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당삼채 진묘수(镇墓兽) 도용(陶俑) 연구

        여휘 한국도자학회 2019 한국도자학연구 Vol.16 No.3

        This paper takes the Tang tri-colored ceramic tomb guarding beasts as the object of study and makes a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sculpture characteristics. The Tang tri-colored ceramic tomb guarding beasts is a sculpture buried in the tombs of the aristocrats of the Tang Dynasty. It is made with Kaolin as raw material, also with molds and hand building. The surface is covered with three-color glaze, with bisque firing of 1000 ° c and glaze firing of glaze of800 ° c. The human face tomb guarding beasts and the beast face tomb guarding beasts usually appear together in the tomb. With its terrible shapes and gorgeous glaze, Tang tri-colored ceramic tomb guarding beasts is a very peculiar category in the history of Chinese sculpture. Tang tri-colored ceramic tomb guarding beasts came in the middle of the7th century to the 8th century, this short half of century was a heyday of the period in political, economic, military and cultural aspects in Tang Dynasty. The economic development,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break through the aesthetic paradigm in the central plains, kiln technology development is the background of Tang tricolor tomb guarding beasts. Tang tri-colored ceramic tomb guarding beasts were found in the two capitals of the Tang Dynasty: Xi 'an in Shanxi Province and Luoyang in Henan Province. However, those ceramic beasts disappeared with the felt of the Tang empire for more than a thousand years before being rediscove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Tang tri-colored ceramic tomb guarding beasts can be classified as animal sculpture with two forms, one is ceramic tomb guarding beasts with human face, i.e. the combination of human face and animal body; the other is ceramic tomb guarding beasts with animal face, i.e. the combination of lion head and animal body. Tang tri-colored ceramic tomb guarding beasts are not real animals, but imaginary ones. Each part of its body is composed of different beasts, include antlers, lion head, lion body, eagle wings, horseshoe and eagle claws. Sculptors combined the most aggressive parts of the beast with the angry facial expressions of the barbarians to form the patron saint of the underworld. This paper will analyze the sculptur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each part of the Tang tri-colored ceramic tomb guarding beasts, and from the perspective of sculpture techniques, analyze why the craftsmen in the Tang Dynasty should make terrible modeling, and how to choose the modeling to further demonstrate the cultural value of the ceramic tomb guarding beasts in the Tang Dynasty. 본 논문은 당삼채 진묘수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당삼채 진묘수의 조형 특징에 대해서 비교적 전면적인 정리를 하였다. 당삼채 진묘수는 당나라 귀족 묘실의 부장품 조각이었다. 고령토를 원료로 하고 도구과 수공으로 형태를 만드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표면에는 삼채유를 사용하였다. 초벌 온도는 1000도이며, 유약을 번조하는 온도는 800도이다. 일반적으로 2개가 함께 능묘에서 출토되었다. 당삼채 진묘수의 조형은 무섭고, 유색은 화려하며 중국 조각사에서 매우 특이한 종류이다. 당삼채 진묘수 도용은 약 서기 7세기 말에서 8세기 중반에 출현하였다. 이 짧은 반세기는 당나라의 정치·경제·군사·문화 각 방면에서 전성기를 구가했던 시기이다. 경제의 발전·여러 국가들과의 문화 교류·중원지역의 심미적 패러다임에서 벗어남· 도자기 번조 기술의 발전 등은 당삼채진묘수의 시대적 배경이다. 당삼채 진묘수 도용은 중국 당나라의 두 수도인 섬서성 서안시와 하남성 낙양시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었다. 당나라의 멸망과 함께 천여 년 동안 사라졌다가 20세기 초에야 재발견되었다. 당삼채 진묘수는 동물의 이미지를 조각한 도용이며 두 가지 형태가 있다. 하나는 인면진묘수로 사람의 얼굴과 동물의 몸통이 결합한 형태이다. 다른 하나는 수면진묘수로 사자의 머리와 동물의 몸통이 결합한 형태이다. 당삼채 진묘수는 실제로 존재하는 동물이 아닌 상상 속의 동물을 조각한 것이다. 몸통의 각 부분은 각기 다른 맹수들로 조합하였다. 진묘수에 사용된 동물의 조형에는 사슴뿔·사자머리·사자 몸통·매 날개·말발굽·매의 발 등이 있다. 조각공들은 맹수들의 가장 공격적인 부분을 한 곳에 모았고, 호인의 분노한 얼굴 표정을 더하여 저승세계의 수호신으로 조합하였다. 본문에서는 당삼채 진묘수 각 부분의 조형적 특징과 역할에 대한 분석과 조각 기법의 각도에서 당나라 장인들이 조형을 왜 무섭게 만들었는지 조형을 어떻게 선택하였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당삼채 진묘수 도용의 문화적 가치를 한층 더 깊이 입증할 것이다.

      • KCI등재

        “해태”고

        김언종 ( Eon Jong Kim ) 한국한문학회 200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2

        반대가 없다면 해태는 2008년부터 대한민국 수도 서울의 상징이 될 것이다. 본 논문은 해태가 과연 어떤 짐승인가를 알아보는 동시에 우리에게 익숙한 모양이 과연 文籍속의 해태의 모습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전설적인 瑞獸의 한자 표기법은 `?’, `?치’, `??’, `解치’, `解?’, `해치’, `해치’, `解치’, `해치’ 등이 있다. 모두 同音假借의 글자들이라 보아야 한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이 쓰이는 표기는 `?치’로 보이며 `해태’, `해채’, `해치’ 모두 다 통용되는 발음이다. 치는 `태’, `채’, `치’ 세 발음이 다 가능하고 ?에도 `치’, `채’, `태’ 세 발음이 있다. ‘해태’ 두 글자의 최초의 용례는 일반적인 추론과는 달리 西漢 司馬相如의 『上林賦』로 보인다. 또한 ‘시비사정을 분변하는 능력’에 대한 전설을 만들고 유포한 사람은 西漢 末의 “儒生”들로 보인다. 王充이 『논형』에서 그들의 말을 전하고 비판의 대상으로 삼고부터 널리 알려진 후 그 형상과 기능에 관한 온갖 부회가 확대 재생산 된 것으로 보이는데 前漢 말에서 왕망의 新에 이르는 난세에 정상적인 법질서가 무너진데 대한 반성과 질서회복의 염원을 담은 것으로 보인다. 뿐 아니라 이 유생들의 해태 신화화에는 『墨子』 『明鬼下』의 ‘齊莊公 故事’가 일정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해태가 해태인 이유는 一角, 즉 외뿔에 있다. 『논형』이하로 해태가 등장하는 고금의 수많은 기록 가운데 해태의 형상을 말할 때 “一角”이란 두 글자는 빠진 적이 없다. 이 “一角”이야 말로 해태의 특징인 것이다. 이 외뿔은 시비사정을 변별하여 비리를 저지른 사악한 자를 들이받아 제거하는 해태의 상징이다. 고금을 막론하고 중국의 곳곳에 세워진 해태는 하나같이 외뿔이 있다. 몸의 형상이야 워낙 설이 다양하니 다를 수 있겠지만 뿔이 없는 해태는 없는 것이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우리나라의 이곳저곳에 세워진 해태 상에는 뿔이 없다. 우리나라도 신라시대로부터 조선말에 이르는 긴 시대에 걸쳐 해태에 관한 기록이 있고 인식도 있었는데 중국의 그것과 다르지 않았다. 한 때 조선에서 만들어 명에 보내는 貢物에 해태 공예품이 들어있기도 했다. 특기할 점은 李圭景의 『五洲衍文長箋散稿』에 逸書인 『乘雅』의 “??, 火獸也.”라는 구절이 보인다는 것이다. 서울의 불을 진압하기 위해 경복궁 앞에 해태 상을 만들었다는 속설에 일정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또 “해태의 모양이 기린 같다.”는 주장도 흥미로운 것이다. 이는 元 吳澄의 “기린 중의 해태다(麒麟中之?치也).”라는 언급과 상통한다. 현재 우리나라 도처에 뿔 없는 해태상이 세워져 있다. 是非邪正을 分辨하는 능력을 상징하는 ‘뿔’이 없는 해태는 해태일 수 없다. The mythical beast haetae will be designated as the symbol of Seoul, the capital of Korea, from 2008, if an objection is not raised. This paper first explores what this omniscient beast is and then examines how much its current image familiar to us reflects the beast described in ancient texts. The auspicious beast is transcribed in various combination of Chinese characters; `hae ?,`, `haechi ?치,`, `haechi ??,`, `haechi 解치,`, `haechi 解?,`, `haechi 해치,`, `haechi 해치,`, `haechi 解치,`, `haechi 해치.` All the characters are homophones(同音假借). Among them `haechi ?치’ is most frequently used, and it can be pronounced haetae and haechae. The character 치 has three pronunciation of `tae,`, `chae,` and `chi.` So does the character ?. The locus classicus of the beast is found in "Fu on the Imperial Park" (Shanglin fu 上林賦) written by Sima Xiangru 司馬相如 in Western Han 西漢 times. Confucians at the end of the Western Han are considered to have made and disseminated the legend that the beast has the faculty to distinguish right and wrong. Since Wang Chung 王充 recorded and criticized it in his Lun heng 論衡, the story had become widely known, and more stories of its figure and functions had been developed in sophistication. This phenomenon seems to reflect on the regret for collapsed law and order in turbulent times and the wish for its proper restoration. In addition, such mythologization of the beast by Confucians is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the episode of Duke Zhuang 莊公 of Qi 齊 retained in the Mozi 墨子, "Ming gui." 明鬼 The beast Haetae is marked with one horn (il gak 一角). "One horn" has always been mentioned, when describing the physical features of the beast, in numerous ancient texts, ever since in the Lun heng. The beast plays a role in punishing those who commits crimes with its horn, the symbol of the beast. Across time and place the statues of Haetae in China feature a unicorn. Its body shape can vary, due to different theories, but there is no haetae without a horn. Strange enough, however, the beast statue in Korea does not have a unicorn. The beast is also recorded in many texts throughout the entire premodern history of Korea, and it does not differ from Chinese records. What draws attention in particular is a passage, "Haetae is a fiery beast" ?? 火獸也 in the Sheng ya 乘雅, a lost text cited in the Oju yeonmun jangjeon sango 五洲衍文長箋散稿 written by Li Gyukyong 李圭景. This content would have contributed to the secular belief that the beast statue was built in front of the Kyongbok palace in order to fight a fire in the capital. Equally interesting is that the beast resembles the kylin, another fabulous beast in imagination; this is similar to "Haetae is one kind of kylin," 麒麟中之?치也 a comment of Wu Cheng 吳澄, a figure of the Yuan dynasty. There are many haetae statues without a horn in Korea. Since a unicorn symbolizes the power to distinguish right and wrong; corrupt and correct, if not having one, then the beast cannot be called the haetae.

      • KCI등재

        Modeling research on the image of China’s Four Great Beasts in the Jiangxi Middle Tomb in the Goguryeo period

        곽가위 한국동양예술학회 2022 동양예술 Vol.54 No.-

        The murals in Jiangxi Middle Tomb in the Goguryeo period were created in the late Goguryeo. Among them, the image of China’s Four Great Beasts composed of Azure Dragon, White Tiger, Vermilion Bird, and Black Tortoise are the most representative works. Compared with similar murals of China’s Four Great Beasts, it not only has its own uniqueness, but also has a high artistic and historical value. Starting from the modeling characteristics of Azure Dragon, White Tiger, Vermilion Bird and Black Tortoise in the image of China’s Four Great Beasts in Jiangxi Middle Tomb, this paper analyzes and combs the whole modeling characteristics. Throug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image of China’s Four Great Beasts in Jiangxi Grand Tomb, Hunanli Sishen Tomb, Yaoshuili Ancient Tomb and Zhenpolli No. 1 Ancient Tomb, it further highlights the uniqueness of the four great beasts modeling in Jiangxi Middle Tomb in head, face, wings and body patterns. In addition, this article also makes an in-depth analysis based on the modeling features of the head, face, wings, and body patterns in the image of China’s Four Great Beasts. Taking the characteristics of head modeling as an example, the analysis of Azure Dragon ears, White Tiger and Vermilion Bird's crest feathers can reflect the exquisite painting skills of Goguryeo painters and the worship of the image of China’s Four Great Beasts by Goguryeo people. On the facial modeling, Azure Dragon's eyes and Vermilion Bird's wattle modeling fully reflect the romantic spirit of Goguryeo and their faith in religion. Besides, by analyzing the body patterns of Azure Dragon, White Tiger, Vermilion Bird, and White Tiger, Vermilion Bird and Black Tortoise, it is found that Goguryeo people's rich imagination and their yearning for freedom and light at that time is shown in the modeling of wings and body pattern. Therefo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mage of China’s Four Great Beasts in Jiangxi Grand Tomb, it not only reflects the special features of the four great beasts, but also shows the deep artistic skills and rich imagination of the painters at that time. On the other hand, the image of China’s Four Great Beasts fully shows a deeper connotation by virtue of its unique modeling features. The religious beliefs of Goguryeo people, their worship of the image of China’s Four Great Beasts and their desire for rebirth are represented as spiritual symbols. Starting from two aspects of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symbols, this article mainly discusses the image of China’s Four Great Beasts, and strives to further explore its deep cultural meaning and artistic value.

      • KCI등재

        여성짐승과 남성주권자: 자끄 데리다의 늑대와 D.H. 로렌스의 뱀

        우정민 ( Jung Min Woo ) 한국로렌스학회 2014 D.H. 로렌스 연구 Vol.22 No.1

        Jacques Derrida, opening up a series of speech entitled “The Beast and the Sovereign,” declares and repeats a puzzling sentence, “We’re shortly going to show it,” of which the echoes would last throughout the thirteen lectures from December 12, 2001 to March 27, 2002. “It” is a kind of manifestation of what he names differance, which is both differed and deferred from apparent identities and enclosed systematic world of presence. “It,” therefore, is far from conclusive and definitive, as any other Derridean languages are; nevertheless, he makes one thing unexpectedly clear on the matrix of the beast and the sovereign, by proceeding somewhat oversimplified remarks that the beast [feminine] and the sovereign [male] are one, an ontological copula; the beast is the sovereign, the sovereign is the beast. However, at this seemingly definitive point, he deconstructs the self-reflective couple of the beast and the sovereign in order to reveal the invisible, unheard, absent, yet haunting and oscillating image of “it,” which he promised to show in the first lecture. As an example, he suggests to re-read the Biblical image of an evil creature, a snake, in his recital of D. H. Lawrence’s poem “The Snake.” In the poem, the snake arrives at the narrator’s water-trough before the narrator; and he, “like a second comer,” submits his sovereignty and ownership, and waits for the snake to drink first. Derrida, reading this poem line by line, highlights the scene of hospitality to show the overwhelming-fearful yet honoring-experience of facing the other, which is presented in the brief encounter of the narrator and the snake. Yet, the reading of this poem ends with an unanswered question: as Derrida ends the speech saying “there is no woman here, no woman, just a man and a snake,” the female beast is still absent. This paper is an attempt to find the absent being, revive the scene of its arrival, and restore the voice of the invisible spectre, the female beast. To examine the female beasts is to resist the umbrella of secured values and ideals and acknowledge a burden placed on us without impunity. It is an uncomfortable and uneasy, even unheimlich experience to defer the possibility of pure justice, welcome the “trial of undecidability,” and raise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by realizing the haunting, “demonish” (in Lawrence’s term) presence. In doing so, a fissure might be found to uncover the long mystified amalgam of the rogue and the sovereign state, the colonized and the colonizer, the dominated and the dominator, in short the beast and the sovereign, and reveal the plethora of suppressed unheard voices that have been exiled and will now arise beyond the monotonous rhetoric of difference to the height of differance.

      • KCI등재

        禽獸와 聖人의 사이 ‘人禽之辨’과 ‘聖我之辨’을 통해 본 先秦儒學의 인간관

        정병석 대동철학회 2018 大同哲學 Vol.85 No.-

        先秦 유가철학 역시 인간을 정의하면서 처음에는 인간과 금수의 구별에 대한 논의를 먼저 시작한다. 이것이 바로 인금지변이다. 선진시기의 유가들이 말하는 인금지변은 결코 순수한 사실적 측면을 통하여 인간과 다른 동물과의 차이점을 존재론적 관점에서 분석하지는 않는다. 그 보다는 선진유가들은 다분히 당위적 측면에서 인간과 금수를 구분하고 있다. 인간과 금수의 구별은 곧바로 인간은 금수에 비해서 근본적으로 우월하다는 ‘人禽異類’라는 논리적 귀결을 맺게 된다. 이런 방식의 인간 이해는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선진유가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인간과 금수의 차이를 통해 인간다운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본 후. 선진유가들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인간의 완전성이라는 문제에 대해 이야기한다. 바로 성인과 보통 사람은 어떻게 다르고 같은 가에 대한 聖我之辨의 문제이다. 비록 공자는 자신은 감히 성인으로 자처할 수 없음을 말하지만, 맹자와 순자는 성인과 보통 사람(나)은 기본적으로 평등하다는 聖我同類의 관점을 제시한다. 이것이 말하려는 핵심은 성인 역시 보통 사람과 다를 것이 없고, 보통 사람 누구라도 노력하면 얼마든지 성인의 단계에 도달할 수 있다는 聖我의 보편적 평등성을 말하는데 있다. 이처럼 선진유가는 인간을 금수와 성인의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선진 유가의 인간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인금지변과 성아지변의 관점을 통하여 분석하려고 한다. In defining man, pre-Qin Confucianists first starts a discussion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man and beast. This is the Differences between Beast and Man. For the Differences between Beast and Man, pre-Qin Confucianists never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man and other animals from an ontological viewpoint through pure factual elements. Rather, they distinguish between man and beast from a normative viewpoint. The distinction between man and beast leads to a logical conclusion that, as man is fundamentally superior to beast, 'Man is a different species from beast'. Understanding man in this way is common to all pre-Qin Confucianists,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After examining what humane i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man and beast, pre-Qin Confucianists discuss the issue of human perfection with a further step. That is a quest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Sage and Selfhood with respect to how a sage is different from and the same as an ordinary person. Although Confucius states that he cannot set himself up as a sage, Mencius and Xunzi suggest a viewpoint of the Homogeneity of Sage and Selfhood that a sage and an ordinary person (or selfhood) are basically equal. This point is to highlight the universal equality of Sage and Selfhood in which a sage is no different from an ordinary person and any ordinary person can reach the level of a sage through efforts. Thus, pre-Qin Confucianists view man as a being between beast and sage, and, based on that, discuss the issue.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tents to analyze the pre-Qin Confucianists' philosophical debate on man based on the viewpoints of the Differences between Beast and Man and the Differences between Sage and Selfhood.

      • KCI등재

        『화사집』의 짐승 표상 : ‘병든 숫개’, ‘배암’, ‘숫사슴’을 중심으로

        이원영,윤재웅 이화어문학회 2021 이화어문논집 Vol.54 No.-

        본고는 『화사집』의 주요한 짐승 표상으로 ‘병든 숫개’, ‘배암’, ‘숫사슴’을 지목하고, 이러한 짐승 표상들을 통해 직조되는 『화사집』의 원초적 생명성의 세계를 살피려는 시도다. 짐승 표상들은 󰡔화사집󰡕의 세계를 구성하는 주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짐승 표상들의 구체적 의미와 관계, 맥락을 통해 『화사집』의 세계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는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고는 ‘병든 숫개’와 ‘배암’, ‘숫사슴’을 중심으로 짐승 표상들이 지니는 의미와 맥락을 추적하고, 이러한 짐승 표상들을 통해 직조되는 󰡔화사집󰡕의 세계를 탐색하였다. ‘병든 숫개’는 밑바닥의 세계로 육박하여 고투하는 육체의 몸부림으로 찬란함을 간취하려는 역설적 시선을 보여준다. ‘병든 숫개’의 시선은 󰡔화사집󰡕 전체를 통관하는 시선이기도 하다. ‘배암’은 여성의 육감으로 나타나는 원초적 관능의 표상으로, 수컷들을 매혹하여 원초적 욕망의 몸부림을 만들어내는 생명성의 기제다. ‘숫사슴’은 건강한 육체의 화신으로서, 근원적 생명성과 합일을 이뤄 충만해진 이상적 수컷의 표상이다. ‘숫사슴-되기’는 병든 육체의 회복 열망을 보여준다. 시인은 이러한 짐승 표상들이 보여주는 육체의 몸부림들을 밑바닥 세계에서 찬란함을 간취하게 하는 생명성의 구현 원리로 받아들이고 짐승적 본능과 육체성 회복의 서사를 써내려간다. This study points out “Sick Male Dog”, “Snake”, and “Stag” as the main representation of the beast in 『Hwasajip』. And it attempts to examine the world of life of 『Hwasajip』 created through such representation of beasts. The representation of beasts is the main factor that makes up the world of Hwasajip. However, there have been no attempts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world of Hwasajip through the specific meaning, relationship, and context of the representation of beasts. In this regard, this paper traces the meaning and context of representation of beasts focusing on “Sick Male Dog”, “Snake”, and “Stag”, and explores the world of Hwasajip created though these representation of beasts. “Sick Male Dog” shows a paradoxical gaze of entering the world of the bottom and trying to acquire splendor through bodily struggle. The gaze of “Sick Male Dog” is also the gaze that passes through the whole of Hwasajip. “Snake” is a representation of primordial sensuality that appears in a woman’s physical beauty. “Snake” is the mechanism of life that makes males struggle bodily with their primal desires. The “Stag” is the incarnation of a healthy body, and the representation of an ideal male who has been fulfilled through unity with the fundamental life. “Becoming a stag” shows the desire for recovery of the sick body. The poet accepts the struggles of the body shown by these representations of beasts as the principle of realization of life that acquire the splendor of the world of the bottom, and writes the narrative of the restoration of the beast's instinct and physicality.

      • KCI등재

        「미녀와 야수」 다시 쓰기: 변형들과 그 함의

        신현욱(Hyunwook Shin)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15 영미문학교육 Vol.19 No.2

        “Beauty and the Beast” within the category of ‘The Monster or Animal as Bridegroom’ or ‘Search for a Lost Husband’ is one of the successful fairy tales, whose countless versions and adaptations prove that the original theme, penetrating the deceptive appearances and finding the true inner beauty, achieved universal appeal to the general audience. Unlike the fairy tales that began as folklore, “Beauty and the Beast” has its specific author and birth date. Gabrielle-Suzanne Barbot de Villeneuve’s original version is a full length novel or a romance rather than a fairy tale. Almost the latter half of Villeneuve’s is a long ‘story within a story’ of main characters’ separate backgrounds, revealing Beauty’s genealogy and the Prince’s transformation into the Beast. Villeneuve’s version is likely to be considered as “a redundant kind of monster, with its multiple, overlapping stories and impressive length.” Jeanne-Marie Leprince de Beaumont’s widely disseminated “Beauty and the Beast” shortened the 362-page version of Villeneuve’s, cutting the long ‘story within a story’ for educational purpose for her young female students. Andrew Lang’s translated version also excised the latter half and omitted the appended story concerning Beauty’s genealogy and the Beast’s enchantment. Apart from editing out Beauty and the Beast’s separate genealogies, both Beaumont and Lang revised the too-long protracted ending after the return of Beauty to the Beast’s castle in the original version and condensed the delayed ending into a single dynamic and dramatic moment of happy marriage. The significant signal of the protractive ‘anti-climatic’ ending and the lengthy appended ‘story within a story’ is the Queen’s question of Beauty’s family background and her shocked response: “What! You are only a merchant’s daughter?” While analysing Beaumont’ and Lang’s revisions and their implications, this paper examines the realistic moments and tensions including the Queen’s intervention in Villeneuve’s version and compares them with the condensed dramatic endings of Beaumont’s and Lang’s. And this paper tries to reveal that while Villeneuve’s version delays the dynamic and climatic ending unlike the later versions, it places the Beauty and the Beast’s relationship in a larger context beyond the two individuals and extends and redefines their roles in relation to the whole society and kingdom.

      • KCI등재

        ‘미녀와 야수’의 현대적 변용 양상

        김만수 ( Kim Man-su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5

        ‘미녀와 야수(Beauty and Beast)’는 ‘뱀 신랑’ 혹은 ‘잃어버린 신랑 찾기’의 모티브를 가지고 있으면서 그리스 신화의 <프쉬케와 큐피드>, 그림 형제의 <개구리 왕자> 등의 다양한 형태로 출현하고 있다. 또한 <미녀와 야수>, <킹콩> 등의 애니메이션과 영화로 자주 각색되면서 이야기로서의 지속적인 생명력을 보이고 있다. ‘미녀와 야수’는 인간과 동물, 여성과 남성의 범주를 대립쌍으로 지니고 있으면서도 아름다움과 추함, 선과 악 등의 미적 윤리적 가치와 결합되기 때문에 매우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셈이다. 대체적으로 보아 ‘미녀’를 중심축으로 전개되는 이야기는 동물적 속성을 가진 남성을 받아들이면서 여성으로서의 성숙을 보여주는 반면, ‘야수’를 중심축으로 전개되는 이야기는 아름다움과 선함을 갖춘 여성과의 만남을 통해 자신의 야수성을 극복해가는 성장담의 형태를 보여준다. 또한 여러 형태의 현대적 변용들은 남성과 여성, 문명과 야만, 미와 추 등의 전통적인 이분법을 벗어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미녀’에 해당하는 여주인공의 성장을 주로 다룬 텍스트를 대상으로 삼아 남성과의 만남을 통한 개인적 성장, 사회현실과의 만남을 통한 사회적 성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남성과의 만남을 통한 여주인공의 성장과 성숙은 미국 에니메이션의 단골 주제인데, <백설공주>에서 <슈렉>에 이르기까지의 에니메이션들은 인내, 순응 등의 보수적 가치 속에서 남성의 야수성을 받아들이면서 성인 여성으로 성장해가는 모습을 담고 있는 반면, <겨울왕국>에 이르러서는 여성의 주체적인 결단에 의해 자신의 미숙함을 극복해가는 모습을 담고 있다. 한편 여주인공이 사회현실과의 만남을 통해 성장해가는 모습은 최근 한국영화의 중요한 주제로 부상되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늑대소년>, <파이란>, <내 깡패 같은 애인>을 중심으로 이들의 사회적 성장의 과정을 다루었다. 이들 작품에서도 ‘미녀와 야수’라는 도식은 어김없이 적용되고 있지만, 미녀의 자질을 가진 여주인공이 사회현실이라는 야수성과 맞서는 장면, 혹은 여주인공과의 만남을 통해 남주인공이 스스로의 야수성을 극복해가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좀더 사회성이 강한 형태로 변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Beauty and the Beast’ has the same motif which can be found at the folk tales of ‘snake-bridegroom’ or ‘in searching for the lost bridegroom’. It has been changed into the various stories, for example, ‘Psyche and Cupid’ in Greek mythology, ‘The Prince Frog’ rewritten by Grimm brothers. It has been continued insistently in the modern popular film adaptations of ‘Beauty and Beast’ and ‘King Kong’. It is constituted by the binary oppositions: human/animal and male/female. It is combined with another aesthetic and ethical values: beauty/ugly and good/evil. In the consequences of these complexities, it can be interpreted into the various adaptation. The story focused on ‘beauty’ deals with the girl’s growth and maturity, which contains the process of accepting men’s brutality. The story focused on ‘beast’ deals with the men’s growth and maturity, which contains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brutality of himself through the act of meeting girls. Most various modern adaptation of ‘Beauty and the Beast’ deals with new interpretation by denying the traditional binary opposition. In this paper, we classified these texts into two categories: the maturity through meeting the other men and the maturity through confronting with the social circumstance. The story focused on the girl’s growth and maturity against man’s brutality is the mainstream of American animations. It deals with conservative theme which is related to the heroin’s endurance and accommodation, as we can find it in the < Snow White > and < Shrek >. Sometimes it deals with more progressive attitude, as we can find it in the < Frozen >. The story focused on the girl’s growth and maturity in the process of confronting various social circumstances is the mainstream of contemporary Korean films. It deals with social realism which is related to the heroin’s awakening and acknowledgement, as we can find it in the < A Werewolf Boy >, < Failan > and < My Dear Desperado >. In these Korean movies, the heroin must confront the brutality of Korean society or meet the brutal men only to awaken herself and to grow an adults. So these movies in Korea had a focus on the reflections of the ‘beast’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괴물의 아이>에 나타난 ‘대칭적 사유’ 연구

        정경운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7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9

        Mamoru Hosoda's <The Boy and the Beast> (2015) depicts the adventure with which a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isolated boy is growing through a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beings. This paper intends to reveal the essence of 'Relationships' and 'True Growth' that the director presents to us. In the film, a boy's adventure is centered on two worlds (the human world and the beast world). Here, the human world refers to a civilized society, and the beast world 'Naturalness' as the inner nature of a human being. The human world and the beast world in the mirror-relationship with the human world were originally a world, and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place for all existing things were connected in one. Human beings were never superior to the surrounding beings, but all beings were equal in relationship. The way of thinking in that age is called 'Symmetrical Thinking.' But as human beings opened the road to self-centered civilization, they eliminated 'Nature' inside themselves. As a result, the two worlds (human beings and nature, or the human world and the beast world) were eventually separated. This destroyed not only the human-nature relationship but also the human-to-human relationship,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vilized society where we currently live. Through the boy's question, "Who am I?", the director suggests to us that the inner nature of a human being as a natural being should be reinstated. This means that a human being restores the "relationship" with all beings (other beings) surrounding himself or herself, which is the only alternative to overcome various violences of the civilized society that we have created. The full growth of a human being is achieved at this point. In this way, <The Boy and the Beast> offers a reflection on the human civilization and society, and questions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with other beings, through cosmic thinking (symmetrical thinking) that we have lost. In this respect, it is a text presented as a 'Model of Maturity' for an immature human society. 호소다 마모루의 <괴물의 아이>는 물리적•심리적으로 고립되어 있던 한 소년이 주변 존재들과의 ‘관계’를 통해 성장하는 모험담을 그려내고 있다. 이 글은 감독이 우리에게 제안하고 있는 ‘관계’의 본질과 ‘진정한 성장’의 의미를 밝혀내고자 한 것이다. 작품에서 소년의 모험담은 두 개의 세계(인간계와 짐승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인간계는 문명사회를, 짐승계는 인간의 내적 본질로서의 ‘자연성’을 가리킨다. 인간계와 거울관계에 있는 짐승계는 애초에 하나의 세계였으며, 모든 존재하는 것들의 장소는 안과 밖이 하나로 이어져 있었다. 인간은 주위의 존재들보다 결코 우월한 위치에 있지 않았으며, 모든 존재들은 서로 대등한 관계에 있었다. 이러한 시대의 사유방식은 ‘대칭적 사유’라 불린다. 그러나 인간이 자기중심적 문명화의 길을 전개시키면서, 자신의 내부에 있는 ‘자연’을 스스로 제거시킨 결과, 결국 두 세계(인간과 자연 혹은 인간계와 짐승계)는 분리되고 만다. 이로 인해 인간과 자연은 물론,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까지도 단절되어 버린 것이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문명사회이다. 감독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한 소년의 질문을 통해, 자연적 존재로서 인간의 내적 본질을 복권시킬 것을 우리에게 제안하고 있다. 이는 인간이 자신을 둘러싼 모든 존재들(타자적 존재)들과의 ‘관계’를 회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만이 우리가 만들어낸 문명사회의 다양한 폭력성들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다. 인간의 완전한 성장은 바로 이 지점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렇듯 <괴물의 아이>는 우리가 상실해버린 우주적 사고(대칭적 사유)를 통해 인간 문명사회에 대한 반성과 더불어 타자적 존재들과의 공존 가능성을 묻고 있다는 점에서, 미성숙한 인류사회에 ‘성숙의 모델’로서 제시된 텍스트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인천시립박물관 소장 鼎形香爐와 獸形大砲 연구

        이용진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3 한국학연구 Vol.- No.71

        인천시립박물관의 청동정형향로와 수형대포는 1946년 이경성 초대관장이 미 군정청의 협조 하에 인천시립박물관으로 이관해 온 것이다. 정형향로는 2점으로 하나는 완형이고 다른하나는 귀가 파손되었다. 三足과 兩耳를 바탕으로 한 정형향로는 송대부터 향로로 용도가 변화하였고, 원대에 들어 실내에서 사용하는 정형향로가 60㎝에 이를 정도로 대형화되었다. 대형화된 정형향로는 명대에 들어 사찰의 건물 앞에 높이는 殿前香爐로 설치되었고, 북경 법해사 천황전과 대웅보전 앞의 전전 정형향로는 이러한 것을 대표하는 예라고 할 수 있다. 전전향로의 설치는 청대에도 지속되어 사찰과 황실의 궁궐, 예제 및 능묘 건축 등에도 설치되었다. 명청대 전전향로 중 사찰의 전전향로는 사찰명을 기록하고, 다리와 몸체에 문양을 새겼다. 반면 황실의 궁궐과 예제 건축에 놓이는 전전향로는 삼족과 양이의 기형적 특징만을 지니고 있다. 인천시립박물관 소장 정형향로는 사찰명은 확인되지 않고, 형태상 중국 북경 천단의 정형향로와 유사한 모습이어서 하남성의 유교건축과 관련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향로는 양이가S자형으로 되어 있는데, 이 같은 향로를 朝冠耳爐라고 하고 전전향로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수형대포는 포구는 동물의 얼굴, 포신에는 사람의 손발이 표현된 독특한 도상이 결합된것이다. 수형대포에 적용한 獸는 특정 동물보다는 강인함을 보여주는 동물의 얼굴과 사람의 손발을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포신의 명문에 따르면, 이 수형대포는 1861년 여름 하남성 개봉부에서 제작한 것을 알 수 있고, 縣 앞에 한 글자가 보이지 않는데, 하남성 개봉부에 있던한 글자의 杞縣이 있어 하남성 개봉부 기현의 공장에서 제작한 것으로 생각된다. 수형대포는주조선으로 보아 여러 개의 주조틀을 사용하여 만든 것을 알 수 있다. 청대의 화포와 비교하면서 용도를 살펴보았는데, 유사한 예는 없어 예포 또는 장식용 포였을 가능성이 크다. 다만이 수형대포를 만들었던 1861년이 중국에서는 태평천국운동과 양무운동이 있던 시점으로 이것이 예포였다면 무엇을 기념하기 위해 만든 것인지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ding-shaped incense burners and the beast-shaped cannnon hous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Museum were transferred to museum in 1946 by the first director, Lee Gyeong-seong, with the cooperation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re are two ding-shaped incense burners, one with a full shape and the other with a damaged ear. The usage of the ding based on the three feet and the two years changed to an incense burner starting in the Song dynasty. The size of ding-shaped incense burner used indoors became large, reaching 60cm in the Yuan dynasty. Coming to Ming dynasty, large-sized ding-shaped incense burners were installed in front of temple buildings. The ding-shaped incense burners installed in front of Tianhuangdian hall and Daxiongbaodian hall of Fahaisi(法海寺) in Beijing can be said to be representative examples. The installation of incense burners continued into the Qing dynasty and were installed not only in temples but also in imperial palaces, ceremonies, and tombs. Among the ding-shaped incense burner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ncense burner in front of temple buildings had the characteristic of recording the temple name and engraving patterns on the legs and body. On the other hand, the incense burners in front of palace buildings and ceremonial architectures had the characteristic of keeping the vessel type,the three legs and two ears. The temple name has not been confirmed for the ding-shaped incense burners hous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Museum, and its shape is similar to the ding-shaped incense burner at the Temple of Heaven in Beijing, China. Therefore, if these incense burners were transferred from Henan Province, it appears to be related to the Confucian architecture of Henan Province. The beast-shaped cannon combines a unique iconography with an animal face and human hands and feet. The beast applied to the cannon appears to be the face of an animal that shows strength and the hands and feet of a person, rather than a specific animal. According to the inscription engraved on the top of the cannon, it can be seen that this beast-shaped cannon was manufactured in the summer of 1861 in a Kaifeng in Henan Province. Judging from the casting lines on the cannon, it can be seen that this beast-shaped cannon was made using multiple casting molds. It is thought that this beast-shaped cannon was used for rituals or decorative cann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