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춘수의 시와 시론에 나타나는 현상학적 특징에 관한 연구

        문혜원(Mun, Hye-won) 한국언어문학회 2013 한국언어문학 Vol.86 No.-

        The phenomenological features appear consistently in Kim, Choon-soo’s poems and poetic theory. Phenomenon is always paired with the exist. The 'Flower' series by Kim, Choon-sooshow the course that discovered phenomenon and brought off the ontological exploration. "Flowers·Ⅰ" and "Flower·Ⅱ" are the preliminary study of ontological reason." Introduction for flowers "has the more advanced ontological reason. ‘Epoche’ is a premise for the ontological reason, it is symbolized by the word ‘dark’. The subject tries to progress philosophical reasons for the exist through ‘Epoche’. The phenomenological interest is appeared in Kim, Choon-soo’s poetic theory too. ‘Epoche’ is to eliminating the predicate and presenting images, to with holding the judgment to objects. In other words, This is not to explain or to interpret, but to present objects as it is. This is similar to ‘Epoche’ that excluse the established meaning of the objects. Kim, Choon-soo thought the‘ descriptive image’ that is destroyed the objects." Flowering trees" by Lee, Sang is the example. This is not have a realistic object and consists of only the analogy of psychological state. This is a realm of consciousness disclosed through ‘Epoche’, is consisting of ‘Noema’-‘Noesi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s and objects is not natural scientific causal relationship but intentional relationship. "More primrose" and "earth quake" are results of ‘phenomenological reduction’ is based on “epoche’. ‘Nonsense poetry’ is to trying ‘Epoche’. The phenomenological feature of Kim, Choon-soo’s poems is influenced by Husserl’s phenomenology. It is important keywords to describe Kim’s poems. But in late poems, the phenomenon is connected to the ‘body’, so itis influenced by the phenomenology of Merleau Ponty. Thus, the early poems and late poems have a different philosophical basis. It is necessary to research.

      • KCI등재

        김춘수의 시와 시론에 나타나는 현상학적 특징에 관한 연구 -후설 현상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문혜원 한국언어문학회 2013 한국언어문학 Vol.86 No.-

        The phenomenological features appear consistently in Kim, Choon-soo’s poems and poetic theory. Phenomenon is always paired with the exist. The 'Flower' series by Kim, Choon-soo show the course that discovered phenomenon and brought off the ontological exploration. "Flowers․Ⅰ"and "Flower․Ⅱ" are the preliminary study of ontological reason. "Introduction for flowers" has the more advanced ontological reason. ‘Epoche’ is a premise for the ontological reason, it is symbolized by the word ‘dark’. The subject tries to progress philosophical reasons for the exist through ‘Epoche’. The phenomenological interest is appeared in Kim, Choon-soo’s poetic theory too. ‘Epoche’ is to eliminating the predicate and presenting images, to withholding the judgment to objects. In other words, This is not to explain or to interpret, but to present objects as it is. This is similar to ‘Epoche’ that excluse the established meaning of the objects. Kim, Choon-soo thought the ‘descriptive image’ that is destroyed the objects. "Flowering trees" by Lee, Sang is the example. This is not have a realistic object and consists of only the analogy of psychological state. This is a realm of consciousness disclosed through ‘Epoche’, is consisting of ‘Noema’-‘Noesi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s and objects is not natural scientific causal relationship but intentional relationship. "More primrose" and "earthquake" are results of ‘phenomenological reduction’ is based on “epoche’. ‘Nonsense poetry’ is to trying ‘Epoche’. The phenomenological feature of Kim, Choon-soo’s poems is influenced by Husserl’s phenomenology. It is important keywords to describe Kim’s poems. But in late poems, the phenomenon is connected to the ‘body’, so it is influenced by the phenomenology of Merleau Ponty. Thus, the early poems and late poems have a different philosophical basis. It is necessary to research.

      • KCI등재

        상상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박승억(Seung-Ug Park) 한국현상학회 201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1 No.-

        근대 이후 상상력은 인간 지성의 창조적 능력의 원천으로 여겨짐으로써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하지만 그런 관심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상상력이 무엇인지에 대한 인식론적 해명 자체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 논문은 후설의 기술 현상학적 관점에서 상상의 문제를, 특히 현전화 작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해명하였다. 인식론적 관점에서 현전화 작용은 주어지지 않은 것을 직관적으로 주어질 수 있게 하는 의식의 능력이다. 그리고 그런 의미에서 인식의 가능 조건이자 선험적 의미를 지닌다. 상상은 그런 현전화 작용이 가장 순수하게 드러나는 체험이다. 논문은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상상의 문제를 학문이론적 의미에서 확장하였다. Imagination(Phantasy) has drawn a lot of attention since 18th century. For many people considered it as the source of creativity of human understanding. But the question, what the imagination is, has not enough answered yet.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clarify the imagination(phantasy), based on Husserls descriptive phenomenology. We can see the specific act of consciousness through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imagination. It is the act of “re-presentation (Vergegenwaertigung)”. And it has a lot of significant meanings to understand Husserls phenomenology and philosophy of science

      • KCI등재

        ‘초기 후설’에 있어서 현상학과 기술심리학

        배우순(Bai, Woo-Soon)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70 No.4

        여기에서 논의된 주제는, ‘초기 후설’에 있어서 “후설은 왜 자기의 최초의 입장이었던 기술심리학을 포기하고 현상학으로 옮아갔는가?”이다. 이 소론은 이 주제를 아래와 같이 II. 와 III. 으로 나누어서 논의했다. II. F. 브렌타노의 기술심리학과 E. 후설의 ‘그’ 이해에서는 두 문제가 논의되었다. 그 중 하나는 브렌타노의 입장을 추종했던 초기 후설의 태도에 관해서 인데, 여기에서 논의된 중요한 포인터는 두 가지였다. 이를테면, a) 후설의 관심은 ‘처음부터’ -『논리적 연구』 이전에도 - 학(學) 혹은 학적(學的) 인식의 정초라는 점, b) 그럼에도 후설은 그의 초기시절에는 기술심리학을 통해서 모든 학적 인식의 정초를 수행할 수 있다고 ‘잘못’ 믿었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브렌타노의 기술심리학에 대한 ‘이런’ 초기 후설의 태도에 연관해서, 브렌타노의 기술심리학의 핵심적 내용은 무엇이냐는 것이었다. III. E. 후설의 현상학 개념과 그의 기술심리학의 비판에서는 먼저, 후설이 그의 최초의 입장이었던 기술심리학을 포기함과 동시에 그 대안으로 제시했던 후설 자신의 현상학은 어떤 내용의 이론인가를 논의했다. 특히 여기에서 핵심주제로 주목한 것은 그의 “현상”인데, 이 개념의 심층적 의미는 “체험”과 “내감”의 의미를 동시에 갖는 복합적인 것으로 특징 지워진다는 것이다. 다시 말한다면, 이 현상 개념의 특징은 브렌타노적(的)인 내감처럼 ‘내적으로’ 확실한 명증성을 가지면서도, 그 존재 양태는 순수한 주관의식이 아니라 자기 밖에서 무엇인가를 체험한 “무엇에 관한 의식”이라는 것이다. 이어서 논의된 것은 후설의 브렌타노의 기술심리학에 대한 비판인데, 그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그 첫째는 후설의 심리주의, 좀 더 정확히 말해서 논리적 심리주의 - 브렌타노의 기술심리학도 포함된 - 에 대한 비판이다. 후설에 의하면 브렌타노의 기술심리학은 주관적 심리세계에 기초한 개별적 사실과학이므로, 그것을 기초로 객관적 경험의 학이라고 할 수 있는 일반 학문들의 ‘최종적인’ 근거를 논의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것이다. 후설은 이런 비판과 더불어 그 대안으로서 후설 자신의 “순수논리”를 제시한다. 이 "순수논리"의 특징은 흡사 칸트의 선험철학처럼 경험의 가능적 조건을 묻는다. 그런데 이 논리(학)의 특징은 그 논의하는 부분이 인식행위의 측면이 아니라 그 인식행위가 지향하는 바, 그 대상의 측면이라는 점이다. 그 둘째는 후설의 브렌타노 기술심리학의 내감 비판이다. 그런데 후설이 여기에서 취하는 입장의 특징은, 브렌타노의 내감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이’ 비판 작업을 수행하면서, 자신의 ‘현상학적" 현상 개념을 동시에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서 후설이 주장하는 바는, 객관세계에 매개된 자신의 의식 개념이 의식의 내면적 지향성에서 성립하는 브렌타노의 기술심리적 의식보다도 학의 정초이론의 기초개념으로 더 적합하다는 것이다. This essay examines the problem of Husserls “transition” in early phase of his phenomenology in 1981-1913. Then his philosophical position was changed from the descriptive psychology to the phenomenology, as Husserl said in the Foreword(second edition 1913) to the first edition of LU. This theme “transition” is discussed here in two parts: II. Brentanos descriptive psychology and Husserls position and III. Husserls concept of Phenomenology and his critic of Brentano"s descriptive psychology as follows: Part II set up the two issues: the one is to understand Husserls attitude in his early philosophy when he yet followed Brentono"s descriptive psychology. The other is to explain the core contents of Brentanos descriptive psychology. Part III presented Husserls phenomenology as an alternative to Brentanos"descriptive psychology with a view to the last grounding of cognition; his critics on F. Brentano‘s can be characterized through following two points: 1. Husserl criticized Brentano"s descriptive psychology as a kind of basic concepts of psychologism, which sought through the Pschology to carry out the universal grounding of ‘scientific’ cognition. But according to Husserl"s phenomenology it was basically impossible for psychology to perform such “task”, because psychology is in principle based on subjective psychological world; If so, for Husserl, how can the subjective psychology explain epistemological universal grounding of the objective sciences founded in the objective world? 2. Husserl criticized next the inner perception(innere Wahrnehmung) as a basic conception of Brentano"s descriptive psychology. Concerning this problem Husserl rather tried to explain his phenomenological concept of phenomenon(consciousness) in the comparison with Brentano"s inner perception than to criticise Brentano"s. In conclusion his phenomenological concept of intentionality(consciousness) which is based on the objective world, is more appropriate to the universal grounding of ‘scientific’ cognition than Brentano"s, that is based on the inner sense of psychological dimension.

      • KCI등재

        한국 체육학에서의 현상학적 연구와 방법적 적합성

        김홍식 한국체육철학회 2017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한국 체육철학 영역에서 발표된 현상학적 연구, 혹은 현상학적 접근에서 발견되는 방법론적 성향과 난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영미권 스포츠철학에서 제기되어 온 현상학적 연구에 대한 비판적 반성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종합하였다. 이 과정에서 스포츠 연구에서의 현상학적 접근은 심리적 주관주의, 소박한 실재주의라는 문제를 안고 있음을 종합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우리 체육철학 영역의 현상학적 연구에서 확인하였다. 첫째, 우리의 현상학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현상은 후설 현상학에서 말하는 현상에 부합하지 않으며, 단순히 스포츠 상황에서 경험하는 심적 사실에 의존하고 있다. 둘째, 대다수의 현상학적 연구들은 심적 사실을 담은 기술, 또는 면담 자료를 수집하고 그러한 자료들이 담고 있는 공통점을 본질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후설이 현상학을 통하여 비판하고 있는 실증과학의 일반화 태도를 반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우리 체육철학 영역에서의 현상학적 연구는 방법적으로 정당화되기 어렵다. This study is aimed to reflect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es in the field of sport philosophy in Korea. This essay have two main parts. Firstly, I reviewed three articles which criticized phenomenological researches in USA, and Europe; Daniel S. Kerry and Kathleen M. Armour (2000), Irena Martínková and Jim Parry (2012), Jan Halák, Ivo Jirásek, and Mark Stephen Nesti (2014). Secondly, I analysed phenomenological researches of Korean sport philosophers. As a result, I insisted that phenomenological researches in the field of Korean sport philosophy have serious problems in method. Sport phenomena in their researches are not phenomena of Husserl, but only mental facts(phenomenalism). Especially, we can't find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based on the epoche, or bracketing, and eidetic reflection in the articles.

      • KCI등재

        목회자 사모의 경험 이해를 위한 현상학적 연구: 기독교 상담적 관점에서

        송경화 ( Song Kyung Hwa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20 복음과 상담 Vol.28 No.1

        목회자 사모들은 상담을 많이 하지만, 본인들은 상담을 받을 기회가 많지 않다. 사모들을 위한 기독교 상담을 개발하고 그 기회를 확장하는 것은 기독교 상담학자들의 과제이다. 이를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사모의 삶이 어떤 것인지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일이다.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사 모의 삶을 심층적으로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8명의 사모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하여 16개의 주제와 이들을 포괄하는 6개의 범주를 얻었다. 본 연구에 의하면, 사모들은 사모의 역할을 성도의 어머니 역할과 남편 목사의 사역을 돕는 조력자 역할이라고 생각하였다. 사모들은 자신을 평신도와 사역자 사이의 애매한 위치에 두면서도, 남편 목사의 사역에 동참하면서 그 결과로 기뻐하기도 하고 걱정도 하였다. 그들은 사모이기에 부부관계나 자녀 양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하였다. 또한 사모들은 사모의 삶은 힘든 삶이라고 표현했는데, 그 이유에는 관계의 단절, 속박감, 스트레스, 남들의 시선과 평가가 포함되었다. 이런 어려움에 대처하기 위해 사모들이 사용한 방법은 인내, 기도, 자기 개발이었다. 사모이기에 좋은 점도 언급 하였는데, 성도들로부터 받는 특별대우, 개인적인 신앙의 성장, 그리고 사모가 발휘할 수 있는 힘과 영향력을 언급하였다. This research explores lived experiences of Korean pastors’ wives-samonims. While samonims provide counseling for their congregants, they hardly become recipients of counseling. It is Christian counselors’ responsibility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of Christian counseling for samonims. For this, the first task is to understand samonims’ lived experiences. I employ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for this because the purpose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is to provide a thick description of the essence of a phenomenon. I performed interviews with eight samonims. Then, I analyzed the interview data through phenomenological procedures. Finally, I identified six categories and sixteen themes. Description of these themes serves as a thick description of the essence of samonims’ lived experiences. The research result indicates: Samonims regard themselves as mothers for congregants and invisible helpers of their husbands; They participate in and experience both joy and worry by their husband’s ministry; They find difficulties in their family relationships-in raising their children and in their marital relationships; They enumerate their sufferings: having no person to talk with; feeling of being trapped; high level of stress; and attention and judgments by people; Their coping strategies are patience, prayer to God, and self-development; Samonims identify benefits of being samonims: special treatments and growth of personal faith. Also, the interviewees recognize their power as samonims.

      • KCI등재

        청소년부모의 양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지연,조효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교육과학연구 Vol.54 No.3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부모의 양육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청소년 시기에 출산경험이 있는 만 20세에서 만 24세에 이르는 청소년부모 10명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는 Giorgi(1985)의 기술적 현상학(descriptive phenomenology)으로 분석하였다. 청소년부모의 양육결정 경험의 의미와 구조를 분석한 결과, 중심 의미 30개, 드러난 주제 10개, 본질적 주제 4개로 축약되었으며 본질적 주제는 ‘불행한 유년시절을 발버둥치며 성장함’, ‘냉담한 세상 속에서 뱃속의 생명을 나의삶으로 끌어안기’, ‘불행한 시절에서 벗어나지 못한 기구한 삶의 대물림’, ‘부모라는 이름의 무게 견디기’ 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상담적 개입에 대한 필요성을 논하였으며,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eriences of adolescent parents making the decision to raise their childre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recruited ten parents between the ages of 20~24 who had childbirth experiences in adolescence.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se adolescent parents, a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by Giorgi (1985). The study then analyzed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the experiences of adolescent parents who decided to raise their children and found 30 central meanings, 10 revealed topics, and four essential topics. The four essential topics are as follows: struggling with an unhappy childhood, embracing life in both the womb and the indifferent world outside alone, passing down to one’s children an unhappy day-to-day existence, and enduring the asocial stigma of being a teen par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study’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and need for counseling interventions, and made proposals for a follow-up study.

      • KCI등재후보

        정신증상과 기술 정신병리학

        박선철 ( Seon-cheol Park ),양병환 ( Byung-hwan Yang ) 한국정신병리진단분류학회 2015 精神病理學 Vol.23 No.1

        Mental symptoms have a central position in the conceptual network connecting the in descriptive psychopathology. Due to its possessing features of both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mental symptoms can be considered as being composed of the concepts of form and content. The symptoms cannot be analyzed only reductively, but should also be understood in the relation of parts to the whole. Psychiatric diagnoses, which have been defined by operational concepts, can be said to correspond to a “language game.” Hence, symptoms which are pathognomic or indexical to the diagnosis may not be identified. Since psychopathology is not just symptomatology, symptoms should rather be viewed with a phenomenological approach.Furtherresearchontheidentificationofpathologicalprocessesisneeded.

      • KCI등재후보

        여성암 환자의 분노 경험

        조명옥(Cho, Myung Ok),김미경(Kim, Mi Kyeong) 질적연구학회 2017 질적연구 Vol.18 No.1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find the common constituents and structure of the experience of anger. The focus of the study was the anger experience of the women who suffered from cervical cancer. Methods: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y was adopted for the study. 6 participants were recruited using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aged from 47 to 82 years old; 4 participants having had the treatments of surgery and chemotherapy, and 2 having had the treatment of surgery,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Data came from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in an oncology ward, an outpatients department, participants’ home, and researcher’s office. 4 steps of Giorgi’s method for data analyzing were adopted. Results: The common constituents of participants’ experiences of anger consisted of: reflection and evaluating on the meaning of unfair threatening life event and making a pre-assumption, re-examining the event with the perspectives of an object and social rule of behavior, verification and conforming of pre-assumption, transfer the objects of anger to other individuals and situations. Conclusion: Participants’ experience of anger is a cognitive process of reflection on self, one’s life, and their social contexts. Unfair life codes for the women in our society make women angry. Identifying and understanding the common constituents of anger experiences and it’s structure will enable nurses to be more sensitive and effective caregivers.

      • KCI등재

        일반논문 : 김춘수의 무의미시의 현상학적 특징 연구

        문혜원 ( Yun Jung Choi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4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2 No.1

        이 연구는 김춘수의 무의미시에 나타나는 현상학적인 특징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꽃’ 연작으로 대표되는 존재론적 탐구는 현상의 발견에 따르는 사유의 과정이었다. 현상의 나타남과 사라짐에 주목하면서 자연스럽게 현상 이면에 있는 본질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고, 그것이 존재에 대한 천착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존재론적 탐구가 존재(본질)와 현상의 짝에서 존재의 측면에 주목한 사유를 보여주는 것이라면 무의미시는 현상의 측면에 주목하고 그것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무의미시는 현상학적인 사유를 김춘수 자신의 창작에 작용한 결과이다. ?인동 잎?처럼 대상을 사생적으로 묘사하는 시들은 주관적인 해석을 배제함으로써 현상학적 환원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대상과 관련된 의미들이 개입되면서 ‘현상학적 판단중지’는 실패하고, 이후 무의미시는 대상의 현실적인 관련들을 삭제하고 심리 상태만을 드러내는 ?대지진?과 같은 시로 나타난다. ?처용단장? 제2부의 주문이나 울림과 같은 시나 제3부의 음절 단위로 해체된 시 등은 순수 심리 상태만을 보여주기 위한 극단적인 실험들이다. 이러한 실험성이 강조된 결과 무의미시는 종종 의미의 부정, 언어 해체와 같은 과격한 시도라고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처용단장? 제 1부와 제3부, 제4부는 실험적인 성격보다는 오히려 시인의 기억이나 트라우마와 관련된 의미적 요소가 더 많이 나타난다. 이 시들은 의식의 지향성을 드러내면서 그러한 심리 상태를 형성하게 된 실제적 경험들을 나란히 배치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유년의 실제 풍경을 묘사하고 거기에 관련된 인상을 표현하는 방식의 시들이 그 예이다. 이들은 현상학적 환원 후에 대상을 다시 재구성하는 것으로서 대상을 제거한 이전 단계의 무의미시와는 구별된다. 현상학적으로 보면 그것은 대상이 지니고 있는 지평적 지향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 때 지평은 대상을 중심으로 한 외부적 환경인 ‘외적 지평’만이 아니라 대상과 관련된 주관적인 의미 맥락인 ‘내적 지평’까지를 아우르는 개념이다. 결과적으로 이것은 대상을 다시 의미의 맥락으로 환원시킨다. 따라서 지평적 지향성을 드러내는 ?처용단장? 제3,4부의 시들은 이전의 무의미시와 단절되었거나 혹은 실패한 무의미시가 아니라 자연스러운 현상학적 귀결이라고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무의미시 이후 김춘수의 후기시가 실제적인 체험들을 바탕으로 한 의미 영역으로 회귀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이다.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onsense poetry of Kim Chun-su in the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Kim Chun-su attempted ontological navigation, and then continued the poetic experiment, ‘nonsense poetry’. The ontological navigation is the process of thought following the discovery of the phenomenon. Taking note of the phenomenon, he is interested in nature and presence. Nonsense poetry is related to the former poetic themes. Ontological navigation is the thought attentioned to the presence and nonsense poetry pay attention to the phenomenon. The nonsense poetry is applied to the creation of phenomenological thought. The poems describing the object remove the interpretation of the object and try to do ‘Epoche’. Aftert the attempt fails, nonsense poetry reveal ‘the conscious intentionality’ to the object after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Cheoyongdanjang> Part 2 and Part 3 reveal extreme experimental nature such as powwow, ringing sound, syllables. They show the pure psychological state. As a result, nonsense poetry has often been recognized as a radical attempt. However, <Cheoyongdanjang> Part 1 and Part 3, Part IV have more semantic elements associated with poet``s memory and the trauma rather than experimental nature. These poems reveal ‘the conscious intentionality’ and take actually experiences that form such a psychological state. In this step, nonsense poetry is consist of real object and reconstructed object. That is reconstruction of the object after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and is distinct from the nonsense poetry of previous step. It reveals the ``horizon`` of the object. The ``horizon`` includes ``external horizon`` that is a horizons of the external environment with a focus on the object and ``inner horizon``, subjective context of meanings associated with the object. Consequently, this reduces the object to the context of meanings. When consciousness is leaning towards the object, it is already toward the horizon of the object. Thus, final form of nonsense poetry is not fail feature of nonsense poetry, it is a phenomenological consequ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