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덕왕(景德王)의 사망 시기에 대한 시론(試論)적 재고찰(再考察)

        윤태양 ( Yun Tae-ya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0 No.-

        이 글에서는 『三國史記』에 실린 景德王의 사망 시기를 재론했다. 『冊府元龜』에는 766년 3월·4월 壬子일에 ‘新羅王 金獻英’이 파견한 사절이 보이며, 일간지 또한 정확하다. 그런데 이는 『삼국사기』에서 인용한 古記 등에서 경덕왕이 765년 사망했다고 한 것과 어긋난다. 그러나 이를 따를 경우 惠恭王의 책봉이 지나치게 늦는 점, 당시의 유교적 정치 담론에 입각해 볼 때 사망한 父王의 명의로 사절을 보내는 것은 비상식적이라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책부원귀』의 기사를 부정하기 어렵다. 이에 대해 古記 등 異傳의 발생 경위를 밝히려는 입장에서, 경덕왕이 765년 6월 양위하여 767년 전후 사망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와 같이 볼 때 「異次頓 殉敎碑(栢栗寺 石幢記)」와 『三國遺事』의 萬佛山 기사가 국내·외에서 양위 이후 경덕왕의 활동을 알려주는 단서일 수 있다고 보았다. 「이차돈 순교비」에서는 766년 일어난 어떠한 사건이 확인되는데, 이를 이차돈 추모 사업으로 연결 지은 설을 따라 경덕왕이 이를 이용해 法興王과 眞興王의 故事에 유비하여 경덕왕에서 혜공왕으로의 왕위 승계를 정당화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또한 상기한 766년의 사절이 『삼국유사』에서 보이는 만불산의 전달 주체로 유력하며, 이를 통해 당의 호의를 얻어 滿月太后의 책봉 등에 우호적인 조건을 마련한 것으로 보았다. 경덕왕은 자신의 후계 혜공왕을 위해, 生의 말년까지 각고의 노력을 다하고 있었던 것이다. I refocussed on the date of death of King Gyeongdeok in this paper. Following Cefuyuangui (冊府元龜), ‘King of Silla Kim Heonyeong (新羅王 金獻英, King Gyeongdeok)’ sent an envoy in march·april ‘Renzi (壬子)’ of 766. This sexagenary date matches well with reality. But it doesn’t match with the records including ‘Old Record (古記)’ on the death of King Gyeongdeok, which said as he died in June 765. But we can find the problems that the investiture of King Hyegong (惠恭王) is abnormally late if we follow those records, and it is awkward to think King Hyegong concealed his father King Gyeongdeok’s death and sent an envoy in the name of him. Therefore, I follow the record of Cefuyangui, but suggest the view that the different traditions appeared because of King Gyeongdeok’s abdication and royal succession of King Hyegong in June 765, and King Gyeongdeok’s death around 767. I also used the “Monument to the Martyrdom of Yichadon (異次頓 殉敎碑)” and a record on Manbulsan (萬佛山) in Samgukyusa (三國遺事) to review this time. “Monument to the Martyrdom of Yichadon” shows that a Buddhistic memorial ceremony was done in 766. I guess by supporting this project King Gyeongdeok endeavored to justify the royal succession of King Hyegong as a one which reminded of royal succession from King Beopheung (法興王) to King Jinheung (眞興王). Moreover, I tried to reveal that Manbulsan would have been delivered to Daizong of Tang (唐代宗) at that time. This effort might have made an advantageous condition to receive investiture on Queen dowager Manweol (滿月太后). I think, so, King Gyeongdeok tried to make a favorable political background for his son, King Hyegong, even in the latest days of his life.

      • 『삼국유사』 信忠掛冠條의 몇 가지 문제

        신종원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0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

        효성왕은 신충을 잊지 않겠다 해놓고는 즉위 뒤 논공행상에서 빠뜨렸다. 신충은 원망하여 노래를 지어 잣나무에 붙였더니 나무가 시들어버렸다. 이에 추후로 조처하자 나무가 되살아났다고 한다. 신충은 효성왕 3년에 중시에 임명되고, 경덕왕 16년에는 상대등이 된다. 순리적으로 생각하면 를 지은 시기는 효성왕 3년 이전이 될 것이다. 그런데 원가가 반드시 신충ㆍ효성왕에 얽힌 노래라는 단서도 없고, 그 내용 또한 원망ㆍ원한과는 거리가 멀다. 따라서 木異[나무에 생긴 이변] 모티프의 한 배경설화로 설정되었다고 보는 편이 진실에 가까울 것이다. 부당한 처우를 받은 신하의 원한이 풀린 증거물로는 이름만 보아도 짐작이 가는 折怨堂이 있다. 신문왕이 사죄의 뜻으로 (신충)봉성사를 지어주었기 때문에 비로소 지어진 건물이다. 이것 역시 잣나무이야기와 같은 모티프로서, 시대만 거슬러 成典寺院의 하나인 봉성사 창건연대에 맞추었다. 신충 기록은 효성ㆍ경덕왕대에 등장하니 절원당ㆍ신충봉성사 이야기는 신충의 봉성사가 익히 알려진 기존의 봉성사에 겹쳐진 설화라 하겠다. 이순은 경덕왕 7년에 지리산에 들어가 단속사를 세웠다. 경덕왕 22년에는 이순이 時政을 諫했는데 앞서의 입산 기사도 22년조 기사의 서두에 함께 실렸다. 이 해는 신충이 상대등에서 물러난 해이기도 하다. 신충이 세상과 인연을 끊고‘[斷俗] 봉성사를 지었다면 이 해가 기준이 될 것이다. 바로 신충과 이순, 봉성사와 단속사가 착종되는 대목이다. 이순을 신충으로 대체시켜 기술한 史書로는 이미 『(전)삼국사』가 있고, 이를 일연은 그대로 옮겨놓아 문제를 만들었다. King Hyoseong promised not to forget Sinchung but after he accended the throne left Sinchung out when public recognition was made of meritorious retainers services. Sinchung composed a poem of grudge against the king and pasted it to the big white pine, which suddenly withered. Thereupon, after dealing with the matter, it is said that the big white pine was restored to life again. In the 3rd year of the reign of King Hyoseong Sinchung was appointed jungsi(prime minister) and in the l6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Sinchung becomes sangdaedung(vice king). Thinking rationably, the time Sinchung wrote the poem of grudge should be before the 3rd year of the reign of King Hyoseong. But there is no clue that the poem of g겨dge is related to Sinchung or King Hyoseong and the contents itself are far from grudge or resentment. Therefore interpreting it as a background narrative of the tree transformation motif would be closer to reality. The evidence that the grudge that a mistreated retainer had toward his king had been resolved is the obvious sounding ‘resolving grudge hall’. This hall was built as part of (Sinchung)Bongseong temple by King Sinmun in repentance. This is the same motif as the big white pine narrative, only that the time frame has been adjusted to the time of foundation of Bongseong temple, an important national temple. The accounts of Sinchung appear during the reigns of King Hyoseong and Gyeongdeok, the narrative of the resolving grudge hall and Sinchungs Bongseong temple was made to overlap with the already well known Bongseong temple. In the 7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Lee Soon entered Jiri mountian and erected Dansok(Retirement from the World) Temple. In the 22nd year of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Lee Soon remonstrated with the king concerning current policy and the aforementioned retiring into the mountain account also appears at the forefront of the 22nd year of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This is the same year that Sinchung retired from the post of sangdaedung. If Sinchung retired from the world and built Bongseong temple, this year would be the standard. This is the vital point where Sinchung and Lee Soon, Bongseong temple and Dansok temple converge. An instance of a history book where Lee Soon takes the place of Sinchung is already found in the (former)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Ilyon merely transposed this as it was and called it into question.

      • KCI등재

        신라 경덕왕대 삼모부인(三毛夫人)의 생애와 정치적 의미

        김선주 호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4 No.-

        Lady Sammo was the queen of King Gyeongdeok, 35th king of Silla dynasty, but she was banished from the palace. References to and explanations about her have hitherto focused on her banishment as part of the political dynamics of mid-Silla political history. This paper, however, focuses on her life history and attempts to interpret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Lady Sammo as represented by the dramatic transformation from being a queen to her banishment. First, information about her background and the political background of King Gyeongdeok's enthronement are provided, and Lady Sammo's lineage and marital relations are examined. Second, investigation is made into the political background and significance surrounding the event of her "banishment." Lady Sammo was banished soon after King Gyeongdeok's enthronement, but interestingly, she was invested with the title of "Lady Saryang." Furthermore, she appears in history as the donator for the casting of the Bell of Hwangnyong Monastery after she was banished. This shows that although she was no longer the queen of King Gyeongdeok, she was still active under some other social status after her banishment. Especially of interest is Lady Sammo's donation for the casting of the Bell of Hwangnyong Monastery, which was a temple of national importance,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person who ordered the casting of the bell at the time was King Gyeongdeok, indicating that Lady Sammo's donation can be construed as maintenance of the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Lady Sammo and her king even after her banishment. As well, considering that the scale of the bell at Hwangnyong Monastery is four times heavier than the Bell of King Seondeok the Great, so-called Aemilae Bell, it could be said Lady Sammo had access to a sizeable financial base even after her banishment from the palace. 삼모부인은 신라 제35대 경덕왕의 왕비였다가 출궁(出宮)되었던 인물이다. 삼모부인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출궁’사건을 중심으로 신라 중대의 정치사 연구에서 정치적 역학관계를 설명하는 일환으로 언급되었다. 그러나 여기서는 삼모부인이라는 한 여성의 생애사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면서, 왕비에서 출궁이라고 하는 삶의 궤적 속에 나타나는 삼모부인의 정치적 의미를 해석해보았다. 삼모부인은 경덕왕이 즉위한 후 곧 출궁되지만 특이하게 ‘사량부인’으로 봉해졌다. 뿐만 아니라 출궁 후에 황룡사종 주조의 시주자로 역사에 등장하고 있다. 이는 삼모부인이 출궁으로 왕의 배우자로서의 관계는 없어지지만, 또 다른 정치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활동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았다. 특히 황룡사종 주조의 주체가 경덕왕이라는 점에서 시주자인 삼모부인은 출궁 후에도 경덕왕과 정치적 협력관계를 가졌던 것으로 해석하였다. 황룡사종은 현재 남아 있는 속칭 에밀레종으로 알려진 ‘성덕대왕 신종’의 4배나 되는 무게로 알려졌는데, 여기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당했다는 것은 출궁 뒤 삼모부인의 경제적 기반이 상당했음을 보여준다고 보았다. 왕비가 되었다가 출궁되었던 삼모부인의 삶은 신라 중대 왕비의 성격이나 정치 세력을 이해하는 데에도 시사점을 준다. 신라에서는 중대(中代)에 이르러 삼모부인과 같이 왕비가 후계자를 낳지 못하거나 정치적인 역학관계에서 밀려날 경우 출궁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상대(上代)에 비해 왕비의 정치적 입지가 약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후대 고려나 조선시대 왕비와는 달리 출궁으로 왕비로서의 의미는 상실되지만 별도의 정치․사회적 지위를 누리며 독자적인 경제적 기반을 가지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와함께 신라 중대에 삼모부인 일가라는 유력한 정치 세력의 존재를 추출할 수 있었다. 이들 일가의 정치적 성격은 왕권의 반대세력으로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왕권과 밀착되어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안민가(安民歌)」의 시대상과 정치사상의 지향성 고찰 - 유불·화랑사상을 중심으로 -

        윤경수 ( Yun Gyeong-so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6 No.-

        「안민가」는 8세기 신라 35대 경덕왕 24년(745년) 충담사(忠談師)가 지은 신라 향가이다. 경덕왕 때는 천재이변(天災異變)이 자주 일어나 그중 궁중에 오악산신(五嶽山神)이 나타났다. 경덕왕은 불길한 징조를 해결하기 위해 귀정문(歸正門) 누상(樓上)에서 영복승(榮服僧, 위의(威儀)가 있는 중)을 만나기 위해 납시어 이때 충담(忠談)을 만났다. 일찍이 왕은 충담이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를 지은 것을 상기시켜 어지러운 국정을 해결할 수 있는 백성을 편안이 다스리는 「안민가」(安民歌)를 지으라고 명하였다. 청담은 당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유불사상의 치우침이 없이 화랑정신을 포함시켜 「안민가」(安民歌)를 지어 올렸다. 경덕왕은 「안민가」에서 자신의 국정운용의 결함을 지적하는 내용과 앞으로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제할 방법을 숨김없이 나타내 충담을 왕사(王師)로 삼으려고 했다. 왕은 신하들로부터 자신에게 잘 보이려고 아부형의 간언을 많이 들어온 터라 그런 무리의 신하를 싫어했다. 그런데 충담은 왕에게 실덕을 책(責)하고, 왕의 다스림을 유불사상과 신라고유의 화랑정신으로 나타내 충담을 위국충정의 고승(高僧)으로 보았다. 경덕왕 말년의 정치는 왕당파(王黨派)와 반왕당파의 대립이 세력이 격화돼 각축을 벌이는 구도를 지닌다. 여기서 충담은 중도좌파의 정치적 위상으로 처신해, 「안민가」는 경덕왕 당시의 비안민적 성향의 치국관과 정치사상이 발현된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럼에도 왕은 당시 청치상의 비리를 과감하게 청산하지 못하고 결국 그의 가계도 그의 태자 혜공왕 때 반왕당파에게 넘겨 왕통의 종지부를 찍고 마감했다. 「안민가」는 8세기 창작된 작품으로 오랜세월이 경과됐다. 그렇지만 「안민가」는 청담사가 당대의 시대상을 고승적(高僧的) 차원인 신라정신인 화랑으로 승화시켰기에 오늘에도 미래에도 위정자를 바르게 인도하는 문학사적인 의의를 지닌다. Anminga is a Hang`ga written by Chungdamsa during the 24th reign year(745) of King Gyeongdeok of Shilla. During his reign, there were many natural disasters and among them, the Five Gods of Hell appeared. Appearance of the Silla protecting gods was the symbol and prediction of serious crisis. To overcome this crisis, King Gyeongdeok visited a Buddhist monk Yeongbokseung at the pavilion of Guijeongmun and he met Chungdam at this location. The king requested Chungdam to write Anminga to comfort the people suffering from the crisis to restore government affairs since the king new about his previous writing of Changiparang`ga. To overcome the crisis, Cheongdam wrote Anminga including the thought of Hwarang without over-emphasizing Confucianism-Buddhism. Anminga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e government and solutions to overcome the crisis, therefore, the king tried to hire Chungdam as a maitre du roi. The king hated his staffs providing positive advices and policies without criticism. Chungdam criticised the king`s faults and advised him to rule the kingdom with Confucian-Buddhist thought with traditional Hwarang thought. This is why the king saw him as a high level monk with patriotism and loyalty. At the end of King Gyeongdeok, Silla court suffered from the competition between pro-king faction and anti-king faction. Anminga criticised the king`s trends of political and governance thoughts without concerning the people while taking a middle ground. However, the king failed to clear the corruption and as a result, at the time of his son King Hyegong, the anti-king faction took over the court and the royal family lost the control of the kingship. Anminga is an old literature of eighth century. Still, Cheongdamsa`s Anminga reflected the Silla`s situation of the crisis. It provided the guidelines for the government based on Silla`s Hwarang thought as a high level Buddhist monk. This is the literary value of the Anminga for today and future political leaders.

      • KCI등재

        연구논문 : 신라 경덕왕대 삼모부인(三毛夫人)의 생애와 정치적 의미

        김선주 ( Sun Joo K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4 No.-

        삼모부인은 신라 제35대 경덕왕의 왕비였다가 출궁(出宮)되었던 인물이다. 삼모부인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출궁``사건을 중심으로 신라 중대의 정치사 연구에서 정치적 역학관계를 설명하는 일환으로 언급되었다. 그러나 여기서는 삼모부인이라는 한 여성의 생애사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면서, 왕비에서 출궁이라고 하는 삶의 궤적 속에 나타나는 삼모부인의 정치적 의미를 해석해보았다. 삼모부인은 경덕왕이 즉위한 후 곧 출궁되지만 특이하게 ``사량부인``으로 봉해졌다. 뿐만 아니라 출궁 후에 황룡사종 주조의 시주자로 역사에 등장하고 있다. 이는 삼모부인이 출궁으로 왕의 배우자로서의 관계는 없어지지만, 또 다른 정치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활동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았다. 특히 황룡사종 주조의 주체가 경덕왕이라는 점에서 시주자인 삼모부인은 출궁 후에도 경덕왕과 정치적 협력관계를 가졌던 것으로 해석하였다. 황룡사종은 현재 남아 있는 속칭 에밀레종으로 알려진 ``성덕대왕 신종``의 4배나 되는 무게로 알려졌는데, 여기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당했다는 것은 출궁 뒤 삼모부인의 경제적 기반이 상당했음을 보여준다고 보았다. 왕비가 되었다가 출궁되었던 삼모부인의 삶은 신라 중대 왕비의 성격이나 정치 세력을 이해하는 데에도 시사점을 준다. 신라에서는 중대(中代)에 이르러 삼모부인과 같이 왕비가 후계자를 낳지 못하거나 정치적인 역학관계에서 밀려날 경우 출궁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상대(上代)에 비해 왕비의 정치적 입지가 약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후대 고려나 조선시대 왕비와는 달리 출궁으로 왕비로서의 의미는 상실되지만 별도의 정치·사회적 지위를 누리며 독자적인 경제적 기반을 가지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와함께 신라 중대에 삼모부인 일가라는 유력한 정치 세력의 존재를 추출할 수 있었다. 이들 일가의 정치적 성격은 왕권의 반대세력으로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왕권과 밀착되어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Lady Sammo was the queen of King Gyeongdeok, 35th king of Silla dynasty, but she was banished from the palace. References to and explanations about her have hitherto focused on her banishment as part of the political dynamics of mid-Silla political history. This paper, however, focuses on her life history and attempts to interpret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Lady Sammo as represented by the dramatic transformation from being a queen to her banishment. First, information about her background and the political background of King Gyeongdeok`s enthronement are provided, and Lady Sammo`s lineage and marital relations are examined. Second, investigation is made into the political background and significance surrounding the event of her "banishment." Lady Sammo was banished soon after King Gyeongdeok`s enthronement, but interestingly, she was invested with the title of "Lady Saryang." Furthermore, she appears in history as the donator for the casting of the Bell of Hwangnyong Monastery after she was banished. This shows that although she was no longer the queen of King Gyeongdeok, she was still active under some other social status after her banishment. Especially of interest is Lady Sammo`s donation for the casting of the Bell of Hwangnyong Monastery, which was a temple of national importance,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person who ordered the casting of the bell at the time was King Gyeongdeok, indicating that Lady Sammo`s donation can be construed as maintenance of the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Lady Sammo and her king even after her banishment. As well, considering that the scale of the bell at Hwangnyong Monastery is four times heavier than the Bell of King Seondeok the Great, so-called Aemilae Bell, it could be said Lady Sammo had access to a sizeable financial base even after her banishment from the palace.

      • KCI등재

        경덕왕대 향가 5수의 사상적 배경과 의미 분석 - 배경설화와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

        이현우 ( Lee Hyun Woo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7 국제어문 Vol.0 No.73

        현전하는 향찰 표기 시가는 총 25수로 그 중 『균여전(均如傳)』에 기록된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를 제외하면 『삼국유사(三國遺事)』에 14수가 기록되어 있다. 『삼국유사』 소재 14수의 향가들 중 경덕왕과 관련된 향가는 <도솔가(兜率歌)>, <제망매가(祭亡妹歌)>, <안민가(安民歌)>,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도천수대비가(禱千手大悲歌)> 등 5 수가 있다. 향가 작품이 중복적으로 나타나는 시기는 경덕왕대 이외에도 <서동요(薯童謠)>와 <혜성가(彗星歌)>가 기록된 진평왕대가 있으나 그 비율이나 양으로 볼 때 경덕왕대가 진평왕대에 비해 월등하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월명사 도솔가」조의 가사가 전하지 않는 또 다른 향가 <산화가(散花歌)>까지 포함한다면 경덕왕대의 향가 작품 수는 6수로 늘어나게 된다. 기록상으로 볼 때 향가가 집중적으로 향유되었던 시기는 진평왕대에서 원성왕대에 이르는 200여 년으로 그 중에서도 특히 5수의 향가가 기록된 35대 경덕왕(景德王: 742-765)의 시기는 그 중 전성기라고 볼 수 있는 중·후반부의 20여년에 자리하고 있다. 또한 경덕왕대에 기록된 향가 5수의 『삼국유사』 내의 분포를 살펴보면 「기이」편에 2수, 「탑상」편에 1수, 「감통」편에 1수 등으로 여러 편목에 걸쳐 골고루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경덕왕대의 향가 5수가 다양한 편목에 나뉘어져 기록되어 있다는 사실은 『삼국유사』 편찬자의 편향적인 의도가 개입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며 또한 경덕왕대에 채록(採錄) 가능한 다양한 소재의 향가 작품들이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삼국유사』의 5편목에 걸쳐 기록되어진 향가 작품들의 사상적 다양성은 어느 한 쪽으로 편향되지 않은 경덕왕대의 사상적 경향, 나아가서 신라 시대의 전체적인 사상적 경향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밝혀 내었다. 그 과정에서 경덕왕이 사회 안정에 필요한 새로운 사상이나 사회 통합을 위해서 당대에 유행하고 있던 문학 장르인 향가를 적극 활용했음을 파악하였으며, 경덕왕대의 향가 5수는 사상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유교와 불교, 도교가 균형잡힌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해석하였다. 이렇듯 경덕왕대에 5수나 되는 향가- 『삼국유사』 소재 14수의 향가 중 35%에 달하는-가 정착된 원인이나 의미를 분석하는 일은 향가가 가지고 있는 장르적 의미나 영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Current 25 Hyangga are recorded in Gyunyeojeon(均如傳; 11 works) and Samkookyusa(三國遺事; 14 works). There are 5 Hyangga-< Dosolga(兜率歌) >, < Geamangmaega(祭亡妹歌) >, < Anminga(安民歌) >, < Changiparangga(讚耆婆郞歌) >, < Docheonsudaebiga (禱千手大悲歌) >- out of 14 works in Samkookyusa is related with King Gyeongdeok. It takes up to 35% out of 14 works in Samkookyusa. In consider with the bibliographic data, the intensive enjoying period was over 200 years ranging from king Jinpyeong to king Wonseong. During the period, about 20 years of King Gyeongdeok(景德王: 742-765)`s reign were located in the prime time. The 5 Hyangga are spreaded and recorded in various chapters of Samkookyusa. The fact indicates that there is no biased intention of the compilers of Samkookyusa. In result of this study, ideological diversity of the 5 Hyangga shows king Gyeongdeok`s not biased ideological tendency and also reflects the overall ideological tendency of the Silla Dynasty in further. It was identified that king Gyeongdeok used the literary genre in order to social integration and stability. There are Confucianism and Buddhism, Taoism proportionably in the background of 5 Hyangga in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 KCI등재

        광해군대 仁慶宮 건립과 ‘仁王山王氣’說 - 宣祖 즉위 사적과의 상관성 -

        尹晶 ( Yoon Jeong ) 진단학회 2021 진단학보 Vol.- No.136

        This paper traced the political intention of constructing Inkyung-gung palace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 through the view of King's fortune in Inwangsan mountain, which was the core pretext. After rebuilding of Chang'gyeong palace had finished, King Gwanghaegun constructed Inkyung-gung palace(仁慶宮) under Inwangsan mountain and Gyeongdeok-gung(慶德宮) in Saemun-dong(塞門洞). As King Gwanghaegun himself coordinated the construction process so that the two palaces could be drawn up together, organized as a single system and completed at the same time. their construction was completed before the restoration. At that time, King Gwanghaegun changed the reason why his father enthroned, from son of King Myeongjong to ‘Restoration King(中興主) by changing his fathers' posthumous king`s name (Myoho) from King Seonjong to King Seonjo. The view of King`s fortune in Inwangsan mountain(仁王山王氣說) was based on the house of Deokheung Daewongun where King Seonjo was born and the view of King's fortune in Saemun-dong was based on the house of King Jungjong, which was Bokseong'gun owned. Before enthronement, King Seonjo was adopted as the son of Bokseong'gun. By constructing palaces in these places, King Gwanghaegun attempted to eliminate the threat of legitimacy by using enthronements' sites of King Seonjo and spatially defined that as heir to the throne, he inherited the king's energy in sites of King Jungjong and King Seonjo.

      • KCI등재

        영조의 慶熙宮 改號와移御의 정치사적 의미 -恩悼世子 賜死와의 상관성에 대한분석 -

        윤정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09 서울학연구 Vol.- No.34

        King Yeongjo/英祖's renaming(改號) the Gyeonghi-gung/慶熙宮 palace, and the political meaning of his own relocation(移御) there : Analysis of the event's relation to the death of Crown-prince Sado Seja/思悼世子 Yoon, Jeong Lecturer,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 this article, the direct relation between King Yeongjo/英祖's renaming of the Gyeonghi-gung/慶熙宮 palace, and the death of Crown-prince Sado Seja/思悼世子, is examined. Yeongjo moved to the Gyeonghi-gung palace, spacially separating himself and his own son, and highlighted the history of Queen Inweon Wanghu/仁元王后 of Gyeonghi-gung. Then he put his own son Sado Seja to death, and had his grandson inherit the kingdom later. Through this, the argument of the 'Three Kings' bloodline'(三宗血脈 論), which legitimized King Yeongjo's own authority as a King, was extended to his grandson. In order to have the Gyeonghi-gung palace function as a new base for this purpose, he tried to eliminate the palace's own image of being a historical place that witnessed and housed the wrong-doings of former King Gwanghae-gun/光海君. And that was the reason why he came up with the new name 'Gyeonghi-gung' for this palace, which had originally been called as Gyeongdeok-gung/慶德宮. By King Yeongjo, this palace became a place testifying the legitimacy of King Yeongjo's kingdom, and to establish that new image strongly, he stayed there till the ending days of his own reign. Keywords : Gyeongdeok-gung(慶德宮), Gyeonghi-gung(慶熙宮), King Yeongjo(英祖), Crown-prince Sado Seja(思悼世子), Queen Inweon Wanghu(仁元王后), The argument of the 'Three Kings' bloodline'(三宗血脈 論)

      • 『三國遺事』 紀異篇의 <景德王 忠談師 表訓大德>條에 대한 검토

        조범환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8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39 No.-

        According to the Chapter Kiyi of Samkukyusa, King Gyeongdeok had a mutual exchange of opinions with lots of monks. Among them, monk Chungdam wrote Song Anmin for King Gyeongdeok and monk Pyohun helped King Gyeongdeok born a prince by praying to the god. Monk Il-yeon thought they had a personal relationship, so he named ‘King Gyeongdeok, monk Chungdam and Pyohun’ at the Chapter Kiyi of Samkukyusa. The Song Anmin has a lot of content analysis, but historical analysis is not enough. According to lyrics, people are required to perform their own duty. It’s a sign of the times. Daesung Kim introduced monk Pyohun to King Gyeongdeok. Pyohun met the Great Jade Emperor to ask him whether the king could have a prince. The Great Jade Emperor said no, but monk Pyohun helped the king to have a prince. Because he disobeyed an order, monk Pyohun couldn’t meet The Great Jade Emperor ever. This was an effort to overcome political problems linked to the royal male heir. King Gyeondeok, monk Chungdam and Pyohun are closely connected. Of course, we don’t know how monk Chungdam and Pyohun are related, however, we could guess they are a loyal subject. This is the reason why Monk Il-yeon titled this way at the Chapter Kiyi of Samkukyusa.

      • KCI등재

        신라 元聖王의 <身空 詞䐉歌>와 관련 설화의 역사적 이해

        이장웅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3 嶺南學 Vol.- No.87

        The passage on King Wonseong in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can be seen as the background narrative for the poem Singongsanoega. It vividly portrays the mythical image of King Wonseong, who is credited with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later stages of the Silla dynasty. The inaugural narrative of King Wonseong features both the well of Cheongwansa Temple and Bukcheon (Alcheon) Stream. These symbols signify the continuity of royal authority, demonstrating that the king inherited the rites of the early period that originated from the founder of Silla. In Silla, wells were considered sacred, where divine life, similar to revered figures like Hyeokgeose and Lady Aryeong, were believed to be conceived. Legends say that water deities, such as dragons, resided in or frequented these wells. Bukcheon (Alcheon) Stream of the Alcheon Yangsan Village served as the gathering place of the six ancestral tribes of the Jinhan confederacy, where they convened to welcome the king. The stream is where the legendary figures Hyukgeose and Lady Aryeong were reborn as sacred individuals through a ritual that involved bathing in the East Spring and the Bukcheon Stream. Furthermore, upon King Wonseong’s ascension to the throne, his father handed down the symbolic item known as Manpasikjeok (a pipe), signifying the continuity of royal authority in the middle period of Silla. This event played a crucial role in preventing Japan’s invasion of Silla. In addition, by maintaining friendly ties with the Tang dynasty, King Wonseong protected the “Guardian Dragon,” a symbol of the diminished central authority of Silla, and thwarted the schemes of individuals from the state of Haseo. This illustrates that King Wonseong emerged as a pioneer of a new royal authority in the later period, one capable of addressing the challenges faced by the powerful middle-stage kingship of Silla during the King Muyeol era. The mystical portrayal of King Wonseong in the narratives is substantiated historically through his demonstrated abilities in politics, economy, and religion. This includes his foundation of an economic base rooted in Buddhist temples, his expertise in water management demonstrated in the construction of reservoirs, records of auspicious signs even in the face of numerous disasters, and his diplomatic relations. Even before his enthronement, King Wonseong presided over religious ceremonies that combined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resembling a divine ritual with a religious character akin to a hwarang or an elite warrior of the country. Moreover, he personally composed the work Singongsanoega, which belongs to the category of “hometown songs.” This piece falls into the realm of moving the spirits of heaven and earth, fostering unity within the community. He performed this composition during ritual ceremonies. <身空 詞䐉歌>의 배경 설화로 볼 수 있는 三國遺事 元聖大王條는 신라 下代를 개창하는 元聖王의 신화적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먼저 원성왕의 즉위 설화에는 天官寺의 우물과 北川(閼川)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는 그가 신라 시조로부터 이어지는 上代의 의식을 이어받았다는 왕권의 정통성을 보여주는 상징이다. 신라에서 우물은 시조 赫居世와 閼英과 같은 신성한 생명이 잉태된 곳으로, 水神인 용이 거주하거나 오고 가는 곳이었다. 閼川(北川)은 辰韓 6村 중 閼川 楊山村으로 6部 조상들이 모여 왕을 맞이하고자 회의했던 장소이며, 우물에서 태어난 혁거세와 알영이 東泉과 北川에서의 목욕이라는 통과 의례를 거쳐 신성한 인물로 재탄생하였다. 또한, 원성왕이 즉위하자 아버지 孝讓은 신라 中代 왕권의 계승자임을 보여주는 상징물인 萬波息笛을 전해주었고, 이로 인하여 일본의 신라 침략을 막았다. 이어 원성왕은 唐과의 외교를 원만하게 하면서, 왜소해진 중대 왕권을 상징하는 護國龍을 보호하고, 河西國 사람의 술수를 물리쳤다. 이는 그가 中代 무열왕계의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下代 왕권의 개척자라는 모습을 보여준다. 원성왕의 설화 속 신비한 모습은 역사적으로도 佛敎 寺院에 기초를 둔 경제적 기반, 저수지 축조 등의 治水 능력, 많은 災異 속에서도 몇 가지 보이는 祥瑞 기록, 외교 관계 등을 통해 정치적‧경제적‧종교적으로 실체가 있는 능력을 보여주고 있었다. 원성왕은 즉위 전부터 儒‧佛‧仙이 합쳐진 國仙처럼 종교적 성격을 가진 祭儀를 주관하였다. 그리고 鄕歌 중에서 집단의 결속과 천지 귀신을 감동시키는 영역에 속하는 <身空 詞䐉歌>라는 작품을 직접 지어 이를 제사 행위에서 演行한 인물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