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중국서책의 구입과 장황의 변화

        조계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9 한국문화 Vol.48 No.-

        Books printed from China, the culturally advanced country of East Asia, had always been a matter of utmost interest to Joseon and high on the priority purchase list of envoy dispatched. Joseon had bought the books that did not exist at that time or newly compiled books in China, through the envoy dispatched. The scope of purchase of Chinese books, which had continued in a constant effort since the early Joseon period, had been expanded to a degree incomparable to that of the early Joseon period in its scale and diversity, reach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thesis has examined the process Chinese books were purchased and preserved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what changes Chinese books had brought to the binding of Joseon books. To purchase Chinese books, after the royal sanction was given on Chogi(草記), Dangsang (senior third rank) of Gyujanggak (palace library) provided any number of wagons with any silver from any storeroom to Sangtongsa(上通事), the Suyeok(首譯; chief official interpreter in mission), and then an approval letter(關文) stating that silver coins would be admitted to China for Chinese books was sent to governor of Pyeongan Province. The decision on purchase of Chinese books lies with Samsasin (three envoies) and the purchasing was made depending on the local circumsta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ooks purchased from China had been stored in Yeolgogwan(閱古觀) and Kaeyuwa(皆有窩), and maintained with the process of Bongsim(奉審; attention) and Posoae(曝曬; ventilation and drying of the books). Besides, the Chinese books of which covers were so weak that they could be easily corruptible had been bound into Joseon book style for permanent preservation.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out of the Joseon bookbinding styles affected by Chinese books was the appearance of tiles(編題) of various forms. In addition, the Joseon books were bound with four eyelet punched holes, formerly five holes, or wrapped with Gwadu(裹頭; head wrap) that protected book corners.

      • 초등학생 대상의 영양관련 도서 평가

        현태선(Tai Sun Hyun),신경란(Kyoung Ran Sin),오선미(Sun Mi Oh),윤상금(Sang Keum Yoon),최해정(Hae Chong Choi)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6 생활과학연구논총 Vol.10 No.1

          A book with nutrition theme can be used as an interesting tool to teach nutrition to childre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earch children"s books with nutrition themes, and evaluate the content and the quality of the books. Fifteen books were found on the internet and in a bookstore. The main subjects were cooking (8 books), weight control (5 books), and food culture (2 books). Most books regarding cooking provides recipes but they do not provide enough information on food groups, nutrients, and food sanitation. Most books regarding weight control provides desirable food habits, calories in foods, and excercise, but they need to give more information on appropriate method to assess children"s obesity. Most books were evaluated as "The messeges were clear." "The illustration matched with the theme." "The illustration was attractive." However, most books were not written by a nutrition professional, indicating the reliability of the books was not ensured. Therefore, more books with various nutrition themes should be written for children by nutrition professionals, which can be used to help children develop healthy eating behavior.

      • KCI등재

        그림책 선정기준에 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양혜영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4 No.2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picture book selection criteria. Forty-fou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took the 'Children's Literature' clas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earch materials were personal reflection papers, personal presentation contents, discussion contents, and the instructor's class reflection notes, which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ected picture books that relieve depression and anxiety, picture books that make the heart happy to read, and picture books about people living precious daily lives as the picture books they were interested in. In additi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ected picture books about germs (viruses) that help with hygiene management, picture books that help ‘children communicate naturally with nature,’ and picture books that can 'extend the concept of pla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came more interested in picture books through the active process of selecting picture books. The qualitative change in class due to the active particip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teaching methods of the instructors.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propos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expanding the class activities for selecting picture books to help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 genuine interest in picture books and have time to discuss interesting picture books during children's literature classes.

      • KCI등재

        17세기 통신사(通信使) 필담(筆談)에 나타난 한일간 서적 교류의 모습

        구지현 ( Jea Hyoun Koo ) 한국한문학회 2011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7

        본 연구에서는 17세가의 필담창화집을 대상으로 하여, 한일 양국 문사들이 직접적인 만남에 등장했던 구체적인 서적의 목록과 이에 대한 대화의 내용을 분석해서 조선과 일본 지식인들 사이에 지식의 유통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는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현재 남아있는 필담집을 통해 조선 문사와 일본 문사 사이에 서적을 교환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지식 정보에 대한 탐색의 과정에서 일본 문사들은 조선에서 간행된 희귀본을, 조선 문사들은 조선에서 구하기 어려운 중국본을 구하고자 했을을 알 수 있다. 한편 서적의 증여도 발생하였다. 일본인의 경우, 자신의 문명을 떨치기 위해 자신의 시집이나 문집을 선물하기도 하고 일본에서 간행된 漢籍을 순수한 선물로써 주었다. 조선인의 경우, 여행 도중이라 책을 많이 지니지는 못했지만 사적으로 지참했던 책을 요청에 따라 증여한 예가 보인다. 서적을 둘러싼 필담의 양상을 살펴보면, 초기 기술지식을 전수받기 원하는 과정에서 일본학자들이 기술서적을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양국 문사의 신분적 이질성으로 인해 조산 문사가 제공할 수 있는 정보란 매우 한정적이었다. 17세기 후반 일반 유자의 등장으로 비교적 경전해석에는 밝았던 조선 문사들이 지식제공자로 설 수 있는 여지가 생겨났다. 그러나 瀧川恕水의 경우에서 보듯 전문지식인과는 거리가 멀었던 조선 문사와의 서적필담은 왜곡될 가능성이 농후하였다. 17세가의 서적 교류는 상대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거치게 되고, 18세기 한문담당충의 확립과 확대에 따라 더욱 다채로운 경향을 보이게 되는 양국 문사 교류의 바탕이 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pildam-changhwa-jip(book of responsory writings or conversational exchanges in writing) of the 17th century and consider how the distribution of knowledge took place between the Joseon and Japanese intellectuals by analyzing the list of specific books that emerged in the direct meetings between the literary men of Joseon and Japan and the details of their conversations about such books. We can confirm through the pildam-jip existing today the way in which books were exchanged between the literary men of Joseon and Japan It can be garnered that in the process of explor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Japanese men of letters sought to obtain rare books published in Joseon while the Joseon literary men wanted to obtain Chinese book shard to find in Joseon. These men also exchanged books as gifts. The Japanese gave their own works of poetry or collections of writings in order to publicize their civilization, and they also gave as pure gifts Chinese character books published in Japan. In the case of the Joseon men. instances are seen where they gave their personal books as gifts when requests were made, although they did not have many books with them since they were travelling, When the pildam surrounding the books is examined, there are instances where the Japanese scholars mention books on technology in the course of seeking to receive initial technological knowledge. But because of the status differences between the literary men of each country the information that the Joseon literary men could provide was very limited. With the emergence of the general Confucian scholar class in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Joseon literary men were relatively knowledge able about interpretations of classic texts and therefore were capable of serving as provider of knowledge. But as shown in the case of Takigawa Jyosui, the pildam about books with the Joseon men of letters who were far from being specialists was thick with the possibility of distortion. The exchange of books in the 17th century went through trial and error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other party. As it showed a greater variety of tendencies following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the scholar class in charge of Chinese classics, the exchange of books became the foundation of exchange of literary men between the two countries.

      • KCI등재

        바오로 딸 출판사의 도서 간행

        김수태(Kim Soo Tae) 한국교회사연구소 2010 敎會史硏究 Vol.0 No.35

        In this paper, I researched in the meaning of publishing books of "Pauline Books and Media"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atholic Press. The press was founded with "Daughters of Saint Paul" with a goal of missions through books in the face of a new century, 20th century. When you view the currently registered numbers of the book, "Pauline Books and Media" is the second position among Catholic publishers in South Korea and occupied the first portion among publishers operated by the priory except the Catholic Publishing House. "Pauline Books and Media" has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Catholic publishing. But previous interest in the press was about the analysis of the most simple and short. So in this paper, I summarized the publishing books of Pauline Books and Media generally and newly. First, I surveyed the history of "Pauline Books and Media", studied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press being developed through the publication being examined through overview classifying of "Pauline Books and Media", and made a list of features revealed in publishing books. Finally, I attached several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auline Books and Media".

      • KCI등재

        그림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이승은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mprehensive perception of picture books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explore whether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s on picture books are changed and reorganized through picture book reading progra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8, pre-service teachers in the 1st to 3rd grade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N City. In order to find out the overall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related to picture books, a survey was conducted on 98 pre-service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the area of 「picture book selection criteria」, pre-service teachers regarded the interest and developmentally appropriateness of children as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Second, in the area of 「information & attitude related to picture books」, it was found that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icture books, had high interest, but felt that there was a lack of information on picture books, and wanted to learn various things about picture books. Third, in the area of 「effectiveness of using picture books,」 it was found that it was possible to teach efficiently through picture books and to recognize positive effects. In addition, 38, 3rd-grade pre-service teacher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Picture Book Reading Program(PBRP) designed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value and meaning of picture books, and then explored how their perspectives on picture books changed and reorgani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aspect of 「selection and utilization of picture book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BRP, pre-service teachers could understand not only the educational meaning of picture books but also the value of picture books as literary works and artworks, and newly understand picture books from the teacher’s point of view. Second, in terms of 「picture book-related experience」, it was previously recognized as an easy and picture-oriented book for children, but through in the PBRP, the possibility of sharing various emotions with children has expanded. Third, in terms of 「the value and meaning of picture book after participating PBRP」, it was found that the perspective of picture books changed while understanding and enjoying picture books from a wide perspective, away from the prejudice that picture books are for children.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그림책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고, 그림책의 가치와 의미를 구성할 수 있는 그림책 읽기 경험을 통해 예비교사들의 그림책에 대한 관점이 변화하고, 재구성되는지 탐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전남 N시의 4년제 유아교육학과 1~3학년 예비교사 98명이었다. 예비교사들의 그림책 관련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예비교사 98명에게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림책 선정기준」 영역에서 예비교사들은 유아의 흥미와 발달을 가장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여기고 있었다. 둘째, 「그림책 관련 정보 및 태도」 측면에서는 그림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심도 높았으나 그림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고 느끼고, 배우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림책 활용의 효과」 영역에서는 그림책을 매개로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는 것과 긍정적 효과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 연구대상 중 3학년 예비교사 38명에게 그림책의 가치와 의미를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한 후, 그림책에 대한 관점이 어떻게 변화하고 재구성되는지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림책 선정 및 활용」 측면에서 예비교사들이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적 의미뿐 아니라 문학작품이자 예술작품으로 그림책의 가치를 이해하고, ‘교사’의 관점에서 그림책을 새롭게 이해하고 그림책을 즐기면서 다양하게 감상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그림책 관련 경험」 측면에서 이전에는 유아들이 보는 쉽고, 그림이 위주가 되는 책 정도로 인식하였으나, 그림책 읽기 경험을 통해 어릴 적 기억과 다양한 정서를 떠올리면서 유아들과 다양한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프로그램 참여 후 그림책의 가치와 의미」 측면에서는 그림책이 유아용이라는 편견에서 벗어나 넓은 견해로 그림책을 이해하고 즐기면서 그림책에 대한 생각이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예비교사를 위한 그림책 중심 활동이 글과 그림의 언어를 이해하고, 그림책 본연의 가치를 이해하며 놀이처럼 즐기는 경험을 제공함을 제시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그림책을 통해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의 구현이 가능함을 강조할 수 있다.

      • KCI등재

        유아용 전집과 단행본 그림책에 대한어머니의 선호와 상관 요인

        최나야,김세영 한국아동권리학회 2013 아동과 권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others' preference for complete collections and monographic picture books and explore related variables for the selection of children's books. Questionnaires completed by 295 mothers of 5-year-olds' residing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were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mothers purchased many more complete collections than monographic picture books for their children, thus favoring the former. Secondly, when selecting complete collections, the mothers considered some factors to be more important such as the types, physical attributes, price, and authority of the books, as well as the books' supportiveness for learning, and their own taste. On the other hand, they were more concerned with the books' supportiveness for feeling emotions and their child's liking, when selecting monographic picture books. Thirdly, the mothers' perceived hedonic value of picture books, the children's fondness for picture books, the children's opinions reflecting the desire for the purchasing of picture books, and the mother-child concurrence on the preference for picture books were exclusively correlated with purchasing monographic picture books. 이 연구는 유아용 전집과 단행본 그림책에 대한 어머니들의 선호도와 장서량을 비교하고, 구매 결정시 중시하는 요소 및 상관 요인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295명이 응답한 질문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들은 단행본보다 전집을 더 선호하였고, 평균적으로 전집은 488.92권, 단행본은 193.10권 보유하고 있었다. 둘째, 어머니들이 전집과 단행본을 구매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가 달라, 전집의 종류, 물리적 특성, 경제성, 권위와 추천, 학습 지원성, 어머니 선호 등을, 단행본의 정서 지원성과 유아의 선호를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그림책 구매관여도, 그림책에 대한 주관적 지식, 그림책의 실용적 가치 인식은 전반적인 장서량과 상관이 있는 반면, 그림책의 쾌락적 가치 인식, 유아의 그림책 선호도, 그림책 구매시 유아의사반영도, 어머니와 유아의 그림책 선호일치도는 단행본 장서량과만 상관이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구매 관여도가 높을수록 전집을 선호하고, 유아의 의사를 반영할수록 단행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선택권을 반영하고, 부모에게 전집과 단행본 모두에 대한 공신력 있는 평가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1920년대 일본의 벨기에 뢰번으로의 도서 기증과 조선 도서 반출

        김선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3 규장각 Vol.63 No.-

        벨기에 뢰번에 위치했던 루뱅가톨릭대학교(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는 벨기에와 주변 국가들에 의해 지적 중심으로 여겨졌던 곳으로 그 도서관 역시 깊은 역사적 유래를 가지고 있다. 제1차 세계대전 과정에서 독일이 벨기에를 침공하고 군사적 시설이 아닌 대학 도서관을 파괴하고 방화하자 국제사회는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는 한편 도서관 재건을 위한 뢰번국제사업을 조성하고 추진했다. 일본은 이 사업에 동참하여 도서 기증을 추진했는데, 유럽에 일본문화를 전파한다는 목적을 함께 가지고 있었다. 문부성 산하에 뢰번국제사업위원회를 결성하고 재벌 등에 기부를 요청했으며, 표준도서목록을 제작해 기증 도서를 마련했다. 그리하여 6차례로 나누어 벨기에로 기증 도서를 보냈고, 2년 8개월간 도서 3,202부 13,682책이 송부되었다. 그런데 일본 뢰번국제사업위원회에서 보낸 도서 중에는 ‘조선총독부 기증서’가 포함되어 있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조선 도서 38종 181책, 조선총독부 간행물 7종 24책과 『곤여전도』까지 포함한 약 200여 책이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도서는 조선 도서 38종으로, 당시 학무과분실에서 관리하던 규장각 도서출납부상의 반출 기록과 일치한다. 즉, 학무과분실에서 반출한 책들이었음을 알 수 있다. 대한제국의 도서 및 기록류를 조선총독부로 강제 접수한 이래 취조국, 참사관분실을 거쳐 1920년대 중반 당시에는 학무국 소관으로 학무과분실에서 보관하고 있었고, 그중에서 도서를 선정해 뢰번으로 보냈음을 알 수 있다. 현지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살펴보면 고종의 서재인 집옥재나 왕세자 교육기관인 시강원 등의 장서인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 도서 38종의 구성을 보면 언해본과 어정서가 많은 것이 특징이며, 여기에 『조선어사전』, 『조선총독부통계연보』, 조선총독부의 영문 시정연보 등 조선총독부 간행물 몇 종과 함께 보내졌다. 벨기에를 원조하는 국제 사업에 동참함과 동시에 일본의 문화를 유럽에 전파하고자 했던 당시 일본 측의 의도를 함께 고려했을 때, 조선총독부에서는 독자적인 문자와 유교적 소양을 가진 나라인 조선을 통치하고 있다는 점을 과시하고 선전하는 기회로 삼고자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1940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루뱅가톨릭대학교 도서관은 독일에 의해 또다시 더욱 심한 피해를 입었지만 소위 ‘일본 컬렉션’은 우연하게도 거의 피해 없이 살아남았다. 그리고 1968년 언어 분쟁의 결과 루뱅라뇌브 지역에 프랑스어계 루뱅가톨릭대학교(UCL)가 분리 설치될 때 도서관 장서도 나뉘었는데 ‘일본 컬렉션’ 도서들 일체는 UCL로 이관되면서 현재 루뱅라뇌브에 위치한 UCL에서 소장되고 있다. 이후 일부 희귀서나 미술 관련 도서들이 사라진 경우도 확인된다고 하나 조선 도서들은 산일 없이 소장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분류상으로는 1925년 송부 당시의 상황 그대로 소장되고 있기 때문에 ‘일본 컬렉션’의 일부로 편성되어 있으며 목록에도 일본어 발음의 로마자 표기로 올라가 있다. Catholic University of Louvain, located in Leuven, Belgium, was considered an intellectual center by Belgium and neighboring countries, and its library also has a deep historical origin. During World War I, when Germany invaded Belgium and destroyed and set fire to a university library, not a military facilit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raised its voice of condemnation and created and promoted the Leuven International Project to rebuild the library. Japan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and promoted book donations, with the goal of spreading Japanese culture to Europe. The Leuven International Project Committee was formed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requested donations from conglomerates, etc., and a standard book list was created to prepare donated books. The books were sent to Belgium in six installments, and 3,302 copies of 13,682 books were sent over 2 years and 8 month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books sent by Japan’s Leuven International Project Committee, a ‘Donation from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included. There were approximately 200 books, including 181 books of 38 types originally owned by Joseon, 24 books of 7 types from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publications, and even a map called Gonyeojeondo. What is at issue here are the 38 types of books from the Joseon Dynasty, which match the records on books taken out from Gyujanggak. This paper includes photos taken of Joseon books on site from the current university. Here, books that were originally stored in Jibokjae, the study of King Gojong, and Sigangwon, the crown prince’s educational institution, are confirmed. Looking at the composition of the 38 types of Joseon books, the proportion of Eonhaebon (the Korean versions or translations) and King Jeongjo’s Eojeongseo (the book directly supervised by the king) is high.

      • KCI등재

        어머니의 그림책에 대한 인식, 유아와의 읽기 상호작용, 유아의 표현언어능력 간의 관계 : 종이책과 전자책의 비교

        박수옥 ( Park Suok ),최나야 ( Choi Naya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1

        이 연구는 종이책과 전자책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유아와의 상호작용 양상을 비교하여 살펴보고, 어머니와 유아 간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이 유아의 표현언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서울에 거주하는 만 5세 유아 200명과 그 어머니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들은 유아용 전자책보다 종이책에 대해 더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유아 간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은 양적·질적 측면에서 모두 전자책 보다 종이책을 활용해서 더 풍부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림책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유아와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과 상관이 있었다. 넷째, 어머니가 종이책의 필요성과 즐거움, 전자책의 필요성과 이점을 인식하는 것이 유아와의 읽기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종이책과 전자책의 유형과 상관없이 어머니-유아 간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은 유아의 표현언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mothers` perceptions on picture books and their interaction with children using books by comparing paper books and e-books. These variables were used to analyze their effects on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y of children. A total of 200 mothers and their 5-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showed a more positive perception toward paper book than e-books. Second, the mothers and their children interacted more fully with the paper books with the e-books, measur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ird, the mothers` perceptions on books were correlated with their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using the books. Fourth, the mother`s perceptions on the necessity and pleasure of reading paper books or the necessity and benefits of reading e-books affected their reading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Lastly, the mother-child reading interactions explained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y of a child, regardless of the types of books.

      • KCI등재

        예술가 책(Artists'Books)'에서의 '북 오브제(Book Object)'에 관한 연구

        임영길(Yim Young kil),김유림(Kim Yoo rim)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4

        1960년대에 유럽과 미국의 예술가들이 직접 작품으로서의 책을 만들기 시작하였으며, 1970년대를 통해 예술과 책을 둘러싼 다양한 실험이 진행되었다. 예술과 책의 교집합에 있는 '예술가 책' 중에서도 순수 예술에 더욱 가까운 '북 오브제'는 이러한 실험의 결과물이다. '예술가 책'에 대한 분석이 짧은 역사로 인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예술가 책'에 속하는 '북 오브제'에 대한 연구는 더욱 부족하다. 인터넷과 전자책을 통한 정보의 양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책의 종말' 이후 책의 물성을 탐구하는 데에 예술적 제안이 될 '북 오브제'는 점차 중요한 매체가 될 것이므로 이에 대해 연구는 시의적절하다고 하겠다. 본 논문은 그간 발표된 국내외의 '예술가 책'에 관련된 작품과 문헌을 토대로 아직 우리나라에 완전하게 정착하지 않은 '예술가 책(Artists' Books)'과 '북 아트(Book Art)'에 관련된 용어와 개념을 정리하고, 예술가 책을 크게 '전형적인 예술가 책'과 전형적인 책의 구조에서 벗어난 '북 오브제'로 나누고, 이 '북 오브제'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특성을 연구하고 유형화한 것이다. '북 오브제'작품의 제작 뿐 아니라 오브제와 설치 작품을 오가며 다양한 활동을 해왔던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의 1941년 작 을 통해 '북 오브제'가 다른 오브제와 구별되는 특성을 분석했고, '북 오브제'를 여타 기존의 오브제와 설치, 그리고 퍼포먼스 작품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매체로서 '북 오브제'가 가진 표현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수제작이 가능한 복제성이다. 현대 미술의 오브제 작품들은 대부분 에디션을 고려하지 않고 제작된다. 반면 북 오브제는 책의 형태적, 개념적 구조에 기초하고 있으므로 대부분 복수원본(multiple original)적인 특성이 있다. 둘째, 독자의 참여도가 높은 상호작용성이다. 전시장의 놓여있는 대부분의 오브제와 설치 작품들은 관람자가 손으로 만지거나 들어볼 수 없다. 반면 같은 뒤샹의 포트폴리오 박스 형태의 북 오브제는 독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해석을 요하는 상호작용을 한다는 점이다. 셋째, 북 오브제만이 갖는 공감각적 지각 방식의 특성이다. 주로 시각만을 사용해 감상하는 오브제와는 다르게 북 오브제는 책을 만질 때의 촉각, 그리고 책장을 넘길 때의 청각, 때로는 후각까지도 사용해 공감각적으로 감상한다는 특성이 있다. 넷째, 책을 제작하는 종이를 주재료로 한 북 오브제는 종이라는 재료의 모성(matrix)이 갖는 물성적 특징을 지닌다. 다섯째, 책에 관련된 행위적인 요소가 중요하다. 여섯째, 책에 인쇄된 텍스트나 이미지의 정보가 필연적으로 드러나면서 자료와 정보를 읽을 수 있는 메타코드적인 특성이다. 위와 같은 특성에 따라 북 오브제의 작품을 '북 스컬프쳐', '북 인스톨레이션', '북 퍼포먼스', '버추얼 북'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작품들을 소개하였다. 아직 국내외에 충분히 많은 북 오브제 작품이 제작되지 않은 관계로 제한된 작품에 의존했기 때문에 연구가 완결되었다고 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위와 같이 북 오브제의 특성을 분석하고 유형화한 것을 토대로 앞으로 더 많은 작가들에 의해서 다양한 작품들이 제작되어 새로운 분석의 틀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the 1960s, artists from Europe and America have started to make books as a part of their own artistic practice, and their experiments on books became more diverse throughout the 1970s. At the intersection of 'Art' and 'Book', there is 'Artists' books', and the one that is closer to 'Art' in 'Artist's books' is the'Book object' which is a result of those artistic experiments. Because of its short history, there is not enough discourse about 'artists' books' yet, and there is even less discourse about 'book object'. Since there is overwhelming amount of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nd e-books, people have discussed about 'the end of the paperback era'. As an artistic suggestion for the current issue about the materiality of books, 'book objec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uture, so it is well timed to conduct a research on 'book object'.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references, this research arranged the terminology and the concept on 'artists' books' and 'book art', which were not yet settled in Korea. We divided artists' books into two: 'typical artists' books' and 'book object', then we focused on 'book object' to analyze the features and classify them. Marcel Duchamp not only produced the 'book object', but also worked on various object and installation works. We compared his 'book object', produced in 1941, with his other object pieces. We expanded the concept of book object and did a comparison analysis with the other forms of art such as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Here are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book object'. First, it is reproducible. In contemporary art, object art is considered to be one of a kind. However, rooted in a book's formal and conceptual structure, most book object has 'multiple original' features. Second, it is highly interactive. Most object art and installation art in a gallery space is not supposed to be touched. But book object in a form of portfolio box like Duchamp's, calls for the audiences' participation and their own interpretation of the piece. Third, it is synesthetic. While we solely rely on sight to observe object art, we use more than two senses when we look at book object; we touch to turn the pages, hear the sound of the turning and smell the book. Forth, it is mostly made with paper thus it has paper's materialistic matrix feature. Fifth, the book-related performa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duction. Sixth, it is metacoded; it is inevitable that it contains data and information because it is a form of printed text and image. Based on these features, we divided book object into four categories: 'book sculpture', 'book installation', 'book performance', and 'virtual book', and introduced the art works of each category. There had been not enough book object works produced in domestic and foreign art scenes, and since this research was based on a limited number of book object, it is hard to say that it is completed. This research would serve as a basis for the future studies in terms of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book object, and those studies would encourage more artists to make more book object for the continuous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