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생활기록부 제도의 복잡화 과정 분석: 복잡계이론의 적용

        신현석,이주영,강지영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its characteristics of school report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complexity theory. School report system is complicated and constituted by many behaviors, norms, and policies. There exist multiple behaviors including not only Ministry of Education, regional educational offices, schools and teachers but also students and parents, universities,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Also, by adopting NEIS on school report system, parents get a chance to check their children's school report readily, and this leads to more conflict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s the role of school report became bigger in college admissions, Ministry of Education and regional educational offices have been employing stricter regulations on school report system. The more detailed regulations appear, the more unexpected problems also appear in the system.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behaviors in the school report system have repeated their conflicts, strengthening the circle of negative feedback. To improve the unending problems on school report system, however, it is important to pursue emergence beyond critical state of the process on institutional change, by taking the positive feedback which leads the fundamental change of the system. In this paper, we suggest five proposals as follows; (1) re-organization of management system on school report (2) gathering various opinions from multiple behaviors (3) refraining from giving excessive detailed regulations (4) diversification of school report recorders (5) sharing knowledges on effective school report system. 본 연구는 학교생활기록부 제도의 복잡화 과정을 복잡계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학교생활기록부 제도가 복잡성의 단계를 넘어 새로운 질서의 창발로 나아가기 위해 필요한 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부 교육행정기관은 학교생활기록부 논란이 발생할 때마다 문제 조항을 삭제하거나 지침을 세분화하는 방식으로 해결하려는 경로의존적 태도를 보였으며 이 과정에서 행정의 비대화와 경직성이 강화되었다. 그러나 제도적 통제는 오히려 행위자들의 비선형적 대응을 유발하여 새로운 혼란을 발생시켰으며 행위자들이 거대 행정 아래 수동적 기록자로 소외당하거나, 도덕적 해이를 드러내도록 하였다. 이러한 음의 되먹임과 회귀 양상은 학교생활기록부 제도를 지속적으로 혼돈 속에 머물게 함으로써 제도가 고도로 복잡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학교생활기록부 제도가 새로운 질서로 창발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첫째, 불필요한 행정의 영역을 축소하고 학교생활기록부 관리 체계를 정비해야 한다. 둘째, 학교생활기록부 제도 안의 행위자들 간 토론과 의견 수렴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셋째, 학교생활기록부의 세분화된 지침의 중복 요소를 통합하고 간명화하여 업무 부담을 줄이고 현장 맥락에 적합한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학교생활기록부의 기록 주체를 다양화해야 한다. 다섯째, 학교생활기록부 제도 운영을 위한 지식 공유의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 KCI등재

        탈학교담론을 통해 본 학교교육의 의미

        정윤경 ( Chung Yunkyou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4

        코로나19로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일상화를 경험했다. 비대면 교육의 일상화가 교육격차 확대, 돌봄 공백, 사회적ㆍ정서적 관계의 어려움 등을 야기하면서, 우리는 다시 ‘학교’와 ‘교육’의 의미와 역할을 성찰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이것은 90년대 후반 ‘학교붕괴’ 라는 논쟁의 대두 속에서 학교교육의 위기를 고민했던 것과는 또 다른 상황에서 학교교육의 의미와 역할 그리고 미래 학교교육 방향 탐색의 필요성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연구 필요성에서 본 연구는 학교교육제도 비판과 대안적 교육을 모색해 온 탈학교(대안교육)담론을 통해 학교교육의 의미를 성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탈학교담론의 의미를 살펴보고, 학교교육 비판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개관하며, Ⅲ장에서는 한국사회에서 탈학교담론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며, 이를 토대로 Ⅳ장에서는 탈학교담론을 통해 학교교육의 의미를 성찰하고 미래 학교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탈학교담론의 학교교육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탈학교담론은 공교육제도의 모순을 비판하고 교육의 본질 회복을 촉구한다. 둘째, 탈학교담론은 노작의 교육적 가치를 포함한 전인교육, 생태적 교육과 공동체 교육의 가치를 역설한다. 셋째, 탈학교담론의 전개과정은 의무교육을 모든 국민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권리로 간주해야 함을 강조하며, 교육의 공공성의 의미를 제고한다. 넷째, 탈학교담론은 국가의 교육독점을 비판하고 학교밖 다양한 배움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탈학교담론은 학교가 역사적 산물이라는 것을 전제하고, 따라서 교육이 시대변화에 따라 혁신해갈 것을 촉구한다. We have experienced the new normalization of online education due to COVID-19. As the normalization of online education has widened educational gaps, gaps in care, and difficulties in social and emotional relations, we need to reflect on the meaning and role of "school" and "education" again. This presented the need to explore the meaning and role of school educ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in a different situation from through criticism of the school education system and discourse on deschooling(alternative education) that has sought alternative education. To this end, Chapter II examined the meaning of deschooling discourseo and outlined the history of criticism of school education, and Chapter III examined the development of the discourse on deschooling(alternative education) in Korean society, and Chapter IV reflected on the meaning of school education and explored the direction of future school educ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are as follows. First, the deschooling discourse criticized the contradiction of the public education system and urged the restoration of the essence of education. Second,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emphasized the values of whole education including the educational value of labor, ecological education, and community education. Thir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emphasized that compulsory education should be regarded as a right to guarantee the right to learn for all people and enhanced the meaning of the publicity of education. Fourth,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criticized the nation's monopoly on education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various learning outside of school. Finally,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presupposed that schools are historical products, and therefore urged education to innovate as the times change.

      • KCI등재

        가치비평적 접근을 적용한 방과후아카데미 사업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김청렴,노지혜,문성호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22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7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youth after-school academy and to suggest its improvement plan. For this purpose, the youth after-school academy was analysed through a value-critical approach using a value-based elements presented by Chambers and Bonk(2018): the goals and objectives, forms of benefits and services, eligibility rules, administration and service delivery, and financing.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the goals of the youth after-school academy didn't evolve along with the policy paradigm changes and its objectives were unclear. Second, the academy’s services were insufficient in needs of the youth. Third, although the target was expanded due to the abolition of eligibility requirements for support, the problem of stigma and blind spots remained. Fourth, the spaces were not enough to operate the program, and the number of workers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number of participating youths. Lastly, the financial resources had a limit in terms of using the budget efficiently, and also securing and organizing the system of the academy. Based on the results,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youth after-school academy were proposed as follow: 1) to legislate after-school academy as a center; 2) to be strengthened as one of the all-day care systems in community; 3) to expand the operating institutions and reinforce the workforce; 4) to operate the central government's advisory committee and provincial support group; and 5) to reconsider the matching fund ratio and organize the fund from the general accounting. Findings from this study support the need for improvements and further policy discussions in regard to the youth after-school academy as it plays a key role in local welfare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정책사업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치비평적 접근을 적용하여 Chambers와 Bonk(2018)가 제시한 목적과 목표, 서비스 형태, 자격요건, 전달체계, 재원을 중심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책의 패러다임이 변화했지만 여전히 목적에는 시혜적 성격이 남아 있었고 구체적인 목표가 부재하였다. 둘째, 수요자 중심 관점에서 자기주도성이 제대로 실현되지 못한 서비스 형태가 드러났다. 셋째, 지원의 자격요건이 폐지되었음에도 해소되지 못한 낙인감과 사각지대 발생 문제가 있었다. 넷째, 프로그램을 운영할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못하였고 참여청소년의 수에 비해 종사자 인력이 부족하였다.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예산 사용의 어려움과 재원확보의 불안정성 및 재원조달 방식에서의 한계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반하여 개선방안으로는 방과후아카데미의 센터화, 온종일 돌봄체계의 한 축으로서 위상 강화, 지자체 및 학교와의 협업 확대와 종사자 처우개선, 방과후아카데미 자문위원단과 시도별 운영지원단 운영, 매칭펀드 비율 재고 및 일반회계 편성을 제안하였다.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가 지역사회의 복지체계 내에서 핵심적 기능을 수행하려면 앞으로도 확실한 개선을 위한 정책적 논의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적정규모 학교”라는 담론의 질서: 농촌 교육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서덕희 한국교육사회학회 2019 교육사회학연구 Vol.29 No.2

        National policies are the ways in which the state cultivates everyday lives by distributing its values and must be signified and rationalized by particular statements. In this vein,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hem is significant for understanding and criticizing the process in which the state constructs everyday lives. In particular, rural educational policy discourses need to be analyzed critically given that the national intervention into the rural education is influential upon transforming the realities of rural areas that have suffered from vicious circle of population hollowing and educational gap. From such a perspective, this research aims to conduct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rural educational policies during the LeeMyeongPark government and ParkGeunHye government. As the result of analysis, it is revealed that the rural educational policies during the two consecutive governments had formed the order of discourse of “optimal size school”,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in school level. Though the ‘Boarding high school’ and ‘Jeonwon(Country) school’ policy discourse at the initial period of Lee Government signified ‘optimal size’ as the negative condition of the two policies, the later policy discourse of the ‘optimal size school’ upbringing policy had stipulated small size school as the educational condition of abnormal curriculum and had positively rationalized the intensive support for a few chosen school as well as the school integration. Furthemore, as preemptive response to student population hollowing, the integration of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as well as small size school had been signified and rationalized within the neoliberal discourse of choice, focus, and competitive performance. Eventually, such order of discourse had caused a few chosen schools to be supported exclusively by educational infrastructure, and the other schools to be excluded from it. 농촌은 1980년대부터 도시로의 인구유출로 인한 인구 공동화와 교육 격차의 악순환을 겪고 있으며 최근에는 ‘지방 소멸’의 위험에까지 놓여있다. 이런 상황에서 국가의 정책적 개입은 농촌의 생활세계 자체를 변화시킬 정도로 강력한데, 그 중에서도 소규모학교통폐합 정책은 그 영향이 적지 않아 오랫동안 찬반논쟁이 있었다. 이 연구는 30년 이상 지속되어온 소규모학교통폐합정책을 ‘적정규모 학교’ 담론으로 적극적으로 정당화하였던 이명박정부와 박근혜정부의 농촌교육정책이 지닌 농촌의 현실구성력에 문제의식을 갖고 이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강조된 정책 대상의 학교 급은 다를지언정 두 정부의 농촌교육정책 담론은 ‘적정규모 학교’라는 담론의 질서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명박정부 초기에는 “규모”를 ‘기숙형고교’와 ‘전원학교’의 소극적 조건으로만 규정하였으나 ‘적정규모 학교’ 육성사업에 이르러서는 초소규모학교들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비정상적인 것으로 규정함으로써 통폐합을 적극적으로 정당화하고, 모든 농촌교육지원사업 선정기준에 ‘적정규모’를 포함시킴으로써 담론의 질서를 형성한다. 더 나아가 박근혜정부에서는 인센티브를 통해 초소규모가 아닌 학교와 교육지원청까지 “선제적으로” 통폐합하도록 함으로써 선택과 집중, 인센티브를 통한 경쟁적 성과를 강조하는 신자유주의적 논리로 담론화된다. 이로써 ‘적정규모 학교’ 담론은 소수 학교에 교육 인프라를 집중시키고 나머지는 ‘인위적으로’ 도태시키는 생활세계의 재구조화를 낳은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체계’에 의한 생활세계의 식민화와 황폐화가 급격히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볼 때, 농촌이라는 생활세계에 적합한 학교교육의 내용과 방식을 창출하고 이를 존중하며, 그 가치를 향유하기 위한 실제적 노력과 국가의 교육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과 그 대안적 담론을 창출하는 것이 시급함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교육행정학에서 사용되는 학교문화 개념들의 유용성과 한계

        박삼철(Park Sam-Chul)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4

        교육행정학의 문헌에 나타난 서로 다른 학교문화의 개념들은 개념적 혼란을 가져올 뿐 아니라 학교문화 연구 결과의 현장 적용에도 혼란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지금까지 제안된 다양한 개념들을 교육행정학의 3가지 주요 이론에 따라 유형화하고 이를 비교ㆍ분석하여 각 개념의 특징, 유용성과 한계를 탐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결과 체제이론의 관점은 조직을 통제하고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으나 학교의 다양한 문화적 특성 등을 분석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며, 주관주의적 관점은 사실에 대한 깊이 있는 기술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반하여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비판주의 관점의 개념은 학교문화의 연구 영역을 넓히는 공헌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나친 가치 편향적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연구의 결과 유형화된 세 개념들은 대체로 개념들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 연구내용 및 범위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각 개념은 마치 ‘장님 코끼리’ 만지는 격으로 거대한 조직문화라는 개념의 일부분에 대한 설명력이 있음을 시사해 준다. 코끼리의 실체에 근접한 개념(thick definition)을 찾는 일은 학교문화의 연구와 실제에 필수적인 전제 조건일 수 있음으로 이를 위한 계속적인 연구와 담론들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ut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conceptions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ppearing in the area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o do this, a theoretical framework derived from the work of Lakomski and Evers(1995) was adopted, which reflected three major theorie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cluding systems theory, Greenfield's subjectivism and critical theory. Consequently, ut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concepts were examined, together with their conceptual features and mean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ie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concepts of school culture. First, the concepts of school culture reflecting systems theory have advantages with regard to manipulating school culture and developing and transforming school organization. However, the meaning of the concepts were limited by focusing on the shared culture of school members. Second, the concepts of which the theoretical basis was largely on Greenfield's subjectivism were useful to thickly describe the cultural phenomena of a certain school. But the findings or descriptions were difficult to generalize. Finally, value-oriented approach was a clear feature of the concepts reflecting the critical approach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By focusing on the micro-political aspects of a school organization, this approach was contributed to broaden the scope of cultural studie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It is said that a concept of school culture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 incompatible with others. However,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es that each concept represents only a part of the whole concept of school culture, which remains 'blind men's descriptions of a big elephant'. As different concepts of school culture may impede research and practice, studies examining conceptual issues of school culture should continually be conducted.

      • KCI우수등재

        공교육 체제의 재구조화 동향과 의무교육의 과제 - 영국, 미국, 일본, 한국에서의 학교선택제에 대한 논점을 중심으로

        김상규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3

        Since the establishment of modern public education system, the right to receive education equally without discrimination has secured as the basic principle of education. However, neoliberalism—an ideology emerged for educational reform among OECD countries since 1980s—has been influencing restructuring of education system significantly. Neoliberalism, which considers education as a kind of service that can be purchased at a market. As a result, such market forces have been criticized that its high dependency on individual consumer choices and market competition among suppliers may increase the impa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access to education. This has been evidently found in previous studies on many countries. However, the UK broadly guarantees the parental right to select schools for their children’s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Educational reform that expands school choice of parents is called “parentocracy” or “the third wave”. In the case of the US, it is rather a “regulated school-choice system” as they make it a rule to allocate a student within a school district while associating school selection with race, equal opportunity among different income groups, and accountability. On the other hand, neoliberal discourses in Japan’s educational reform are restricted to compulsory education. Korea’s case is distinctive from other countries that diversification of high schools is understood as an attempt of neoliberalism. This study compared histories and arguments on school-choice systems of those four countries, and further proposed strategies to secure equal opportunities of compulsory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Korean education policies. 근대 공교육 체제의 완성 이후 모든 국민이 차별을 받지 않고 균등하게 교육을 받는 것은 공교육의 조직 원리로서 정치적, 사회적, 제도적 유효성을 확보하여 왔다. 그런데 1980년대 이후 OECD 국가를 중심으로 교육개혁의 이데올로기로 등장한 신자유주의(neoliberalism)는 공교육 체제의 재구조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율과 경쟁, 선택을 중시하는 신자유주의는 교육서비스도 소비자가 시장에서 상품처럼 구입할 수 있도록 하므로 교육의 공공성을 축소한다. 그러므로 소비자의 선택과 공급자의 경쟁에 의존하는 시장원리는 사회경제적 배경에 의하여 좌우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각국에서 비판을 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증거 또한 여러 국가의 선행연구에서 확인되고 있다. 그런데 본 연구의 대상인 영국, 미국, 일본, 한국의 학교선택제는 방향성과 내용에서 각각 다른 특징을 가진다. 영국은 초중등교육 전반에서 학부모가 자녀의 학교를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폭넓게 보장하고 있다. 학부모의 학교선택을 확대하는 교육개혁에 대하여 학부모주의(parentocracy), 제3의 물결(the third wave) 등으로 부른다. 미국은 통학구역 내 학교배정을 원칙으로 하면서, 학교선택을 인종, 소득계층의 기회균등, 교육기관의 책무성(accountability) 등과 연계하고 있다는 점에서 '통제된 선택제'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일본의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은 의무교육학교인 공립 소․중학교에 국한하여 논의되고 있으며, 신제도 출발부터 선택제를 채택한 공립고교는 논외로 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사립고교를 중심으로 한 고교다양화를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으로 비판한다는 점에서 다른 나라와는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념적 공통점과 제도적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 네 나라에서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이 추진된 경위와 학교선택제의 비판 논점을 비교 고찰하고 앞으로 의무교육의 기회균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과 우리나라 교육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 국어 교과서 아동문학 정전에 대한 비판적 一考

        임성규(Lim Sung-kyu) 한국어문학회 2008 語文學 Vol.0 No.100

        This study aimed to examinat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literature canon in critical viewpoint. So, it is try to children's literature canon discussion about Korean Language Textbook children's poetry in 7th curriculum period. We need to study mechanism of selection and exclusion around children's literature canon. Because it is absent that examination of dominant common idea. Specially, representation of selected author and children's poetry text, problem of periodical floor and exclusion of realism inclination are directly link to problem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oetry canon formation. Because it can hinder reception of modern children's literature legacy and pluralism of children's poetry education. And, it needs to checking of children's literature criticism. That is connect children's literature study an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study. This lack of study is caused insufficiency of elementary school literary education researcher. And, more the root is keep at a distance criticism that they participate in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 development. Accordingly, we have to discuss children's story cannon formation and each curricular children's literature cannon. It enable to desirable textbook literary material design.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