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영상 공유 플랫폼 활동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 유튜브 채널을 중심으로

        김미리 ( Kim Miri ),전주언 ( Jeon Joo-eon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9 유통경영학회지 Vol.22 No.2

        기업들의 소셜 미디어 활동을 검증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소비자들의 소셜 미디어 활동과 그 동기를 추정하기 위한 자료수집과 분석이 대부분이었다. 소셜 미디어의 실제 활동성과와 시장성과 지표인 브랜드 자산 추정을 위한 자료 수집과 분석은 부족했던 것이다. 본 연구는 기업들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 활동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브랜드 실무자들이 운영하는 소셜 미디어 활동 중 동영상 공유 플랫폼의 브랜드 채널 활동이 브랜드 자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검증하고자 했다. 실증검증을 위해 연구자들은 인터브랜드의 브랜드 자산 지표 상위 100개의 브랜드들을 선정한 후 해당 브랜드들의 유튜브 브랜드 채널 활동을 분석해 인과관계를 추정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브랜드 채널의 동영상 수와 유관 채널수는 브랜드 채널의 구독자수를 높여 브랜드 자산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채널을 구독하는 시청자와 소비자-브랜드 관계가 선행되어야 브랜드 자산이 상승할 수 있으며, 브랜드 컨텐츠 조회수는 브랜드 자산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발견했다. This study aims to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YouTube channel activities on video-sharing platform and brand equity, while exploring the mediating roles of total views and subscribers empirically.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 of brand channel of video sharing platform on brand equity. This study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ubscribers relationship, total views, and brand equity through a SEM. The results reveal that video views influence subscribers relationship and brand equity positively. It is also found that associative channel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brand equity. The contributions of this research are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video-sharing platform related to channel on brand equity. From this, brand equity may be a role as a link in the path of effect that connects video-sharing platform activities with brand performance. Finally, theoretical contribution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비디오 공유 소셜 플랫폼의 새로운 패러다임: 일상 경험의 내러티브

        장진규(Jinkyu Jang),김진욱(Jinwook Kim),엄하정(Hajung Aum),신현식(Hyunsik Shin),김진우(Jinwoo Kim)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최근 타임라인상에서 자신의 일상 경험을 공유하고 커뮤니케이션 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타인에게 자신의 경험을 보다 잘 전달하고자 Instagram 이나 Vine 과 같이 자신의 경험을 기록한 비디오를 매력적으로 편집하고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대체 수단으로 선택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Attentional Focus, Narrative Understanding, Narrative Presence, Emotional Engagement 의 4 가지 Factor 를 도입하여, 소셜 플랫폼 상에서 공유되는 비디오의 시간 형태에 따른 Narrative Engagement 의 매커니즘에 관한 이론적 인과 모형을 제시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within-subject factorial design 으로 controlled experiment 를 실시하였다. 각 자극 별로 비디오 공유 소셜 플랫폼 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좋아요, 댓글, 즐겨찾기, 소환, 재생라인댓글 의 5 가지 Social Feature 를 직접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연구 결과, 총 시간 길이와 장면 전환 속도의 상호작용이 Narrative Engagement 의 4 가지 Factor 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밝혔다. 최종적으로 이론적, 실용적 함의가 도출되었다. Nowadays, we recognize that many people want to share their experience effectively. So they have been using Instagram or Vine to record and edit their video attractively.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suggest and verify the theoretical constructed causal model of narrative engagement through the form of shared video’s time on social platform. In order to figure it out, we set the contributing factors as attentional forcus, narrative understanding, narrative presence, and emotional engagement. We conducted within-subject factorial design in controlled experiment. Participents were able to use five social features which is like button, reply, favorite, recall, attach to playline reply.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action of the level of video’s time length and scene transition rate is the effect on narrative engagement.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were discussed at the end of the paper.

      • KCI등재

        온라인 예체능 실기교육의 영상 콘텐츠와 플랫폼 설계 전략 탐색

        최수이,김보경 한국문화교육학회 2023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ts video content and platform design strategies to promote online practical training in art and physical education. For classification, YouTube and Class 101, which are most commonly used as online learning platforms, were selected using the areas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n the two platforms, each course with a high number of views was selected from six genres: photography, art, craft, music, physical education and convergence with a learning participation rate of more than 10%. For analysis, sub-analysis criteria were set in the areas of teaching design, video design, and platform design based on prior research and an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and utilized. As a result, all genres used test teaching methods to provide learning materials. The screen consisted of teaching tools and the hands of the professor, and the professor's voice was always provided. The demonstration posture was presented in the first person and important contents were highlighted by using close-up photography techniques. The platform had flexible logins and intuitive titles and thumbnail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eaching methods, screen design, and flexible platform provision suitable for online practical training in art and physical education are design strategies.

      • KCI등재

        국내 공공 방송 · 영상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해외사례 분석

        정회경(Hoekyung Jung),박춘원(Choonwon Park),유영식(Youngsik Yoo),최효진(Hyojin Choi)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4 No.3

        방송 · 영상콘텐츠는 한 사회의 역사적 기록과 기억의 집합체로서 미학적 · 교육적 · 문화적 가치를 갖는다. 이에 더하여, 최근에는 창작자원으로서 경제적 가치의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공공 방송 · 영상아카이브는 이처럼 다양한 가치를 갖는 방송 · 영상콘텐츠에 대한 수집, 관리, 보존, 서비스 등을 수행하는 정책기구의 역할을 수행한다. 현재 국내에는 방송 · 영상콘텐츠를 공공 차원에서 수집하여 활용하는 정책과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국내 공공 방송 · 영상아카이브 구축을 모색하기 위해 법 · 제도, 핵심자원 수집, 공공서비스 이슈를 중심으로 프랑스, 미국, 영국, 호주, 일본 등 해외 사례들을 심층 분석했다. 법 · 제도적 측면에서 분석 기관들은 모두 법적인 근거에 의해 설립되고 그 기능이 법적 조항에 따라 운영되고 있다. 특히 핵심자원의 수집은 콘텐츠 공급자와의 협력 구조가 필수적이며, 아카이브의 개방과 활용은 온라인 검색 지원과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의 투 트랙 전략이 모두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 방송 · 영상아카이브의 구축 및 방송 · 영상콘텐츠 수집과 관련해, 미디어 채널과 콘텐츠의 공공성 측면을 중심으로 공공미디어 개념의 재범주화를 제안하고자 한다. As a body of records and memories of a society, audiovisual content has aesthetic, educational, cultural values. Plus, there is a growing emphasis on monetary values of audiovisual content, which are resources for creation. Public Audiovisual Archives perform a role of policy apparatus by collecting, managing, using audiovisual archives, which have multiple values. Now, there is neither policy nor institution for collecting and using audiovisual content as a public service. In order to find any policy for a new system for public audiovisual archives in Korea, this research does an in-depth analysis of foreign cases - France, Unites States, United Kingdom, Australia, Japan - focusing on legal systems, collect policies, and public services of each institution. All institutions analysed in this paper were established by its law and their functions have been performed by its legal basis.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build cooperative systems between an archival institution and content providers. For public services of an archival institution, it is also essential to take a two-track strategy of online retrieval system and offline consultation services. This study proposes the re-categorization of the concept of public media focusing on the public aspects of media channels and content in relation to the Public Audiovisual Archives.

      • KCI등재

        국내 지역 방송사 아카이브의 현재와 공공 방송 콘텐츠 아카이브 구축 방향 : 자료보관소에서 ‘공공’ 역사저장소로

        최효진,김수영,강신규 한국방송학회 2024 방송통신연구 Vol.- No.126

        The content of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themes and format in which they present it, as it contains the original Korean broadcasting culture. However, unlike major terrestrial broadcasters, local companies are relatively late in es-tablishing digital archives. This study examines the archive management of local compa-nies and discusses the role and function of public audiovisual content archives based on the findings. Through interviews with related staff at 17 MBCs and local private broad-casting companies, this study identifies several issues about archive management and use of each company. The study identifies a lack of dedicated archive staff and struc-tures within local broadcasters, problems in managing analog media materials that have not been digitized, inadequate metadata entry, lack of mid- to long-term data manage-ment policies, and limited use of archives to produce their own broadcast programs and online content. Accordingly, the study explores the direction of public support for the archive management of local companies in this situ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public audiovisual archive. In other words, the public archive should collect and permanently preserve materials containing the history of the Korean broadcasting industries and es-tablish a system that is easily accessible to all users.

      • KCI등재

        국내 시청각 기록관리 정책 리더십 및 전문성 제고 방안 연구

        최효진 한국기록학회 2022 기록학연구 Vol.- No.72

        The focus of this paper lies on the fact that th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audiovisual archives are still not specialized in both the public and the private sectors. The use of online video platforms including 'YouTube' has became common. Accordingly the production and collection of high-definition and high-capacity audiovisual archive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However, it also emphasizes that there are no references or principles in the current Public Records Act and its enforcement rules, public standards, and guidelines. This paper ultimately examines the provisions that are related to audiovisual archives of the current Public Records Act, which needed to be revised and enacted due to the lack of an audiovisual archives management manual of national institutions, public broadcasters, and organizations can refer to.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what kind of systems and guidelines are used in audiovisual archives management.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standardization of audiovisual records of the National Archives. It also analyses the systems and the guidelines methodically for efficient audiovisual record management in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sector. It suggests the new direction of relevant public standards and guidelines through this research. Futhermore, it measures to activate the audiovisual management policy-making functions of the National Archive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Public Audiovisual Archives as an organization was also reviewed in this paper. The Public Audiovisual Archives will collect Public Audio and Videos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through the legal deposit system. And it will be operated by the management and the utilization system so that it can be used for public as a collective memory. Finally, it will takes a charge of a professional role in audiovisual record management field, such as technology standardization to safeguard and protect the copyrights through this process. 본 논문에서는 ‘유튜브’ 등을 비롯한 온라인동영상 플랫폼 활용이 일반화되고 고화질·고용량 시청각 기록의 생산·수집량이 급증하는 상황에서도 공공·민간 부문 모두에서 시청각 기록의 ‘관리’와 ‘활용’은여전히 전문화되고 있지 않은 상황에 주목하였다. 공공기관이나 방송사, 일반 기업이나 단체 등 시청각 기록을 생산하는 주체들이 기본적으로 참고할만한 ‘시청각 기록관리 매뉴얼’ 등이 부재할 뿐만 아니라현행 공공기록물법 및 동법 시행령·시행규칙, 공공표준, 지침 및 매뉴얼 등 공공기록관리에서조차 시청각 기록관리의 원칙을 제시하지못한 가운데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인 ‘국가기록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점을 강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현행 공공기록물법 의 시청각 기록 관련 조항을 분석하고 제·개정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재 국가기록원의 시청각 기록 표준화 현황을 검토하고 공공기록관리 부문에서 효율적인 시청각 기록관리를 위해 제도적으로 마련한 제도와 지침을 분석하여, 기록관리 현장에서 해당 제도 및 지침들이 시청각 기록을 관리하는 데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하였다. 이를 통해 현행 국내 법·제도 개선의 필요성, 관련 공공표준및 지침 내용 개정 방향 등을 제시하였으며, ‘국가기록원’ 등의 시청각기록관리 정책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안과 시청각 기록관리 및 관련 정책을 담당한 전문기구인 ‘공공영상’아카이브 신설 필요성 또한 검토하였다. ‘공공영상’아카이브는 영상납본제 등을 통한 체계적이고 망라적으로 ‘공공영상’을 수집하고 이를 사회적 기억으로서 공적 활용될 수있도록 관리·활용 체계를 운영한다. 이 과정에서 ‘공공영상’ 보호(Safeguarding)와 관련한 기술 표준화, 저작권 및 초상권 권리보호 등시청각 기록관리와 관련한 전문적 역할을 수행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