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1980년대 한·중 모더니즘 시의 지향성 비교연구 - 《현대시》와 《오늘》 동인을 중심으로 -

        이미옥(Lee, Mi-Ock)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0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64

        This thesis compared the directivity of Korean and Chinese modernism poetry of the 1960s to the 1980s focusing on the coterie 《Modern Poetry》 of Korea and the coterie 《Today》 of China. Behind the comparison of these two motives are the April 19th Revolution of Korea and Tiananmen Square protests of China, which were important turning points in the preparation of modernity. The two revolutions were the first democratic revolutions since liberation and they had a symbolic effect on modern history and literary history and this connected with movements for modernism of the West and gave birth to unique thoughts of modernism. The coterie magazines 《Modern Poetry》 and 《Today》 were created to allow people to voice their thoughts and establish their literary positions after the first democratic revolution failed after liberation in an atmosphere of national censorship. Their greatest role was to create autonomous literary fields in which attempts could be made for pure poetic explorations in a time when realistic participation was desperately needed and to secure diversity. Modern poetry coteries particularly pry into the unconscious, or in other words, the inner consciousness and their goal was a combination of lyricism and modernity. Their internal world was in the form of individual illusions created through language and the illusions they pursue were progressed with as explorations into pure individual unconsciousness and not as reflections of reality or participation. Also, they accept modernism techniques but establish their own poetics instead of settling for a single form of esthetics and they promoted active language experiments. The psalms of coteries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internal worlds’ of previous poems of modernism from aspects that they are the acquisition of self-sustaining internality that possesses modernistic material foundations. Compared to this, modernism poetry of China actively utilized modernism from aspects of technique but there are many aspects of reality reflection from aspects of content. Chinese poets read books related to modernism in secret through underground reading and this became nourishment for the creation of modernism poetry. They borrowed various modernism techniques such as metaphors, montages, and automatic techniques to reveal the contradictions of suppressed realities and this was called “misty poetry” and appeared as contemporary literary thought. Ultimately, misty poetry is another name for engagement poetry that borrows modernism techniques and its modernism is similar to historical modernity that is based on historical reality.

      • KCI등재

        초기 한국 모더니즘 시사

        정병필(Jung, Byung-pil)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4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6

        한국 시사에서 1930년대는 모더니즘 문학의 출발점으로 지목된다. 정지용, 김기림, 이상 등 현재까지도 한국 문학사에 우뚝 솟은 인물들이 모더니즘 문학에 주축으로 참여한 것만으로 당시 모더니즘의 위상은 대단했다. 그럼에도 1930년대 모더니즘은 서양의 문학 이론을 소개하는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평가 속에 1950년대에 와서야 ‘후반기 동인’으로 그 명맥이 이어진다. 말 그대로 1940년대에 모더니즘은 단절의 역사를 드러낸다. 1940년대에 모더니즘 시가 창작되지 않았던 것도 아니며, 1930년대 모더니스트들이 계속 활동을 했음에도 1940년대의 모더니즘이 단절의 역사를 가지는 것은 1940년대는 초기의 일본의 출판 금지 정책과 해방 후 문학적 이데올로기의 대립, 그리고 단독 정부수립 과정에 있어서의 문학적 헤게모니적 주도권에 의해 모더니즘이 1930년대만큼 더 이상 시단을 이끌어가지 못했기 때문이다. 달리 말하면 1930년대 모더니즘이 도시 문화, 도시 풍경이라는 배경 속에서 이미지즘적 수사법과 언어적 실험의 한계를 보이고 말았으며, 1940년대에는 이러한 배경이 사라지자 더 이상 문단에 위치하지 못했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1940년대에도 1930년대 모더니즘의 연장선이 뚜렷이 드러난다. 이는 근대성(모더니티)이라는 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미적 근대성에서는 이미지즘적 수사법뿐만 아니라, 언어적 실험이 1940년까지도 지속적으로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이상처럼 형식적 파괴에 의한 실험은 1950년대 "후반기 동인"에 와서야 보이지만, 극단적인 감정이 휘몰아치던 1940년대의 분위기에서 감정을 차단하면서도 언어적으로 감정을 드러내는 모습은 일상생활과 괴리된 1930년대의 언어적 실험을 한 단계 성숙시키는 결과로도 볼 수 있다. 둘째 사회적 근대성(정치적 근대성)은 1930년대 말 김기림의 전체시론의 성격과 모더니스트들이 해방 후 좌익 계열의 문단에 참여한 것으로 볼 때 이행의 지점을 살필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이행은 연속적인 흐름이라기보다는 1940년대의 배경에 의한 변화의 모습으로 살필 필요가 있다. 전체시론에서 정치적인 참여가 실천적 행동을 강조하기 위한 하나의 부분이었다면, 해방 후 모더니스트들의 정치적 근대성은 이데올로기에 종속된 부분이 뚜렷함을 부인하기 어렵다. 1940년대를 모더니즘의 단절로 파악했을 때 1930년대의 모더니즘적 지향의 실패와 1950년대에 보이는 1930년대의 반복적인 문제의식은 1940년대의 모더니즘 시사의 구축으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지점이다.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the 1930s are seen as the beginning of modernism. Well known poets such as Jeong Jiyong, Kirim Kim and Lee Sang show how fierce the wave of modernism was at the time. Despite this, modernism of the 1930s are often seen as having just introduced western literary theory, while the true lines of modernist literature is evaluated to have taken off in the 1950s. The 1940s, as a result, is seen as a dark period where the tradition of modernism was not passed on. But this is not to say that modernist poems were not written during the 1940s. Although modernist poets of the 30s continued on their work in the 40s, the 40s is seen as a dark period because of the policie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at banned certain publications, opposition of various literary ideologies after liberation and the hegemony that ruled while a Korean government was being established. As a result, the poets of the 1930s were not able to take the lead in the subsequent decade. In other words, with urban culture and the city scape as its background, modernism of the 1930s showed a limit to its rhetoric and linguistic experiments. As such backgrounds faded in the 1940s, the poets of the 1930s were not able to find their proper place. However, even so, the extension of modernism can still be found in the 1940s. This can be explai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what modernity means. First, aesthetic modernity not only showed through rhetoric focused on images, but also through linguistic experiments which continued into the 40s. Of course, as with Lee Sang, experiments through destruction of form only appear in earnest in the 1950s, but the refrain of emotions in the 1940s can still be seen as the result of matured linguistic experiments from the 30s. Second, social modernity (political modernity) can be traced back to the late 1930s when the overall tone of Kim Kirim’s theory on poetry and his participation in leftist literary groups took off. However, such a progression should be seen as events of changes that took place against the backdrop of the 1940s rather than a part of continuous process. If political participation was a way of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cting on one’s thoughts, the political modernity of modernists after liberation cannot be denied that it was part of the ideology. If 1940s are seen as an era where the tradition of modernism was cut off, it can still be interpreted as a time when modernist trends in poetry was established, evolving from the failures of the 1930s and contemplating on the many issues that were posed in the 30s, to progress towards the 1950s.

      • KCI등재

        모더니즘 이후의 모더니즘들: 신(新)모더니즘 연구의 가능성과 당면 과제

        송정경(Song Jung-g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7 영미연구 Vol.39 No.-

        모더니즘 담론에서 일반적인 연구 대상은 20세기 초반에 유럽과 미국에서 나타난 실험적 문화 예술 운동이다. 그러나 현대화로 인한 변화를 모더니즘의 주요 원인으로 보는 만큼, 현대화가 일찍 진행된 서구 국가들과 달리 시기적으로 뒤늦게 등장한 국가들의 모더니즘은 연구에서 제외되거나 타자의 형태로 작품 속에 존재하였다. 이후 일부 모더니즘 작품에 나타나는 제국주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서구 이외의 국가들의 현대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20세기 후반부터 세계화로 인한 범세계적 연구가 가능해지면서 새로운 모더니티와 모더니즘 연구의 판이 짜지는 계기가 마련됐다. 새로운 모더니즘의 경향을 통합적으로 살펴 보는 데는 여러 난제가 있으나, 1999년에 설립된 ‘모더니즘연구 학회’가 이러한 방향을 설정하는 기준을 구축하는 노력을 하고 있는 중이다. 이 학회는 1994년 Modernism/Modernity라는 학술지 창간에 이어서 설립된 학술단체로, 시들해져 가던 모더니즘 연구를 부활시킨 계기를 마련했다. 서구 중심을 탈피한 모더니즘 연구는 아직 상대적으로 부족하지만, 이 학회에서 주요 행사 중 하나인 모더니 즘연구 학회 학술상의 최근 수상작은 주로 새로운 관념의 모더니즘들과 관련된 저서들이 강세를 이루었다. 2015년 수상작은 자넷 풀(Janet Poole)의 『미래가 사라진 때』로, 한국의 모더니즘에 관한 연구서이다. 외국 작가에 의한 일본 식민지 상황의 한국 모더니즘 작가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이러한 새로운 모더니즘 연구가 비단 기존 모더니즘 연구의 지형도를 바꿀 뿐 아니라 한국 문학 연구의 판을 새로이 짜기도 한다는 사실이다. 새로운 모더니즘 연구로 인한 변화가 긍정적인지의 여부, 그리고 새로운 모더니즘이 공통된 특징을 명시 가능한 새로운 문예사조로서 기능하는지의 여부는 조금 더 시간이 지나야 알 수 있겠으나 서구 중심을 탈피하여 아직 ‘모던’이라고 불리는 시기에 세계 각국의 모더니즘을 발굴하고 재조명 한다는 데에서 유의미하다고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new modernist studies and investigate its significances and contradictions. In the 1990s, the genealogy of modernism and modernity reached an entirely new phase under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and postcolonial studies. Scholars began to expand the study of modernism and modernity in terms of space and time, modifying the scope of their research from a Western-centric modernism/modernity to that of other regions and periods. The new modernist studies enlarges the field without restricting its object to high culture, and thus achieved temporal and spatial diversity in its discourse. The movement was accelera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ist Studies Association (MSA) in 1999 and the ensuing publication of its journal, Modernism/Modernity. However, such approaches have the potential to distort domestic scholarship, for which Janet Poole serves as a good example when she wrote When the Future Disappears: The Modernist Imagination in Late Colonial Korea (2014), awarded in the following year by MSA. For she is quite different from Korean scholars in terms of the object of study. The new modernist studies are still important as they build the foundation for the expansion and diversification of modernism, but their follow-up studies will also be significant.

      • KCI등재후보

        해방기 모더니즘 시의 ‘도시’와 ‘시민정신’ 분석 -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을 중심으로 -

        이봉례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0 南道文化硏究 Vol.0 No.18

        1940s is the time when there were many historically important events occurring like the “Japanese Occupation” and “Nation‘s Dividing Time.” As social and political conflict intensified, these aspects began to show up in the poetry. In the 1930s, as a result of the inflow trend of the western literature and it sparked the modernism movement. Then in the 1940s, through experiencing a variety of experiments and challenging courses, it began to settle down. Then the 1950s, it brings much development and it can be considered to be the dilator period of modernism. 1940s is the span of time that is the most important period of the flow of literature. Additionally, 1940s is a period of time which holds a unique spirit of the times of “liberation period” in literature works. In this manuscript, the meaning of “city” and “citizen” in liberation period modernism is analyzed centered on an anthology poetry book titled 『The New City and Chorus of Citizens』. 『The New City and Chorus of Citizens』(1948) was the second work of group of poets of 「Sinsiron」 With the purpose of revival of the new modernism movement, the group of poets gathered and 5 poets produced pieces of works well exposing the spirit of times. They claimed discrimination against the past times and they started a new modernism movement. An ideal about modernism movement is shown directly through the title of their book. The “city” is a place where the essence of modernism shows well. While overcoming difficulties in reality and creating a new era, the “citizens” live in a city and become the owner of the “city”. And the “citizens” overcome the reality and try a “Dionysus” type of combination through the “chorus”. This is what the group of poets intend in modernism through 「Sinsiron」 Kim, Kyungryn, Im, Hogwon, Park, Inhwan, Kim, Suyoung, Yang, Byungshik, and others were the nuclear members of the modernism poet movement and through individual characteristics expression, they pointed out the ills of the western civilization and stressed on the fact that with citizenship, they must create a new bright future. 『The New City and Chorus of Citizens』wasn‘t affected by the ideology of the era of the chaotic political situation and showed their will of the modernism poetry movement of the poets. And in the 30s and the 50s, it can be considered to play the role of a bridge that links the Korean modernism. Furthermore, until today, whe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been completed, it has been the foundation of modern poetry history.

      • KCI등재

        한국 모더니즘 시의 전통 인식 양상

        이혜원(Lee, Hye-w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50 No.-

        본고에서는 한국 모더니즘 시에 나타나는 전통에 대한 인식을 통해 한국적 모더니즘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본다. 모더니즘의 대립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전통에 대한 반응을 검토하여 모더니즘이 당대의 현실과 어떻게 충돌, 또는 조응하며 한국문학에 내재화되었는지를 추적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 모더니즘 시를 대표하는 시인들이자 전통에 대한 예리한 자각을 보여주는 이상과 김수영의 시를 대상으로 1930년대와 1950-60년대 모더니즘 시에 나타나는 전통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본다. 이상이 활동했던 1930년대는 서구 모더니즘이 수용된 지 얼마 되지 않은 데다 식민지의 특수성으로 인해 모더니즘의 외양을 모방하기에 급급했던 시기이다. 이상의 시는 현실과 유리된 미적 자율성의 극한을 추구하며 서구 모더니즘을 흉내 내는 데 그쳤던 식민지 모더니즘의 한계를 보여준다. 김수영은 1950년대 전후 모더니스트로서 출발하며 현실에 대한 투철한 인식에 기반을 둔 모더니즘을 추구한다. 그는 소외된 기층민중의 역사를 살아있는 전통으로 재발견하고 거기에서 후진국의 모더니티가 존립할 수 있는 생명력을 찾아낸다. 두 시인은 모두 당대의 선구적인 모더니스트들이었지만 시대적 차이로 의해 전통에 대해 인식하는 데 있어 뚜렷한 차별성을 보인다. 이상은 자신이 추구하는 모더니티에 끊임없이 침투하는 전통을 의식하면서 착종된 모더니즘에 봉착할 수밖에 없는 식민지 현실에 대한 뚜렷한 자각을 드러낸다. 김수영에게 전통은 파기해야할 과거의 시간이 아니라 자기 혁신과 새로운 발견의 가능성을 가져오는 카이로스적 시간이다. 모더니즘과 전통에 대한 두 시인의 인식 차이는 그들의 미학적 특성과도 밀접하게 관련된다. 이상은 모더니티의 극단적 표현으로 수학이나 과학적 용어와 같은 인공어를 과감하게 사용하여 미적 자율성을 극대화한다. 이상의 인공적인 언어에 비해 김수영은 일상어와 거침없는 구어체로 현실에 밀착된 시를 쓴다. 일상어의 질감과 역동성을 새로운 미학적 차원으로 끌어들인 그의 시에서 전통의 재발견은 미적 모더니티의 새로운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In this paper, I studied on the specific aspects of Korean modernism through the awareness of tradition appeared in Korean modernism poetry. Yi Sang and Kim Soo-young were not only representative poets of Korean modernism but also showed keen self-awareness about tradition, so I looked deep into aspects of awareness about tradition of the 1930s’ and 1950-60s’ modernism poetry by their poems. Yi Sang was active in 1930s when most of Korean poets were busy imitating Western modernism because of the uniqueness of the colony. His poetry showed the limits of colonial modernism that pursued the ultimate aesthetic autonomy and imitated western modernism. Kim Soo-Young came forward as a postwar modernist of 1950s, and pursued modernism which based on clear perception of reality. He rediscovered the history of the people as a living tradition, and rooted out the vital power in it. Both of the poets were the leading modernist of their age, but showed the clear differentiation in their awareness of tradition. Yi Sang was conscious of tradition that constantly permeated into modernity, and revealed clear awareness of the reality of the colony that could not help meeting the self-contradictory modernism. Kim Soo-young realized the fact that tradition is not merely past time, but time of Kairos that brings possibility of selfreform and new discover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oets about modernism and awareness of tradition were also closely related their aesthetic properties. Yi Sang expressed extreme modernity by the artificial language, such as mathematic or scientific terms, and drastically maximized the aesthetic autonomy. Unlike Yi Sang, Kim Soo-young wrote poetry closer to reality with everyday language and inexorable spoken language. In his poetry, everyday language was inspired new aesthetic dimension, also rediscovery of tradition was militating as a new power of aesthetic modernity.

      • KCI등재

        디자인 융,복합 현상에 따른 모던함의 언어적 사용 모호성에 대한 연구

        김준형(Kim Jun, Hy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4

        디자인이 표면적으로 지향하는 점은 유니크함과 트렌드 선도적인 외형미이다. 유니크함은 디자인소비자로 하여금 이전에 접하지 못했던 자극에 대한 니즈이며 트렌드 선도적 외형미는 시장소구를 위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는 외형의 미적 아름다움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일반 소비자의 디자인 가치 평가과정에서 전문성이 강조된 근거는 차치되기 쉽다. 본 연구는 일반 소비자의 디자인 지향의 기저에 전술한 양 측면이 융,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본 연구는 트렌드 선도적인 면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던함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서론에서 모던함과 모더니즘에 대한 이론적 정의와 이를 통한 각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았으며 사례를 통한 모던 이미지의 디자인적 소비경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본론에서 모던함과 모더니즘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한 실증 연구 모델을 구상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실증 실험을 통해 모던함과 모더니즘을 구분할 수 있는 언어적 기준과 조형적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디자인에서 모던함과 모더니즘이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는 현상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모던한 디자인은 모더니즘 디자인의 연장선에 있는 유사성을 가지고 있으며 모더니즘 디자인의 이미지가 모던 디자인에 비해 명확한 이미지적 인식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디자인 개발 의도 또는 결과로서의 디자인 평가 과정에서 사용되는 모던함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바탕으로 최종 디자인 소비자에게 소구하는 것의 중요성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hat the design aims for on the surface is its uniqueness and trend-leading appearance. Uniqueness is the need for stimulus that design consumers have not encountered before, and the trend-leading appearance can be summarized as the aesthetic beauty of the appearance that is expected to be necessary for market appeal.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design valuation of general consumers, it is easy to dismiss the evidence that emphasized expertise. This study originated from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that the above-described two aspects can act fusionly and complexly on the basis of the general consumer’s design orient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sideration of modernity used to emphasize trend-leading aspects. To this end, the theoretical definition of air modernity and modernism,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the design consumption trends of modern images were examined through examples. Based on this, an empirical research model was devised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modernism and modernism in the main body. Through the empirical experiments created in this way, it was intended to present a linguistic standard and an image standard that can distinguish between modernism and modernis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modern design has similarities in the extension of modern design, and the image of modern design shows a clear difference in image perception compared to modern design.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investigated that modernity and modernism are mixed and used in the current design.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appealing to the final design consumer based on specific criteria for modernity used in design development intention or result design evaluation process.

      • KCI등재

        모더니즘론의 탈식민주의적 전환과 그 가능성 : 최근 한국 현대문학 연구에 있어 모더니즘의 역사화 경향 과 식민지 모더니즘

        최현희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24 탈경계인문학 Vol.17 No.1

        이 글은 2015년을 전후하여 한국 현대문학 연구 분야에 나타난 모더니즘론의 역사화 경향을 셋으로 정리하고 이 중 모더니즘 자체의 식민성을 탈식민주의적으로 읽어내는 경향을 집중적으로 고찰한다. 이 경향은 한국적 맥락에서 모더니즘이 세계성, 보편성, 서양중심성과 친연성이 높은 개념이었다는 점에 주목하는 데서 출발한다. 이러한 모더니즘의 식민지성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가 모더니즘의 탈식민적 가능성을 발견하는 데로 이어지는 통로를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모더니즘 문학론을 탈식민주의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으로 이상, 최재서, 임화에 대한 식민지 모더니즘적 해석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Since around 2015, there has been a remarkable shift in modern Korean literary studies toward reinterpreting modernism. Traditionally viewed as opposing the ideologically engaged and realistic tendencies in literature, modernism is being reevaluated through three new lenses. Firstly, the realism versus modernism dichotomy is increasingly seen as a construct emerging from the narrative act of literary historiography, rather than an objective historical fact. Secondly, this period challenges the perceived autonomy of modernist literature from reality by highlighting its direct links to the socio-political and material conditions of its time. Thirdly, within the Korean context, attention is drawn to modernism’s affinity with globality, universality, and Western centrism, advocating for a post-colonial interpretation of modernism’s colonial aspects. Building on this framework, this article delves deeper into the post-colonial critique of modernism’s colonial dimensions, starting with an examination of the New Modernist Studies as a theoretical backdrop. It further investigates the notion of colonial modernism through Choe Hyonhui’s recent work, aiming to highlight the decolonial potential within modernism. By proposing interpretative methods for the colonial modernist readings of Yi Sang, Ch’oe Chaesŏ, and Im Hwa, this article explores new possibilities for the historicization of modernism in modern Korean literary studies.

      • KCI등재

        20世紀 中國詩의 國際性

        朴正元(Park, Jeong-weo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5 외국문학연구 Vol.- No.21

        If seen from the historical viewpoint, under the effect of western modernism, symbolical poetry (in the 20's), Modernism (in the 30's), Jiuye poetry (in the 40's), Menglong poetry (in the 70's and early 80's), Post-Menglong poetry (in the late 80's) appeared in modern China. Chinese Modernism was achieved through the inflow of modernism poem of western and direct of poets. Introducing the poems of Paul Verlaine, Gemy de Gourmout, Francis Jammes, Baudelaire, T.S. Eliot, Yeats, Stéphane Mallarmé etc. acted as an important role. Mudan's modernism poem developed Chinese modernism poetry world through William Empson's effect and the contact of English and American modern literature. Mudan accomplished notable accomplishment that is differentiated with other poets: First, through resisting traditional idea, created new modern poem's esthetics. Second, expressed modern's survival environment which is placed absurdity and estrangement. Third, refuse the idea of perfect self which appears in the traditional poems and express disrupted self. Fourth, selected usual poetic language and refuse rhythm at tradition poem, sought free prose poem. Mudan's modern poem was unfamiliar thing in Chinese poetry world at that time, but, through modernism, it is the right example that shows internationalism of the 20th century Chinese poem. Mudan accommodates Chinese culture heritage critically, and accommodates western's modernism actively. His modernism poem caused much effect to Menglong poetry that appeared in the late 70's.

      • KCI등재

        1920년대 한국 모더니즘 시의 전개양상 연구

        권경아(Kwon Kyung-a)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5 No.-

        모더니즘 시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며 1920년대의 모더니즘 미학이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는지 고찰하였다. 이장희, 정지용, 임화의 시들에 대해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을 통해 특징들을 찾아내고 이 특징들이 그들의 시적 인식, 근대성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 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1920년대의 한국 모더니즘 시를 대상으로 근대성이 어떻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들의 시가 1920 년대라는 한국 사회에 나타나는 근대의 모순과 위기 상황을 어떻게 미적으로 대응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 철학적 근대성 또는 자본주의적 근대성이라는 긍정적 측면과 이러 한 근대성에 대해 저항하는 부정적 측면에서의 근대성을 포괄하는 양면적 근대성의 개념을 기반으로 1920 년대 시에 나타나는 근대성의 인식을 고찰하였다. 1920년대의 시에 대한 연구는 주로 개별 작품들의 형식이나 기법을 연구하는 차원에서 단편적으로 이루 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개별 시인의 시세계를 분석하거나 각각의 작품들 분석에 치중하고 있어 1920년 대 모더니즘 시의 종합적 고찰이나 연구라 하기 어렵다. 한국 모더니즘의 전개 양상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한 형식이나 기법들이 어떠한 배경에서 나타나게 되었는지가 조명되어야 할 것이다. 1920년대 시들의 다양한 기법과 형식 실험은 당대의 근대성 인식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1920년대 모더니즘 시는 전통적인 시형식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미학적 저항들은 새로운 시에 대한 열망으로 이어지며 다양한 시적 실험으로 나타난다. 이장희의 감각의 객관성이나 정지용의 이미지즘, 그리고 임화의 형식 실험 등은 동시대의 미학을 혁신하는 미적 근대성의 인식에서 비롯된 미학적 저항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gure out the pattern of modernist aesthetics during the 1920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patterns of the poems of modernism in the 1920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poems written by Lee Jang-hui, Chung Ji-yong, Im Hwa, which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sm in the 1920s very well.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oems were examined through analysis on specific texts, and how they were related with the poets’ poetic recognition and modernity was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the modernity is recognized against Korean modernist poems in the 1920s and how these poems aesthetically responded to the paradox and crisis of modernity which were found in the Korean society in the 1920s. Furthermore, it examined the perception of modernity in the poems during the 1920s based on the concept of ‘modernity with double views’ which covers modernity in both positive (historical/philosophical modernity or capitalist modernity) and negative (resistance against this kind of modernity) aspects. A study on the poems in the 1920s has been mostly conducted in a formal or technical aspect. However, it is not reasonable to say that this kind of study is a general study on modernist poems in the 1920s. To figure out the development pattern of Korean modernism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how and under what background these diverse forms and techniques have been expressed should be illuminated. It appears that a test on the diverse forms and techniques of poems in the 1920s is related with the perception of contemporary modernity. The modernist poems in the 1920s were diverse aesthetic resistances targeted to open up a new era by overcoming the extreme and tragic situations such as national liberation and war. These aesthetic resistances were an artistic approach to aesthetic modernity for the innovation of contemporary aesthetics. In addition, they were significant in that they revealed social resistance against reality in an aesthetic mode.

      • KCI등재

        미국의 법모더니즘

        한상수 한국법철학회 2013 법철학연구 Vol.16 No.2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American Legal Modernism. Legal Modernism is the projection of general modernism into the area of law. Modernism is a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ponse to modernity in the modern society. Therefore, modernism reflects modernity and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s involved in modernity. Modernity is characterized by trust in reason, demystification of nature, belief in progress, the rise of nation state, and free market economy. These characteristics of modernity are reflected in Legal Modernism. Legal Modernism is a legal-philosophical position of legal scholars who believe that humans can discover objective and universal truths about the world and find right answers to the all the legal problems by applying the truths. Legal Modernism contributes the rule of law by establishing the legal constraint of state power. Legal Modernism in general is based o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such as logocentrism, anthropocentrism, Eurocentricism, foundationalism, and representationalism. American Legal Modernism is divided into two mainstreams. One is legal formalism which was derived from Langdellian Legal Science and the other is legal instrumentalism which evolved from Holmes's legal theory. American Legal Modernism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merican legal thought by attempting to locate the foundations of law not in traditional authority and religion but in human reason and experience. However, American Legal Modernism is faced with the task of solving the problem of legal indeterminacy raised by legal postmodernism. 이 논문은 미국의 법모더니즘의 본질과 특징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모더니즘은 근대사회에서 나타나는 모더니티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대응으로서, 모더니티를 반영하면서도 모더니티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다. 모더니티는 이성에 대한 신뢰, 자연에 대한 탈신비화, 진보에 대한 신념, 국민국가의 등장과 자유로운 시장경제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모더니티의 특징을 반영한 모더니즘이 법의 영역으로 확산된 것이 법모더니즘이다. 법모더니즘이란 인간은 이성을 통해서 세계에 대한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진리를 발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진리를 바탕으로 모든 법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정답을 찾아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국가권력의 자의적인 행사를 통제하는 법의 지배가 가능하다는 법철학적 관점이다. 법모더니즘은 이성중심주의, 인간중심주의, 서양중심주의, 기초주의, 재현주의 등을 철학적 기초로 한다. 미국의 법모더니즘은 랭델의 법과학에서 비롯되는 법형식주의와 홈즈의 법이론에 기반을 둔 법도구주의라는 두 가지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법모더니즘은 전통적인 권위나 관습이 아닌 인간의 이성이나 경험에서 법의 기초를 확립하려고 하였다는 점에서 미국법철학의 발전에 중대한 기여를 하였다. 하지만 포스트모더니즘에 의해 법모더니즘의 철학적 전제인 기초주의와 재현주의가 도전을 받으면서 법모더니즘은 법적 불확정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