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법경찰관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와 조사경찰관 증언의 증거능력

        김정한(Kim, Jeong-Han)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法學論叢 Vol.18 No.2

        형사소송법이 제정된 이래 지금까지 사법경찰관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이하 “경피신”이라 한다)의 증거능력은 ‘내용인정’을 그 핵심요건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경피신에 자백하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피고인이 공판정에서 범죄사실을 인정하는 경우라면 경피신을 증거로 사용할 현실적 필요가 없고, 부인하는 경우라면 당연히 경피신에 대하여도 내용을 부인하여 증거능력을 상실시킬 것이기 때문에 내용인정을 증거능력의 요건을 하는 한 경피신은 증거로서의 법률적 효용이 전혀 없는 것이다. 또한 개정 형사소송법은 조사경찰관이 조사과정에 지득한 내용을 법정에서 증언하는 경우 ‘원진술 상황의 신빙성 입증’을 요건으로 증거능력을 가진다고 규정하여 이제 사법경찰관은 피의자를 신문하더라도 피의자신문조서를 작성하는 것보다는 이를 법정에서 증언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피의자를 신문하면 반드시 조서를 작성하게 하고 있고 그 적법성과 공정성 확보를 위하여 여러 가지 제도가 마련되어 있는 사실들과 모순관계에 있다. 과거 경찰에 의한 수사권 남용과 인권침해를 우려하여 경피신에 증거능력을 부여하지 아니한 사정은 이해가 되나, 현실적으로나 법이론적으로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노출되는 지금의 상태를 언제까지나 유지할 수는 없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필자는 경찰서 상주 변호사 제도의 적극적 도입, 조사경찰관에 대한 탄핵적 증인신문 제도, 신문 내용과 조서화 과정의 객관성, 공정성 확보방안 보완 등을 전제로 경피신에도 실질적 진정성립 인정을 요건으로 하는 실질적인 증거능력을 부여하여 법정에 현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더 나아가 필요하다면 조사경찰관의 증언도 증거로 현출시킨 다음 법관은 그와 같이 현출된 여러 증거들을 기초로 합리적인 증명력 판단을 통해 실체적 진실을 찾도록 하는 것이 공판중심주의의 본래의 취지와도 맞고 실체적 진실발견이나 소송경제의 이념에도 부합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From the 1954 enactment of Criminal Procedure Act up until now, core requirement of the admissibility of dossiers of suspect interrogation prepared by a police offic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lice officer’s interrogation dossiers’) is ‘admission of content’ and there is not a sufficient amount of opinions on this matter. The reality is that criminal investigation is mostly conducted at police stations and about half of the police officer’s interrogation dossiers, the result of interrogation, are presented as evidence at the trial via the prosecutors’ office. But even when a police officer’s interrogation dossiers contains a confession, if a defendant admits his/her crime in court, there is no realistic need to use such police officer’s interrogation dossiers as evidence, and if the defendant denies his/her crime in court, naturally such defendant would also deny content of the police officer’s interrogation dossiers and its admissibility as evidence would be lost and so as long as admission of content remains a requirement for admissibility thereof, police officer’s interrogation dossiers has no legal use whatsoever as evidence. Until now, the Supreme Court has held that the fact which an investigating police officer acquires in the suspect interrogation process is not admissible as evidence even if the defendant testifies such fact in court, but the amended Criminal Procedure Act provides that when an investigating police officer testifies in court the fact he/she acquires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provided that ‘reliability of the ‘circumstance of original statement’ is proven, such fact be admissible as evidence. So, it became much more efficient for a police officer to testify in court than to prepare dossiers of suspect interrogation. Such circumstance runs counter to the requirement that dossiers be prepared after interrogation of suspect and all other devices to secure legality and fairness thereof. From such perspective, this author will provide criticism of position of the current Criminal Procedure Act on the admissibility of police officer’s interrogation dossiers and of investigating police officer as evidence and will suggest a desirable direction for amendment thereof. If interrogation of suspect is conducted through legal and fair criminal investigation procedure and the suspect’s statements are correctly reflected in the dossiers, such dossiers, whether prosecutor’s interrogation dossiers or police officer’s interrogation dossiers, should be deemed admissible, be examined in court, and become object of probative power evaluation. Various devices are already in place for a police officer’s interrogation of suspect or dossiers preparation process to be legal and fair but there is still something lacking so in order to improve them, this author herein proposed: active introduction of police station-stationed attorneys; cross examination of the investigating police officer; methods to secure objectivity and fairness of the interrogation and the dossiers preparation process, etc. police officer’s interrogation dossiers should be granted admissibility through such improvement, presented in court as evidence and, if necessary, the investigating police officer’s testimony should also be presented and then the judge just need to decide probative power thereof through rational comparison and review of reliability. Judge’s fact-finding in this manner complies with original purposes of principle of trial-centeredness and also with finding of real truth and trial economy.

      • KCI등재

        조사자 증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박성민(Park, Sung-mi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성균관법학 Vol.33 No.2

        조사자 증언은 2007년 형사소송법 개정으로 정식으로 제도화되었지만, 그 필요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하지만 2020년 형사소송법의 개정으로 검사작성 피신조서의 증거능력요건이 강화되면서 향후 조사자증언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조사자증언에 있어 조사자와 피의자의 대립관계 및 조사자 진술의 객관성에 대한 의문을 근거로 조사자증언의 증거가치를 부정하는 입장을 반박하고 이를 재확인하였다. 조사자의 법정진술 내용은 다양해서 피의자 및 참고인의 수사기관 진술로서 그들의 법정 진술과 상이한 진술일 수도 있고, 진술과정에서의 상황적 묘사일 수도 있으며, 범행현장의 목격담일 수도 있다. 따라서 피의자와 참고인의 진술이 엇갈리거나 참고인이 수사기관에서 진술 후 법정에서 진술을 거부하는 경향이 있는 성폭력범죄, 가정폭력범죄, 데이트폭력범죄의 경우 조사자증언의 중요성은 극대화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사자증언과 수사기관 작성 조서의 증거능력이 충돌하는 형사소송법적 문제를 해결하면서 그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조사자증언을 요증사실의 직접증거보다는 간접증거로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고, 참고인이 증언거부권을 행사하면 조사자증언의 증거능력을 부인하는 판례의 입장을 비판하면서 원진술자의 진술불가능 사유에 심리강제 및 회유 등 범죄심리학적 요소를 감안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316조의 특신상태요건이 조사자와 조사자 아닌 자의 구별이 없다는 점을 비판하면서 조사자의 경우 진술채득과정의 적법절차를 특신상태와 구별하여 별도의 요건으로 구성할 것을 주문하였다. Police officer’s testifying in court was formally institutionalized by the amendment of the Criminal Procedure Law in 2007, but the necessity of the Police officer’s testifying was constantly controversial. However, with the revised Criminal Procedure Law in 2020, the requirements for admissibility of the suspect interrogation protocol written by prosecutor have been strengthened, and the importance of the Police officer’s testifying in court is emerging. In such circumstances, this thesis based on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police officer and the suspect and the objectivity of the police officer s statements, refutes the position of denying the evidence value of police officer’s testifying in court and reaffirmed the evidence value of this. The statements in court of the police officer are diverse. For example, a statement different from the statement of the suspect and the reference person at the investigative agency, a circumstantial description in the process of statement, or an sightings of the crime. Therefore, in the case of sexual assault crimes, domestic violence crimes, and dating violence crimes in which the statements of the suspect and the reference person has a tendency to mix or the reference person has a tendency to reject the statement in court after making a statement in an investigative agency, the importance of the Police officer’s testifying in court can be said to be maximized. Therefore, in this thesis, a metho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police officer’s testifying in court was proposed. And the problem of criminal procedure law, in which police officer’s testifying in court and the admissibility of the evidence of the report prepared by the investigating agency conflict, was solved. First of all, it was proposed to use police officer’s testifying in court as indirect evidence rather than direct evidence about the fact of requiring proof. And it was argued that the necessity requirements included criminal psychological reasons. In addition, while criticizing the lack of distinction between the police officer and the others in the circumstantial guarantees of trustworthiness of Article 316, the police officer requested that the due process of the statement acquisition be distinguished from the circumstantial guarantees of trustworthiness and constitute a separate requirement.

      • KCI등재

        일반논문 : 경찰채용시험의 개선방안

        석청호 ( Cheong Ho Seok ) 한국경찰학회 2010 한국경찰학회보 Vol.12 No.1

        경찰의 임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경찰조직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훌륭한 경찰자질과 발전가능성을 가진 지원자들을 경찰관으로 선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오늘날 모든 민주주의 국가들은 경찰채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격성을 갖춘 지원자를 선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끔 일부경찰관의 범죄나 비리 등이 언론에 보도되어 경찰신규채용의 중요성을 일깨워 준다. 우리나라도 최근 발생했던 경찰관 범죄사건 등은 이 점에 있어 예외는 아니다. 본 연구는 이런 배경하에 현행 경찰신규채용, 특히 일반경찰의 순경채용시험과 관련한 문제점을 분석해보고 그 개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현행 경찰채용시험의 경우 필기시험에 상당한 비중을 두고 있으나 지적능력이 경찰현장에서의 직무수행과의 관계는 검증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여러 분야로 구분하여 채용시험을 실시하지만 각각의 채용시험 목표가 뚜렷하게 구분되어 있지 않아 시험과목 및 채용조건 등이 뚜렷하게 구분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한해 여러 차례 구분하여 신규채용하고 있는 경찰시험의 경우 채용부문별로 시험목표를 명확하게하여 시험과목이나 절차 등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재의 경찰채용 필기시험과목은 직무수행에 필요한 전문부문에 치중하고 있다. 그래서 필기시험과목 구성에 있어 교양영역과 전문영역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전문영역 위주의 시험과목 일부를 줄이고 교양위주 과목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시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 경찰관 위주의 출제방식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시험방식에 있어서도 현재객관식 시험 방식은 응시자의 종합적 사고력이나 가치관, 태도 등을 알아 볼 수 없기 때문에 주관식 시험을 통해 이런 요소들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경찰채용과정에 있어 부적격자를 배제하기 위해 4단계별 조치방안으로서 1단계로 종합적성검사후 필기시험 기회부여, 2단계 윤리의식제고를 위한 필기시험과목 추가, 3단계 면접시험 강화, 4단계로 신임경찰교육과정에 있어 부적격자 배제장치가 필요하다. Achieve police`s duty effectively and to select supporters who police organization to develop first of all honorable police officer quality as policeman is important. So, today, the all democracy countries are trying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olice employment and select supporter who equip eligibility. Nevertheless, remind the importance of a new police officer employment because some police officer`s crime or irrationality etc. is reported in the press. Police officer crime etc. that occurred recently our country is not exception in this point. This study analyzed current a new police officer employment, especially problem regarding general police`s a new police officer`s employment test and presented the improvement direction as following under this background. First, put weight that is considerable in written exam in the case of current a new police officer`s test but intellectual capacity with the performance of duty at police spot relation verify. And execute examination for service dividing by several territories, but each examination for service target has not been categorized clearly and subject for examination and hiring specifications etc. have not been categorized clearly. So, do definitely test target by employment part in occasion of police test that is doing new hiring dividing frequently year and need to differentiate subject for examination or formality etc. Second, current police officer employment written exam`s subjects is focusing in a specialism that is necessary in the performance of duty. So, need to reduce subject for examination some of turf putting first to solved imbalance of culture area and turf in written exam and establish newly culture putting first subject. Third, need to depart in setting a problem mode of policeman putting first to improve test effectiveness. And present objective test method in test method need to verify these factors through management way test because can not know candidate`s comprehensive thinking faculty or sense of values, attitude etc. Finally, a written exam opportunity department after comprehensive aptitude test in 1 step as action plan by 4 steps to exclude person disqualified for in the new police officer employment process for second-stage ethics consciousness add, 3 steps personal interview strengthen, need person disqualified for exclusion device in the new police officer training course in 4 steps.

      • KCI등재

        학교전담경찰관 제도의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황정용 한국치안행정학회 2019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5 No.4

        2011년 대구에서 학교폭력 피해를 입은 중학생이 자살한 사건이 촉매가 되어 학교폭력에 대한 범정부적 근절 대책이 마련되었고, 이 과정에서 전국적으로 시행된 것이 학교전담경찰관 제도이다. 그 후 지금까지 운영되는 과정에서 학교폭력이 지능화·흉폭화·집단화하고 피해학생이 그로 인해 사망하거나 피해학생의 사진이 SNS등에 게재되어 국민적 공분을 자아내면서 학교폭력의 실질적 예방 필요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학교전담경찰관 제도도 이에 맞추어 문제점을 탐색하고 합리적으로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선행연구들은 학교전담경찰관의 활동이 지역사회와 연계되어야 하고, 범죄에 대한 처벌 중심에서 선도·교화 중심으로 가야 한다고 역설한 바 있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주장에 동감하면서, 필자는 경찰조직의 관련 부서에 근무한 경험과 일선의 학교전담경찰관 의견을 토대로 변화하는 학교폭력 경향에 대처해야 할 학교전담경찰관 제도의 개선방안을 조직적 측면, 학교 등 지역사회와의 협조 측면, 선도활동의 질적 개선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선, 학교전담경찰관 편제를 위기청소년의 실질적 관리를 통한 학교폭력 예방이 가능하도록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현재의 학교전담경찰관들은 경찰서 여성청소년계에 소속되어 근무하는데, 소속 계장이 이외에도 아동안전, 실종예방 등 많은 업무를 다루는 등 통솔범위가 지나치게 넓어 실질적 관리·감독이 어려우며, 학교전담경찰관의 다양하고 전문적인 업무수행이 조직 내에서 비중있게 다루어지지 못하는 가운데 인사상 불리함을 안고 있어 잦은 교체, 베테랑 부재 등의 현상과 전반적인 근무사기 저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학교전담경찰관들로만 구성된 별도의 학교전담팀을 만들어, 팀장에게 실질적인 관리·감독권한을 줄 것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학교전담경찰관의 실질적인 학교폭력 예방활동이 가능해지고, 이들이 장기간 근무의욕을 갖고 근무할 수 있는 여건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교와 경찰의 학교폭력 관련 정보 공유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아직, 개인정보라는 이유로 양자간 협조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학교전담경찰관의 경우 1인당 11개교 이상을 담당하고 있어 현실적으로 폭력이나 비행이 우려되는 학생 관련 정보를 인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눈에 드러나지 않아도 범죄 우려가 높은 학생들 관련 정보를 잘 알고 있는 학교 측에서 학생생활부장 교사 등이 학교전담경찰관과 정보를 공유하여 공동으로 이들을 관리할 수 있다면, 사회적 공분을 자아내는 큰 폭력범죄와 안타까운 희생자 발생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현행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등 법적 근거의 개정도 필요하다. 그리고, 학교전담경찰관이 행하는 청소년 선도활동이 양적 활동에서 질적 활동으로 개선되고, 활동의 주요 포인트도 변화하는 학교폭력 추세에 따라가야 한다. 현재의 주요한 선도활동 중 하나가 선도프로그램 운영인데, 얼마나 많은 소년범 등을 프로그램에 연계하였느냐가 성과지표로 반영되어 학교전담경찰관들이 다수의 청소년을 연계하는 양적 활동에 치중하고 있다. 하지만, 단순 비행 청소년과 폭력전과가 있는 청소년은 달리 선도해야 한다는 점에서 후자의 경우 질적으로 깊이 있는 교육이 가능하도록 차별화된 선도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여러 학교 ... As a catalyst was the suicide of a middle school student who was hit by school violence in Daegu in 2011, a pan-governmental anti-bullying measure against school violence was prepared, and the School Police Officer system was implemented nationwide in the process. Since then, in the course of operations so far, school violence becomes intellectual, extreme violent, and collective and the victim suicides or a photo of the victim gets on SNS, the School Police Officer system needs to search for problems and make rational improvements. Previous researches have stressed that the activities of School Police Officers should be linked to the community, and that they should focus on guiding and socializing from the punishment for crimes. Basically, I agree with these arguments, and based on my experience working in the relevant department of the police organization and the opinion of the School Police Officers, I divided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Police Officer system into organizational aspects, 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school etc. and quality improvement of the guiding activities. First, we need to change the system of School Police Officers so that they can prevent school violence through actual management of crisis juveniles. Currently, School Police Officers are affiliated with the section of women & juvenile in police station.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he chief of section who deals with many tasks such as children’s safety and prevention of missing persons to manage and supervise staffs. As the various professional practices of the School Police Officers are not dealt with seriously in the organization, they have disadvantages in personnel, problems such as frequent replacement, absence of veterans, and overall decline in morale of duties are surfaced. Therefore, I propose that we make a separate School Police Officer’s team consisting of only school police officer and give the team leader the authority to manage and supervise school affairs practically. This will allow School Police Officers to prevent actual school violence and provide conditions for their long-term desire to work. Also, schools and police should be able to share information on school violence. Yet, there are many cases that bilateral cooperation is not possible due to sensitivity of personal information. As School Police Officers are in charge of more than 11 schools per a person, there is a limit to recognize information related to students who are afraid of violence or delinquency. Thus, if schools including director teacher of student life guide, which are well aware of students who are afraid of crimes even if they are not seen, can share information with the School Police Officer, and manage them jointly, they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violent crimes and tragic victims that makes public rages. To this end, the law on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needs to be revised. In addition, juvenile guiding activities conducted by School Police Officers should be improved from quantitative to qualitative activities, and major points of activity should be followed by changing school violence trends. One of the guiding activities in the present day is the operation of a guidance program, and the performance index reflected how many juvenile criminals were linked to the program, so School Police Officers focus on quantitative activities that link a large number of juveniles. However, it is suggested that the latter have a differentiated guidance program so that a qualitative and deep education can be achieved in the sense that simple delinquents and juveniles with violent battles should lead differently.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changes in police activities and concentration are needed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such the disbandment of a circle in which students commit violent crimes jointly and proactive detection and protection of crisis symptoms in cooperation with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so t...

      • KCI등재

        사법경찰관의 조사자증언과 수사상 진술의 증거활용

        한연규(Han Yon Kyu) 대검찰청 2018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60

        조사자증언제도의 도입, 효과 등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나, 경찰 수사상 이루어진 피의자의 진술을 증거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조사자증언제도의 도입에 본질적 의미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조사자증언의 활용도가 매우 떨어지는데 그 이유로는 ➀ 특신성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예측하기 어렵고, 증명력 문제를 혼합하여 판단하는 경우가 많아 증거능력을 인정받기가 매우 까다로운 점 ➁ 경찰 피의자신문 조서의 증거능력을 인정하지 않는 법제를 근거로 법원에서 조사자증언을 특히 엄격히 해석할 뿐 아니라 증거신청조차 잘 받아주지 않는 실무상 관행 ➂ 경찰 조사과정에서 피의자 진술의 임의성을 담보할만한 제도적 장치의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증거능력과 증명력을 혼합시켜 특신성을 판단할 경우 조사자증언이 증거능력으로서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조사자증언의 위축과 직결된다. 법정에 현출시킬 수 있는 증거능력 판단의 기준을 모호하게 가져갈 수 있기 때문에 증거를 제출하는 자부터 판단하는 자에 이르기까지 증거로 사용할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해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을 만들 뿐 아니라 그런 증거가 나오는 상황을 꺼리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조사자증언제도의 활성을 위해서는 법원에서는 특신성을 증거능력의 요건으로 이해하여 진술의 임의성과 ‘직접 관련’되거나 임의성을 ‘추단’할 수 있는 기준으로 특신성을 판단하여야 한다. 독일, 프랑스, 미국, 영국, 일본 등 외국 주요 국가들은 방식, 요건 등에 차이가 있었으나 모두 수사절차상 진술을 증거로 활용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으로는 조사자증언의 문제가 아닌 조서 외 증거현출 방법으로서 피의자의 인정 진술(수사 당시 조서 기재내용과 같이 진술한 사실을 인정하는 진술) 및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외국 주요 국가들처럼 수사상 진술을 확보하고 유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들이 충분히 마련되는 경우에는 증거의 영역에서 조사자증언이나 인정진술, 영상녹화물 등이 검찰 작성이든, 경찰 작성이든 조서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There is a fundamental meaning in the introduction of the police officer’s testimony in court, because it allows us to use a statement of a suspect on the police investigation as evidence, although there are diverse opinions on the issue of application and effect of police officer’s testimony in court. In practice, police officer’s testimony in court is less in use by the following reasons: ➀ It’s not easy to predict because the special credibility as an admissibility aren’t clear. Furthermore, we often judge by confusing admissibility and reliability of evidence, hence it is very difficult to be recognized for admissibility of evidence. ➁ On the basis of an unauthorized act on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a police protocol of examination of a suspect, there has been a practical custom in which the court not only interprets strictly police officer’s testimony, but does not even accept an application for evidence in court. ➂ During the police investigation, it can’t be said that there are institutionalizing means to guarantee the voluntariness of the suspect’s confession. in particular, judging the special credibility as an admissibility by mixing admissibility with reliability results in problems where the police officer’s testimony is not evaluated properly as evidence. This is directly related to the contraction of the police officer’s testimony. A criterion of judgment for admissibility of evidence to be presented in court can be ambiguous and this doesn’t only makes those who presents evidence reluctant to encounter a problem, creating a situation that is difficult to predict whether being used as evidence but also makes those who judges it avoiding situations where such evidence is presented. For the activation of the police officer’s testimony in court, the judge should receive the special credibility as an admissibility with the element for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consequently gauge whether it is ‘directly related’ or ‘presumptive’ in the voluntariness of the statement. We need to consider that major foreign countries such as Germany, France,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Japan use statements in the investigative stage as evidence,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methods and requirements. From a long-term point of view, the suspect’s consistent statements and the video recording should be recognized as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If there are enough institutionalizing devices to secure and maintain statements in investigative stage like major foreign countries, in the realm of evidence, police officer’s testimony, consistent statements, video recordings, could be served as a way to completely replace the protocol whether written by the prosecutor or by the police.

      • KCI우수등재

        사법경찰관의 결정에 대한 규율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이형근 한국형사법학회 2022 刑事法硏究 Vol.34 No.2

        Based on critical mind about problems in regulations on ruling of senior judicial police officer by current statutes, KICS system and case review officer, this study demonstrated the types and legal characteristics of senior judicial police officer’s ruling, then examined problems in regulations on ruling of senior judicial police officer and suggested improvement methods. In chapter Ⅱ, the demonstrations showed that senior judicial police officer’s ruling is eventual doing, so intensive regulations on the ruling are needed. In chapter Ⅲ, the examinations showed that relevant statutes constrict the prosecutor’s control on senior judicial police officer’s investigation, KICS system causes delay of investigation on specific type of case, and case review officer’s limited and spot review also causes problems in regulations on ruling of senior judicial police officer. In chapter Ⅳ,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explorations, 12 improvement methods of regulations on ruling of senior judicial police officer were suggested along with provisions and figures: (1) 5 improvement methods concerning relevant statutes including improvement of stay of investigation ruling and registration as unsolved cases. (2) 5 improvement methods concerning KICS system including reposition of cases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3) 2 improvement methods concerning case review officer including reconstruction from limited and spot review to limitless section review. In the conclusion, the study emphasized that not only discussions about relationship between the prosecutor and senior judicial police officer but also discussions about general rules concerning investigation including senior judicial police officer’s ruling are needed to prepare preemptively the possibility of reformation of relevant statutes and systems after the revision of Prosecutors’ Office Act and Criminal Procedure Act in 2022. 본 연구는 현행 법령ㆍ규칙, KICS 시스템, 수사심사관제도 등이 사법경찰관의 결정을 적정하게 규율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사법경찰관이 행하는 결정의종류와 법적 성질을 논증한 후, 사법경찰관의 결정, 특히 송치 이외 결정에 대한 규율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해보았다. Ⅱ에서는 사법경찰관의 불송치 결정은 종국적 처분으로 보아야 하고, 이는 오히려불송치 결정에 대해 보다 적정한 통제를 가해야 할 사유가 된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Ⅲ에서는 수사준칙 등 관련 법령ㆍ규칙이 사법경찰관의 수사에 대한 검사의 통제에제약을 가하고 있다는 사실, KICS 시스템의 특성상 종결한 사건 중 수사가 필요한사건이 지연 처리될 가능성 높다는 사실, 수사심사관의 심사가 불송치 사건 위주의일시점 심사인 관계로 모든 사건에 대한 심사가 적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사실 등을 확인하였다. Ⅳ에서는 이상의 고찰을 종합하여, 수사중지를 ‘그 밖의 경우’로 규정하고, 관리미제사건 등록을 수사중지의 사유에 추가할 것 등 법령ㆍ규칙의 개선방안 5건, 종결한사건 중 수사가 필요한 사건을 KICS 시스템상 제1영역에 현출되도록 할 것 등KICS 시스템의 개선방안 5건, 수사심사관의 업무 범위를 모든 사건에 대한 구간 심사로 전환할 것 등 수사심사관제도의 개선방안 2건 등 총 12건의 개선방안을 조문화(案) 및 그림과 함께 제안하였다. 결론에서는 2022년 5월 9일의 검찰청법 및 형사소송법 일부개정법률안 공포에 따라 이루어질 관련 법령ㆍ규칙의 개정과 제도의 개편 과정에서 검ㆍ경의 관계에 관한논의뿐만 아니라 수사를 위하여 준수하여야 하는 일반적 준칙에 관한 논의, 특히 ‘사법경찰관의 결정에 대한 규율’에 관한 논의가 내실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임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여성경찰관의 효능감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류채형 ( Chae Hyoung Ryu ) 한국경찰학회 2015 한국경찰학회보 Vol.17 No.3

        오늘날 여성경찰관은 과거 남성경찰관들의 단순 보조자로서의 역할이 아니라 전문성을 갖춘 남성경찰관의 동반자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여성경찰관에 대한 국민의 기대와 사회적 인식의 성숙을 고려해 볼 때, 여성경찰관들의 효능감은 자신뿐만 아니라 경찰조직 전반에 걸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여성경찰관의 역할 정체성이 변화하는 역사적 관점에서 확인하고, 이들이 경찰조직 내에서 어떠한 효능감(자기효능감, 집단효능감)과 직무태도(직무만족, 조직몰입)를 가지고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해 전국 여성경찰관을 대상으로 경험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평균적으로 여성경찰관들은 비교적 높은 수준의 효능감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자기효능감과 집단효능감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을 통해 여성경찰관들의 효능감과 직무태도는 과거에 비해 많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여성경찰관들의 경찰조직 내의 위상을 남성경찰관들과 비교해 볼 때 여전히 낮은 것이 현실이다. 생각건대, 이상과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여성경찰관의 효능감 고취 및 그것을 통한 직무태도 향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점들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먼저 여성경찰관 스스로가 보다 적극적으로 직업소명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를 위해 경찰조직적인 차원에서 여성경찰관들의 전문성을 확보 할 수 있는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보다 다양한 경찰부서에 여성경찰관들을 배치하여 직무영역을 확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본다. Today, female police officers are serving as a companion with expertise for male police officers rather than simply acting as an assistant officer of male police officers. Furthermore, the efficacy of female police officers should have a great impact on not only themselves but also the police organization in general considering the public’s expectations and the maturity of social awareness as to female police officers. Hereupon, it is deemed meaningful to verify the identity of female police officers at this point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and also examine what kind of efficacy and job attitude they have within the police organization empirically.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mean value analysis on the findings of the survey performed with the 874 female police officers throughout the nation. As a result thereof, this study found the female police officers were maintaining a relatively high degree of efficacy. Moreover, it was also found that the self-efficacy and collective efficacy of those female police officers would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at account, this study first proposed to develop and expand educational programs as compulsory liberal education, which would allow female police officers to foster vocational awareness more proactively by themselves in order to increase their efficacy and also that would enhance the self-esteem and self-respect as a female police officer at organizational level. Second, this study also proposed to place and distribute female police officers evenly in various departments so that they could expand the scope of their duties.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허경미(Huh Kyung Mi),최기문(Choi Key Moon) 한국공안행정학회 2006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4 No.-

        The dangerous job stress of police work may result in depression. that is highly correlated with work disability and poor quality of life. we investigated the quality of life, the probability of depression and the related risk factors for police officer in korea. and so, this research direction is concerned with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quality of life indices, which attempt to represents police officer's welfare generally or with regard to some particular aspect or domain of their life. A popular way of classifying quality of life for police officer is by reported survey process. This used the 8-item to access the quality of life for 217 police officer in korea. the 8-item: commutation satisfaction feeling, occupation satisfaction feeling, duty and organization satisfaction feeling, life of organization satisfaction feeling, health satisfaction feeling, economy satisfaction feeling, leisure satisfaction feeling, attachment to home satisfaction feeling. This 8-item is based on the Maslow's famous theory of hierarchy of needs and Bung sup-kim's survey tool. Maslow supposed about hierarchy of needs Beyond the details of air, water, food, and sex, he laid out five broader layers: the physiological needs, the needs for safety and security, the needs for love and belonging, the needs for esteem, and the need to actualize the self, in that order. the result of analysis: attachment to home satisfaction feeling is most high in every scope. and next, commutation satisfaction feeling, occupation satisfaction feeling, health satisfaction feeling, economy satisfaction feeling, leisure satisfaction feeling. the duty and organization satisfaction feeling is most low scope. decision making problem and shortage of hobby convenient institution are major dissatisfaction factor. And then, we suggest that first, police organization should be reformation for personnel system and leisure institution. second, police organization introduce to enlargement of decision making discretion of the front line police officer and staff. third, police organization introduce to enlargement of classification and new appointment at special sphere as cyber investigation and crime scene investigation. the new appointment should civillion officer. and last, police organization should be research about the police officer's dangerous feeling and supply powerful education system for police officer safety. 이 논문은 2002년도와 비교하여 2006년 5월 현재 경찰공무원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대하여 설문조사하고, 경찰공무원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정책적 방향의 제시를 연구목적으로 한다. 2006년도 5월에 서울, 경기 지방 및 대구, 경북지역에 근무하는 남녀 경찰공무원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삶의 질의 영역은 8가지로 구분하였다. 2002년도에 비해 경찰공무원의 삶의 질은 향상되었을 것이다라는 첫 번째 가설은 대체로 지지되었다. 조사대상 영역인 통근만족도, 직업만족도, 건강만족도, 재정만족도, 여가생활만족도, 가정생활만족도 등의 영역은 2002년도에 비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 및 조직만족도 영역 및 조직생활영역은 2002년도와 비교할 때 크게 차이가 없었다. 두 번째의 남성, 고연령, 고학력, 고소득, 상위직, 경력자일수록 삶의 영역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부분적으로만 지지되었다. 먼저 성별에 따라서 8가지 영역별 만족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에 따라서는 통근 만족도, 여가생활 만족도, 가정생활 만족도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직업만족도와 직무 및 조직만족도의 경우에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만족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강 만족도의 경우에는 20대와 40대가 높았고, 30대와 50대는 만족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경찰공무원들이 전반적으로 2002년도에 비해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는 것은 승진적체문제의 해소, 다면평가제의 실시, 여자경찰의 충원 확대와 여자경찰에 대한 승진우대제의 도입, 주5일 근무제의 전면적 시행 등 획기적인 변화가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직무 및 조직만족도나 조직생활영역의 경우 별로 개선이 되지 않는데 특히 해외견학 기회, 의사결정의 재량, 편의시설 등의 부족이 가장 커다란 불만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경찰공무원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경찰 입문당시 지녔던 전반적인 삶의 질에 대한 만족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조직의 내적 환경이 변화되어야 한다. 둘째, 연령이 높아질수록, 경력이 많아질수록 직업만족도와 조직만족도, 조직생활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업무의 재량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셋째, 직위분류제를 탄력적으로 도입하고 향후 인사시스템을 개방형제로 운용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경찰관이 업무수행과정에 느끼는 위험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그에 따른 관련 대책방안이 구체적으로 강구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표본 대상인 경찰공무원이 경북, 대구지역에 편중되어 있고, 입직경로별 표본 수가 너무 작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 KCI등재

        교정공무원과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비교연구

        허경미,박소은 한국교정학회 2009 矯正硏究 Vol.- No.4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politic proposal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comparatively reviewing the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Maslow's desire step theory, of correction officer and police officer working in special job circumstances to handle criminals. The result of this review indicated that on the whole correction officer holds less job satisfaction degree rather than that of police officer because correction officer holds more satisfaction only in the particular items of stability and identity area than the police officer does, while the police officer holds more job satisfaction in the section of safety, respect, achievement than the correction officer does. The following is the politic proposal based on this result of research. First, the more reasonable standard for correction equipment should be stipulated in the relevant law to enhance the job safety of the correction officer and the result of evaluation from the correction officer should be included and directly reflected in the process of parole to manage the prisoners. In addition 'tailored welfare system' already operated to the police officer which has been differentiated by reflecting the speciality of job circumstance should be applied to the correction circumstance. Second, the good image of correction administration wining public confidence should be established by the strategic public relations activities through building up various public relation system and resorting to new media methods already implemented by the police to foster the respect of correction officer. Third, the training program for correction officer should be provided to the correction officer in consideration of diversification of correction system to enhance achievement of correction officer. Plus the advancement in the correction administration should be made through reflecting more advanced correction system acquired by the expanding implementation of current long or short term overseas training program. 이 연구는 범죄자를 대상으로 특수한 작업환경에서 직무를 수행해야하는 교정공무원과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Maslow의 욕구단계이론을 토대로 직무만족도를 비교 분석해 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제언을 강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결과 경찰공무원은 교정공무원 보다 직무에 대한 안전성, 존중감, 성취감을 더 많이 느끼는데 반해, 교정공무원은 경찰공무원 보다 직무에 대한 안정성 및 소속감 영역에서 세부항목에서만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교정공무원이 경찰공무원 보다 직무만족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강구하였다. 첫째, 교정공무원의 직무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 계구사용에 관한 합리적인 기준이 보다 명확하게 법률상 규정되어야 하고, 수용자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가석방 심의에 교정공무원의 평가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경찰에게 실시하고 있는 직무환경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맞춤형 복지제도'를 교정환경에도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정공무원의 존중감을 높이기 위해 교정행정 역시 경찰에서 시행하고 있는 다양한 홍보시스템 구축 및 뉴미디어 활용 등의 전략적인 홍보활동이 필요하다. 셋째, 교정공무원의 성취감 향상을 위하여 교정공무원 개인에게 필요한 다양한 교육훈련 프로그램개발해야한다. 더불어 현재 실시하고 있는 장․단기 해외연수 프로그램을 확대․실시하여 보다 선진적인 교정제도를 우리 실정에 맞게 도입함으로써, 교정행정의 선진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윤호연 한국경찰복지연구학회 2014 경찰복지연구 Vol.2 No.2

        직무 대한 조직구성원의 만족여부는 조직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 소이다. 이는 그동안 이루어진 많은 기존 연구들을 통해서 어렵지 않게 확인해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요성을 인식해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도 꾸준히 증 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경찰관의 근무여건에 대한 개선과 후생복지시설 확충, 희생적인 업무에 상응한 보상, 경찰관의 증원, 각종 수당의 인상, 경찰차량 증가배 치, 합리적인 인사관리, 부서확충에 따른 승진기회의 확대 등 근무여건의 개선이 이어 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직무만족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 고, 개선함으로서 조직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위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목적은 첫째, 경찰관의 직무만족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을 통해 경찰관들의 직무만족을 높임으로서 궁극적으 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범죄통제와 범죄예방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둘째, 본 연 구에서 도출된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향후 경찰조직의 업 무 효율성 개선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시하고자 하였다. 무엇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직무만족의 영향요인을 인구사회학 적 요인(성별, 나이, 결혼, 근무기간, 근무부서, 계급, 보수, 경과, 입직경로, 학력, 근무지역), 직무요인(직무스트레스, 근무부담), 인간관계 요인(상사 및 동료관계, 리더십), 근무환경 요인(승진, 징계, 복지, 보수), 조직문화 요인(합리문화, 위계문 화, 발전문화, 집단문화), 외부환경요인(시민의 경찰 신뢰 및 존경) 등 6가지로 구 성하였으며, 이러한 영향요인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지의 여부를 파악하고 자 노력하였다. 특히 분석을 위하여 아산 경찰교육원에서 16개 지방청별 일선 경 찰서의 각 부서별 재교육중인 경찰관(지방청, 경찰서, 지구대, 파출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6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520부(87%)를 회수하 였는데, 그중에서 불성실한 설문지 12부를 제외한 나머지 총508부를 분석에 사용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경찰관 직 무만족의 차이는 연령, 결혼, 근속연수, 근무부서, 계급, 소득, 경과, 입직경로, 학 력, 근무지역 순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성별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관련 요인(직무스트레스, 근무부담)이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해 살펴보면 직무스트레스와 근무부담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셋째, 인간관계 요인(상사 및 동료관계, 리더십)이 경찰관의 직무만족 에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본 결과, 상사 및 동료관계는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사 및 동료관계가 좋을수록 직무 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리더십의 경우는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 직속상사의 리더십을 신뢰하고 높이 평가 할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넷째, 근무환경 요인(승진, 징계, 복지, 보수)이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 본 결과 승진, 징계, 복지시설 그리고 보수가 높을수록 직 무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조직문화 요인(합리, 위계, 발전, 집단) 부분에서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았는데, 즉 합리문화 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가 높아짐을, 그리고 위계문화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가 높아지고, 역시 집단문화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외 부환경 요인(시민의 경찰 신뢰 및 존경)은 경찰관의 대한 시민의 경찰에 대한 신뢰 와 존경이 높을수록 직무 만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라 경찰관의 직무만족을 위하여 외근직의 수당을 개선 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외근직 직무공간의 확보도 필요함은 물론, 외근직의 승 진비율을 정하는 것도 필요한 실정이다. 나아가 경찰관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적정 수준을 넘지 않게 하며 이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요인들을 강구할 필 요가 있다. 특히 건강검진시에 일반검사와 더불어 스트레스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해줄 필요가 있다. 이 밖에도 언제든지 심리상담과 개인적 성격의 변화를 유도하 는 인성교육에 대한 치료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서 성실하게 근무한 경찰 관들의 사기를 고려한 포상제도의 확대, 상사 및 동료와의 관계가 우호적으로 이 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분위기를 적극적으로 조성해주어야 할 것이다. 이 뿐만 아 니라 민간부문과의 연계·협력을 더욱 확대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적 극적으로 모색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본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which factors affect police officer's job satisfaction. Based on previous research, 24 independent variables are constructed and categorized into 6 elements. Frist,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element consists of 11 factors: gender, age, marital status, employment period, department, position, entering channel, education level, working unit, wage, and working location. Second, for the job related element, two factors, stress and burden of duty are examined. Third, the human relationship element includes two factors, relations with boss and colleague and perception of leadership. Fourth, the working environment element consists of 4 factors, promotion, punishment, welfare service, and wage. Fifth,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element, 4 factors , rationality culture, hierarchy culture, development culture and group culture are examined. Sixth, the external environment element includes the public's trust and respect toward police.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in the Police Training Institute where police officers from 16 local police agencies receive regular training. Six hundr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and with overall 84.7% respondent rate, a total 50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Statis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0.0. Research findings are followings: First, in regards to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age, marital status, employment period, department, position, entering channel, education level, working unit, and working locat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Second, for the job related factors, police officers with more job related stress and burden of job duty are more likely to demonstrate low levels of job satisfaction. Third, regarding the human relationship element, relations with boss and colleague and perception of leadership a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That is, a police officer with a good relationship with boss and colleague and who demonstrate a higher respect toward the boss's leadership is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his/her job. Forth, among the working environment elements, promotion, punishment, welfare service, and wage are significant factors. Fifth,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element, rationality culture, hierarchy culture, and group culture significantly affect the police's job satisfaction. Sixth, among the external environment element, a police officer who has a strong belief that the public trusts and respects the police officers is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his/her job. Based on research findings, three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First, working environment for street police officers needs to be improved. Extra pay, expanded working space and benefits of promotion should be considered. Second, appropriate measures should be taken to address police officers' job related stress. While taking health medical examination, a police officer needs to receive mental health checkup in addition to physical health checkup. Furthermore, counseling program for police officers should be implemented in all the police stations. Third, to improve the morale of police officers, expanding reward for hardworking and enhancing welfare service are needed. Forth, to improve relationships among police officers, specific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 friendly atmosphere is expected to relieve police officers' stress level as well as to improve the hierarchial subculture of police organization. Fifth, more factors affecting police officer's job satisfaction need to be investigated along with the cooperation of private se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