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산西山 김흥락金興洛의 문예인식文藝認識과 한시창작漢詩創作의 양상樣相

        황위주 한국국학진흥원 2016 국학연구 Vol.0 No.31

        Noting that previous studies very much neglected Kim Heung-rak, a representative figure in the Yeongnam area in the 19th century, this study examined his literary works and sought to find out his literary recognition and the overview of his creation. Kim Heung-rak was very proud to inherit the legitimate legacy of Toegye Doctrines. He thus put more efforts in maintaining and practicing the established theories than the development of new theories. His literary perception was on the extension of this academic tendency. He succeeded to the theory of regarding the way more essential than literature(道本文末論), dismissed the writings that pursued the beauty of form and expression, and pursued scholarly writing faithful to contents and integrity. His creation of Chinese poetry was also based on this academic tendency and literary recognition. As he inherited the Doctrines of Toegye-which were acknowledged widely academically-he preferred literary styles with clear representation even in Chinese poems such as with five words and seven words. Just as he rejected the new doctrines and respected the right theories, he totally dismissed the creation of new and miscellaneous poems. These literary perceptions were also reflected in subject matter and contents. He created a lot of memorial poems in order to practice Confucian ethics, and he enjoyed creating works that honored the learning attitudes of ancient sages, and their loyalty ad filial piety. He wrote a lot of works that expressed his self-examination on his study and his determination to live his life with integrity. This is a part of his pursuit for scholarly writing. Kim Heung-rak's literary recognition and creative style seemed to have had a great impact on the creative activities of later intellectuals in the Yeongnam region as his academic influence was enormous, but more specific contents should be further studied. 본고는 19세기 영남지역의 대표적 인물인 김흥락에 대한 연구가 대단히 소홀하였음을 주목하였다. 그리고 문집을 근거로 삼아 그의 문예인식과 한시 창작 양상을 구체적으로 밝혀보고자 하였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영남 유림儒林의 창작활동 실상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데 기여해보고자 하였다. 김흥락은 퇴계학의 적통을 계승한다는 자부심이 매우 강하였다. 그래서 새로운 이론의 전개보다 이미 확립된 정론定論을 견지하고 실천하는 데 더 큰 힘을 기울였다. 그의 문예인식은 이런 학문성향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도본문말론道本文末論을 온전히 계승하였고, 형식과 표현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글은 배격하였으며, 내용과 의리에 충실한 군자다운 글쓰기를 추구하였다. 한시창작 또한 이와 같은 학문성향과 문예인식을 바탕으로 하였다. 학문적으로 널리 공인된 퇴계학을 계승하고자 하였듯이 한시에서도 오언‧칠언 등 대표성이 뚜렷한 형식을 선호하였고, 신기新奇한 학설을 배격하고 정론定論을 존중하였듯이 신기新奇한 잡체시 창작은 일체 외면하였다. 제재와 내용에도 이런 문예인식이 그대로 투영되었다. 유교 윤리를 실천하는 차원에서 만시挽詩를 많이 창작하였고, 선현의 학행과 충절, 효행 등을 추모하는 작품을 즐겨 창작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공부를 성찰하고 지조 있게 살아가고자 하는 삶의 의지를 읊은 작품을 많이 썼는데, 이 또한 군자다운 글쓰기의 실천에 다름 아니었다. 김흥락의 문예인식과 창작양상은 그의 학문적 영향력이 막대했던 만큼 후대 영남지역 지식인들의 창작활동에 큰 영향을 끼쳤을 듯한데, 영향의 구체적 실상과 그 가치 평가에 대해서는 별도의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16세기 성주지역 학술계의 동향

        황위주(黃渭周) 한국국학진흥원 2018 국학연구 Vol.0 No.37

        본고는 15세기까지 성주지역 학술전통을 간단히 살펴본 다음, 16세기 당시의 동향을 초 · 중 · 후기 등 3시기로 나누어 점검해 보았다. 결과 성주지역 학술이 고려후기 이 지역에 세거해 온 호족 및 호장 계층이 사대부계층으로 성장하면서 본격화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성주이씨집안 인물의 활동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상황은 15세기가 되면서 크게 변화하였다. 성주이씨 집안의 주요 인물이 조선 개국에 적극 동참하여 중앙관료로 진출하고, 그들이 비운 자리를 영남 각지에 광범위하게 등장한 사림파 계열 지식인들이 들어와 대신함으로써 새로운 학풍을 진작시켰던 것이다. 16세기 성주지역의 학술은 바로 이런 변화의 연장선상에서 출발하였다. 지역적으로는 벽진 · 초전 · 선남 · 다산등지를 거점으로 하고, 성씨별로는 이전과 달리 이거移居‧우거寓居 등을 포함한 여러 집안이 다양하게 참여하며, 학술적으로는 김종직 제자 계열을 중심으로 사림파 경향성을 강하게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경향은 16세기 중반에 한 차례 더 변화하였다. 학술활동의 거점이 대가면‧수륜면 등으로 이동하고, 주요 인물 대부분이 이황과 조식의 제자 계열로 교체되었다. 그리고 사림파와 달리 학문적 성향이 강한 도학파를 지향함으로써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뚜렷한 학문적 성과를 거두었으며, 이를 통해 성주를 전국적으로 유명한 학문의 고장으로 주목받게 하였다. 그 중에서도 특히 경상 좌 · 우도의 학문을 두루 소통시킨 정구의 존재가 돋보였는데, 이 때문에 16세기 후기부터는 지역 전체가 정구의 문하로 모여들었으며, 17세기 이후에는 정구의 제자 집안에서 가학을 통해 이전에 확립된 학문전통을 계승해나가는 양상을 보였다.

      • KCI등재

        舫山 許薰의 삶과 學問性向

        황위주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1 남명학연구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ife and academic inclination of Huh Hoon(許薰), who was one of typical Confucian scholars in the Yeongnam(嶺南) region at the end of Daehan Empire. In his twenties, he gave up taking gwageo(科擧) examination and adhered to being a scholar out of government service until he died. Due to the influx of imperialist power waves of Japan and the West and the decree of the abolition of Confucian lecture halls, the basis of Confucianism was shaken to the root, but he did not rush into solving the problems in the real world. He tried to cope with the future of Confucianism by reading ancient sages’ writings and illuminating sound argument of tarnished moral philosophy. Because of this, the study that he aimed at wa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scholars in the Yeongnam region. He critically reflected on the realities of academic circles which were preoccupied with academic tradition that inquired into Neo-Confucianism excessively and emotional conflicts and he chose Geunginamin(近畿南人) school that distanced itself from those other schools as his academic basis. By so doing, he tried to indirectly contribute to resolving the crisis by seeking new studies that could agree with the essence of Confucianism and correspond to the reality. However, the situations at home and abroa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ere beyond the level to cope with the logic of Confucianism. So despite his lifelong efforts, he could not prevent the collapse of his family and the country, and this was the intellectuals’ limitations of the times. 본고는 한말 영남지역의 대표적 유학자 중 한사람이었던 許薰의 삶과 학문 성향을 파악하기 위해 집필한 것이다. 그는 20대 때 과거시험을 포기한 이후 세상을 떠날 때까지 재야학자의 길을 고수하였다. 일제와 서양 제국주의 세력이 물밀듯이 밀려들어오고, 서원철폐령으로 유학이 근본이 흔들리는 형국이 되었지만, 현실문제 해결에 직접 뛰어들려고 하지 않았다. 제자들이 현실문제 해결에 앞장서주기를 요청하였고, 동생들까지 모두 의병운동에 나서고 있는 형편이었지만, 이들을 적극 후원하기만 하였을 뿐, 전면에 나서는 것을 거절하였다. 선현이 글을 읽고 실추된 도학의 正論을 밝힘으로써 유학의 미래에 대처하려 했던 것이다. 이 때문에 그가 지향한 학문은 여타 영남지역 학자들과 차이가 있었다. 性理學을 지나치게 천착하는 학풍을 곱지 않게 보았고, 감정대립에 골몰하고 있던 지역학계의 현실을 안타깝게 생각하였으며, 이들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던 근기남인학파를 자신의 학문적 근거로 선택하여 유학의 본질에 충실하면서도 時宜에 부합할 수 있는 義理學을 새롭게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학문성향은 먼저 근기와 영남 학계를 두루 아우를 수 있는 퇴계학의 존숭으로 표출되었고, 성리학의 이론 영역에 있어서는 퇴계를 내세워 학파 간 분열을 극복하고자 하였으며, 기타 분야에서는 근기남인학파의 실천적 학풍을 비교적 성실하게 구현하여 난국의 타개에 간접적으로 기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19세기말 국내외 정세는 이미 유학의 논리로 대응할 수준을 훨씬 넘어선 상태였다. 그래서 평생에 걸친 노력에도 불구하고 집안과 나라가 모두 몰락하는 불행한 상황을 막지 못하였으니, 근대 전환기 지식인의 시대적인 한계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