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중·일 대학생들의 유교의식에 관한 비교연구

        황승연,김주희 한국공자학회 2011 공자학 Vol.20 No.-

        Korea, China, and Japan have been oftentimes compared with one another in their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facets. This is because they share homogeneity and differences in common by belonging to the same cultural sphere of Confucianism. This study aims to analyze experientially how young generations in Korea, China, and Japan perceive Confucianism, and, further, what difference there is in their attitude in life. With this aim, the study demonstrates how their attitude in life is different by country through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conforming to the meaning and the Oryun(moral rules governing the five human relations) of Confucianism, which would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the three countries in-depth, who have different appearances despite being under the same cultural sphere. As a result of a cross-tabulation of Confucian awareness and attitude in the lives of collegians in the three countries, these students in China thought highly of perfect virtue and moderation as a result of viewing Confucianism as their value and answered that they saw an affirmative influence of Confucianism. Those in Korea assumed that filial piety and courtesy were important because they perceived Confucianism to be the code of conduct. They agreed to the positive aspect of Confucianism in today’s society, yet Confucianism bears a negative aspect involving an oppressive side. Meanwhile, those in Japan perceived Confucianism as a sort of religion, attached importance to perfect virtue and courtesy, and steered a middle course in their evaluations of Confucianism. When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ountry, male and female, hierarchy, and friends, which is emphasized in the Oryun (moral rules governing the five human relations), by country, China has preserved the traditional inheritance culture more than any other countries. They showed higher loyalty for a country, but negatively perceived a hierarchical culture. Korea displayed higher awareness of family support particularly based on filial piety and did not feel uncomfortable with a greeting culture by taking a bow. They were having a solid relationship with friends based on the homogeneity of age, but they appeared most equity-orien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xes. Japan revealed a higher awareness of a religious service, which is probably because of family-ism. Also, they sympathized with traditional role-sharing between the sexes. These results confirm that although the young generations in Korea, China, and Japan were under the heavy influence of Confucian values, they reflected the influence differently by country in their daily lives. 한·중·일은 사회, 경제, 문화적 측면에서 언제나 비교대상이 되곤 하는데 이는 같은 유교문화권에 속하고 있어 동질성과 차이점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한·중·일의 젊은 세대들이 유교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나아가 일상생활에서의 태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유교의 의미 및 오륜(五倫)에 해당하는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통해 생활태도가 국가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보여줌으로 같은 문화권이지만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는 삼국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삼국의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유교의식과 생활태도를 교차 분석한 결과 중국은 유교를 가치관으로 보고 인(仁), 중용(中庸)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유교가 가지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한국은 행위규범으로 유교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효(孝), 예의(禮義)를 중요한 항목으로 여기고 있었다. 현대사회에서 유교가 가지는 긍정적인 측면에 대해서도 동의하지만 사람을 억압하는 등의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고 하였다. 이에 비해 일본은 유교를 종교라고 인식하고 인(仁), 예의(禮義)가 중요시하고 있었고, 유교에 대한 평가에서는 중도적 성향을 보이고 있었다. 오륜(五倫)에서 강조하고 있는 부모, 국가, 남녀, 서열, 친구관계를 국가별로 살펴보면 중국은 전통적 상속문화가 가장 많이 남아 있었고, 국가에 대한 충(忠)이 높았지만 서열문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있었다. 한국은 효(孝)를 중심으로 한 부양의식이 높았고, 인사하는 문화에 대한 거부가 없으며, 연령 동질성을 바탕으로 강한 친구관계를 맺고 있었지만 남녀관계에서는 가장 평등 지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국가에 대한 충성심이 가장 낮았지만, 남녀 관계에 있어서는 가장 전통적인 남녀 분업이 남아있다. 이것으로 보아 한·중·일 젊은 세대들도 유교 가치관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았지만 국가별로 다르게 일상생활에 적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투고논문 : 한,중,일 대학생들의 유교의식에 관한 비교연구

        황승연 ( Seung Yeon Hwang ),강주희 ( Ju Hee Kang ) 한국공자학회 2011 공자학 Vol.20 No.-

        한·중·일은 사회, 경제, 문화적 측면에서 언제나 비교대상이 되곤 하는데 이는 같은 유교문화권에 속하고 있어 동질성과 차이점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한·중·일의 젊은 세대들이 유교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나아가 일상생활에서의 태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유교의 의미 및 오륜(五倫)에 해당하는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통해 생활태도가 국가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보여줌으로 같은 문화권이지만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는 삼국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삼국의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유교의식과 생활태도를 교차 분석한 결과 중국은 유교를 가치관으로 보고 인(仁), 중용(中庸)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유교가 가지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한국은 행위규범으로 유교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효(孝), 예의(禮義)를 중요한 항목으로 여기고 있었다. 현대사회에서 유교가 가지는 긍정적인 측면에 대해서도 동의하지만 사람을 억압하는 등의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고 하였다. 이에 비해 일본은 유교를 종교라고 인식하고 인(仁), 예의(禮義)가 중요시하고 있었고, 유교에 대한 평가에서는 중도적 성향을 보이고 있었다. 오륜(五倫)에서 강조하고 있는 부모, 국가, 남녀, 서열, 친구관계를 국가별로 살펴보면 중국은 전통적 상속문화가 가장 많이 남아 있었고, 국가에 대한 충(忠)이 높았지만 서열문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있었다. 한국은 효(孝)를 중심으로 한 부양의식이 높았고, 인사하는 문화에 대한 거부가 없으며, 연령 동질성을 바탕으로 강한 친구관계를 맺고 있었지만 남녀관계에서는 가장 평등 지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국가에 대한 충성심이 가장 낮았지만, 남녀 관계에 있어서는 가장 전통적인 남녀 분업이 남아있다. 이것으로 보아 한·중·일 젊은 세대들도 유교 가치관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았지만 국가별로 다르게 일상생활에 적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orea, China, and Japan have been oftentimes compared with one another in their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facets. This is because they share homogeneity and differences in common by belonging to the same cultural sphere of Confucianism. This study aims to analyze experientially how young generations in Korea, China, and Japan perceive Confucianism, and, further, what difference there is in their attitude in life. With this aim, the study demonstrates how their attitude in life is different by country through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conforming to the meaning and the Oryun(moral rules governing the five human relations) of Confucianism, which would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the three countries in-depth, who have different appearances despite being under the same cultural sphere. As a result of a cross-tabulation of Confucian awareness and attitude in the lives of collegians in the three countries, these students in China thought highly of perfect virtue and moderation as a result of viewing Confucianism as their value and answered that they saw an affirmative influence of Confucianism. Those in Korea assumed that filial piety and courtesy were important because they perceived Confucianism to be the code of conduct. They agreed to the positive aspect of Confucianism in today`s society, yet Confucianism bears a negative aspect involving an oppressive side. Meanwhile, those in Japan perceived Confucianism as a sort of religion, attached importance to perfect virtue and courtesy, and steered a middle course in their evaluations of Confucianism. When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ountry, male and female, hierarchy, and friends, which is emphasized in the Oryun (moral rules governing the five human relations), by country, China has preserved the traditional inheritance culture more than any other countries. They showed higher loyalty for a country, but negatively perceived a hierarchical culture. Korea displayed higher awareness of family support particularly based on filial piety and did not feel uncomfortable with a greeting culture by taking a bow. They were having a solid relationship with friends based on the homogeneity of age, but they appeared most equity-orien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xes. Japan revealed a higher awareness of a religious service, which is probably because of family-ism. Also, they sympathized with traditional role-sharing between the sexes. These results confirm that although the young generations in Korea, China, and Japan were under the heavy influence of Confucian values, they reflected the influence differently by country in their daily lives.

      • KCI등재후보

        인지과학적 시뮬레이션을 통한 朝鮮 性理學의 禮교육 心性모델 개발(1)

        유권종,박충식,장숙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民族文化硏究 Vol.37 No.-

        이 연구는 유교, 특히 조선 성리학의 도덕교육에 의한 인격변화의 과정과 그 결과를 컴퓨터로 모의 실험하기 위하여, 조선 성리학자들이 이해했던 心의 구조와 그 작동의 모형을 작성해보고자 하는 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아울러 그것을 통해서 조선 성리학의 큰 줄기를 형성한 퇴계의 심학과 율곡의 심학을 연구대상으로 포용하고, 그 둘 사이에 나타나는 차이점과 공통점을 살피고, 그 결과를 근거로 일종의 성리학 통합심성모델을 작성해보고자 할 때 필요한 이론적 정지작업을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실제 내용이다. 그 작업을 위하여 먼저 통합심성모델 작성의 이론적 관점과 기반으로서 일종의 구성주의의 관점을 채택한 이유를 밝히고, 그것에 의하여 성리학의 심성론의 해석과 그에 따른 심성모델의 구성 방식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서구의 심리철학에서 이해되는 mind, 인지과학에서 연구되고 있는 인간의 마음, 인공지능에서 이해되는 마음을 분석하고 그것과 구성주의에 의하여 재해석된 성리학자들의 마음과의 비교를 행하였다. 중요한 것은 성리학의 역사로 볼 때 똑같이 주자학 계열의 성리학자이면서도 인간의 심성의 관념에 관해서 대립적인 견해를 지녔던 퇴계와 율곡의 관점을 하나로 묶어서 통합심성모델을 작성하는 작업이다. 이에 대해서 본 연구는 퇴계와 율곡이 근본적으로 禮실천에 의하여 인간의 심성의 순수함과 정직함을 기르고 회복하려는 점에서 동일한 입장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사단과 칠정, 인심과 도심 등에 관한 理氣論적 해석에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통합해 볼 수 있는 이론적 체제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현대에 논의되는 서구철학적 관점의 윤리학과는 다소 다른 방향과 관점에서 진행되는 이 논의는 인지과학과 비트겐슈타인류의 언어철학 등의 관점과 상호 통하는 면이 있으며, 현대 서구철학의 윤리학이 해결하지 못하는 인간의 도덕적 앎과 행위와의 괴리를 넘어설 수 있는 이론적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전망된다. 그 점을 인지과학자인 프란시스코 바레라, 언어철학자인 허버트 핑가레트 등의 이론을 근거로 추론하였다. 결론적으로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 심성모델은 현대 윤리교육에 대해서 인간의 심신관계 및 실천지향의 윤리교육의 기초를 제시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그에 관한 실용성도 풍부하게 지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has a purpose to make a structure of mind and its working principles, which had been thought and understood by confucians of Chosun Dynasty, for computer simulating processes of peronalyity changes through Chosun Dynasty's moral education. This study includes Simhak(心學) of famous Chosun confucians, Toegye and Yulgok, and compares commons and differences of two scholar's theory. The key of this study prepares a necessary theoretical foundation for making a Neo-confucian integrated mind model from such results. We explained why we adopt radical constructivism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integrated mind model, and proposed an interpretation of Neo-confucian mind theory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mind model. Futhermore, we look around a mind of western psychological philosophy, a mind of cognitive science, and a min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we have compared the confucian mind which is re-interpreted as radical constructivism with such minds. An important work is to make an integrated mind model of Toegye and Yulgok because two scholars are same Neo-confucian, but assisted own theories about human mind. Although the interpretations of Sadan(四端) and Chiljung(七情), Insim(人心) and Dosim(道心) are different each other, encouraging and recovering purity and honesty human mind with the practice of rituals is very much alike. Therefore we want to prepare theoretical foundation for integrating both. This argument is different from ethics of modern western philosophy, but have something to do with cognitive science and Wittgenstein-like philosophy of language. We expect that this idea show a theoretical possibility beyond the dissociation between ethical thinking and behavior, which modern western ethics can't solve. Such a conclusion is inferred from the concepts of Francisco Valera, the cognitive scientist, and Herbert Figarette, the linguistic philosoper. Now to conclude, the confucian mind model of Toegye and Yulgok can provide the explainable mind-body relationship and the foundation of practical moral education for modern education. We believe that the model has much possibility for practical use.

      • KCI등재

        언지(言志)에서 "의경(意境)"으로-왕부지(王夫之) 『강재시화((薑齋詩話))』를 중심으로

        양미경 ( Mi Kyoung Yang ) 한국미학회 2015 美學 Vol.81 No.1

        중국철학에서 유학적 도덕가치는 공동체 질서 유지를 위한 실천적 지평 위에서 작동되었다. 예술창작의 주체는 이러한 유학적 도덕 가치를 학습한 문인들로 이를 예술작품에 담아내었다. 이는 문학예술상에서 언지설(言志說)의 입장을 가지며 지속되다가 정감의 발현이라는 측면에서 의경설(意境說)과 만나게 된다. 의경은 종래 자연경물을 통한 창작주체의 정감과 연계되어 논의되었지만, 인간과 사회의 실정에서도 정감이 발현된다는 자각에서 둘은 만나게 된다. 송명시기, 인간의 심성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유학적 도덕 가치는 공동체적 질서유지를 위한 시교(詩敎)적 교화 내용이라는 전통적 입장에서 벗어나 창작주체 개인의 도덕성이라는 차원으로 내면화되지만 예술창작은 여전히 수양의 도구에 불과했다. 본고는 청대 왕부지(王夫之)의 문집을 바탕으로 창작주체의 마음과 작품의 진정성에 대한 맥락을 구성하려는 것이다. 왕부지는 예술작품에 구현되는 기교와 형식으로는 작품의 진정성을 담보해낼 수 없으며, 작품의 진정성은 창작주체의 눈과 마음을 바탕으로 한 정감과 도덕의 조율 안에서 얻어진다고 보았다. 유학적 도덕가치의 수단으로, 개인수양의 도구로 논의되어 온 예술의 측면은 왕부지에 이르러 창작주체의 마음과의 연관 속에서 수단과 도구의 측면을 벗어나 작품의 진정성이란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논의될 수 있다. 이는 왕부지를 통해 예술창작의 주체(작가와 화가 등)인 문인예술가의 새로운 면모에 주목하는 것이며, 청대 예술론을 이해하는 또 하나의 시도이다. The community order was practically maintained by the moral value of Confucianism in Chinese tradition philosophy. The main agent of artistic creation, is the literati, who learned the Confucian moral value expressed it through their works. This is the stance of Chinese literature``s ``Shi-Un-Ji``(詩言志). ``Shi-Un-Ji``(詩言志) could be connected by Ui-gyung(意境) in terms of revealed heart was discussed that it was cognate with the main agent of artistic creation``s heart, however, Ui-gyung(意境) might reveal heart in terms of revealing the real state between human and society. That is the point of connecting ``Shi-Un-Ji``(詩言志) and Ui-gyung(意境). Moreover, during Sung and Ming dynasty, the Confucian moral value turned aside from tradition for the maintenance of community order, and internalized the main agent of artistic creation``s morality. However, artistic creation was still just a tool of cultivating the heart. This paper concentrated Wang-Fu_Chi(王夫之) in Ming and Qing dynasty. Because he organized over the authenticity of a work of art and he thought that the main agent of artistic creation``s mind was not a tool of cultivating. Actually, that was not meaningful spot. This is, also, relevant in terms of a artistic work``s creativity and authenticity based on heart and morality from the main agent of artistic creation``s mind(心) and vision(目), which is not the creation based on traditional moral value of Confucianism.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시대 『論語』 속에 구현된 인간과 교육의 본질적 가치 회복을 위한 탐색

        송유진 대한철학회 2021 哲學硏究 Vol.158 No.-

        In the nam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utting-edge digital devices are transforming every aspect of our society including economic, social, political, and even educational environments, which could negatively affect society causing a sense of isolation and loss. In spite of the influence of robo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owever, human beings must be the most important entity. This signifie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at puts priority on pursuing human-centered values and philosophical introspection. The present study aims to find ways to restore human dignity and the essential values of education from the Confucian Analects, which provides not only foundational Confucian thoughts but also desirable images of human beings and how to live a desirable life. In order to prevent the technological advances from being inhumanly exploited, it is more important than ever to have an insight into gaining new knowledge from reviewing the past if human nature and the direction of education of the time of Confucius 2,500 years ago had not changed much today. This study tries to illuminate desirable ways for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grounded on the Confucian Analects, which represents educational principles and values particularly in terms of moral, human-relational, and learning-oriented perspectives. Therefore, this study will first examine how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ffects the field of education. Then it will show that the human nature and essential values of education required in thi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ere in fact revealed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written 2,500 years ago, and thus it expects to contribute to restoring those values. 본 논문에서는 『論語』에서 제시되고 있는 공자 사상의 핵심인 인(仁)의 개념이 인간의 본질적 가치, 인간관계 지향적 가치와 어떻게 연계되고 있으며, 이러한 두 가지 가치가 구체적으로 실천되기 위한 매개체가 지속적인 학습, 교육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을 고찰하여 이러한 가치들의 회복의 시급성을 제시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특별히 교육에서의 첨단 과학기술 활용에 앞서서 인간의 존엄성과 교육의 본질적 측면에 대한 철학적 성찰이야말로 인간소외, 인간성상실이라는 질병을 치유해 줄 수 있는 모종의 역할을 해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되었다. 이러한 인간 존엄성과 교육의 본질적 가치 회복에 대한 철학적 성찰의 실마리를 『論語』에서 다시금 찾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論語』 속에 구현되고 있는 인간 존엄성과 교육의 본질적 가치 회복을 위한 교육적 원리를 세 가지 가치 측면, 즉 인성적, 인간관계 지향적, 학습 지향적 가치의 탐색을 통하여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도 이러한 교육적 원리와 가치가 최우선적으로 전제되는 바람직한 교육의 방향을 재조명해 보려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특성과 이러한 특성이 교육에 영향 미치는 명암을 살펴본 후,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도 여전히 요구되는 인간과 교육의 본질적 가치가 2500년 전에 쓰여진 『論語』 속에서 구현되고 있음과 이의 회복의 시급성을 제안하였다.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적응이라는 미명하에 교육현장을 지배하는 디지털 교재와 교구가 넘쳐날수록 그에 비례해서 학습자의 영혼은 더욱 더 피폐해질지도 모를 시점에 인류의 사표인 공자의 언행을 모범으로 하는 온고지신의 지혜가 ‘지금 여기서’ 실천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소망해 본다. 이미 다가온 디지털 문명을 되돌릴 수는 없다할지라도, 인간다운 인간, 사람다운 사람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의 본질적 가치가 훼손되거나 폄하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맹자(孟子) 성선설(性善說)의 근거-량심(良心)

        김상래 ( Sangrae Kim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5

        공맹이후 유학사상에서 인간은 배우는 존재이며, 도덕적인 존재로 정의된다. 공자의 사상이 집약된 <「논어(論語)」>가 학습의 문제에 대한 언급으로 시작되며, 인간의 윤리적 행위의 올바름에 대한 내용들이 주로 포함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인간을 배움의 존재와 윤리도덕의 실천자로 규정하는 것은 공자 이래 유학사상의 주요한 학문적 전통이라고 할 수 있다. 공자는 인간의 어떤 행위가 최고의 도덕적 규범인 <인(仁)>에 해당하며, 인간의 이상적 윤리적 목표를 현실사회에서 실현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에 관한 다양한 담론들을 우리들에게 제공하였다. <맹자(孟子)>는 윤리 도덕적 행위의 심리학적이고 철학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공자 이래의 유가사상의 학문적 깊이를 보완한 사상가이다. 그는 성품(性)과 마음(心)의 문제에 대한 해명으로부터 인간의 도덕적 문제를 해결하고 윤리적인 사회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깊이 있는 논의 를 전개하였다. <성선설(性善說)>의 확립과 마음에 대한 깊이 있는 해명들이 이에 속한다. 맹자가 인간의 윤리도덕적 문제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인성론의 구조에는 마음과 성품의 관계에 대한 문제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유학의 인간 이해에 대한 정통적 이론으로 평가되는 맹자성선설의 근거에는 마음에 대한 다양한 분석, 특히 ‘<양심(良心)>’이라는 개념을 창출하여 인간의 윤리 도덕적 행위를 설명하는 방식이 엄존해 있음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위한 방법론으로 맹자의 인간이해와 윤리이론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인성론과 심성론의 주요 문제들을 ‘양심’과의 연계라는 관점에서 해명하였다. 논자는 이미 이 주제와 관련있는 선행연구(「맹자 윤리사상의 특징」- 良心을 중심으로(「동양고전연구」(제52집), 2013)를 발표하였다. 이 논문은 이 연구성과를 원용하면서 성선설로 대표되는 맹자 윤리학설을 이해하는 핵심적 개념으로 ‘양심’을 제시하고, ‘양심’이 맹자 윤리사상의 핵심인 성선설의 철학적 근거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 및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맹자(372∼ 289B.C.)가 ‘양심’이라는 개념을 최초로 유학사상에 등록시켰으며, 이후 ‘양심’이라는 용어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철학과 심리학, 그리고 윤리학의 주요 학술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둘째, 맹자의 사상체계 속에서 ‘양심’은 유가사상의 대표적인 도덕적 덕목인 <인의예지(仁義禮智)>와 깊은 연계를 이루고 있음을 해명하고자 한다. 셋째, 성선설을 주창하는 맹자의 사유구조에서 도덕적 마음의 의미를 <사단(四端)>과 <사덕(四德)>으로 분배하여 설명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성선설의 이론적 해명을 위해 ‘양심’과 ‘성선’의 윤리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This paper is focused on reading the conscience of the system in Mencius`` moral theory. In confucian tradition Mencius had shown to us the innate emotional good mind for developing moral act of human at first. That proper and good mind(良心) by Legge``s translation is connected with the human good nature. Mencius had thought that human nature is intrinsically good, the moral doing is the ability to do get the four moral value like the inherent morality of human being which driven by the moral mind. In this paper, I have presented Mencius`` moral theory which based on the proper and good mind(良心). Mencius had firstly originated the concept, the proper and good mind(良心) in his writing. This concept is mainly used to elaborate the basis of human moral act in nowadays. Mencius said that Nature (性) is rendered moral by humans’ moralistic interpretation. Mencius insisted that morality is merely determined by human mind and that there are no moral truths which is independent of human judgments and beliefs. In this point, in the Mencius`` moral theory the moral mind had the essential status for understanding the moral issues of human acts.

      • KCI등재

        유학적 사유와 체육‧스포츠의 가치

        지동철 한국체육철학회 2016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ver the humanistic value of sport and to discover the realities of spor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undamental and realistic understanding of the whole person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meaning of a united view of body in sport by Confucian perspective. Second, the essential plan of human education through sport was presented. The Oriental view of mind and body as oneness was necessary to rationally establish the educational role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Because Confucian idea would seek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s, it could contribute to the right establishment of value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Third, the frame of thinking through the principle of Confucian idea was applied to reinforce the morality and ethicality in sport.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human activity must be emphasized in that activities in sport focused on the victory in competition. Forth, the essential role of sport that could resolve a conflict in human relations was sought. It's a pity that Olympism that emphasized the harmony of mankind was damaged by principle of competition. Because Confucian idea was the principle of relationship that extended social stability and unification through an individual be completed, it could contribute to the human life and culture over the situation of sport. 그동안 스포츠에서 지향하던 가치의 추구는 외향적으로 편향되어 윤리적인 문제를 비롯한 가치판단의 제 문제를 발생시켜왔다. 특히 윤리성은 한 개인이 살아온 환경이나 태도에 따라 형성되기에 스포츠를 통해 형성되는 개인의 도덕적습관은 윤리형성에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유학에서 윤리성을 포함한 인격형성은 자연적인 본성과 도덕적인 본성의 문제에 따라 달라진다. 유학에서는 도덕본성을 仁으로 이해하고 仁을 도덕실천의 근거로 삼아 仁義禮智의 확충을 통해 윤리를 회복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誠敬忠恕로써 실천하게 되는데, 이러한 개념은 스포츠맨십 정립에 있어 근본 토대로 정립 될 수 있는 개념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문화에서의 올바른 가치추구를 유학사상을 토대로 재인식하고자 하였다. 스포츠행위자의 전인격을 위해서는 먼저 도덕적 自覺이 선행되어야 한다. 유학에서 전인격적 존재인 君子상을 정립하여 올바른 스포츠인의 자아 형성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인간은 자신이 처한 문화의 관습과 환경적인 상황에 따라 인격형성이 달라진다는 점에서 스포츠를 통한 윤리의식 형성은 중요한 가치판단의 문제를 유발한다. 스포츠 행위자가 스스로 자신이 놓인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태를 명확히 인식하고, 도덕적 문제에 대한 행위자들의 판단 및 행위지침의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유학윤리의 적용은 스포츠 전반의 윤리성 강화와 바람직한 스포츠문화 정착을 위한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현대사회의 부족한 윤리의식을 회복하는데 있어서도 유학윤리의 가치는 새롭게 인식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효사상(孝思想)의 전개와 그 미래적 가치

        최상권 한국효학회 2017 효학연구 Vol.0 No.26

        The most grave problem of today’s modern society is the loss of character in personal dimension, and the absence of moral ethics in social dimension. Even with the material abundance, we reached the state where mental abatement is untreatable. Therefore, Hyo Sasang (filial piety) can be suggested as an ideological alternative to overcome various problematic situation. Hyo expresses the meaning of filial duty with its literal meaning ‘children attend old parent’ and Hyo Sasang portrays children’s love to parents, in contrast of parent’s love to children and patriarchal lifestyle. Furthermore, it is a basic recognition of confucian tradition that the norm of family community can be developed into the norm of national community. Since all ethical concept is bilateral, filial piety can also be parent’s duty and applying ideological value of Hyo to people who already practiced Hyo can be valid perspective. The meaning of Hyo has been changed throughout the course of history. Hyo in ancient period represented ideological principle of ancestor worship and death under religious influence.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Hyo with Confucian tradition was combined with Buddhist ideology with the influence of Buddhism prosperity. Goryeo Dynasty maintained Hyo Sasang through national education and emphasized practice of proper manner as Hyo. The national authority of Joseon Dynasty put Hyo Sasang as one of the fundamental norms to lead the people and emphasized moral order based on the three bonds and the five moral rules in human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Samgang-oryun). In the late 19th century in later phase of Joseon Dynasty, moral virtues became specialized into filial duty, loyalty and trust and each entity became recognized as independent values through the Enlightenment Thought. This Hyo Sasang can be mainly developed in the religious dimension and the social community dimension. Hyo in the religious dimension regards the ultimate existence of all creation as the rewards for parents in terms of religious aspect. Hyo in social community dimension works as the universal core value of social community by extending the love for parents to the love for the weak, thus constructing communal spirit. In order for Hyo virtue to have the universal legitimacy, unchanging fundamentals in this changing reality needs to be suggested and applied to the reality. Moreover, its various approach and concrete alternative need to be continuously studied by scholars. 오늘날 현대 사회에 내재된 가장 심각한 문제는 개인적 차원에서 인성(人性)의 상실(喪失)과 사회적 차원에서 도덕윤리(道德倫理)의 부재 상황이다. 물질적인 풍요는 이루었다고 하지만 정신적인 피폐함은 치유할 수 없는 경지에까지 이르게 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 효(孝)사상을 오늘날의 다양한 문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사상적인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효를 어원적으로 ‘늙으신 부모님을 자녀가 받들어 모신다.’ 는 효도의 뜻을 간결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효 사상의 연원도 가부장적인 생활양식의 환경을 기반으로 하여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인 자애에 상대되는 자식의 부모 사랑에서 나오는 모습이다. 더 나아가 가족 공동체의 규범은 국가 공동체의 규범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 유교적 전통의 기본적 인식이다. 모든 윤리적 개념이 쌍무적이기에 효 윤리 또한 부모의 책임을 외면 할 수 없고 효의 사상적 가치는 효를 실천한 사람에게 두는 것이 타당한 관점이 된다. 효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의미의 변화를 보여 주는데 고대의 효 관념은 종교적 환경과 분위기에서 죽음의 관념과 결합하여 조상숭배의 관념과 그 원리가 되었다. 삼국시대에는 불교의 번성을 기반으로 유교적 전통의 효 사상에 불교문화가 가미된 효행의 드러난다. 고려시대의 효 사상은 국가의 교육을 통해서 지속되며 옳은 예의의 실천을 효행으로 높였다는 사실이 특징적인 모습이다. 조선시대에는 백성을 이끌어가는 규범으로 충효를 기반으로 삼강오륜의 도덕적 질서가 국가적 권위에 의해 강조되었다. 조선조 후기 19세기가 되어 개화사상으로 인해 효, 충, 신 등의 기능이 나뉘며 각각의 윤리적 덕목과 가치가 독립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효사상은 크게 두 가지의 입장에서 종교 사상적인 차원과 사회 공동체 사상으로서의 효로 전개가 되는데 종교사상적인 차원에서의 효는 만물의 궁극적 존재에 대한 신앙을 부모에 대한 보본의 측면에서 종교로 형성되는 것과 같으며, 사회 공동체 사상으로서의 효는 사회 공동체 의식을 조성하기 위한 공통된 가치관의 부활이라는 의미에서 부모에 대한 사랑을 타자에 대한 사랑으로 확장시켜 사회 공동체의 보편적 핵심가치로 자리를 잡게 된다. 효의 덕목이 보편적 정당성을 갖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현실 가운데에서 변치 않는 원리를 제시하고 이를 현실에 적용하여 나가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의미가 있으며 다양한 입장에서의 접근 방법과 구체적 대안이 이후의 학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농촌 ‘공동체’의 변형과 근대 경험: 신분, 사람, 마을

        오창현 한국문화인류학회 2024 韓國文化人類學 Vol.57 No.2

        이 글의 목적은 20세기 중반 농촌 장례 관행의 변화를 통해 드러나는 한국의 근대적 경험의 일면을 성원권, 사람다움, 공동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포착하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변화란 소위 ‘양반’ 친족집단이 비-양반 집단, 즉 ‘하인’을 동원해 자신들의혼⋅장례를 치르던 방식에서, 이러한 차별이 사라지고 ‘마을’이 혼상구 등의 공동재산을구비하고 마을 구성원이면 누구나 다른 사람의 혼⋅장례를 돕거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상호 동등한 권리와 의무를 가지는 방식으로 전환된 것을 말한다. 이 글은 이 시기변화를 공동체의 소멸이 아니라, ‘신분공동체에서 마을공동체’로라는 공동체의 변형으로파악한다. 즉, 양반 친족집단이 유교적 생활양식을 독점하여 공동체의 윤리적 평가가차등적으로 이루어지던 상황에서, 마을을 통해 구성원 누구나 ‘유교적 인간’을 실현할수 있게 되어 유교적 의례의 완전한 계층적 확산이 일어난 것이다. 이는 모두가 동등한신분으로 사회를 구성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발견, 즉 한국인의 근대 경험이 마을을통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My o bjective in this article is to elucidate an aspect o f the contemporary Korean experience, namely the changes that have o ccurred in rural funerary practices in the mid-twentieth century, centered on the concepts of membership, personhood, and community. The changes in question concern the shift from a practice in which so-called “yangban” kin groups mobilized non-yangban groups to suppo rt their o wn weddings and funerals, to a practice in which this distinction disappeared to the extent that all members of the village, equipped with common property such as ritual items, have equal rights and o bligatio ns to help o r be helped in the wedding and funeral. In this article I do not identify this period as characterized by the disappearance of the community, but rather as a transformation of community, ‘from a status-community to a village-community’. I points out that the moral evaluation of the community was differentiated by the monopolization of the Confucian lifestyle, and that the “village” allowed any member to practice the Confucian lifestyle resulting in a complete spread of Confucian rituals. This implies that the realization that all individuals are equal members of a society, which is a modern Korean experience, was achieved through the ‘village’.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