과, 유․초등학교 간 역할동일성은 낮고, 유․초 연계교육 필요성은 높으며 연계교육이 필요한 이유로 아동의 심리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함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유․초 연계교육 운영에 대해 다 소 부정적이며, 자신의 초등교육과정 이해 정도는 낮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초등교육과정 이해 효과에 대한 인식이 높아, 유․초 연계 관련 교과목 개설 시, 수강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초 연계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수업 참관을 통한 상대 기관의 교육과정 운영 이해’를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초 연계교육을 위한 유아교사 역할 인식은 전체적으로 높은 수준이며, 하위요인 별로 살펴보면 사회정서지원, 부모와의 협력, 기본생활습관지도, 교수계획, 학습능력향상 역할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수준에 따라 살펴본 결과, 유․초 연계교육의 필요성, 초등교육과정 이해 효과, 유․초연계 교과목 수강 의사 및 교수계획을 제외한 유아교사의 모든 하위역할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초 연계교육 운영을 위한 예비유아교사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and analyze if these perceptions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pre-service teachers teacher efficacy. The 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mostly believed that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s have different roles, but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need to be continuous mostly to lessen children’s psychological burden. Also, they thought that linked education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is currently not operated properly and they have little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s. But they thought that better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s would be positive for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and they were highly motivated to learn about the courses on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For the improvement of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they preferred observation of classe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curriculums. Secon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he ro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is high and the subfactor s level were appeared in order of social and emotional support, cooperation with parents, guides for basic daily habits, teaching plans, and improvement of learning abilitie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needs for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the effectiveness of understanding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 desire to take courses on continuity, and overall level of perception of roll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plan was proposed for the operation of continuity education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초등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곽세영(Se-Young Kwak),윤미선(Mi-Sun Yoo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3

        교사효능감은 교수․학습 상황에서 교사 본인이 지각하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기대나 믿음이다. 최근 국제 교육지표 비교에서 우리나라 교사들의 효능감이 최하위 수준이라는 결과는 우리 교육현장을 돌아보게 하였으며 이 연구의 출발점으로 작용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교육 현장의 시대적 여건을 반영할 수 있도록 교사들의 의견 수렴으로부터 시작하는 상향식 설계를 통해 초등교사 효능감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1에서는 개방형 설문을 통해 전국의 초등교사 약 350명으로부터 수집한 1,132개의 예비 문항에 대해 내용분석을 한 후, 전문가 및 교사 집단의 평정을 통해 103문항을 추출하여 361명의 초등교사에게 설문조사를 하고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30개의 1차 문항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기초통계 및 문항간 상관 분석을 통해 자기조절, 정보화기자재 활용, 행정업무, 창의적 체험활동 지도, 생활지도, 교과지도, 자기계발 등의 7요인 26문항을 결정하였다. 연구2에서는 개발한 척도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국의 초등교사 500여명에게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척도의 모형 분석을 통해 구성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교사효능감, 직무만족, 심리적 소진 등을 준거변인으로 설정하여 변인 간 상관을 기초로 준거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새로운 척도 사용과 관련한 교육 현장에의 시사점과 활용에 대한 주의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fficacy scale through a bottom-up design, starting from converging opinions of teachers to reflect education situation of the 21<SUP>st</SUP> century. To construct elementary school teacher efficacy scale, 1,132 questions were extracted by way of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ontent analysis, collected surveys regarding the contents of teacher efficacy from 348 nationwi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tudy 1. Based on these results, 103 basic question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efficacy scale were established with 7 rating-experts and 5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ing. After that, factor analysis for 103 questions was performed by 361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lastly 7 factors (self-regulation efficacy, IT equipment utilization efficacy, administrative efficacy, creative activities guidance efficacy, life guidance efficacy, curriculum teaching efficacy, and self-developing efficacy) and 26 question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efficacy scale were derived by checking the correlation between preliminary 30 questions. In Study 2, surveys from 507 nationwi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conducted, in order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efficacy developed in study 1. When it comes to acceptable model fit and reliability, the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of the items showed that they were verified. Next, the results of criterion-related validity showed that predictive validity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of newly developed elementary school teacher efficacy scale with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burn-out factor being criterion variable. And concurrent validity was verified by existing teacher efficacy scale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as criterion variable. That is, elementary school teacher efficacy is the significant variable that can predict the general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another thing elementary school teacher efficacy scale is capable of estimating the concept of teacher efficacy well and ver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 efficacy as a situation-specific self-efficacy and general self-efficacy. Sever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made about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코로나19 스트레스와 교사의 직무만족 및 학생의 학교생활만족 간의 관계

        박현진(Park, Hyeonjin),고현국(Ko, Hyunkook),장영수(Jang, Youngsu),정진욱(Jung, Jinwook),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이 시작된 지 1년이 지난 시점에서 교육의 주요 주체인 교사와 학생이 코로나19로부터 스트레스를 얼마나 받고 있는지 알아보고,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 정도와 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1년 5월 9일부터 14일까지 초등교사 75명, 초등학생 222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스트레스, 교사 직무만족, 학생 학교생활만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생이 느끼는 코로나19 스트레스 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로 인한 어려움이 코로나19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교사에서 더 컸다. 둘째, 코로나19 스트레스와 교사의 직무만족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는 않았으나, 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 요인들 각각에 대해 분석하였을 때 발전성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업무부담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사이에는 낮은 수준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가 초등학생보다 코로나19 스트레스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으므로 교사의 업무 고충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방안이 정책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초등교사에게 코로나19 상황은 스트레스로 다가오지만, 그들은 그것을 성장의 발판으로 삼고 자기 계발 및 대응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새로운 형태로 학교생활에 적응해 나가고 있으므로, 학교와 교사는 학생들의 긍정적인 심리 요인을 유지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OVID-19 str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a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s between COVID-19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hods This study will als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5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222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se subjects completed a 5-point scale online questionnaire. All 75 teacher questionnaires and all 222 student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in full with no exceptions, and the responses were then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COVID-19 stress felt by teachers and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degree to which fear of infection and difficulties of social distancing affect COVID-19 stress, in particular, was greater in teacher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VID-19 stress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However, when analyzing each of the sub-factors of teacher job satisfac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pportunities for advancement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workload. Lastl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VID-19 stres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lus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COVID-19 stress more so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esult, a specific solution to teacher’s work grievances should be prepared as a policy. Second, the COVID-19 situation comes as a stres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However, they are using said stress as a stepping stone for growth and making efforts for self-development whilst preparing countermeasures for future COVID-19-related obstacles. Thir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adjusting to school life in a new form despite the COVID-19 situation, so schools and teachers should guide students to maintain a positive mindset.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국가관과 관련된 사회과 정치교육의 지향성 탐색

        이수룡(Lee, Su-Ryo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2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형성·변화된 국가관이란 무엇인가의 물음을 제기하고, 이와 관련하여 그들이 학교 현장에서 실천할 사회과 정치교육의 지향성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65명을 대상으로 비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그들의 국가관 형성·변화요인을 맥락적으로 탐색하고, 국가관이 적용될 사회과 수업의 양상을 예상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국가상징에 대한 학습경험과 주변인들과의 관계 맺음을 통한 일상생활 경험, 그리고 국가의 구성요소, 역할, 정치·경제·문화현상 이해에 대한 학교교육 학습경험을 통해 국가관을 형성하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국가의 위상, 치안, 정책영역의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긍정적인 국가관을 강화하고, 국가의 정치적 역할에 대한 실망, 정치인의 부정부패, 한국인의 낮은 시민성, 역사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사실을 확인하였을 때 부정적인 국가관으로 전환하였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자신이 생각하는 국가의 존재와 역할에 대한 신념을 내세우는 사회과 수업, 초등학생의 국가관 선택을 존중하는 사회과 수업, 교사의 국가관과 여러 관점의 국가관을 중립적으로 제시하는 사회과 수업, 초등학생의 국가에 대한 자유로운 표현을 통한 토론활동 중심의 사회과 수업을 구상하였다. 이에 예비교사들은 국가에 대한 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스스로 탐구할 수 있는 학습의 기회가 필요하며, 초등학생들의 국가관 학습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제고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 그리고 초등학생들의 민주시민성 교육을 위해 교사는 다양한 관점을 통해 국가를 파악할 수 있고, 초등학생들의 새로운 사회공동체 역량 형성에 기반이 될 수 있는 국가관 형성의 사회과 수업 설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 of what the formed and changed a view of the nation is through the experience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with regard to the view of the nation, the purpose was to explore the orientation of political education in social studies tha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ll practice at schools. This study used unstructured questionnaires with 65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is study explored the formation and change factors of a view of the na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ontext and predicted the pattern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to which a view of the nation will be appli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med a view of the nation through their experiences in daily life through learning about national symbols and forming relationships with people around them. A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med a view of the nation through their experience in learning school education on understanding the components, roles,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phenomena of the nation. Seco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rengthened a positive a view of the nation through direct experience in the status, security, and policy areas of the nation. A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hanged to negative a view of the nation when they confirmed their disappointment in the nation’s political role, corrupt politicians, low citizenship of the Koreans and failure to resolve historical issues. Thir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visioned social studies instruction that espoused beliefs about the existence and role of the na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s-oriented social studies instruction, social studies instruction that present a neutral view of the n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social studies instruction on countries centered on debating activities.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 a learning opportunity to explore the causes that affect teachers’ roles in education about the nation. And various efforts are required to raise teachers’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of the view of the n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eachers should grasp the nation through various perspectives.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st think about designing social studies instruction to form a view of the nation that can serve as a basis for the formation of new social community cap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