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수명의 향촌 건설을 위한 이념과 정치사상적 원칙에 대한 고찰 - 전통 유학과 근대화의 관계 문제를 중심으로 -

        황종원 한국유교학회 202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80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template the Ideals for Rural Reconstruction and Principle on Political Ideology that were undertaken by Liang Shu-ming during the 1930s with the Focusing on Issues related to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Modernization. Liang Shu-ming intended to realize the assertion of convergence for east-west culture that was established in the 1920s by reforming the social structure of China at this time. He defined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rural society of China as distraction. And, he found that the cause of such attribution was that China was the ethics-oriented society while the west was the group-oriented society. He referred to the ethics of China as the ethics of affection that placed importance on obligation based on the warmth for others and it was considered as the most value spirit of Confucianism. However, he intended to pioneer the path of Chinese by having the rural society that was loosened from the foregoing to accept the collectivism of the west. On the basis of such ideology, he presented the principle of political ideology of the rural reconstruction movement. First, the social ethical norm is more valued than the legal system and place more importance on the new political customs over the new political system. Second, consider the reality of Chine with priority, but select the ones with value from the political ideology of the west to converge both of them. Following this principle, he presented the concept such as the politics by majority for the rule of men. And, third, the society with flawless rational communication was striven for on the basis of the warmth. The ideology of rural reconstruction where the Confucian affection and western collectivism are combined has its implication in the point that it is an attempt to overcome the flaw of rationalism of modern era of the west and individualism in the modern era of the west. While accommodating the democratic political ideology, the ideals of Confucian politics of ethics has not been discarded as its another positive aspect. However, there is a room for criticism for neglecting the issues on rights as underestimating the political competency of general public. In addition, it is also regrettable that the ideology of combining the benevolence and justice and collectivism was not applied to the issue of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이 글은 양수명(梁漱溟)이 1930년대에 벌인 향촌건설운동의 이념과 정치사상적 원칙을 전통유학과 근대화의 관계 문제를 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양수명은 1920년대에 정립한 동서양 문화 융합의 주장을, 이 시기에는 중국의 사회구조를 개혁함으로써 실현하려 했다. 그는 중국 향촌사회의 가장 중요한 특징을 산만(散漫)함이라고 규정했다. 그리고 그 원인을 서양이 집단 본위의 사회인 데 반해, 중국은 윤리 본위의 사회라는 점에서 찾았다. 그는 중국의 윤리를 상대방을 위하는 정감에 토대를 두고 의무를 중시하는 정의(情誼)의 윤리라 칭하고 그것을 유학의 가장 가치 있는 정신으로 여겼다. 다만 이로 인해 느슨해진 향촌사회를 서구의 집단주의를 수용해 조직화함으로써 중국적 근대화의 길을 개척하려 했다. 이러한 이념을 바탕으로 그는 향촌건설운동의 정치사상적 원칙을 제시했다. 첫째 원칙은 사회적 윤리규범을 법제도보다 더 중시하고, 새로운 정치적 습관을 새로운 정치제도보다 더 중시하는 것이다. 둘째 원칙은 중국의 현실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되 서양의 정치사상 중에서 가치 있는 것을 선별해 양자를 융합시키는 것이다. 이 원칙에 따라 그는 인치(人治)적 다수의 정치 같은 개념을 제시했다. 셋째 원칙은 정감을 토대로 이성적 소통을 원활히 하는 사회를 지향하는 것이다. 유학적 정의와 서구적 집단주의가 결합된 향촌건설의 이념은 서구 근대의 이지(理智)주의와 개인주의가 갖는 결함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민주정치사상을 수용하면서도 유학적인 도덕정치의 이상을 버리지 않았다는 점 또한 긍정적이다. 하지만 민중의 정치적 역량을 지나치게 낮게 보고, 권리의 문제를 소홀히 여긴 점 등은 비판 받을 여지가 다분하다. 또 인의(仁義)와 집단주의의 결합이라는 이념을 인간과 자연의 관계 문제에까지 적용하지 못한 점도 아쉽다.

      • KCI등재

        최시형 사상의 생태여성주의적 특징과 의의 - 자연과 여성의 연결 문제를 중심으로 -

        황종원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2 儒學硏究 Vol.60 No.-

        이 글은 자연과 여성의 연결 문제를 중심으로 최시형의 사상에 어떤 생태여성주의적 특징과 의의가 있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적 혹은 영적인 생태여성주의는 자연과 여성을 연결하여, 이 둘의 가치를 함께 폄하해온 서구의 가부장제를전복시켜, 자연의 여성성과 여성적 가치의 우월함을 강조했다. 이와 유사하게 최시형도 어머니의 ‘젖’과 ‘포태’의 은유로 자연의 여성적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역사적으로 희생당해온 자연과 여성을 공경할 것을 요구했다. 그렇지만 자연과 여성의 연결에 관한 최시형의 생각은 유학의 생태적 윤리를 계승하면서도, 음양론에 근거하여 자연을 위계화해 여성을 은근히 억눌러온 유교적 가부장제를 비판하였다는 점에서 반(反) 생태적인 동시에 가부장적인 서구 전통에 저항한 서구의 생태여성주의와는 그 사상적 배경이 다르다. 바로 이 차이로 인해 문화적 생태여성주의에 대한 여러가지 비판은 최시형의 사상에는 대부분 적용되지 못한다. 우선 서구에서 급진적 여성주의자들은 자연과 여성의 연결이 여성에 대한 모욕이라고 극언했지만, 천지를부모처럼 공경하라는 유학의 관념을 계승한 최시형에게는 자연과 여성의 연결이 결코 여성에 대한 모욕이 아니다. 다음으로 사회적 생태여성주의자들은 문화적 혹은영적인 생태여성주의가 여성의 우월성을 강조하여 남성을 적으로 돌리고, 영적인것에 대한 관심으로 사치스러운 정신주의에 빠져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최시형의 경우는 남성이 앞장서서 여성을 하늘님처럼 공경하라고 당부했고, 종교적 영성을 중시했을 뿐 아니라, 민중, 여성, 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를 존중하는 사회 개혁적지향을 강하게 띠고 있었다. 요컨대 최시형의 생태여성주의 사상은 영적인 생태여성주의와 사회적 생태여성주의를 아우른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정호의 生理, 生意, 仁에 대한 생명론적인 접근

        황종원 대동철학회 2007 大同哲學 Vol.40 No.-

        이 글은 정호사상의 핵심인 生理, 生意, 仁의 논리체계를 생명론적인 시각에서 접근한 것이다. 형이상적, 보편적, 천지 내적 성격을 띠며 만물을 낳고 기르는 生을 중심내용으로 하는 생명본체인 천리는 有善有惡이라는 굴절된 표현과 그 표현 이면의 심층적 가치라는 이중적 측면을 지닌다. 神, 誠이라 규정되는 이 가치를 계승하는 萬物은 생장하려는 뜻인 生意를 통해 자신의 존재론적 善, 자연생명의 가치를 드러낸다. 천의 生理가 자연존재의 차원에서는 生意로 표현되는 반면, 인간 덕성의 차원에서는 仁으로 표현된다. 정호는 天의 生理에서 인간의 仁性에 이르는 논리적 계기를 ꡔ중용ꡕ의 天命之謂性 관념에 의거, 종적, 형식적 측면에서 규명하기도 하며, 告子의 生之謂性을 자신의 生理 관념과 연결시켜 性의 내용이 生이고, 그리하여 仁과 生理가 내용적 동일성을 지님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러한 生理, 生意, 仁은 그것들이 각각 생명을 낳고 기르는 이치, 자기생명을 생장시키려는 뜻, 타자 생명을 측은히 여기는 마음이라는 점에서 생명의 가치에 대한 적극적 긍정이라는 내용을 포함하며, 이 점에서 삼자의 내용적 동일성은 확보된다. 그러나 生理가 낳음의 원리인 동시에 ‘살림’의 원리라는 점에서 그것은 생명의 자기중심성을 의미하는 生意와는 분명히 다른 함의 또한 갖는다. 이에 비해 타자를 살리려는 마음인 仁은 天의 타자를 위하는 살림과 상응관계를 이루어, 生意와는 달리 生理가 지닌 ‘살림’의 원리를 전면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하지만 생명 중심적 시각에서 보면 자연물의 자기중심적 생장의 운동이 도리어 인간을 살리는 결과를 낳기도 하기 때문에 정호의 미루어감(推)이라는 논리는 절반의 진리만을 드러낼 뿐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이택후의 ‘자연의 인간화’ 및 ‘인간의 자연화’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황종원 동양철학연구회 2019 東洋哲學硏究 Vol.100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template critically on how Li Zehou, a modern Chinese philosopher, presented his philosophical opin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with the concepts of ‘humanization of nature’ and ‘naturalization of human being’. A human transforms nature into the nature for human being by taking and processing it as the subject of laboring. Li Zehou refers the above endeavor as the ‘external humanization of nature’ formed in the hardware aspect and he accepted the progress of the technology to enable the foregoing. He points that technology inflicts critical damage to nature but does not make any ethical reflection on the technology itself. Human being transforms the body and mind of human from the animal state to human state as well as the extrinsic nature through social labor. Li Zehou refers it as the ‘intrinsic humanization of nature’, and focuses intensely on the discussion in its software, namely psychological aspect. In the epistemological aspect, he has logically proven that perceived capability and reasoning capability of human being is related closely with the social labor. However, he could not perceive that the liberation or freedom from the nature is available in exchange for sacrifice of the nature. Therefore, he failed to present the principle of ecological ethics for human being to do away from the technological freedom to unilaterally control the nature with its own free will in ethics. In conclusion, Li Zehou considers the issues of technology and ethics in the human-oriented point of view as he was entrapped into the modern commercial and industrial mentality. Therefore, he simply discusses only in individual and aesthetic aspects without approaching in the ecological and technical aspects for the naturalization of human being issues that implicates the co-existence and harmony of human being and nature as well as overcoming of human isolation. 이 글은 현대 중국철학자인 李澤厚가 ‘자연의 인간화’ 및 ‘인간의 자연화’ 개념을 가지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관한 자신의 철학적 견해를 어떻게 제시했는지 비판적으로 고찰함을 목적으로 한다. 인간은 자연을 노동 대상으로 삼아, 그것을 가공하여 인간을 위한 자연으로 변모시킨다. 이택후는 이를 하드웨어적 측면에서 이루어진 ‘외재적 자연의 인간화’라 칭하고, 이를 가능하게 한 기술의 진보를 긍정하기만 한다. 기술에 의해 자연이 치명적으로 훼손을 입었음을 지적하면서도 기술 자체에 대해 윤리적인 반성을 하지 않는다. 인간은 사회적 노동을 통해 외재적 자연뿐 아니라 인간의 몸과 마음 또한 동물적 상태에서 인간적인 상태로 변모시킨다. 이택후는 이를 ‘내재적 자연의 인간화’라 칭하고, 심리적인, 즉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 이에 관한 논의를 집중적으로 했다. 인식론적인 측면에서 그는 인간이 자유로운 인식능력과 사유능력을 갖추게 된 것이 사회적 노동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음을 훌륭하게 논증했다. 그러나 그는 이 자연으로부터의 해방, 즉 자유가 자연의 희생을 대가로 한 것이라는 점을 인식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인간이 도덕적인 자유의지로 자연을 멋대로 지배하려는 기술적 자유와 단절해야 한다는 생태 윤리적 원칙을 제시하지 못했다. 요컨대 이택후는 근세 상공업적 정신에 갇혀 기술과 윤리의 문제를 바라본다. 그리하여 인간과 자연의 공존과 조화, 인간 소외의 극복을 뜻하는 ‘인간의 자연화’ 문제를 생태적 윤리와 기술의 측면에서 접근하지 못하고, 그저 개인적이고 미학적인 측면에서만 논하고 만다.

      • KCI등재

        최시형의 생태학적 사유와 평화

        황종원 한국유교학회 201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oi Si-hyeong’s ecological thought and also the significance of it for us to find out the true path to peace today. Choi Si-hyeong deemed that as the people and women got suppressed and sacrificed by the ruling class and men in the past, nature, too, was sacrificed unilaterally by humans. But he understood that sacrifice as either nature or God’s self-sacrifice. He formulated the proposition of ‘Serve God with God’ and excellently demonstrated the ecological meaning of that sacrifice in the overall perspective of nature. Based on this demonstration, Choi Si-hyeong says that to realize true peace in this world, first of all, we should have faith in the truth that not only the people and women but nature, too, have been doing what they have to do associated with self-sacrificing love. Grounded on this conviction (信), he believed that we should practice respect (敬) for not only the people and women who had not been treated properly before but also nature as previous beings so as to reach true harmony with nature. As the most important attitude and principle to practice this, he suggested sincerity (誠) and non-action (無爲), and he applied this attitude and principle to the people working cooperatively with nature as well. This author thinks that the attitude of ecological ethics and the principle of ecological labor provide mankind with a crucial clue to enter the path to true peace. 이 글은 최시형의 생태학적 사유가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규명하고 오늘날 우리가 참다운 평화의 길을 모색하는 데 그것이 어떤 의의를 지니고 있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시형은 과거에 민중과 여성이 통치계층과 남성에 의해 압박을 받고 희생을 당한 것과 마찬가지로 자연 또한 인간에 의해 일방적으로 희생되어왔다고 여겼다. 그러면서도 그는 그 희생을 자연 혹은 신의 자기희생으로 이해했다. 그는 ‘하늘로써 하늘을 먹인다’는 명제를 세워 전체 자연의 시야에서 그것의 희생이 갖는 생태학적인 의미를 훌륭히 논증했다. 이러한 논증을 기반으로 최시형은 이 세상에 참 평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우선 민중과 여성뿐 아니라 자연 또한 자기희생적 사랑의 성격을 갖는 일을 해왔다는 진리를 굳게 믿어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이 확신(信)을 토대로 과거에 제대로 대우받지 못한 민중, 여성뿐 아니라 자연 또한 존귀한 존재로 공경(敬)하는 실천을 해야 자연과 참된 조화에 이를 수 있다고 여겼다. 그는 이 실천을 하는 데 가장 중요한 태도와 원칙으로 정성(誠)과 무위(無爲)를 제시했으며, 이 태도와 원칙을 민중이 자연과 협동적으로 일하는 데에도 적용했다. 필자는 이 생태윤리적 태도와 생태노동적인 원칙이 인류가 참다운 평화의 길로 들어서는 데 한 가지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 KCI등재

        최시형의 천지 관념 연구 ― 전통 유학과의 연관관계를 중심으로

        황종원 대동철학회 2014 大同哲學 Vol.68 No.-

        이 글은 최시형의 천지 관념 및 기 개념이 지니는 철학적 의의를 전통 유학과의 연관 관계 속에서 고찰함을 목적으로 한다. 최시형은 천지가 만물을 낳고 기르는 존재이며, 따라서 인간에게 그것은 덕(德)을 지닌 존재, 부모와 같은 존재로 여겨진다는 역전의 천지 관념을 계승하였다. 그러나 최시형의 천인관계론은 역전의 그것과는 다른 특징과 의의를 지닌다. 첫째, 역전의 저자들이 천지의 운동과 인간의 문화 창조 혹은 성인의 도덕 교화 사이의 상응관계를 논증하는 데 치중한 것과는 달리, 최시형은 천지의 생명운동이 인간의 생존과 발전의 가장 기본적 조건이 된다는 점을 먹음의 문제를 가지고 입증함으로써 천인관계론의 중심을 생명 개념을 중심으로 한 인간과 자연의 보다 직접적인 관계에 대한 논의로 옮겨놓았다. 둘째, 역전에도 천지를 공경하는 사상은 있으되 그것이 가장 우선적이고 핵심적인 윤리적 덕목으로 간주되지는 않은 것과는 달리, 최시형은 천지에 대한 경외를 인간이 갖추어야 할 가장 핵심적인 덕목으로 여겼으며, 이로 인해 역전의 그것보다 훨씬 강렬한 생태윤리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그밖에도 최시형은 성리학의 이기(理氣) 개념으로 천지의 운동을 설명하기도 했는데, 리(理)보다 기(氣)를 훨씬 더 강조하는 입장은 성리학 내부의 기본론(氣本論)에 가깝지만, 리에 속박되어 있던 기를 풀어주어 기의 적극적인 의미를 깊이 사유한 점, 기를 인격신인 하늘님 자신의 기운으로 천명한 점 등은 기본론과 다르며, 특히 기화와 먹음의 문제를 결부시켜 먹음이 지닌 신성한 의미를 부각시킨 점은 기본론자(氣本論者)들의 사유 수준을 뛰어넘은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the concepts of tiandi 天地 (heaven and earth) and qi 氣 (psycho-physical energy) in their correlations with classical Confucianism. Choi Shihyung adopted the meaning of tiandi in the Yizhuan 易傳 and held that tiandi generates all things and grows them as like parents with virtues in human society. Nevertheless, his understanding of the correlation between heaven and man is distinguished from that of the Yizhuan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e authors of the Yizhuan focused on the correlations between tiandi's movement and human creation of culture or moral teaching by the sages. In contrast, Choi shifted the focus of the heaven-human relationship to human life-related issues and attempted to show that the pro-life movement of tiandi aims at supporting the survival and flourishing of human beings by providing sustainable food. Second, the Yizhuan contains the teaching of respect toward tiandi, but it does not treat jing 敬 (respect) as the most overriding and essential virtue. Choi, however, considered the jingwei 敬畏 (respect with awe) toward tiandi as the core virtue humans should cultivate, which shows his stronger ecological ethics than that of the Yizhuan. Moreover, when Choi expounded the movement of tiandi by utilizing the concepts of li 理 (Principle) and qi 氣 (psycho-physical energy), he put more emphasis on qi than li. This is similar to qibenlun 氣本論 in some of the Neo-Confucianism traditions. But his thought is distinguished from the Neo-Confucian qibenlun in that he stressed the positive aspects of qi by liberating qi from the restraint by li. Besides, his qibenlun is distinct in the sense that he claimed that qi is the energy of the anthropomorphic deity, haneulnim 하늘님.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his qibenlun is more developed and articulated than that of the Neo-Confucian qibenlun.

      • KCI등재

        동학의 무위 사상 연구

        황종원 대동철학회 2014 大同哲學 Vol.66 No.-

        이 글은 도가적 무위 개념이 동학의 창시자인 최제우에 의해 어떻게 수용되고 변형되었으며,그의 계승자인 최시형과 20세기 전기 천도교의 대표적 이론가인 이돈화에 의해 어떤 방향으로,구체적인 의미를 띠고 발전했는지 고찰함을 목적으로 한다. 노자에 의해 정초된 도가의 무위 개념에는 본디 문명 비판의 정신이 깃들어 있다. 최제우는 이 무위 개념과 그것이 지닌 문명 비판의 정신을 수용하였으되 무위에 하늘님에 의한 조화 작용의 계기가 있음을 천명함으로써 동학의 무위와 도가의 그것을 차별화하며, 하늘님이 자연의 영역에서 무위의 원칙에 따라 만물을 생육한다는 관념에 근거해 인위로 가득 찬 서구 근대문명을 비판한다. 사실 최제우는 하늘님이 구도자에게 어떤 신비로운 힘을 부여해준다는 의미로도 무위 개념을 빈번히 사용하였지만, 최시형과 이돈화가 계승하고 발전시킨 것은 자연의 영역에서 하늘님이 지키는 무위의 원칙에 관한 것이었다. 이것과 관련해 최시형은 성리학의 이기(理氣) 범주로 동학의 교의를 재해석하기도 하였고 인간이 따라야 할 무위의 원칙을 하늘님, 타인, 자연물에 대한 공경의 윤리로 구체화하기도하였다. 한편 이돈화는 서양철학의 목적론과 그것에 대한 비판을 소개한 후, 동학의 무위이화(無爲而化)를 미시적 차원에서 일어나는 현상의 무목적성과 거시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우주의진화로 해석함으로써 여러 대립적 관점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최시형의 무위 사상은 동학의 무위 관념이 지닌 서구 근대문명에 대한 비판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으나, 이돈화의 경우에는 그 정신을 놓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하겠다. The author, focusing on Mencius, Chang Tsai, Cheng Ming-tao and DongHak, draws acomparison between Chinese Confucianism and the ecophilosophical meanings of DongHak. Firstof all,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acting nature's non-action', which is permeated through thedoctrine on mind & nature and the doctrine on cultivation of Mencius. It also demonstrates thecorrelation between agricultural civilization and 'acting nature's non-action'. Secondly, this studyinvestigates how the ideas of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man that wasformulated in pre-Qin dynasty, was more established in North Song dynasty. Specifically, itanalyzes the division of 'the nature of heaven(TienXing)' and the human nature in the thoughts ofChang Tsai, who invented the term called 'the unity of heaven and man'. Furthermore, it looksinto the weak point of Cheng Ming-tao's idea, which insisted the unity of 'principle ofproducing(Sheng Li)' and 'benevolence(Jen)'. Finally, this paper inspects closely the ecophilophicalmeanings of DongHak, which criticized and inherited Confucianism in order to find out thesignificance and limitation inside it.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DongHak accepts the concept ofnature(Xing) and unity of heaven and man of Neo-Confucianism, it clearly shows the differencebetween DongHak and Neo-Confucianism in that DongHak declares the subjectivity ofheaven(Tien), and criticized doctrine on priority or posteriority of principle(Li) and material force(Qi)with the concept of Great Qi. Moreover, it finds that Lee Don-Hwa's 'YinGanGyeuk' concept hasmuch deeper ecophilosophical meanings than the traditional 'personality' concept. It also finds thatChoi Si-Hyung's 'Rice(Shik)' thought transformed problems on the desire into the things that hascosmological and ecological mean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