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禮의 本質과 日常性 - 栗谷 禮敎의 實學的 性格과 日常性을 중심으로 -

        이행훈 동양고전학회 2009 東洋古典硏究 Vol.35 No.-

        유학 특히 주자 성리학의 禮는 절대적⋅보편적 이치로서 天理와 상대적⋅관계적 규범 형식으로서 節文과 儀則으로 개념 규정된다. 예의 본질은 이렇게 두 가지 의미로 구분되는데, 절대성과 상대성이 중층적으로 혼합되어 있지만 단순한 兩價性으로 해석되어서는 곤란하다. 예가 발현되는 과정에는 天理와 人性이라는 본질 외에 時間과 空間이라는 日常性이 매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자가 서로 조화를 이루었을 때 禮의 현실적 효용이 극대화될 수 있다. 물론 禮는 구분의 원리이고, 樂은 조화의 기능을 수행하여 상호보완적 역할을 하는 측면도 없지 않다. 그러나 예의 본질은 신분, 계급, 귀천 등 현실적 차이 속에서도 雙務互惠的 성격을 특징으로 한다. 유학은 일반인은 물론 최고 통치자에게도 엄격한 도덕성과 윤리를 요구하며 이를 상실한 人君은 일개 匹夫에 불과한 것으로 간주한다. 예를 제정하는 주체가 통치자가 아니라 聖人인 것도 동일한 맥락에서이다. 예의 현실적 효용은 ‘禮敎’를 실현하는 것이다. 예교는 예의 본질과 일상성이 발현되는 개인적⋅사회적⋅정치적 기제이다. 구득된 인간 본성의 발현, 주체와 타자의 소통을 매개하는 문화의 형성, 윤리⋅도덕적 규범에 기초한 정치행위 등이 활발한 사회가 예교가 지향하는 유교적 공동체의 본모습이다. 유교적 공동체의 원리로서 예교의 특징을 民本性과 時宜性을 중심으로 고찰한 이유는 예의 본질이 구현되는 日常性의 측면에 착안한 것이다. 이는 유교가 지닌 본원적 특질인 동시에 天理와 人性 자체에 대한 원리적 탐구에 머물지 않고 人情과 時俗이라는 현실을 실천의 장으로 고민하는 實學的 성격인 것이다. 16, 7세기를 거치며 조선사회에서는 예의 日常化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는데, 세종조 이후 三綱行實圖가 지속적으로 보급되어 道德修身書로 활용되었고 도덕성과 호혜성에 기반한 향촌자치규약인 鄕約이 보급⋅시행되었다. 율곡 이이는 중국의 呂氏鄕約을 전범으로 하여 海州鄕約을 완성하였는데, 예교의 본질을 일상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실학적 특성으로 평가할 수 있다. Confucianism's concept of Ye is ruled by the absolute principle of the universe on one hand, and by “the rules of Ye(節文)" and "the rules of ceremony(儀則)", the principle of relative articulation on the other hand. The realizations of the absolute principle of Ye is depending on its usage in everyday life which is fundamentally conditioned by time and space. Thus, Ye's usage can be maximized when the fundamental principle and the condition of its usage make a mutual harmony. Of course, Ye and Ak(樂) are doing complementary roles for each other, since Ye is a principle of a division and Ak is a principle of combining features. However, the essence of Ye can be figured out as the characteristics of mutual reciprocity among things of hierarchy between the classes. Not only in Modern one But also in the medieval society, Ye was not a one-sided force. The essence of Ye does not retain the interests of an individual and the power of a group. If so, the formal aspects of Ye had been distorted. Confucianism demands a strict morality and ethics of a normal person as well as of the ruler. The characteristics of Ye is democratic and open to the condition of time and space. Yegyo should be rooted in everyday lives and realized as a usualness. Therefore, Shirak was an inevitable feature of Yegyo. During the 16th and the 17th century, Ye insinuated into everyday lives of the public in the Korean society. Yulgok Yiyi(李珥)'s Haejuhyangyak(海州鄕約) was estimated as the exemplary feature of Shirak.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동학의 도덕 개념 의미화와 사상적 의의

        이행훈 한국유교학회 2017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8

        ‘Do’ (道) and ‘Deok’ (德, virtue) had held their own separate semantic realms in Eastern classics long before the term ‘Dodeok’ (道德, morality) was coined. ‘Do’ referred to both the order of nature and human norms; ‘Deok’ meant innate human nature, a species characteristic that could distinguish humanity from all other things. The way of Heaven (天道), the way of Human (人道), and ‘Myeongdeok’ (明德) in Great Learning (大學) were the ideas that showed them clearly. Donghak, founded in the mid-19th century amid the domestic and foreign crisis of the Joseon dynasty, was different from Confucianism in that it denied the substantiality of ‘Do’; also different from Western Learning (Catholicism) in that it rejected God in the Christian sense. Based on Cheo Je-u’s religious experience, the teachings of Donghak spread to the general public while Joseon’s Neo-Confucianism as social operation principle was coming to an end. Considering that Heaven and people are not separate and all humans are sacred beings since Heaven exists inherently within us, Donghak opposed social discrimination and advocated equality. Born at the conflicting crossroad of Confucianism and Western Learning, it expanded the concept of Reverence of Heaven to people and things and considered humans as agent who could perfect autonomous morality, ultimately intending to establish an independent learning of the Eastern’s own. 동양 고전에서 ‘도덕’이란 합성어가 일반화되기 이전에 도와 덕은 오랫동안 각각의 의미를 갖고 사용되었다. 도는 자연의 이법, 인간의 당위규범으로 의미화되었고, 덕은 선천적 본성으로 인간이 만물과 구분되는 유적 특성이었다. 천도와 인도, 『대학』의 明德 개념이 대표적이다. 19세기 중엽 조선의 대내외적 위기 상황에서 창도된 동학은 도의 실체성을 부정한다는 점에서 유학과 다르고, 하늘이 곧 사람이고,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인내천을 주장함으로써 서학(천주교)의 인격적 상제관과도 구분된다. 조선의 성리학이 사회 운영 원리로서 기능을 다해가던 시점에서 동학의 가르침은 최제우의 종교적 체험에서 비롯된 주문을 근간으로 하여 일반 대중에게 확산되었다. 특히 동학은 하늘과 사람이 별개가 아니라 하나이며, 하늘이 이미 나에게 자재하므로 인간 모두가 거룩하고 존엄한 존재라는 인간관을 통해 전근대 신분 차별을 부정하고 평등을 지향하였다. 유교와 서학이 교차ㆍ충돌하는 지점에서 모색된 동학은 성리학의 이법천관에 의해 약화된 경천 관념을 부흥하여 사람과 사물에게 확대해갔다는 점에서 유교의 도덕과 구분되며, 천주교의 상제관을 비판하면서 도덕을 자발적으로 완성하는 실천적 주체로 인간을 설정하고 동방 고유의 주체적 학문을 수립하려 했다는 점에서 사상사적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1920년대 ‘도덕’의 의미망과 개념의 재구축 − 개벽 을 중심으로 −

        이행훈 한국철학사연구회 2023 한국 철학논집 Vol.- No.79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일어난 물질문명에 대한 반성과 정신문화에 대한 성찰은 도덕 관련 담론을 촉발했다. 이 글은 1920년대 세계개조론과 문화주의의 확산 속에서 ‘도덕’의 의미와 그 개념의 변화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천도교 기관지 개벽 은 문학, 예술, 철학, 과학, 사회주의 등 당대 학술사조를 포괄하는 계몽적 잡지로써 도덕의 의미망과 개념의 변화를 탐색하기에 유용하다. 또한 이 시기 신문에 발표된 도덕⋅윤리 관련 기사는 해외 유학 후 귀국한 철학 전공자들이 서구 근대 윤리학 이론을 활용하여 한국 사회의 윤리적 문제를 논의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동학을 계승한 천도교는 재래종교를 대신해 후천개벽을 주도할 종교로 자처했다. 물질보다 정신개벽을 강조한 까닭은 인간다움의 구현을 시대적 과제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이는 민족개량주의의 조선 민족성론과 도덕론처럼 사회구조적 문제를 도외시했다는 비판에서 직면하게 했다. 그러나 일제의 종교정책과 사상통제 속에서 개벽 은 사회주의를 아우르는 공론장 역할을 하며 여론을 주도했다. 천도교 이론을 체계화한 이돈화는 관계를 본위로 한 과거 도덕의 한계를 넘어 인격 본위의 도덕으로 전환을 선언했다. 인격 본위 도덕론과 사람성주의는 서구의 개인주의나 기독교의 인간과 구별된다. 동학의 시천주를 이어 인격의 평등성과 개체의 영성을 확보하여 민중 도덕의 발현을 꿈꾼 철학이기 때문이다. 절차적 정당성과 제도의 합리성을 중시하는 현 민주주의 사회도 운용 주체에 따라 역사적 퇴행을 반복한다. 끊임없는 위계화가 인간의 본능적 욕구 중 하나라면 구태의연한 인습에 대한 ‘반항도덕’과 인격 본위의 도덕론은 우리에게 여전히 ‘지나간 미래’다. The First World War reflection on material civilization and mental culture sparked a discourse on morality.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morality" and the changes in its conception in the 1920s amid the spread of world reform and culturalism. Gaebyeok(開闢), published by Chondogyo(天道敎), was an enlightened magazine that encompassed the academic schools of the time, including literature, art, philosophy, science, and socialism. It is therefore useful for exploring the changing semantic networks and concepts of morality. Also noteworthy are the moral and ethical articles published in the magazine during this period. This is because scholars who had studied philosophy abroad utilized Western modern ethical theories to discuss ethical issues in Korean society. Chondogyo(天道敎), the successor to Donghak, claimed to be the religion that would take the lead in rebuilding the world. It emphasized the spiritual over the material because it recognized the realization of humanity as the task of the times. It faced criticism for neglecting social and structural issues, such as Korean nationalism and moralism. However, under Japanese religious policy and thought control, Gaebyeok(開闢) served as a public forum for socialism and led public opinion. Lee Don-hwa, who systematized the theory of Chondogyo(天道敎), declared the transition to person-based morality beyond the limits of the past morality based on relationships. Person-based morality and personhood are distinguished from Western individualism and Christian humanity. It is a philosophy that dreamed of the expression of folk morality by securing the equality of personalities and the spirituality of individuals, following Shi Tianzhu in Donghak. The current democratic society, which emphasizes procedural legitimacy and institutional rationality, also repeats historical regression depending on the operating entity. If constant hierarchization is one of our most instinctive human needs, then the "rebel morality(反抗道德)" of antiquated conventions and the moralism of personhood is still a "the past future" for us.

      • KCI등재

        조선 후기 학문 지형과 경전 해석의 변화 -다산과 혜강의 경전 이해를 중심으로-

        이행훈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3 泰東古典硏究 Vol.50 No.-

        The change in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in the late Joseon Dynasty made it difficult to fully accept the Chinese-centered world order. Joseon claimed to be precious as a bearer of civilization, putting the Chunchudaeui(春秋大義) and the Jonjuron(尊周論). Joseon’s Sinocentrism centered on culture, brought about changes in the academic landscape. With a sense of crisis for Dohak(道學) and Dotong(道統), he deepened the dogmatic harmony of Neo- Confucianism, and the study centered on the theory of mind formed a trend.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aimed at establishing the moral subject, an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thesis for each school, the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was developed. On the other hand, a group of intellectuals who experienced the Qing Dynasty’s cultural and property system crossed the ideological boundary of Huai(華夷) and promoted Bukhak(北學), which prioritized people's livelihood and practical use. In particular, Hong Dae-yong’s cultural pluralistic perspective, which discussed the relativity of culture at the cosmic level, led to a re-evaluation of the value of Joseon's history and culture, and opened the way for Silhak based on sincerity. In addition, the change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also showed the influence of Yangming Studies while re-questioning the origin of advanced Confucianism. Jeong Yak-yong took the method of interpreting the scriptures with the scriptures, but added his own views. The vast academic achievements did not stop at empirically arranging previous commentaries, but went on to a new interpretation of human nature. On the other hand, Choi Han-gi understood the change of academics in the past as the accumulation of empirical knowledge, and showed originality by taking the existing real world as a scripture, not a literal scripture. For Choi Han-gi, the scriptures were not texts and books, but rather the real world in motion. The thinking system of Unhwa and Gihak, which integrates the universe, nature and human beings, underpins this. Although Jeong Yak-yong and Choi Han-ki's understanding of the scriptures was different, a hermeneutical approach to the scriptures could be a path to explore th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of both, who were distinguished in the academic landscape of the late Joseon Dynasty. 조선 후기 동아시아 국제질서 변동은 중국 중심의 천하 질서를 온전히 수용하기 어렵게 했다. 조선은 춘추대의와 존주론을 앞세워 문명의 담지자로서 소중화를 자처했다. 문화를 중심으로 한 조선 중화주의는 학문 지형에 변화를 일으켰다. 도학과 도통에 대한 위기의식으로 주자 성리학의 교조화를 심화하였고, 심성론 위주의 학문이 하나의 추세를 이루었다. 조선 후기 성리학의 심학적 전개는 도덕 주체의 확립을 목표로 하였는데 학파별 논지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경전 해석학의 발달을 가져왔다. 한편 청의 문물제도를 견문한 일군의 지식인들은 화이의 이념적 경계를 넘어 민생과 실용을 우선시하는 북학을 발흥시켰다. 특히 우주적 차원에서 문화의 상대성을 논한 홍대용의 문화다원론적 관점은 조선의 역사와 문화의 가치를 재평가하게 하였다. 이 연구는 경전 해석이 훈고에 머물지 않고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데에 목적이 있었음을 정약용과 최한기를 통해 분석했다. 정약용은 경전으로 경전을 해석하는 방식을 취하였는데, 방대한 경학적 성과는 역대 주석을 실증적으로 정리하는 데 머물지 않고 인간 심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 나아갔다. 반면 최한기는 역대 학문의 변천을 경험 지식의 축적으로 이해하면서 문자적 경전이 아니라 현존하는 실제 세계를 경전으로 삼는 독창성을 발휘했다. 최한기에게 경전은 문자와 서적이 아니라 오히려 운화하는 현실 세계였다. 우주 자연과 인간을 하나로 통합하는 운화와 기학의 사유체계가 이를 밑받침했다. 정약용과 최한기의 경전 이해는 달랐지만 조선 후기 학문 지형에서 이채를 띈 양자의 철학적 특색을 탐색하는 데에 경전 해석학적 접근은 하나의 경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조선 중기 ‘격치’ 개념의 의미론: 『조선왕조실록』의 용례를 중심으로

        이행훈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4

        The concept of ‘Gyeokchi’ was interpreted and appropriated diversly across different schools and factions in the mid-Chosôn dynasty. The meaning scope of the word ‘Gyeokchi’ was expanded when the word was used in diverse schools among the mind (心學), the learning principles (理學) and Silhak (實學). For Chosôn Confucian scholars, 'Gyeokchi' was an important concept that embodied the political principles of Confucianism. This was because 'Gyeokchi' was a concept that realized the principle of Confucian politics, which considered moral values ​​to be more important in politics by expanding the main point of view of Confucianism. The performance and semantics of the concept ‘Gyeokchi’ appreciated across diverse schools and faction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eukmulchiji’ was the first stage of disciplines of kingship (帝王學). According to the concept, the rule of the monarch's heart was the very key to politics. Thus, acquiring true knowledge and correcting the mind of the ruler was considered as to be the beginning of politics. Second, learning reverence to make one's will sincere and to rectify the mind was emphasized as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tudy of sanctification. As the high value of The Great Learning was linked with the study that was cultivated from the heart and practicing the respect suggested in The Primary Learning and The Doctrine of the Mean, a chain link between science and psychology was created. Third, the idea that proper politics could be achieved by becoming a righteous man maintained in politics of the Chosôn Dynasty. Thus, correcting monarch’s mind was highly emphasized and the concept ‘gyeokchi’ became the standard to determine the value among rhetoric, ethics, classical studies and history. As a reference to the concept of ‘gyeokchi’, the righteousness and administration theory was established while discussing between the rule of ritual and the rule of law. Fourth, different schools of academy such as the principle learning, the mind learning and silhak intersected and were linked together within the semantic network of the concept of ‘gyeokchi’. Accodrding to the controversies on ‘Gyeokchi’, neo-confucianism in the mid-Chosôn Dynasty included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aspect such as the mind (心學), the learning principles (理學) and Silhak (實學) altogether, and the Clues to the psychologicalization of Neo-Confucianism that occurred in the late Chosôn Dynasty could also be found here. 『조선왕조실록』의 용례를 중심으로 조선 중기 ‘격치’ 개념의 의미를 분석했다. ‘격치’ 개념은 서로 다른 학파와 정파를 넘나들며 해석ㆍ전유되었고, 심학과 리학 그리고 실학의 경계를 교차하며 의미망을 확장했다. 특히 ‘격치’는 학문과 정사에서 본말론적 관점을 확대하여 의리경세론적 유교 정치 원리를 구현했다. 그 개념의 수행성과 의미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격물치지는 제왕학의 첫 단계였다. 내성외왕의 유교 정치 원리에서 군주의 마음공부가 중시된 건 논리적 귀결이었다. 둘째, 즉물궁리와 함께 거경궁리도 요청되었다. 성의정심의 경 공부가 성학의 시종으로 강조되었는데, 『대학』의 격물치지가 『소학』과 『중용』의 거경 함양 공부와 연동하면서 이학과 심학의 연환(連環)이 만들어졌다. 셋째, 정치에서 ‘격군심’, ‘지치주의’ 이념이 지속되었다. 격치 개념은 사장학과 의리학, 경학과 사학의 경중을 틀 지었고, 치심과 사공, 예치와 법치의 선후를 논하면서 의리경세론을 전개하였다. 넷째, ‘격치’ 개념의 의미망 안에서 리학과 심학, 그리고 실학의 연쇄가 일어났다. 사물의 참된 이치를 탐색하는 리학과 위정자의 치심을 위한 심학의 연환은 다시 시의와 실공을 추구하는 실학으로 연쇄되었다. 조선 성리학은 리학ㆍ심학ㆍ실학의 성격을 모두 내포하고 있었고, 조선 후기 성리학의 심학화 단서도 여기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1920년대 문명·문화 개념의 교차

        이행훈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9 개념과 소통 Vol.0 No.23

        The received understanding that civilization was more or less synonymous with the achievements of the modern Western world showed signs of faltering during the 1920s. The ravages of World War Ⅰ had prompted many to doubt the significance of historical progress towards civilization, and demanded a reconsideration of human nature and a reappraisal of what constitutes true civilization. The increasing pressure for social reforms and the burgeoning cultural movement led to the concept of ‘culture’ emerging as the core of the civilization discourse. The conceptual interconnections and semantic changes of the terms ‘civilization’ and ‘culture’ during this period provide an interesting and significant subject for historical semantics. Gaebyeok, the bulletin of Cheondogyo, is very useful in this context: it offers a variety of discourses by different individuals who had examined modern Western civilization and were seeking new directions for modernity. The various combinations of historical conception, subjects and objects of discourse, and methodologies allow recogni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subjects of speech and conceptual performance. In particular, this analysis emphasizes the semantic intersection of two conceptual frames: material-civilization vs. mental-culture. The boundary between these was still vaguely defined in the 1920s, and the frame of universal civilization and particular cultures gradually crystallized during this period. As the authority of universal civilization waned, the unique history and culture of each nation could emerge. A succession of books appeared on various themes, describing the distinctive traits of Joseon history and culture. Now that civilization was no longer seen as universal,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Joseon culture were concomitantly more evident, and Joseon’s national identity and singular cultural were perceived by contrast with those of other places. Writing about cultural history was more than the rectification of distortions imposed by Japan upon Joseon history: it was also a positive project on the part of the subject against colonialism. The reinvention of Joseon’s national culture, which was founded on a moral and ethical perspective, reflected the subject’s aspiration for recovery, which had been repressed by material civilization. 서구 근대의 성취를 보편으로 한 문명론은 1920년대에 들어서 흔들렸다. 세계대전의 참화는 역사의 진보와 문명의 발달에 대한 회의와 반성을 가져왔고, 인간의본질에 대한 자각과 문명의 향방에 대한 각성을 요청했다. 사회개조론의 유행과문화운동의 확산 속에 문화 개념이 문명 담론의 중심으로 부상했다. 이 시기 문명과 문화 개념의 상호 연관과 의미망의 변화는 역사의미론 탐구의 소재로 충분하다. 천도교 기관지인 『개벽』은 서구 근대문명에 대한 성찰과 함께 근대 전환의 방향을 모색하는 상이한 주체의 다양한 담론을 살펴보기에 유용한 자료다. 문명·문화를 중심으로 한 역사 인식과 그것을 추진하는 주체와 대상 및 방법이 일정하지않다는 사실에서 발화 주체와 개념의 수행성을 비교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물질-문명, 정신-문화의 개념틀이 직조되는 과정과 개념의 의미망이 상호 교차하는 지점에 주목했다. 정신을 근본으로 하는 문명·문화 담론에서 두 개념의 경계는 여전히 불명확한 상태로 남아 있었다. 한편 문명의 보편성과 문화의 특수성구도가 구체화한 것도 이 시기 개념 운동의 중요한 특징이다. 보편문명의 권위가해체되면서 민족 저마다의 역사와 문화가 들어설 자리가 마련되었다. 조선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주체의 시선으로 연구하여 고유한 특성을 기술한 다종의 문화사 출판이 연달았다. 문명의 보편성은 점차 형체를 잃어 갔으나 조선문화의 특수성은 보편성과 대비하여 구체화되었다. 조선의 민족적 정체성과 문화적 특수성은타자와의 대비를 통해 발현될 수 있었다. 문화사 서술은 일제에 의한 역사 왜곡을 바로잡는 과제만이 아니라, 식민주의에 맞서는 주체 기획과도 맞물려 있다. 도덕, 윤리를 본위로 하는 민족문화의 재발명은 물질문명에 빼앗긴 주체의 회복을 염원했다.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이행기 타자 이해와 소통구조

        이행훈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9 개념과 소통 Vol.2 No.1

        19, 20세기 동아시아는 문명과 야만의 야누스적 얼굴을 한 서구의 충격으로 전근대적 질서가 해체되고 근대적 세계 질서에 편입하게 된다. 급격한 사회·역사적 변동으로 요청된 이질적 타자에 대한 이해는 동시에 주체에 대한 새로운 자각을 야기하였다. 주체의 자각과 타자 이해는 소통의 전제가 된다. 그러나 타자에 대한 이해는 욕망하는 주체에 의해 이미지화될 뿐, 타자 그 자체가 될 수 없는 본질적 한계를 내재하고 있다. 특히 한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의 각 주체들은 자신의 문화·역사적 맥락에 따라 타자를 수용하는 방식을 달리하게 되고, 그 결과 한·중·일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각 주체들은 식민/반식민/제국의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된다. 소통의 측면에서 볼 때 개체의 욕망은 일종의 자기 재현과 자기를 중심으로 한 타자의 위계화로 구체화된다. 주체는 자신을 끊임없이 확장하고 타자를 통해서 이를 확인하려고 하는데, 만약 스스로 만들어 낸 위계 속에서 자신이 낮은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자신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분투한다. 주체는 이 과정에서 타자를 내재화하기도 하고, 타자에 무의식적으로 포획되거나 의식적인 동일시를 꿈꾸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욕망에 가로막힌 주체와 타자는 종종 스스로의 정체성을 고정·강화하면서 대립하고 길항하게 된다. 조선이 중화문명의 담지자로 자처한 것은 타자의 내재화로, 압도적인 서구 문명에 시선을 빼앗긴 주체들의 자기 부정과 타자와의 동일시 욕망은 타자에 포획된 주체로, 제국과 식민의 지배와 저항은 주체와 타자의 길항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동일시될 수 없는 타자에 포획된 주체와 타자를 통해 주체를 동일화하려는 욕망은 근대계몽 이성에 대한 신념과 서구 산업문명의 작동방식과 궤를 같이하며 전 세계로 확장되었다. 이 시기 '문명개화'와 '근대화'는 사회·역사적 당위규범으로 여겨졌으며, 이에 반하는 것들을 부정하고 폐기의 대상으로 간주하였다. 타자를 통해서만 자기를 증명할 수 있는 주체는 늘 불안할 수밖에 없다. 그 근원적 불안감과 자기 확장의 욕망은 일세계적 역사를 보편으로 강제했고, 문명의 진보라는 신화를 만들어 냈다. 자연적·지리적 경계는 근대 국민국가체제에 의해 영토로 선분화되었고, 역사적·문화적 공유 지점들은 단일성과 순수성을 이념으로 하는 민족으로 발명되었다. 근대 자본주의 시장경제는 근대 국가형성과 민족 발명에 견인차 역할을 하며, 제국과 식민, 지배와 종속을 고착화하였다. 역설적이게도 민족 담론은 제국과 식민 모두에게 동일화의 기제로 작동하였다. 개념과 소통에 대한 탐색은 현실의 질서를 합리화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에 함몰되어 황폐하고 불모화된 의식에 새로운 상상력을 불어넣는 것이어야 한다. 주체와 타자 사이에 경쟁과 힘의 원리가 우선시되는 한 진정한 소통은 불가능하다. 동일성의 원리로 환원될 수 없는 각 개체가 지닌 그 자체의 가치로서 '상호 동등함'을 인정하고, 서로의 차이가 접속을 통해 창조적인 역동성으로 전환될 때 진정한 소통의 장이 열리며, 주체와 타자 모두 공존과 상생의 길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nineteenth and the twentieth century, marked by the dismantling of traditional socio-cultural system, East Asia came under the modem -world system represented by the West. The rapid transition required East Asian nations to newly understand their others, and this simultaneously caused a new self-consciousness on the part of East Asians themselves. To communicate with others, one should understand others 'while being awake to one's own subjectivity. However, understanding of others has its innate limitation since others are always perceived as an image by the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mutual understanding, the image of others is reflected in the subject's interiority, linked to the subject's desire. Generally, the reflected images are shaped by the subject's self-representation, which often results in making grades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Perceived as inferior, or vice-versa from the subject's perspective. In this process, a subject can appropriate others or itself become their prize, illustrating the centrality of the subject-object relationship in this process. For example, the Chosŏn claim of being the keeper of Sinocentrism could be interpreted as an example of an appropriation of others, whereas the fact that the intellectual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regretted being Korean could be seen as an example of becoming the prize of others. In the East-Asian enlightenment period, westernization was regarded as a historical necessity and other possibilities were ignored. It was necessary for the subject to experience anxiety when it tried to prove itself through others. It was this very anxiety, and the desire for self-extension, that made the linear history universal. According to the nation-state system, the natural geographic peripheries became national borders, so that many marginal territories contrived to be national, being supposed to have a pure and singular culture in common. Playing the role of the locomotive of nation-state,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fixed the 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ire and the colony. Ironically, the discourse of nationhood functioned, simultaneously, as the mediator for identifying both empire and colony. Searching the right way to communicate should not be a rationalization of the present order but an imagination for better subject-object relationship. Mutual understanding is possible only when each subject understands the values of the other (or others), which cannot be reduced to an identical principle, and when the differences are regarded as normal and, thus, turn into creative dynamics. Only at that time can the subject and the object move along together and establish a real coexiste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