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운 최제우의 콘텐츠 활용에 대한 시론(試論) - 대구 지역을 중심으로

        우수영 동학학회 2020 동학학보 Vol.0 No.56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자생(自生) 문화인 동학(東學) 정신의 현대적 계승을 위한 전략으로써 최제우의 역사적ㆍ문학적 콘텐츠를 공간형 콘텐츠로 활용하고 유통하는 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콘텐츠는 문화라는 콘텐츠 영역에 머물지 않고 현실적인 지역 문화 산업과 관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획-제작-유통의 전체 분야를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가공과 창출까지의 과정을 하나로 아우를 수 있는 연구가 요청되는 시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제우 관련 역사 기록 및 문학 작품의 의미와 가치를 논한 후 이에 바탕하여 대구 소재 공간형 콘텐츠의 창출 과정이 진행된다. 영남지역은 한국 자생 문화 ‘동학’의 발상지이며 그중 특히 대구는 동학 교조 최제우(1824-1864)가 1864년 좌도난정(左道亂政)이라는 죄목으로 처형된 곳이다. 당시 최제우의 체포와 처형에 대해서는 『조선왕조실록』및 『천도교 창건사』에 기록되었다. 또한 이광수(李光秀)는 『개벽』수록소설 「거룩한 죽음」에서 최제우의 대구 처형 장면을 형상화하였다. 이들 세 자료들은 대구 소재 최제우의 공간형 콘텐츠의 바탕이다. 이 연구의 결과로 대구 소재 최제우의 공간형 콘텐츠가 구상되었다. 즉 대* 본 논문은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주최 한국문학언어학회 2020년도 제1차 전국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구 소재 최제우의 공간형 콘텐츠에는 수용공간ㆍ공감공간ㆍ체험공간이 구성되고, 각 공간의 핵심가치를 전달하는 소장 콘텐츠가 배치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 자생 문화인 동학에 대한 자긍심과 동학의 혁명 정신에 공감하는 대구 지역의 장(場)이 마련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of applying and distributing Choe Je-u(崔濟愚)’s historical and literary contents to the space-type contents as a strategy for modern succession of the Donghak(東學) Spirit, which is Korea’s homegrown culture. These cultural contents are being associated with the realistic regional cultural industry without remaining in the content zone called culture. In relation to this, it is the point of time that is demanded a research available for uniting the process from understanding the whole fields of plann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up to processing and creating into one. This study is discussed a meaning and a value of the historical record and the literary work relevant to Choe Je-u, and then is progressed the creation process of space-type contents placed in Daegu on the basis of this. The Yeongnam region is the cradle of ‘Donghak’ that is Korea’s homegrown culture. Among the rest, Daegu is especially a place where Choe Je-u(1824-1864) as the founder of Donghak was executed under the name of a crime dubbed Jwadonanjeong(左道亂政) in 1864. What Choe Je-u was arrested and executed at that time was recorded in 『Joseonwangjosilrok(朝鮮王朝實錄)』and 『Cheondogyo-changgeonsa(天道敎創建史)』. Also, Lee Gwang-su(李光秀) embodied Choe Je-u’s scene of the Daegu execution in 「The Holy Death」, which is a novel of being included in 『Gaebyeok(開闢)』. These three materials correspond to the background of Choe Je-u’s space-type content situated in Daegu. As a result of this study, Choe Je-u’s space-type content in Daegu was suggested. In other words, Choe Je-u’s space-type content in Daegu will need to be operated properly for each spatial function with being secured the acceptance space, the empathy space and the experience space. This study is expected to lead to being likely arranged a place of Daegu area that empathizes with the revolutionary spirit of Donghak in addition to a pride of Donghak, which is Korea’s homegrown culture.

      • 투고눈문 : 최제우와 박은식의 유교개혁 방향, 평등관, 서구 근대문명에 대한 태도

        황종원 ( Jong Won Hwa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1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Choe Je-U`s direction of Confucianism reform, idea on equality and attitude towards modern western civilization with those of Park Eun-Sik. Standing at the turning point of modern times, both of the two persons criticized Confucianism, while at the same time, however, inherited some of its core values and pursued its religious movement. Choe Je-U, who declared the end of Confucianism by founding Dong-hak under the doctrine of ``serving God``. emphasized the interiority of God by inheriting Neo-Confucian concept of ``seong(性, nature)`` and ``gi(氣, energy)``, and clarified natural life movements as the ``gihwa(氣化, evaporation)`` of God. In contrast, Park Eun-Sik, who only declared the end of Zhu Xi`s doctrines and asserted the effectiveness of Wang Yangming`s doctrines, tended to seek the religious movement of Confucianism under Wang Yangming`s doctrines. Park Eun-Sik`s direction of Confucianism reform not only reflected his pragmatic judgement on how much Wang Yangming`s doctrines could apply to the popularization and modernization of Confucianism, but also contained his idea that the modernized real world should be overseen by the appropriate universal conscience. Both Choe Je-U`s and Park Eun-Sik`s thought about Confucianism reform had major impacts on the idea on equality and the attitude towards modern western civilization. The idea on equality of Dong-hak, which was formed based on the doctrine of ``serving God``, emphasized on the respect and reverence for others rather than equal rights. Compared to this, although Park Eun-Sik`s Utopian dream. in which conscience was fully realized. seemed similar to Dong-hak, his advocacy of equal rights for small and weak nations was different. What`s more, Choe Je-U, who saw the destructiveness through western modern civilization and showed a very critical attitude towards it, suggested the principle of ``Muwiihwa(無爲而化, the change of non-doing)`` as a countermeasure. By contrast, though Park Eun-Sik sometimes criticized modern western civilization for its destructive nature, he contended that it should he accepted actively, showing a different attitude from Choe Je-U.

      • KCI등재

        최제우와 박은식의 유교개혁 방향, 평등관, 서구 근대문명에 대한 태도

        황종원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1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Choe Je-U’s direction of Confucianism reform, idea on equality and attitude towards modern western civilization with those of Park Eun-Sik. Standing at the turning point of modern times, both of the two persons criticized Confucianism,while at the same time, however, inherited some of its core values and pursued its religious movement. Choe Je-U, who declared the end of Confucianism by founding Dong-hak under the doctrine of ‘serving God’,emphasized the interiority of God by inheriting Neo-Confucian concept of ‘seong(性, nature)’ and ‘gi(氣, energy)’, and clarified natural life movements as the ‘gihwa(氣化, evaporation)’ of God. In contrast, Park Eun-Sik, who only declared the end of Zhu Xi’s doctrines and asserted the effectiveness of Wang Yangming’s doctrines, tended to seek the religious movement of Confucianism under Wang Yangming’s doctrines. Park Eun-Sik’s direction of Confucianism reform not only reflected his pragmatic judgement on how much Wang Yangming’s doctrines could apply to the popularization and modernization of Confucianism, but also contained his idea that the modernized real world should be overseen by the appropriate universal conscience. Both Choe Je-U’s and Park Eun-Sik’s thought about Confucianism reform had major impacts on the idea on equality and the attitude towards modern western civilization. The idea on equality of Dong-hak, which was formed based on the doctrine of ‘serving God’, emphasized on the respect and reverence for others rather than equal rights. Compared to this, although Park Eun-Sik’s Utopian dream, in which conscience was fully realized,seemed similar to Dong-hak, his advocacy of equal rights for small and weak nations was different. What’s more, Choe Je-U, who saw the destructiveness through western modern civilization and showed a very critical attitude towards it, suggested the principle of ‘Muwiihwa(無爲而化, the change of non-doing)’ as a countermeasure. By contrast, though Park Eun-Sik sometimes criticized modern western civilization for its destructive nature, he contended that it should be accepted actively,showing a different attitude from Choe Je-U. 본 논문은 최제우와 박은식의 유교개혁 방향, 평등관, 서구근대문명에 대한 태도를 비교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최제우와 박은식은 근대적 전환기에 전통유교를 비판적으로 계승하면서 유교의 종교화를 모색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하지만두 사람의 생각에는 차이점도 존재한다. 최제우는 전통유교 전체에 종언을 고하고유교 밖에서 유교에 가장 가까운 신종교를 세운 반면, 박은식은 주자학을 비판하고 유교 안에서 양명학을 중심으로 한 유교의 종교화를 꾀한다. 유교개혁 방향에대해 두 사람이 갖고 있던 이런 생각의 차이는 평등관과 서구문명에 대한 태도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예컨대 최제우의 평등사상은 천주가 모든 사람의 마음안에 내재한다는 교리에 바탕을 두어 권리의 주장보다는 타자에 대한 존중을 강조하거니와, 양지를 전면적으로 실현한다는 박은식의 대동사상은 동학과 유사하나, 약소민족의 평등한 권리를 주장하는 면은 동학과 다르다. 또 최제우는 천주가 행하는 기화라는 관념에 입각해 서구근대문명을 신랄하게 비판하는데, 양지에 의해현실은 부단히 감독되어야 한다는 박은식의 사상은 동학과 유사하나, 서구문명의적극적 수용을 주장하는 면은 최제우와는 상반된다.

      • KCI등재

        근대전환기 동학·천도교의 위생인식

        성주현 ( Sung Joo-hyu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 Vol.0 No.73

        본고는 근대전환기 동학·천도교의 위생인식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1876년 개항을 계기로 한국사회를 경험한 서구인들은 당시 한국은 위생적으로 매우 뒤떨어진 사회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서구인뿐만 아니라 조선에 이주한 일본인도 마찬가지였다. 개항 이후 일본과 미국 등 근대문명을 시찰한 개화인물 역시 위생은 ‘문명국의 척도’라는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위생법 시행을 주장하는 한편 전염병 예방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힘써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위생에 대한 새로운 인식은 동학·천도교에서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동학을 창도한 수운 최제우는 정신적 질병을 구제하는 할 뿐만 아니라 몸에 대한 질병의 치료 즉 위생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이를 계승한 해월 최시형은 위생을 보다 생활화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즉 해월 최시형은 묵은 밥은 새 밥에 섞지 말 것, 묵은 음식은 끓여 먹을 것, 코나 침을 아무데나 뱉지 말 것, 대변을 본 뒤에는 땅에 묻을 것, 지저분한 물을 아무데나 버리지 말 것 등 다섯 가지 위생규칙을 정하였다. 이는 당시 유행하였던 전염병 예방법이었다. 이를 실천함으로써 동학은 당시 유행하였던 ‘괴질’이라는 콜레라, 장티푸스 등의 전염병에서 자유로울 수가 있었다. 해월 최시형의 위생의식을 이어받은 의암 손병희는 일본에서 망명생활을 통해 위생에 대한 근대적 인식을 보다 심화시켰다. 『만세보』를 통해 위생에 대한 인식을 계몽하였다. 「위생개론」을 비롯하여 「위생학」, 「위생법」을 천도교인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연재하였다. 손병희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천도교인에게 위생 실행 조례를 반포하였고, 이를 실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동학 천도교의 위생의 본질은 신체의 질병보다는 정신적 질병을 구제하는 것이었다. 때문에 수운 최제우에서 의암 손병희에 이르기까지 천도교의 핵심인 주문과 청수를 통해 심신수양을 강조하였다. 건강한 신체에서 건강한 정신이 깃들 듯이 일상생활을 통한 위생을 토대로 정신적 수양으로 이어지는 인식이 동학 천도교의 위생인식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imed at analyzing the perception of hygiene in Donghak (Eastern Learning) and Cheondogyo (Religion of the Heavenly Way)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of Korea. Westerners who first experienced Korean society after its opening in 1876 recognized it as one that was very far behind in terms of hygienic conditions. This perception was shared not only among the Westerners but also the Japanese immigrants to Joseon. After the port-opening of the nation, an enlightened figure who visited modern civilization such as Japan and the U.S. also felt that hygiene was a measure of a civilized country. Accordingly, he stress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make active efforts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while insisting on implementing the sanitary law. A new perception of hygiene has also come into being both in the East and the West. Not only did Su-un Choe Je-u (水雲 崔濟愚), who founded Donghak, relieve mental illness, but also recognized the treatment of diseases, or hygiene, as important. Haewol Choe Si-hyeong (海月 崔時亨), who succeeded this, focused on making hygiene more viable. In other words, Choe Si-hyeong set the five rules of hygiene: “Do not mix old rice with new rice; cook old food; don’t spit saliva or blow your nose anywhere; after emptying the bowels, bury the feces under the ground; and don’t throw away dirty water anywhere.” These were the poplar ways of preventing contagious diseases at that time. By practicing this, Donghak was able to free itself from the epidemic of cholera, typhoid and other diseases that were popular at the time. Uiam Son Byong-hi (義庵 孫秉熙), who inherited Haewol Choe Si-hyeong’s hygiene rituals, deepened his awareness of modern hygiene through his exile in Japan. He enlightened his perception of hygiene through a Korean language newspaper ‘Mansebo (萬歲報)’ which dealt with such series of articles as “A General Introduction to Hygiene” and “Hygiene Law” as well as “Hygiology,” thus making it easier for not only the believers of Cheondogyo but also the general public to get access to hygiene through enlightenment. In addition to this, Son Byong-hi also issued a sanitary practice ordinance to the believers of Cheondogyo and let them put it into practice. But the essence of the hygiene of Donghak and Cheondogyo was to relieve mental illness rather than physical diseases. Therefore, from Choe Je-u to Son Byong-hi, the mind-body training based on incantations and hearings, as the core practice of Cheondogyo, was emphasized. It can be said that the perception leading to mental training based on hygiene in the daily life is a recognition of hygiene in Donghak and Cheondogyo.

      • KCI등재

        白雲 沈大允의 氣ㆍ神論과 天ㆍ人論 연구 -19세기 東學 思想과의 연관성 파악을 중심으로-

        장병한 우리한문학회 2010 漢文學報 Vol.22 No.-

        In connection with the development and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practical energy-flow theory in the 18th-19th century, Baekun Sim Dae-seong (1806〜1872) can be cited as a scholar who based on traditional Confucianism, the cosmology of the Book of Changes in particular, developed the practical and new energy-flow theory. First, regarding Donghak (Eastern Learning, a Korean religion) in the 19th century, and Sim Dae-yun's diagnostic viewpoint of history, founder of Donghak Choe Je-u and Sim Dae-yun basically equally diagnosed the contemporary times as a crisis. Choe Je-u criticized Catholicism as false science, and Sim Dae-yun as paganism. Choe Je-u emphasized Confucianism's respect for heavenly orders and theory of following the heaven as an alternative to national and public welfare. He proposed Boundless and Great Way as a thought system replacing Confucian Way and Buddhist Way. He established and disseminated Donghak's precepts such as talismans and 37 charms. He based his science system on mind science, and upheld virtuous wise men and gentlemen as the objective of sciences. Sim Dae-yun criticized Chengchu philosophy-based annotation system, and the preaching of Catholicism as harmful, and thus proposed to promote the Heavenly Man's Way of Confucius based on the re-interpretation of Confucian classics. In 1862, he thus completed the writing of A Completed Book of Welfare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selected Confucian classics. This enabled him to respond to then widely disseminated Gospels of Catholicism, to recognize this book as a kind of Confucian Gospels, and to pray that all people would enjoy welfare through the book. It was found that Sim Dae-yun's diagnostic viewpoint of the Donghak era and his development of energy-flow, divinity and humanity theory had much in common with Donghak thoughts which transferred from Choe Je-u, to Choe Si-hyeong and Son Byeong-hui. In Sim Dae-yun's energy-flow, divinity and humanity theory, Confucianism's original energy-flow and divinity, which were overshadowed by the previous Neo-Confucianism's authoritarian reasoning, was found, and the hierarchical propensity and power of the populace who were discriminated and persecuted in the medieval Neo-Confucianism system created synergies. Thus, in Donghak's energy- flow system and contemporary Sim Dae-yun's energy-flow science, it was found that Korea was becoming modern as it transited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동학과 백운의 기학 세계를 상호 비교 논술하는 가운데, 특히 氣ㆍ神論과 天ㆍ人論에 주안점을 두고서 이들 사상의 상호 연관성을 파악해 보았다. 먼저 ‘19세기 동학 시대와 백운의 역사 진단의식’에 있어서는 동학의 창시자인 수운과 백운은 당시를 국내외적 위기적 국면으로 진단하는 것에는 인식을 같이 하였다. 천주학에 대해서, 수운은 虛學, 백운은 유학의 異端學으로 비판하였다. 수운은 輔國安民을 위한 대안으로서 전통 유학의 敬天命과 順天理를 강조하면서도 儒道와 佛道를 대체 할 수 있는 사상 체계로서 無極大道를 제시하고, 동학의 요체로서 靈符와 呪文 三七字를 제정하여 전파하였고, 학적 체계를 心學에 두는 동시에 道成立德의 賢人君子를 학문의 목적으로 하였다. 반면 백운은 정주학적 주석체계를 害毒적 요소로 규정하는 가운데, 천주학 전파의 폐해성을 극명하게 인식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유가 경전의 재해석을 통한 孔夫子의 天人의 道를 일깨우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동학 시대에 있어서의 백운의 역사 진단 의식은 동시대 수운과 많은 부분 궤를 같이 하고 있으며, 氣ㆍ神論과 天ㆍ人論의 전개 양상에 있어서도 동학과 백운의 기학 체계는 많은 부분 접합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기신론에 있어, 동학과 백운의 기학이 모두 범신론적인 사상 체계를 공유하는 가운데, 동학의 기학 체계는 鬼神ㆍ陰陽의 氣ㆍ心 모두를 같은 神 개념으로 정의하는 반면, 백운의 기학 체계는 氣⇒(氣+氣)形⇒(氣+形)精⇒(氣+精)神의 공식 단계를 거치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드러나고 있다. 그리고 天ㆍ人論에서도 기본적으로 동학과 백운의 사상 체계가 같은 궤도를 지향하고 있지만, 백운의 기학 세계에서는 귀신의 禍福 주재성과 민중지향의 大同 의식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는 점이 특이하게 자리하고 있다. 요컨대 氣ㆍ神論과 天ㆍ人論에 있어서의 동학과 백운의 사상 체계는 총론적인 면에서는 많은 연관성을 맺고 있지만, 각론적인 면에서는 일면 다른 점이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 백운의 기ㆍ신론과 천ㆍ인론의 사상 체계가 19세기 중반에서 말기로 이어지는 동학의 정신세계와의 어떤 직접적인 연계성을 가졌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이전 중세의 지배원리인 형이상학적 理와 19세기 당시 唯一神으로서 熾盛을 부리고 있던 절대적 天主를 止揚하고, 이의 대안적 원리로서 형이하학적 氣에 기반한 범신론적 사상 체계와 인간 및 민중을 역사의 推動體로서 顯示한 점에서 본다면, 백운의 학적 체계는 결코 과소평가 될 수 없다. 요컨대 백운의 기ㆍ신론과 천ㆍ인론은 19세기 동학 및 혜강의 기학과 함께 한국 근대 사상의 주요한 하나의 低邊的 흐름을 간직하고 있었다는 것에서, 그의 학적 체계의 역사 사상적 의미를 가늠할 수 있겠다.

      • KCI등재후보

        동학농민전쟁과 종교

        윤선자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논총 Vol.34 No.-

        This paper re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Religion by studying on how and when the idea of anti-Japanese, anti-feudalism Peasant Revolution changed within Donghak and the relationship of the Peasant War and Donghak and the Peasant War and the Catholicism. Donghak emerged as a new religion during the time of Choe Je-u, was transformed into more systematic form by Choe Shihyeong and became more practical by Jeon Bong-jun. During the time of Choe Je-u, the most important issue of Donghak as a new religion was to realize a new society through 'Sicheonju(worshipping God)' and 'Gaebyeok(the dawn of new civilization)'. Choe Shihyeong focused more on humanism than worship of Heaven, which was for organizing the Donghak association and missionary work. Donghak in the 1890s reflected the peasants' political and social needs which led to anti-feudalism reformation and anti-Japanese idea. The first Peasant War was interpreted and practiced Donghak's anti-Japanese, anti-feudalism idea by the demands of the time. Anti-feudalism movement was practiced by peasant government with local governments associated with Donghak organizations. The second Peasant War was started against anti-aggression and peasant armies had to carry out anti-feudalism movement as well. The second Peasant War was led by Donghak leaders in Jeonla area including Jeon Bong-jun. Leadership of Donghak association maintained the religious characters of Donghak and focused on expanding the association. Division into pure religious movement and social reformation within Donghak couldn't be a significant help to the Peasant Wars. The Catholicism, to peasant armies, was the object for destruction that was closely linked to Japanese forces. Even though it was excluded and had the similar form and size of the followers compared to those of the Catholicism, Donghak showed negative views on the Catholicism. The Catholic Church considered Donghak-related peasant wars as rebellion and defined peasant armies as rioters. Peasant armies considered the Catholic Church as the center of foreign forces and had anti-Japanese, anti-Western forces mentality. 이 논문은 동학사상 안에서 반제반봉건의 농민전쟁 이념이 어떻게 시기적으로 변모하는지, 그리고 농민전쟁과 동학, 농민전쟁과 천주교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동학농민전쟁과 종교의 관계를 추적한 것이다. 동학사상은 최제우 때 신종교로서 모습을 드러냈고, 최시형에 의해 체계적인 모습으로 변화하고, 전봉준을 중심으로 실천적인 모습을 표출하였다. 최제우 때에는 신종교로서 시천주와 개벽을 통하여 새로운 사회를 구현하는 것이 동학사상의 가장 중요한 내용이었다. 최시형은 敬天보다 敬人을 중시하였는데 그것은 동학교단 정비와 포교에 주력하기 위해서였다. 1890년대 동학사상은 농민의 정치사회적 요구가 반영됨으로써 반봉건 개혁사상, 반제사상으로 전개되었다. 제1차 농민전쟁은 동학의 반제반봉건사상을 시대의 요구에 따라 해석하고 실천하였다. 그리고 동학 조직과 관련 있는 집강을 중심으로 농민통치를 펼쳐 반봉건활동을 전개하였다. 제2차 농민전쟁은 반침략을 목표로 시작되었는데 농민군은 반봉건투쟁도 함께 해야만 하였다. 제2차 농민전쟁 때 주도적인 역할은 전봉준 등 전라도지역의 남접 접주들이 담당하였다. 동학교단 지도부는 동학의 종교성을 유지하고 조직을 확장시키는데 관심을 두었다. 순수 종교운동과 사회개혁운동으로 나뉜 동학의 분열은 농민전쟁에 강력한 힘을 줄 수 없었다. 농민군에게 천주교는 외세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타도해야 할 대상이었다. 조선정부로부터 邪學이라는 같은 대접을 받고, 신자 구성이 비슷하였음에도 동학은 천주교에 부정적이었다. 천주교회는 동학과 연관된 농민전쟁을 반란으로 이해하였고 농민군을 폭도라 규정하였다. 농민군은 천주교회를 외국세력과 연계된 근거지로 생각하여 반제 척양의 입장에서 공격하였다.

      • KCI등재

        동서양의 자연관, 그리고 기학과 동학의 생태적 윤리 ―이성과 덕성의 조화―

        야규마코토 ( Yagyu Makoto ) 한국실학학회 2022 한국실학연구 Vol.- No.44

        오늘날 ‘인류세(Anthropocene)’가 전 세계적으로 회자하고 있다. 이것은 네덜란드의 대기화학자이자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파울 크뤼첸에 의해 널리 보편화된 개념이다. 2000년에 개최된 어느 국제회의에서 그는 “이제 인류세라고 말해야 되지 않을까?”라고 문제 제기하면서 ‘인류세’는 학계의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또 2022년 7월에는 인류세의 중요한 지질학적 지표가 될 수 있는, 비키니 핵 실험에 유래한 방사성물질의 흔적이 일본 別府灣의 해저 지층에서 발견되었다. 이 ‘인류세’가 근대에 확립된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재설정을 요구하고 있다. 인류세 시대를 맞이하면서 인류가 이미 수많은 측면에서―대기, 기온, 기후, 생태계 등등―지구에 활동의 자취를 남기고 지구를 압박하는 존재가 되었다는 사실을 더 이상 외면하지 못하게 되었다. 흔히 듣는 이야기로는 자연과 인간을 분리하는 서구 근대의 철학이 이윽고 이러한 사태를 가져왔다고 한다. 데카르트의 물심 2원론에 대표되는 서구근대철학은 자연을 ‘기계화’시키고, 인간정신은 능동적으로 그 자연을 관찰, 조작, 개조하는 것으로 자연과학과 기계문명, 자본주의의 눈부신 발달을 이루었다. 그러나 그 모순이 지구에 전가되면서 마침내 이 지경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서구 근대가 걸어간 이외의 자연―인간관계는 어떤 것이 있을까? 자연과 인간을 가르지 않고 조화로울 수 있는 관계 설정은 가능할까? 이 글에서는 먼저 고대부터 중세, 근대에 이르기까지 서구의 자연관과 인식론을 개관한다. 이어서 자연과 인간, 이성과 덕성의 분리를 겪지 않았던 동양의 그것과 비교해 본다. 마지막으로 서세동점의 시대에 동서양 양쪽의 자연관을 뛰어넘어서 독자적인 사상을 제출한 최한기 기학과 최제우, 최시형의 동학적 자연관, 인식론을 살펴보고 이성과 덕성, 과학과 윤리의 조화를 지향하는 인류세적 자연―인간관계를 재구축하는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Today, The Anthropocene is talked about all over the world. It is a concept widely famous by Dutch atmospheric chemist and Nobel Prize laureate Paul J. Crutzen. At an 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in 2000, he raised the question that We should say already not Holocene but Anthropocene. And 'the Anthropocene' became an important topic of conversation in academia. In July 2022, radioactive materials deposited in the seabed layer of Beppu Bay, in Japan were confirmed to have originated from the Nuclear testing at Bikini Atoll, which was reported to be an important geological indicator of the Anthropocene. The Anthropocene make us for a rese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established in modern times. Because this concept makes us no longer turn a blind eye to the fact that mankind has already become a force on Earth, leaving traces of activity in the atmosphere, temperature, climate, ecosystem, etc. in many ways. It is often said that the Western modern philosophy of separating nature from humans brought about this situation. The Western modern philosophy, represented by Descartes' mind and materials Dualism, it made nature to mechanical nature. And the human spirit actively observed, manipulated, and modified that mechanical nature, and resulting in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natural science, mechanical civilization, and capitalism. But now the footprints of human activity have had a negative impact everywhere in the Earth's environment. Then, what is the nature-human relationship other than the Western modern era? Was it possible to establish a relationship that can be harmonious without separating nature and humans? This article first outlines the Western view of nature and epistemology from ancient times to the Middle Ages and modern times. Next, we compare it with that of the East, which did not experience the separation of nature and humans, reason and virtue. Lastly, we would like to look at Choi Han-gi(崔漢綺), Choe Je-u(崔濟愚), and ChoeSi-hyeong(崔時亨), who submitted their own ideas beyond the natural view of both East and West in the era of Western impact, and find a clue to rebuild the anthropological nature-human relationship.

      • KCI등재

        한말 지식인의 動向과 東學

        황위주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9 嶺南學 Vol.0 No.68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what kind of intellectuals were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how they recognized the political situations and responded to it, and what was the position and role of Donghak (東學) developed amid such situations. The 19th-century Joseon faced two major issues. One issue was to reform the inner politics, and the other was to respond to Seohak (Western Learning). Intellectuals responded to these issues with the following methods, if simply summarized; (1)Repel Wicked and Defend Justice, (2)Defend Justice and Enlighten, (3) Enlighten and Modify Law, and (4)Repel Wicked and Modify Law. (1)Typical intellectuals of the category of Repeal Wicked and Defend Justice included Confucians spread nationwide, and Prince Heungseon and his aides. (2)Intellectuals of the category of Defend Justice and Enlighten included early-time enlightenment seekers, some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advocating King Gojong's policy of opening the nation to foreigners, and figures participating in various overseas events following the conclusion of Ganghwa Treaty. These advocated the enlightenment policy with the theory of adopting Eastern spirit and Western technology. (3)Typical intellectuals of the category of Enlighten and Modify Law included the initiators of Gapsinjeonbyeon Reform. They were young people studied in Japan in their 20s to 30s. Another group was the initiators of Gapogaehyeok Reform, and many of them sought asylum overseas right after Gapsinjeongbyeon Reform, and not a few joined forces of Defend Justice and Enlighten. Donghak embraced the position of (4) Repel Wicked and Modify Law. Donghak tried to most ideally resolve the inner political reform and international problems confronting Joseon since the 19th century, and represented the people's ardent longing. So at the time when Choe Je-u, the founder of Donghak, was active, thousands of people followed his belief, and they expanded to tens of thousands when Choe Si-hyeong, the second founder of Donghak, ruled. This movement finally led to Gapo Farmers' Movement nationwide. Afterwards, Donghak, embracing the intellectuals of the category of Reform and Modify Law, pressed forward with civilization reform movement, and led the Gimi Independence Declaration, thus leaving the greatest achievement in Korean history. 본고는 19세기 후반 세계사적 격동기에 조선에서 이른바 지식인이라고 할 인물이 어떤 사람이 있었는지, 그들이 제각각 시국을 인식하고 대응한 자세는 어떠하였는지, 그리고 이런 와중에 생겨난 동학의 위상과 역할은 또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등에 대하여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19세기 조선이 당면한 화두는 2가지였다. 하나는 내정개혁 문제였고, 다른 하나는 西學과 外勢에 대한 대응 문제였다. 이에 대한 지식인들의 대응 방식은 다양하였는데, 단순하게 정리하면 (1)척사위정 (2)위정개화 (3)개화변법 (4)척사변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1)척사위정계열 지식인은 전국에 광범위하게 포진한 儒林이 대표적이었다. 다른 하나는 흥선대원군과 그 측근 雲邊人이었는데, 운변인의 척사위정은 유림의 그것과 결이 다소 달랐다. (2)위정개화계열 지식인으로는 먼저 초기개화론자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조정에 영향력 있는 高官 자제를 교육함으로써 처음으로 개화의 중심세력을 형성하였다. 다음은 고종의 개국정책을 지원한 일부 중앙관료와 민비 척족인데, 이들은 東道西器論으로 고종의 개국정책을 옹호하였다. 강화도조약 체결 이후 각종 해외 사행에 참여한 인물도 이런 계열의 인물이라 할 수 있는데, 이들 가운데 일부는 개화변법 계열로 나아가기도 하였다. (3)개화변법계열 지식인은 갑신정변 주도자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일본 유학생 출신으로 2~30대 젊은이였다는 공통성이 있다. 다른 하나는 갑오개혁을 주도한 인물인데, 갑신정변 직후 해외로 망명한 사람이 많았으며, 위정개화 계열 인물 가운데 동참한 이도 적지 않았다. 동학은 척사를 지향하면서도 유교적 가치에 근거한 위정은 거부하고, 변법을 지향하면서도 외세 의존적 개화를 거부한, (4)척사변법의 자리에 있었다. 그래서 19세기 이래 당면한 내정개혁과 외세 문제를 가장 이상적으로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민중의 간절한 염원을 대변하기도 하였다. 그래서 최제우 당시 이미 수천 명의 교도가 생겨났고, 제2대 교주 최시형 당시에는 수만 명으로 확대되었으며, 마침내 전국에 걸친 갑오농민운동으로 구현되기에 이르렀다. 이후 동학은 天道敎를 개창하고 개화변법 계열 지식인을 수용하여 문명개화 운동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며, 기미독립선언을 주도함으로써 역사에 가장 빛나는 족적을 남겼다.

      • KCI등재

        동학의 도덕 개념 의미화와 사상적 의의

        이행훈 한국유교학회 2017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8

        ‘Do’ (道) and ‘Deok’ (德, virtue) had held their own separate semantic realms in Eastern classics long before the term ‘Dodeok’ (道德, morality) was coined. ‘Do’ referred to both the order of nature and human norms; ‘Deok’ meant innate human nature, a species characteristic that could distinguish humanity from all other things. The way of Heaven (天道), the way of Human (人道), and ‘Myeongdeok’ (明德) in Great Learning (大學) were the ideas that showed them clearly. Donghak, founded in the mid-19th century amid the domestic and foreign crisis of the Joseon dynasty, was different from Confucianism in that it denied the substantiality of ‘Do’; also different from Western Learning (Catholicism) in that it rejected God in the Christian sense. Based on Cheo Je-u’s religious experience, the teachings of Donghak spread to the general public while Joseon’s Neo-Confucianism as social operation principle was coming to an end. Considering that Heaven and people are not separate and all humans are sacred beings since Heaven exists inherently within us, Donghak opposed social discrimination and advocated equality. Born at the conflicting crossroad of Confucianism and Western Learning, it expanded the concept of Reverence of Heaven to people and things and considered humans as agent who could perfect autonomous morality, ultimately intending to establish an independent learning of the Eastern’s own. 동양 고전에서 ‘도덕’이란 합성어가 일반화되기 이전에 도와 덕은 오랫동안 각각의 의미를 갖고 사용되었다. 도는 자연의 이법, 인간의 당위규범으로 의미화되었고, 덕은 선천적 본성으로 인간이 만물과 구분되는 유적 특성이었다. 천도와 인도, 『대학』의 明德 개념이 대표적이다. 19세기 중엽 조선의 대내외적 위기 상황에서 창도된 동학은 도의 실체성을 부정한다는 점에서 유학과 다르고, 하늘이 곧 사람이고,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인내천을 주장함으로써 서학(천주교)의 인격적 상제관과도 구분된다. 조선의 성리학이 사회 운영 원리로서 기능을 다해가던 시점에서 동학의 가르침은 최제우의 종교적 체험에서 비롯된 주문을 근간으로 하여 일반 대중에게 확산되었다. 특히 동학은 하늘과 사람이 별개가 아니라 하나이며, 하늘이 이미 나에게 자재하므로 인간 모두가 거룩하고 존엄한 존재라는 인간관을 통해 전근대 신분 차별을 부정하고 평등을 지향하였다. 유교와 서학이 교차ㆍ충돌하는 지점에서 모색된 동학은 성리학의 이법천관에 의해 약화된 경천 관념을 부흥하여 사람과 사물에게 확대해갔다는 점에서 유교의 도덕과 구분되며, 천주교의 상제관을 비판하면서 도덕을 자발적으로 완성하는 실천적 주체로 인간을 설정하고 동방 고유의 주체적 학문을 수립하려 했다는 점에서 사상사적 의의를 지닌다.

      • 한국인의 하느님 이해

        심상태 몬시뇰(Emeritus Prof. Msgr. Sangtai Shim) 신학과사상학회 2016 가톨릭 신학과 사상 Vol.- No.77

        본고는 한국 고대 종교의 윤곽을 논하는 것으로 시작되며, 그 시점은 단군신화와 하늘의 개념과 함께 환인의 신성한 이미지에 대한분석이다. 이어, 특히 ‘천’이라는 단어가 중국 종교인 유교와 불교 그리고 도교의 유입과 더불어 부상했음에 초점을 두어 하느님 개념의 변형을 살펴본다. 이 개관은 셈족 종교(유다교, 그리스도교, 이슬람교)와 달리, 19세기 이전에 한국인들이 지니고 있던 하느님 개념에는 초월적이고 부성적인 하느님뿐만 아니라 모든 곳에 내재한 모성적인 하느님의 모습까지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이야기한 본고의 중요한 논점을 수립하기 위해 정리되었다. 더군다나 단군신화의 환인이 그리스도교 믿음의 막강한 하느님인 ‘야훼’-‘엘’과 동일하다는 주장에 충분한 근거가 있다는 내용도 싣고 있다. 본고는 19세기 말 일어난 신흥종교운동에 깃든 하느님에 대한 이해, 특히 수운 최제우에 의해 일어난 동학운동(Eastern Learning)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수운은 ‘시천주’라고 부르는 하느님의 개념을 바탕으로 수립되었는데, ‘시천주’는 ‘하느님을 지니다 혹은 품다’의 직접적인 표현이다. 하느님은 ‘지기’인데, ‘지기’는 우주에 만연한 생명의 힘 혹은 에너지이자 초월적이고도 모든 곳에 내재한, 만물의 하느님이며, 하느님은 모든 인류와 사물에 깃든 패러독스다. 우리는 ‘지기’를 통해 하느님을 품으며, 이때 ‘지기’는 외적으로 증발해버리는 생명 에너지이며, 역시나 모든 인류와 사물에 깃들어 있다. 동학에서 발전되고 분석된 신성의 또 다른 핵심 개념들에는 ‘한울님’ ‘하늘님’ ‘인즉천’ ‘양천주’ 그리고 ‘인내천’이 있다. 동학의 영감은 “초월적 내재성”이라는 근본적 통찰로 이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근본적 통찰을 통해 현 시대의 순간과 부조리, 빈곤, 소외와 생태 붕괴의 문제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논쟁에 따르면, 하느님에 대한 한국인의 관점은 인도주의적이기도 하고, 비인도주의적이기도 할 뿐만 아니라, 그 안에는 하느님을 생물권 내에 위치시키는 종말론적 사상도 있다. 계몽된 동학운동에 의해 생긴 기회에 충분히 보답하기 위해 독자들은 우주의 외적 관계를 주관하는 초월적 존재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와 달리, “어머니”의 은유를 통해 하느님의 모습을 상상해 보아야 하게 되었다. 여기서 “어머니”는 내재적 사랑의 정수를 단언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자아를 기피하는 유기현실을 수용한다. 논문은 지모신의 이미지는 그저 만족스러운 이미지일 뿐만 아니라, 소외의 맥락에서 구원의 진실을 추구하는 모든이들에 대한 초대이자 이 세상 구원에 대한 끊임없는 갈증이며, 하느님과 맺은 모든 유대감의 즐거운 약속이라고 한 발터 카스퍼 추기경의 말로 결론을 맺는다. This paper begins with a discussion of the contours of ancient religion in Korea. The starting point is an analysis of the indigenous mythology of Dangun and the divine image of Hwanin along with the concept of Haneul. The focus then turns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of God, especially noting the emergence of the word, Cheon (천: 天), which came with the arrival of the Chinese religion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is overview is given in order to establish an important contention of this paper that the concept of God held by Koreans prior to the 19th Century embraces, in distinction to the Semitic Religions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not only a transcendent, paternal God but also a maternal God who was immanent within all things. Moreover, it is contended, there is sufficient evidence to equate Hwanin of the Dangun myth with YHWH-El and the Almighty God of Christian belief. The central concern of this paper focuses on the understanding of God which emerges within the new religious movements that appeared towards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particular focus is on the Donghak (Eastern Learning) movement founded by Choe Je-u (Su-un). Su-un, the paper contends, established a faith based on the concept of a God (Lord of Heaven) called, Si Cheonju, whom is conceived as a direct experience of “carrying or bearing God”. God is Chigi, the vital force or energy pervading the universe, which is both the transcendent and the immanent Lord of all. God is the paradox within all humans and things. We carry God through Chigi, which is, at one and the same time, externally an evaporating, vaporising vital energy, yet also immanent within all humans and things. Other key concepts of the Donghak divinity which are developed and analysed are Hanul-Nim (天主: 한울님), Haneul-Nim (하늘님), Injeukcheon (인즉천: 人卽天), Yang Cheonju (양천주: 養天主), and Innaecheon (인내천: 人乃天). The inspiration of Donghak leads to a fundamental insight ― the idea of “transcendent immanence”. Using these fundamental insights, this paper turns to examine the contemporary moment and its issues of injustice, poverty, alienation and ecological collapse. A Korean view of God, it is argued, would be not only simultaneously humanistic yet not humanistic but also promote an eschatology which places God within the ecosphere. In order to adequately appreciate the opportunity which is provided by an enlightened Donghak, the reader is challenged to re-envisage God through the metaphor of “Mother” which, unlike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a transcendent being governing the external relationships of the universe, embraces an organic reality that voluntarily eschews self in order to affirm an essence of immanent love. The essay concludes with the words of Cardinal Walter Kasper commenting on the Mother Goddess image which is not just a satisfying image but an invitation to all those who seek the truth of salvation in a context of alienation and insatiable thirst for redemption in this world, a joyful engagement with the all-encompassing fellowship of G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