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MOS 기반 회로 설계 자동화 시스템

        봉하윤(Hayun Bong),최수름(Sureum Choi),한대진(Daejin Han),서영교(Yeongkyo Seo)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2 No.6

        대부분 Layout의 DRC(Design Rule Check) Verification 과정은 Circuit Designer 들의 설계 시간을 증가시키는 Critical 한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Design Rule을 보장하고 있는 Template 사용하고 추상 좌표계에서 Grid를 기반으로 하는 배치 및 배선을 사용해서 Python 코드 기반 Layout 설계 자동화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방법을 사용해 Transmission Gate D flip-flop의 Layout을 Cadence Virtuoso Tool에서 Python 기반 코드를 설계해 직접 생성하면서 해당 Tool에서 설계한 Layout의 DRC 보장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코드 기반 Layout 도면과 직접 생성한 Layout 도면을 통해 면적을 비교하거나, Post Simulation을 진행하여 timing specification 값들을 비교함으로써 자동화 시스템을 기반으로 생성된 Layout의 성능을 확인한다. In most cases, Layout’s Design Rule Check (DRC) Verification process is a critical factor that increases the design time of Circuit Designers. To improve this problem, we propose a Python code-based Layout design automation system using a template that guarantees a Design Rule and a Grid-based layout and wiring in an abstract coordinate system. Using this method, we design and generate Python-based code directly from the Cadence Virtuoso Tool for the Layout of the Transmission Gate D-flip-flop to determine whether the Layout designed by the tool is DRC guaranteed.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the generated layout based on the automation system is verified by comparing the area through the code-based layout drawing and the directly generated layout drawing, or by performing Post Simulation and comparing the timing specification values.

      • KCI등재

        국내 인쇄매체 공익광고의 레이아웃 유형에 관한 연구

        최정화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0 조형미디어학 Vol.13 No.3

        Advertising layouts should naturally be able to attract customers' attentions by systematically and rationally placing the elements of composing advertising and structuring them according to the flow of attention through formative works that structure in order to deliver the messages of advertising effectively. For layouts, basically, the flow of attention, notability, legibility, limpidity, formative nature, creativity, and tendency of targets have to be considered and the process of layout is especially important since it is a stage to form the shape of advertising. This study analyzed attitude of acceptance according to segmentation of objects by classifying the types of layout which are formative elements in creating advertisement into left and right visuals, symmetric and asymmetric layouts, vertical and horizontal copies, screen centered and screen dispersed layouts, simple and complicated layouts, and layouts putting emphasis on blanks and using blanks, in order to present measures to maximize effects of communication of public service advertising in Korean printed media. As a result, left visuals are preferred more than right ones, and symmetric layouts slightly more than asymmetric layouts. In addition, vertical and horizontal copies received similar preferences, but it was found that most customers preferred screen centered more than screen dispersed layouts, simple layouts than complicated layouts, and layouts using blanks and putting emphasis on blanks. 광고 레이아웃은 광고 메시지를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는 조형작업으로 광고 구성요소를 시선의 흐름에 맞춰 짜임새 있게 체계화하고 합리적으로 배치하여 소비자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끌 수 있어야 한다. 레이아웃은 기본적으로 시선의 흐름, 주목성, 가독성, 명쾌성, 조형성, 창조성, 그리고 타깃의 성향을 고려해야하며, 레이아웃 과정은 광고의 형태를 만들어내는 단계이므로 특히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인쇄매체 공익광고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광고 크리에이티브에 있어서의 조형적 요소인 레이아웃 유형을 왼쪽 비주얼과 오른쪽 비주얼, 대칭 레이아웃과 비대칭 레이아웃, 가로형 카피와 세로형 카피, 화면중심형 레이아웃과 화면분산형 레이아웃, 단순한 레이아웃과 복잡한 레이아웃, 여백강조 레이아웃과 여백활용 레이아웃으로 분류하여 대상 세분화에 따른 수용태도를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오른쪽 비주얼보다 왼쪽 비주얼을 더 선호하였으며, 비대칭 레이아웃보다 대칭 레이아웃을 조금 더 선호하였다. 그리고 가로형 카피와 세로형 카피는 비슷한 분포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수용자가 화면 분산형 레이아웃보다는 화면중심형 레이아웃을, 복잡한 레이아웃보다는 단순한 레이아웃을, 여백강조 레이아웃보다는 여백활용 레이아웃을 훨씬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Development of an Optimal Console Layout Design System Based on Ergonomic Design Characteristics

        Taekho You,Kihyo Jung,Jaejung Kim,Wonsup Lee,Baekhee Lee,Woongseok Roh,Heecheon You 대한인간공학회 2012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1

        Objective: The present study developed optimal console layout design system based on ergonomic design characteristics (visibility, reachability, sequence of use, importance, frequency, functional group). Background: Although many design methods and systems based on optimization methods to allocate components such as button and display to specific layout are suggested, understanding and applying ergonomic design characteristics to design methods are lacking. Method: The present study figure out ergonomic design characteristics which are important to console layout design by analyzing papers of optimal layout design papers. Results: The present study developed three methods (quantification for component, layout, and ergonomic design characteristic) for applying ergonomic design characteristics to console layout.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suggested a protocol for an optimal console layout design system.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ed a protocol for an optimal console layout design system which could apply ergonomic design characteristics to console layout. The console layout design system could suggest the result based on ergonomic design characteristics. Application: The optimal console layout design system which will be developed to the present study could design detection radar console, control room interface of power plant or factory, or control equipment of helicopter.

      • KCI등재

        웹사이트에서 유저인터페이스디자인 레이아웃의 기능적 차이가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연구 - F레이아웃과 Z레이아웃을 중심으로 -

        이문형,박일권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4

        The layout includes various functions not only arrangement, connection, division of information but also affordance and information recognition as the important element that determine the whole structure of information. Recently, the layout of web interface design was gradually changing from the concept of the original Z-layout to F-layout, whereas, it is being changed again into the split layout as the transform of Z-layout. However, there can be lack of grounds as to the reason of the change of layout. Therefore, it needs to study on how the functional difference between the F-layout and Z-layout affects user experience. In this study, we conduct the study on the effect of each layout type on the user experience focusing on the product description of web-page by user test. The user test have shown that the user has better feeling on the split layout based on the Z-layout than F-layout. The Z-layout also has more advantages on the formation of the favorable attitude of user in efficiency, accessibility and concentration.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trend of web-design to change into the split layout based on the Z-layout and we provided the objective reasons for the effective web-design layout by user test. 디자인 요소에서 레이아웃은 전체 정보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정보의 배치, 연결, 구분을 비롯해 사용자의 행동유도 및 정보 인지 등의 구조적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최근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레이아웃은 전통적 Z레이아웃 개념에서 점차 F레이아웃으로 변화되다가 최근에는 Z레이아웃의 변형인 분할레이아웃 형태로 점차 변화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런 변화 이유에 대한 객관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F레이아웃과 Z레이아웃 사이에서 기능적 차이가 사용자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사이트의 제품설명 웹페이지를 중심으로 F레이아웃과 Z레이아웃 웹사이트에 대한 사용자 테스트를 진행하여 유형별 레이아웃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F레이아웃보다 Z레이아웃을 기반으로 한 분할 레이아웃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호감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율성, 접근성, 몰입성 등 Z레이아웃에서 사용자의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하는데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Z레이아웃을 기반으로 한 분할레이아웃으로 변화되어가는 웹디자인 추세와 일치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평가를 통해 효과적인 웹디자인 레이아웃의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광고포스터에 나타난 레이아웃 유형 분석 연구

        한호 ( Han Ho ),목진요 ( Mok Jin-y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1 No.-

        광고포스터에 있어서 Layout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지녔다. Layout의 변화에 따라 메시지 전달력은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현대 광고포스터에서 Layout은 기존연구와는 달리 어떠한 유형으로 나타나는지 2000년 이후의 광고포스터 786편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Layout 유형은 수직·수평형(61%), 좌측하강형(19%), 우측하강형(15%)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도출하기위하여 Layout의 요소들에 대한 분석은 다음과 같다. illustration은 중앙(22%), 중앙하단(17%), 중앙상단(11%), 좌측상단(10%) 순으로 나타났으며, head line은 중앙상단(22%), 좌측상단(14%), 중앙(13%) 순으로 나타나 illustration의 위치와 head line의 위치가 상호 긴밀한 관계성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body copy는 중앙하단(35%), 중앙하단 좌·우측에 각각 15%, 13%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logo는 회사명은 좌측상단(37%), 우측하단(32%), 우측상단(25%) 순으로, 상품명은 우측하단(41%), 우측상단(19%), 좌측하단(14%), 좌측상단(10%) 순으로 나타나 상품명이 맨 마지막에 인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Layout 유형은 소비자의 변화에 따른 표현 양식의 다변화로 인하여 현대의 Layout 유형은 세분화 보다는 포괄적 의미를 담을 수 있는 폭넓은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이 더 의미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advertising posters, the Layout has the strongest influence as a means of transmitting messages. Depending on the changes in the Layout, the pre-ready calendar is considered to be affected. Thus, In modern advertisements, Layout Review surveyed 786 advertising posters dating back to 2000, unlike traditional one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layout type can be divided into the vertical·horizontal type(61%), and left dip type(19%), and right dip type(15%). To derive these results, the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the Layout is as follows: The illustration shows the central type(22%), central-lower type(17%), central-top type(11%) and left-top type(10%) and the head line show the central-top type(22%), left-top type(14%) and the center type(13%) indicate that the position of the illustration and the position of the head line are important. The body copy was shows the central-lower type(35%) and the central-lower left(15%) and light(13%). The logo shows the left-top type(37%), the right-lower type(32%), and the right-top type(25%). The names of the products appear in the right-lower type(41%), the right-top type(19%), the left-lower type(14 %), and the left-top type(10%). Research suggests that the layout of the Layout Type is more meaningful to categorize types of layout, resulting in the inclusion of a comprehensive semantic classification of the comprehensive layout rather than fragmentation.

      • KCI등재

        광고 크리에이티브를 위한 레이아웃 유형에 관한 연구

        이종락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9 조형미디어학 Vol.22 No.2

        This study has been empirically analyzed as a study on the change of type of advertising layout. As a result of analysis, the layout analysis according to the visual position showed that the right visual was 57.7% which was a little higher than the left visual that was 42.3%. Different from the theory, it is important to apply the layout type specific of the real advertisement, and the visual position can be interpreted not to have the higher importance in the layout. The symmetric and asymmetric advertisement layout type showed that the asymmetric layout was 62.9% which was very different from the symmetric layout that was 37.1%. This showed that people prefer the dynamic style screen layout to the stable one. In case of horizontal and vertical copy layout advertisement type, the horizontal type was 97.6% which was much higher than the vertical copy layout that was 2.4%. In case of concentrative and distributive advertisement layout, the distributive layout was 78.2% which was more used than the concentrative layout that was 21.8%. In case of simple and complicate type advertisement layout type, the simple layout was 51% and the complicate layout was 49%, which are similar and used in variety. The next was the blank highlighting and utilization advertisement layout, where the blank utilization layout was 81.6%, which was much higher than the blank highlighting layout that was 18.4%. The blank highlighting is of a little less use, and we hope that more creative advertisement that highlights the blank by increasing more ideas than thinking the blank as an empty space. 본 연구는 광고 레이아웃의 유형 변화에 관한 연구로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주얼 위치에 따른 레이아웃 분석은 오른쪽 비주얼이 57.7%로 왼쪽 비주얼 42.3% 보다 다소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론과 달리 실제 광고의 특성별 레이아웃 유형의 적용이 중요한 것으로 비주얼 위치는 레이아웃에서 큰 비중을 차지 않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대칭 비대칭 광고 레이아웃 유형은 비대칭 레이아웃이 62.9%로 대칭 레이아웃이 37.1%에 비해 많은 차이점이 있었다. 이것은 화면 레이아웃을 안정적인 것보다 역동적인 스타일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가로형 세로형 카피 레이아웃 광고 유형은 가로형이 97.6%로 세로형 카피 레이아웃 2.4%에 비해 월등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현재 세로형 카피 레이아웃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중후한 스타일의 광고가 극히 적다는 이유와 세로형 카피 레이아웃의 사용은 제한적이라는 결과이다. 중심형 분산형 광고 레이아웃에서 분산형 레이아웃 78.2% 중심형 레이아웃 21.8%로 분산형 레이아웃이 중심형에 비해 많이 사용되는 광고 유형으로 나타났다. 중심형으로 적합한 강조와 집중의 메시지 전달 방식이 아니라 다양한 내용 중심의 광고가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좀 더 단순하며 주목률이 높은 중심형 광고 레이아웃을 활용하기를 바란다. 단순형 복잡형 광고 레이아웃 유형에서는 단순형 레이아웃이 51% 복잡형 레이아웃이 49%로 비슷하게 나타나 특성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은 여백 강조와 여백 활용 광고 레이아웃에서는 여백 활용 레이아웃이 81.6%로 여백 강조 레이아웃 18.4%에 비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여백 강조는 다소 활용 빈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여백을 빈 공간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아이디어를 높여 여백을 강조하는 크리에이티브한 광고가 많이 제작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월남사 가람배치에 관한 고찰

        정정혁,정민호,천득염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8 百濟硏究 Vol.68 No.-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space is the foundation of architecture, we need to understand the site layout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e of the temple. Various types of buildings such as a Stupa, Geumdang and lecture hall are arranged harmoniously in the site layout, and the site layout is different in each age. Therefore, we can confirm the Buddhist culture based on the period and locality by examining the site layout. Wollamsa temple was unable to specify the time because there was no documented detail in its founding. However, the research on the founding and the site layout is progressing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excavation of the Wollamsa temple in recent years. Especially, the Twin-Stupa Temple-Site Lay out was discovered at a location symmetrical with the three-story stone stupa based on the pivot-Line, which is drawing attention of academia.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Layout of Wollamsa Temple site through the process of excavation and dismantling of stone stupa of the Site Layout of Wollamsa Temple during the last 6 years. In this study, we surveyed a similar Twin-Stupa Temple-Site Lay out case leading to the Youngchuksa Temple site, Cheongoonrisa Temple site, Bulguksa, Wonwonsa Temple site for the estimation of foundation of the the Wollamsa Temple site. Through this, we confirmed the formal form of the Site Layout. In addition, we analyze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relics as the actual Twin-Stupa Temple-Site Lay out by distinction the building location of the relics in excavated Wollamsa Temple sit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analyzed the early construction of the Site Layout and the change of the Site Layout.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retracing the founding period of the Wollamsa Temple sit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by similar case analysis of the excavated relics and the Site Layout. And this study suggested the estimated form of the Site Layout of the central part of Wollamsa Temple site arrangement.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e Site Layout of the reconstruction period by Jingark Haysim,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the Twin-Stupa Temple-Site Lay out appearing in the Later Baekje period. 공간은 건축의 기본으로 사찰 건축의 이해를 위해서는 가람 배치 형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탑과 금당, 강당 등 다양한 건물들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있는 가람 배치 형식은 각 시대마다 그 모습을 달리하고 있으며, 가람의 형식을 살펴봄으로써 시대성과 지역성을 기반으로 하는 불교 건축 문화를 확인할 수 있다. 월남사(月南寺)는 창건에 있어 자세히 기록된 문헌이 없어 시기를 특정할 수 없었으나 최근 발굴조사를 통해 창건과 가람 배치 형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삼층석탑과 대칭되는 위치에서 탑지가 발굴되면서 쌍탑가람이 확인되어 주목을 끌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최근 6년간의 월남사지(月南寺址) 발굴과 석탑 해체 과정을 통하여 월남사 가람배치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다. 월남사 초창에 대한 추정을 위해 영축사지(靈鷲寺址), 천군리사지(千軍里寺址), 불국사(佛國寺), 원원사지(遠願寺址)로 이어지는 유사한 쌍탑가람 사례를 살폈고 이를 통해 정형화된 형태를 확인하였다. 또한 그동안 발굴된 월남사지 유구를 건물지 별로 구분하여 실제 쌍탑가람으로서의 유구에 대한 현황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가람의 초창과 가람 배치 형식 변화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발굴된 유구와 가람배치 양식의 유사사례 분석을 통해 월남사지의 창건 시기를 후삼국시대까지 소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중심사역 부분에 대한 추정 가람 배치 형식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진각국사(眞覺國師)가 중창한 시기의 가람배치를 확인하고, 후백제시기에 등장하는 쌍탑가람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논문 : 웹사이트에서 유저인터페이스디자인 레이아웃의 기능적 차이가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연구-F레이아웃과 Z레이아웃을 중심으로-

        이문형(주저자) ( Moon Hyung Lee ),박일권(공동저자) ( Il Kwun Park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4

        디자인 요소에서 레이아웃은 전체 정보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정보의 배치, 연결, 구분을 비롯해 사용자의 행동유도 및 정보 인지 등의 구조적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최근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레이아웃은 전통적 Z레이아웃 개념에서 점차 F레이아웃으로 변화되다가 최근에는 Z레이아웃의 변형인 분할레이아웃 형태로 점차 변화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런 변화 이유에 대한 객관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F레이아웃과 Z레이아웃 사이에서 기능적 차이가 사용자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사이트의 제품설명 웹페이지를 중심으로 F레이아웃과 Z레이아웃 웹사이트에 대한 사용자 테스트를 진행하여 유형별 레이아웃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F레이아웃보다 Z레이아웃을 기반으로 한 분할 레이아웃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호감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율성, 접근성, 몰입성 등 Z레이아웃에서 사용자의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하는데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Z레이아웃을 기반으로 한 분할레이아웃으로 변화되어가는 웹디자인 추세와 일치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평가를 통해 효과적인 웹디자인 레이아웃의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 The layout includes various functions not only arrangement, connection, division of information but also affordance and information recognition as the important element that determine the whole structure of information. Recently, the layout of web interface design was gradually changing from the concept of the original Z-layout to F-layout, whereas, it is being changed again into the split layout as the transform of Z-layout. However, there can be lack of grounds as to the reason of the change of layout. Therefore, it needs to study on how the functional difference between the F-layout and Z-layout affects user experience. In this study, we conduct the study on the effect of each layout type on the user experience focusing on the product description of web-page by user test. The user test have shown that the user has better feeling on the split layout based on the Z-layout than F-layout. The Z-layout also has more advantages on the formation of the favorable attitude of user in efficiency, accessibility and concentration.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trend of web-design to change into the split layout based on the Z-layout and we provided the objective reasons for the effective web-design layout by user test.

      • KCI등재

        반도체집적회로 배치설계의 업무상 창작자 지위 인정과 종업원 보상에 대한 소고

        전용철(Jun, Yong-cheul)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東亞法學 Vol.- No.72

        반도체집적회로의 배치설계에 관한 법률 제5조는 ‘업무상 창작한 배치설계의 창작자를 계약이나 근무규정 등에 달리 정한 것이 없으면 그 법인 등을 배치설계의 창작자로 한다’고 정하고 있어, 업무상 창작된 배치설계권의 경우 사용자가 원칙적으로 창작자 지위를 귀속 받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업무상 창작된 배치설계권을 보유하고 권리를 행사할 수 있을 것이나, 실제 창작행위를 한 종업원은 반도체 배치설계 보호법만에 기초하여서는 보상을 받을 수 없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개발성과로서 배치설계권이 설정 등록되는 경우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 연구자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것과 대비된다. 최근 배치설계권의 설정등록 비중이 대기업은 줄어들고 대학은 늘어나는것으로 파악되는데, 반도체 산업의 구조와 특수성을 감안할 때 반도체 산업에서 비중이 매우 높은 기업체들에 의한 배치설계권 설정등록 건수가 많아지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와 관련하여, 업무상 배치설계를 창작한 종업원에게 창작자 지위를 인정하고 창작에 따른 보상을 할 수 있도록 반도체 집적회로의 배치설계에 관한 법률이 개선될 수 있다면, 반도체 업체들에 의한 반도체집적회로의 배치설계에 관한 법률의 이용률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 논문에서는 업무상 창작된 배치설계의 창작자 지위가 사용자에게 귀속되는지 여부를 위주로 국가별로 반도체 집적회로의 배치설계를 보호하기 위한 법률의 규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배치설계가 업무상 창작되는 경우 실제 창작행위를 한 종업원 등에 대한 보상이 가능한지를 살펴보았으며, 반도체집적회로의 배치설계에 관한 법률 제5조의 수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Article 5 of the Act on the Layout-Designs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provides that “With respect to a layout-design by a person employed by a government, a corporation, an association or other emplo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rporation, etc”), the corporation, etc. is deemed to be the creator, unless otherwise provided in an agreement or an employment regulation and the like”. Pursuant to this provision, the position as a creator is in principle vested in the employer of the person who created the layout-design in service. Accordingly, the employer can own a right to the layout-design created in service and also exercise the right; however, no compensation is given to the employee who actually created the layout-design, only based on the laws associated with the semiconductor layout-design protection. This is compared with layout-designs created in national research & development (R & D) projects. In national R & D protects, if, as the R & D output, a layout-design is registered and accordingly a layout-design is established, the researcher who created the layout-design can receive compensation based on th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Promotion Acct and the Regulations on Management of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Recently, it has been noted that the number of layout-design registrations by large companies has been reduced; conversely, that of layout-design registrations by the colleges and universities has increased. Considering structure and specialty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it appears that it is necessary to induce those companies being of great importance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to increase the number of layout-design registrations. In this connection, it is seen that, if the Act on the Layout-Designs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is improved to recognize the employee who created the layout-design in service as a creator of the layout-design and to compensate him/her for the creation, the availability of the Act on the Layout-Designs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by the semiconductor companies would be enhanced. For this Paper, I have reviewed the laws and regulations to protect the layout-designs of th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by each country, based on whether the position as a creator of the layout-design created in service is vested in the employer. In addition, I have reviewed whether compensation can be given to the employee who actually performed the act of creating a layout-design if the layout-design was created in service, and whether it is necessary to revise Article 5 of the Act on the Layout-Designs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 KCI등재후보

        사무공간의 체계적인 배치계획에 관한 연구

        성덕현(Seong Deok Hyun),정의승(Jung Eui S),손영욱(Sohn Young Wook)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 2001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지 Vol.3 No.1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plant layout using the systematic layout planning approach. However, little concern was given to the office layout when compared to the plant layout. In this research,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office layout and its application to A-company were described. The whole process of generating an office layout is called here an office layout planning. To do an office layout planning, a survey was made to obtain basic raw data about the job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white-collar employees at the office. The data were then clustered using the cluster analysis. It is known, in general, that four types of layout are preferred by the office workers according to the job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Next, a relationship diagram was drawn between the departments of the company. The relationship was represented as symbols such as A, E, I, O, U, and X, as suggested by Murther(1974). The diagram was used to create a layout among the departments, in which the stronger the relationship the closer the departments. Thirdly, a set of basic modules was produced, which governs the size of the furniture and the basic layout of the unit team in an office. Four distinct types of office modules according to the job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proposed out of the set of basic modules. Finally, each department was allocated to the floor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Several alternative layouts were generated and then subsequently evaluated based on their weighted Manhattan distances. Application of the proposed method to A-company showed that the systematic approach greatly improve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office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