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탈학교담론을 통해 본 학교교육의 의미 = The Meaning of School-education through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14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코로나19로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일상화를 경험했다. 비대면 교육의 일상화가 교육격차 확대, 돌봄 공백, 사회적ㆍ정서적 관계의 어려움 등을 야기하면서, 우리는 다시 ‘학교’와 ‘교육...

      코로나19로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일상화를 경험했다. 비대면 교육의 일상화가 교육격차 확대, 돌봄 공백, 사회적ㆍ정서적 관계의 어려움 등을 야기하면서, 우리는 다시 ‘학교’와 ‘교육’의 의미와 역할을 성찰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이것은 90년대 후반 ‘학교붕괴’ 라는 논쟁의 대두 속에서 학교교육의 위기를 고민했던 것과는 또 다른 상황에서 학교교육의 의미와 역할 그리고 미래 학교교육 방향 탐색의 필요성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연구 필요성에서 본 연구는 학교교육제도 비판과 대안적 교육을 모색해 온 탈학교(대안교육)담론을 통해 학교교육의 의미를 성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탈학교담론의 의미를 살펴보고, 학교교육 비판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개관하며, Ⅲ장에서는 한국사회에서 탈학교담론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며, 이를 토대로 Ⅳ장에서는 탈학교담론을 통해 학교교육의 의미를 성찰하고 미래 학교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탈학교담론의 학교교육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탈학교담론은 공교육제도의 모순을 비판하고 교육의 본질 회복을 촉구한다. 둘째, 탈학교담론은 노작의 교육적 가치를 포함한 전인교육, 생태적 교육과 공동체 교육의 가치를 역설한다. 셋째, 탈학교담론의 전개과정은 의무교육을 모든 국민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권리로 간주해야 함을 강조하며, 교육의 공공성의 의미를 제고한다. 넷째, 탈학교담론은 국가의 교육독점을 비판하고 학교밖 다양한 배움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탈학교담론은 학교가 역사적 산물이라는 것을 전제하고, 따라서 교육이 시대변화에 따라 혁신해갈 것을 촉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have experienced the new normalization of online education due to COVID-19. As the normalization of online education has widened educational gaps, gaps in care, and difficulties in social and emotional relations, we need to reflect on the meaning a...

      We have experienced the new normalization of online education due to COVID-19. As the normalization of online education has widened educational gaps, gaps in care, and difficulties in social and emotional relations, we need to reflect on the meaning and role of "school" and "education" again. This presented the need to explore the meaning and role of school educ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in a different situation from through criticism of the school education system and discourse on deschooling(alternative education) that has sought alternative education. To this end, Chapter II examined the meaning of deschooling discourseo and outlined the history of criticism of school education, and Chapter III examined the development of the discourse on deschooling(alternative education) in Korean society, and Chapter IV reflected on the meaning of school education and explored the direction of future school educ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are as follows. First, the deschooling discourse criticized the contradiction of the public education system and urged the restoration of the essence of education. Second,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emphasized the values of whole education including the educational value of labor, ecological education, and community education. Thir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emphasized that compulsory education should be regarded as a right to guarantee the right to learn for all people and enhanced the meaning of the publicity of education. Fourth,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criticized the nation's monopoly on education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various learning outside of school. Finally, the discourse on deschooling presupposed that schools are historical products, and therefore urged education to innovate as the times chang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ackson, P., "현대교육의 주제와 쟁점" 내일을 여는 책 1996

      2 전국교직원노동조합, "한국교육운동백서: 1978-1990" 풀빛 1990

      3 윤정일, "한국 공교육의 진단-선택의 자유와 공정성" 집문당 2003

      4 김신일, "학습권 개념 내용과 교육학의 새 연구과제" 49-60, 1999

      5 Illich, I., "학교없는 사회" 미토 2004

      6 전종호, "학교붕괴현상에 대한 교육 주체의 의식 조사 연구" 1999

      7 윤철경, "학교붕괴 실태 및 대책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1999

      8 조한혜정, "학교를 찾는 아이. 아이를 찾는 사회" 또 하나의 문화 2000

      9 송순재, "학교를 위한 삶인가, 삶을 위한 교육인가" (창간) : 104-128, 1997

      10 Hern, M., "학교를 버려라" 나무심는 사랑 2004

      1 Jackson, P., "현대교육의 주제와 쟁점" 내일을 여는 책 1996

      2 전국교직원노동조합, "한국교육운동백서: 1978-1990" 풀빛 1990

      3 윤정일, "한국 공교육의 진단-선택의 자유와 공정성" 집문당 2003

      4 김신일, "학습권 개념 내용과 교육학의 새 연구과제" 49-60, 1999

      5 Illich, I., "학교없는 사회" 미토 2004

      6 전종호, "학교붕괴현상에 대한 교육 주체의 의식 조사 연구" 1999

      7 윤철경, "학교붕괴 실태 및 대책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1999

      8 조한혜정, "학교를 찾는 아이. 아이를 찾는 사회" 또 하나의 문화 2000

      9 송순재, "학교를 위한 삶인가, 삶을 위한 교육인가" (창간) : 104-128, 1997

      10 Hern, M., "학교를 버려라" 나무심는 사랑 2004

      11 이한, "학교를 넘어서" 도서출판 민들레 1998

      12 Reimer, E., "학교는 죽었다" 한마당 1997

      13 류방란, "학교교육의 미래 전망 (CERI의 미래 학교 전망 시나리오에 대한 교육계 리더들의 인식)" 한국교육개발원 31 (31): 21-45, 2004

      14 下村哲夫, "학교교육론 : 비판적 관점" 교육과학사 1994

      15 Whitty, J., "학교, 국가 그리고 시장 :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의 예정된 실패" 내일을 여는 책 2000

      16 이한, "탈학교 논쟁 국면의 진지한 전환을 위하여" (22) : 188-203, 2000

      17 현병호, "창간사 ‘길이 됩시다.’" (창간) : 2-3, 1999

      18 Spring, J., "자율주의와 진보교육" 살림터 2010

      19 심성보, "위태로운 탈근대주의 : 조한혜정론" 3 : 100-116, 2000

      20 최원형, "수업일수 채우기 바빴을 뿐, 학력 그 이상을 잃었다"

      21 정윤경, "세계교육정책 인포메이션" 한국교육개발원 2017

      22 梅根悟, "세계교육사" 풀빛 1990

      23 Boyd, W.,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1994

      24 정유성, "새 천년, 새로운 학교-새로운 학교모형 탐색" 18 (18): 89-110, 2000

      25 김성수, "사회제도로서의 학교교육 비판사상 연구" 14 : 21-68, 1986

      26 고병헌, "사회변혁과 학교의 의미" 17 : 75-105, 2000

      27 정윤경, "비대면 ‘교육철학’ 교수 경험에 관한 셀프 내러티브: 관계적 실천으로서 가르침의 의미 성찰을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27 (27): 221-246, 2021

      28 심성보, "민주화 이후의 공동체 교육" 살림터 2008

      29 Apple, M., "미국교육개혁, 옳은 길로 가고 있나: 학교교육 시장화와 교육과정의 보수화 비판" 우리교육 2003

      30 Dussel, I., "라틴아메리카 이슈" 175-186, 2016

      31 송순재, "덴마크의 자유교육: 개방성, 유연성, 다양성에 대하여" 2017

      32 강대중, "대안학교는 학교가 아니다" 박영률출판사 2002

      33 오인탁, "대안교육의 뿌리를 찾아서 : 새로운 학교교육문화운동" 학지사 2006

      34 교육인적자원부, "대안교육백서 : 1997-2007" 교육부 2007

      35 이종태, "대안교육과 대안학교" 도서출판 민들레 2001

      36 김명신, "대안교육 : 어제-오늘-내일" 문음사 2002

      37 이병곤, "대안교육 20년을 말하다" 도서출판 민들레 2020

      38 류성창, "누구를 위한 교육인가?"

      39 Washor, E., "넘나들며 배우기" 민들레 2014

      40 Latour, B, "나는 어디에 있는가: 코로나 사태와 격리가 지구생활자들에게 주는 교훈" 이음 2021

      41 여태전, "교육청이 만든 대안학교, 대안성을 묻는다면" 83 : 19-34, 2012

      42 Martin, J, "교육적 인간상과 여성" 학지사 2002

      43 고병헌, "교육개혁 운동으로서 대안교육운동" 4 : 5-39, 1997

      44 김학한, "교육개편의 판도와 탈학교론의 좌표" 22 : 179-187, 2000

      45 정희진, "교육 백년지대계? 당장의 전략이 필요하다"

      46 정윤경, "“자유학기제”의 개혁적 의미와 과제" 한국교육철학학회 38 (38): 105-129, 2016

      47 심성보, "‘public’의 개념적 의미 확장을 통한 공교육사상의 재구성" 교육발전연구소 27 (27): 45-62, 2017

      48 "https://www.index.go.kr/"

      49 "http://www.globalepic.co.kr/"

      50 Miller, R., "What are school for: Holistic education in America culture" Holistic education press 1997

      51 Rӧhrs, H., "Progressive education across the continents" Peter Lang 1995

      52 Bartlett, T., "Deschooling society 50 years later : revisiting Ivan Illich in the era of Covid-19" 8 (8): 65-84, 2020

      53 Nagata, Y., "Alternative Education: Global Perspectives relevant to the Asia-Pacific Region" The Asia-Pacific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2007

      54 이계삼, "70은 없다"

      55 박용석, "20세기 초 신교육운동이 국제주의적 성격: 신교육협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16 (16): 105-130,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교육철학 -> 교육철학연구 KCI등재
      2011-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철학회 -> 한국교육철학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8 1.27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