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교회사학회지」에 게재된 16세기 교회사 논문 분석 평가 및 방향제시

        김선영 한국교회사학회 2020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5 No.-

        본 논문은 「한국교회사학회지」에 게재된 16세기 교회사 관련 논문 78편 을 분석하고 평가했다. 1979년 창간호부터 가장 최근인 2019년 8월까지 모두 53권이 발간되었다. 이 53권에는 모두 425편의 논문이 실려 있는데, 16 세기 교회사 관련 논문이 78편으로 18.35%에 해당한다. 이 78편의 논문은 모두 16세기 프로테스탄트 개혁을 다루고 있으며, 대부분 그 핵심 인물 몇 몇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루터 관련 연구가 43편이고 칼뱅 관련 연구가 15편이다. 이러한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나서 본 논문은 16세기 교회사와 관련된 연구 영역이 크게 확장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면서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This paper analyzes and evaluates the 78 articles addressing Christianity in the 16th century, which appeared in the Journal of the Church History Society in Korea. A total of 425 articles were published in 53 volumes of the journal between 1979 and 2019, meaning that 18.35% of these 425 articles concern Christianity in the 16th century. It is noticeable that all 78 articles focus on the Protestant Reformation and predominantly on several of its main figures: 43 related to Martin Luther and 15 related to John Calvin. Taking into account these current research trends, this paper suggests several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emphasizing the need to significantly expand the research areas.

      • KCI우수등재

        현재의 글로벌화는 `1571년`에 시작되었는가?-`16세기 글로벌화기원론`에 대한 비판적 평가-

        현재열 ( Hyun Jae-youl ) 한국서양사학회 2017 西洋史論 Vol.0 No.132

        많은 역사가들은 16세기 이후 은을 비롯한 여러 상품의 세계 전역에 걸친 교역활동의 전개를 통해 `세계경제`가 등장했다는 점에 대체로 동의해 왔다. 이 16세기 은 교역의 전개와 세계경제 등장에 대한 논의에서 학술적으로 큰 공헌을 한 이로 데니스 플린과 아르투로 히랄데즈(Dennis O. Flynn & Arturo Giraldez)가 있다. 이들은 세계 은 교역을 국제경제에 적용하는 거시경제적 시각이 아니라 실물적 측면에서의 미시경제적 시각에서 접근하여 세계 은 교역의 메커니즘을 수요·공급의 법칙에 입각해 설명하는 데 기여를 했고, 아울러 세계시장의 형성을 `수많은 지역시장의 통합`으로 설명함으로써 세계경제의 등장에 대한 이해에도 크게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플린과 히랄데즈는 2000년대를 전후해서부터 16세기 세계경제의 등장이 오늘날의 `글로벌화(globalization)`의 기원이라는 주장을 강력하게 제기해 왔다. 그들은 세계 무역의 연결관계에서 만이 아니라 16세기 이후 `전 지구적인` 생태학적·병리학적 연결관계의 등장을 주요 근거로 삼아 16세기부터 글로벌화가 시작되었음을 주장하였다. 이 글은 플린과 히랄데즈의 이런 16세기 글로벌화 기원론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하는 비평 글이다. 먼저 논의의 출발로서 플린과 히랄데즈의 글로벌화 정의를 오늘날의 글로벌화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비교하여 그들의 정의가 가진 문제점들을 밝혔다. 둘째, 16세기 세계경제의 등장을 글로벌화의 기원으로 보는 플린과 히랄데즈의 주장을 전 지구적 `통합(integration)`과 `연결(connection)`이라는 측면에서 검토하여 16세기 등장한 `세계경제`가 오늘날의 글로벌화에서 제시하는 전 지구적으로 균일하고 일체화된 통합 및 연결과는 그 정도에서 훨씬 못 미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특히 그들의 전체 논의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근대 초기(근세) 동아시아 경제의 실상을 근거로 그들의 주장이 가진 한계를 밝혔다. 이런 과정을 통해 플린과 히랄데즈의 16세기 글로벌화 기원론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16세기 세계경제의 등장 이후 오늘날까지의 전개에 대해 질적 전환을 충분히 고려한 신중한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The historical scholars have generally agreed on the emergence of `world econom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rades in many goods (including silver) across the world, beginning from the 16th century. Among them, Dennis O. Flynn and Arturo Giraldez, the economic historians of the U.S.,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e academic scholarship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world silver trade and the emergence of world economy in the 16th century. However, Flynn and Giraldez have powerfully put forward the suggestion that this emergence of the world economy was the origin of today`s globalization since around 2000`s. They have suggested that globalization was born in the 16th century not only in terms of the connections of world trades, but also on the ground of the deployment the world-wide ecological and epidemiological connections. This paper is a critical essay about the argument of the 16th century`s globalization birth by Flynn and Giraldez. To begin with, it considers the definitions of terms, such as `world economy`, `global economy`, `globalization`, etc., and arrange conceptually the world economy and the globalization. Secondly, it clarifies their main arguments concerning the 16th century`s globalization birth by comparing their definition of globalization to other definitions. Thirdly, it approaches their arguments in three dimensions: the definition of globalization, the actual nature of the emerging world economy in the 16th century, and the extents of its integration and connection. Through these examinations, this paper discloses the problems of their argument regarding the birth of globalization in the 16th century,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to approach more cautiously the emergence of world economy by giving sufficient consideration to its qualitative transformations from the 16th century till toda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6세기 중·후반 조선 관요 운영 시기 및 제작 양상 연구 – 가마터 출토 명문백자를 중심으로 –

        김경중 한국문화유산협회 2012 야외고고학 Vol.0 No.15

        경기도 광주 관요는 16세기 전반에 도마리나 열미리, 학동리에 설치·운영된 것 으로 추정되나 운영시기는 명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최근에 16세기에 운영된 것으로 알려진 무갑리 14호와 곤지암리 1호 가마터 일원에 대한 발굴조사와 관음리 10호 가 마터 수습유물, 그리고 번천리 9호 가마터에서 수습된 묘지명의 재해석을 통해 1530 년대 후반 이후의 관요 이설경로와 운영시기를 추정할 수 있게 되었다. 1530년대 후 반부터 1540년대 초까지 운영된 우산리 9호 가마 일원을 시작으로 무갑리 14호 일 원(1540년대 중반~1551년), 번천리 9호 일원(1552~1558년)으로 이설되고, 이 후 관음리 10호 일원(1559~1560년대 후반)에서 곤지암리 1호 일원(1570년 전후 ~1570년대 중반)으로, 그리고 대쌍령리 1호 일원(1570년대 후반~1580년대 초), 무갑리 10호 일원(1580년대 중반~1590년대 초) 정지리 3호 일원(1590년대 중반 ~) 순으로 관요가 이설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1560년대 후반까지 운영된 것으로 판단되는 관음리 10호 가마터에서 ‘地’銘이 ‘左’·‘右’銘과 함께 수습되어, ‘左’·‘右’銘백자가 1560년대부터 제작되었음을 확인한 점과 경복궁 함화당지 출토 백자 중에 굽 안바닥에 ‘左’가 음각되고 ‘地’가 정각된 것이 수습되어 이들 명문이 일정기간 공존하였음을 확인한 점은 성과라 할 수 있다. 뿐만 아 니라 어영청지나 종묘 등지에서 ‘宇’銘이 음각된 백자편이 출토된 점으로 볼 때 ‘天’· ‘地’·‘玄’·‘黃’銘 외에 다른 글자가 음각된 백자가 관요에서 생산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발굴조사된 16~17세기 관요 자료를 토대로 16세기는 가마 2기 이상이 인접해서 양질백자와 조질백자로 나누어 생산하였으나 17세기에는 1기의 가마가 양질 백자와 조질백자를 필요에 따라 같이 생산하였음을 가마의 배치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처럼 이번 연구를 통해 16세기 중·후반 관요의 운영시기와 제작양상이 확인됨으 로써 16~17세기 관요에서 생산된 백자의 기형과 가마 구조가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좀 더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관요백자와 지 방백자의 비교를 통해 지방백자의 편년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토대도 마련 되었다. It has now become possible to estimate the relocation path and operating time of the Royal kilns after the late 1530s due to the excavations on Mugap-ri Kiln No. 14 and Gonjiam-ri Kiln No. 1, the ceramic assemblage from Gwaneum-ri Kiln No. 10, and the reinterpretation of the epitaph from the Beoncheon-ri Kiln No. 9. From the latter-half of the 1530s until the early 1540s, Woosan-ri Kiln No.9 was in operation. Then Mugap-ri Kiln No.14 (the mid-1540s~1551), Beoncheon-ri Kiln No.9 (1552~1558), Gwaneum-ri Kiln No.10 (1559~the latter-half 1560s), Gonjiam-ri Kiln No.1 (before and after 1570~the mid-1570s), Daessangryeong-ri Kiln No. 1 (the latterhalf 1570s~the early 1580s), Mugap-ri Kiln No.10 (the mid-1580s~the early 1590s) and Jeongji-ri Kiln No. 3(the mid-1590s~) came into operation, in that order. In particular, as porcelain vessels engraved with the characters ‘地’, ‘左’ or ‘右’ were found at Gwaneum-ri Kiln No.10, it has become evident that white porcelain engraved with ‘左’ or ‘右’ was produced since the 1560s. It was also possible to ascertain, based on porcelain vessels engraved with both ‘左’and ‘地’ found at the Hamhwadang site at Gyeongbok Palace, that there was a time when both ‘左’ and ‘地’ were used together. Furthermore, '天', '地', '玄', '黄', as well as the character '宇', were found to be engraved on the porcelain vessels. In the 16th century, more than two adjacent kilns were in operation at the same time, and each kiln produced, exclusively, high quality white porcelain or low quality white porcelain. However, in the 17th century, a single kiln produced both high quality and low quality white porcelain as needed. Through this study, the operating time and production aspects of the Royal kilns in the 16th century could be confirmed. It has also made it possible to analyze more systematically how the porcelain vessel types and kiln structure of the Royal kilns changed from the 16th to 17th century. Also with the comparison of the white porcelain of the Royal kilns and local kilns, it will contribute to the chronology of the white porcelain vessels of local kilns.

      • KCI등재후보

        16세기 사림파 문인의 문학사회학적 인식 지평과 문학생성 공간의 연구

        정출헌(Chung Chul Heo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7 동양한문학연구 Vol.24 No.-

          16세기 전반 사림파 문인을 단순한 학자 또는 문사로만 부르기엔 부족하다. 오히려 사회 변혁을 위해 분투하던 실천적 관료에 가깝다. 본고에서는 이런 전제 하에 己卯士林으로 명명되기도 하는 ‘젊은’ 그들, 바로 初期士林派의 현실인식과 문학창작의 실천을 밝히고자 했다. 그리하여 우리는 잠정적이긴 하지만, 다음 세 가지 결론에 도달했다.<BR>  첫째, 16세기 사림파 문인이 지니고 있던 현실인식과 문학론의 실체이다. 그들은 자신의 개혁적 이상과 기존의 載道論的 文學論을 결합하여 독특한 문학사회학적 지평을 구축하고 있었다. 小學에서 제시한 ‘성리학적 이념’을 문학은 교화의 도구라는 ‘교화론적 문학관’과 굳게 결합시키고 있었던 것이다.<BR>  둘째, 16세기 사림파 문인의 이런 문학사회학적 인식은 향촌사회라는 현실공간과 만나게 되면서 기존의 문제의식과 그 실천방안을 보다 정치하게 가다듬을 수 있게 되었다. 長子 중심의 상속제도 변화에 따라 향촌사회에서 점차 심화되고 있던 형제간의 갈등에 주목하게 된 것은 그 대표적 사례이다.<BR>  셋째, 16세기 사림파 문인이 추구한 ‘문학적 감동’과 ‘사회적 교화’의 결합을 통한 문학창작 행위를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중국 白話小說을 ?案한 〈五倫全傳〉이 있다. 이 작품은 ‘서사적 감동’과 ‘교화적 목적’이 어우러져 16세기만의 독특한 미적 성취를 이룩하고 있다. 이런 창작 실천은 17세기 후반에 쏟아져 나오기 시작한 〈사씨남정기〉ㆍ〈창선감의록〉, 곧 흥미와 교화가 미묘하게 엇갈리는 지점에서 창작?유통되던 閨房小說의 산출기반을 구축하고 있었던 것이다.   It is not very appropriate to call the early 16th century confucian scholars simple scholars or literary people. They are more like practical government officials who would rather struggle for social reforms. With this presupposition this study is to elucidate recognition of reality and practice of creative writing of those early Sarim school or young scholars of Gimyo Sarim. Thus, following three conclusions were drawn potentially.<BR>  The first conclusion is about the substance of literary theory and recognition of reality of the 16th century Sarim school scholars. They were establishing unique literary sociological horizon by combining their own reform ideal and existing literary theory of moral value. They combine the ideology of Neo-confucianism by the book Sohak, teachings of Zhu xi with educational literary viewpoint, in which they consider literature as instrument of education.<BR>  Second, the literary sociological cognizance of the 16th century Sarim school scholars encountered real space, which is rural villages and could put existing problematic consciousness and its practical methods in order. A representative instance is that they paid attention to worsening brotherly conflic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right of primogeniture in the rural communities.<BR>  Third, Oryun jeonjeon, or adaptation of colloquial Chinese novel, shows creative literary activity through combination of literary impression and social education, which is pursued by the 16th century Sarim school scholars. The work joined narrative impression and educational purpose so that it could accomplish unique aesthetic achievement of the 16th century. The creative practice founded the basis of literature for women of Joseon Dynasty, which was written and circulated in the late 17th century when interest and instruction were crossed subtly, such as Sassi-namjeonggi and Changseon- gameuirok.

      • KCI등재

        16세기 사찰판 불서 간행의 증대와 그 서지사적 의의

        손성필 한국서지학회 2013 서지학연구 Vol.54 No.-

        Bibliographical analysis on the existing Buddhist texts from the Joseon Korea suggests that the Buddhist society in the 16th century experienced a significant increase in quantity of published materials. In the 16th century, a great number of Buddhist texts were published and this period can be called as the era of Buddhist publication in the entire history of the Joseon Korea. In the 1530s, a significant quantity of Buddhist text was published and it was quadrupled compare to the earlier period. The size of Buddhist publication stayed unchanged till 17th century. In 20 years from 1570s to 1580s, before the 1592 Invasion of Hideyoshi, the publication quantity was doubled and a massive amount of Buddhist book was published during that time. Existing accounts of Buddhist history and general understandings of bibliographical history can not properly explain this phenomenon, the increase of Buddhist publication at the time. When one considers the publishing fashion of Confucian texts and Chinese publishing trend at the time,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 16th century witnessed the general increase of publication and popularization of boo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overall examination of the expanding tendency of the publication in the 16th century and elucidate its significance of the history of publishing culture. 본고에서는, 조선시대에 간행된 불서의 간행 시기를 분석함으로써, 16세기에 사찰판 불서의 간행량이 크게 증대되었음을 밝히고, 그 서지사적 의미에 대해 시론하였다. 현존 조선시대 불서의 간행 시기 분석을 통해 볼 때, 16세기에 사찰판 불서의 간행이 크게 증대되었다. 중종중반인 1530년대에 그 간행이 4배 가량 증가하여 17세기까지 그 간행량이 대체로 유지되었으며, 특히 임진왜란 전인 1570~80년대, 선조 전반은 증가된 간행량의 두 배에 이르는 불서가 간행된 시기로서, 조선시대를 통틀어 불서 간행이 가장 활발한 시기였다. 16세기가 임진왜란 이전임을 고려한다면, 16세기는 17세기에 비해 더 많은 불서가 간행된 시기였을 가능성이 큰 한편, 불서 간행이 뚜렷한 증가 추세인 시기였다. 이는 중종대와 선조전반이 불교계의 극심한 침체기였다고 하는 일반적인 조선시대 불교사 인식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이므로, 근래에 불교사적 관점의 해명이 시도되고 있기는 하나, 서지사적 관점에서도 그 의미가 해명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四書의 간행량 추이, 서적 간행과 보급에 관한 당대의 기록, 유교전적의 간행 경향, 중국의 출판물 간행 추이 등을 통해 볼 때, 16세기는 불서 뿐 아니라 서적의 간행과 보급이 전반적으로 크게 확대되기 시작한 시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16세기 사찰판 불서 간행의 증대는 16세기에 서적 간행과 보급이 전반적으로 확대되고 있었다는 데 대한 근거인 동시에, 그러한 거시적인 문화사 변동에 따라 나타난 현상이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곧 개별 판본과 인쇄기술 중심의 연구, 유교서 중심의 조선시대 서지사 이해로는 해명하기 어려운 현상이므로, 서지문화사적 관점에서 그 양상과 의미가 종합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율곡의 『순언』에 대한 고찰 - 16세기 조선 시대문화의 전개와 연관하여 -

        윤천근 ( Youn Cheun Guen ) (사)율곡연구원 2021 율곡학연구 Vol.46 No.-

        『순언』은 이이 공부의 중심에 놓여지는 책은 아니다. 『순언』 속에 담긴 정서는 율곡 이이의 시대, 16세기 조선의 문화지형을 바탕으로 하는 것도 아니다. 그런 점에서 『순언』을 살펴보는 것은 나름의 한계를 갖는 것이기도 하다. 16세기 조선은 성리학적 문화지형, 주자근본주의를 강화 심화시켜 나가는 시기이다. 16세기 조선은 13세기에서 14세기를 넘어가며 진행된 고려와 조선의 문화적 선택을 상속받고 있다. 조선은 이미 유학의 나라를 선언하고 출발하지만, 유학적 문화지형의 토대를 갖추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조선의 전 역사과정을 통해 이 문화지형의 토대를 갖추는데 16세기만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때도 없다. 16세기 조선의 문화지형을 대표하는 두 인물을 들자면,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를 말할 수 있다. 이 두 인물은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이 시기 조선의 주자 중심적 성리학 문화지형을 완성하여 나갔다. 이들은 조선의 성리학적 문화지형의 건설자로 불리워질 수 있다. 그런 시대의 두 인물 중 한 사람, 율곡 이이에게서 『순언』 같은 책이 나온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순언』은 이이의 눈으로 노자 『도덕경』 전편을 요약하고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몇 몇 구절에 관심을 표명하는 것이 아니라, 전편에 두루 시선이 미친다는 것은 이 책에 일정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여 진지하게 탐구하였다는 이야기가 된다. 조선 지식사의 년표 속에서 도가사상에 대한 본격적 연구를 제출하여 놓고 있는 처음 자리에 이이가 놓여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조선의 16세기에서, 다른 사람도 아닌 이 시기의 큰 선생 중의 하나인 이이가 수행하였다는 것은 그 자체가 하나의 중요한 탐구 대상이 될 만 하다. 이것은 개인과 문화, 시대문화와 개인의 문화적 자유 같은 것에 대한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16세기 조선은 각 사대부 가문마다에서 유학 공부를 본격적으로 시키기 시작하는 때이다. 큰 선생도 있는 시기이고, 많은 제자, 전 시기에는 없었던 규모의 많은 제자들이 출현하는 시기가 이 때인 것이다. 이 시기 사대부 가문의 아이들은 어려서부터 이미 유학의 사람으로 체계적인 교육을 받고 있다. 율곡 이이에게서도 우리는 그 점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율곡 이이는 이미 초년교육을 통해 유학적 의식을 갖춘 상태에서 유학의 세계 밖으로 걸어나오는 지적 모험을 감행한다. 불교로, 노자로, 그의 발걸음은 펼쳐지는 것이다. 노자를 향한 그의 지적 탐색의 역정이 만들어 낸 것이 『순언』이다. 『순언』 속에는 이미 유학적 식견을 갖춘 이이의 시 선이 있고, 또 노자의 시선을 통해 세계를 이해하여 보고자 하는 노력도 있다. 그 둘은 서로 뒤엉켜 있어서 구분하기 어렵다. 그러나 『순언』의 세계를 통과하여 이이는 유학 밖의 세계로 걸어나가지는 않는다. 그는 이미 유학의 사람으로 육성되었고, 그는 주자근본주의를 심화 확장 시켜 내고 있는 시대문화 속에 놓여진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의 그의 지적 모험은 탈주의 모습을 띄는 것이 아니라 외출의 양상을 갖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그가 『순언』을 비롯하여, 유학 또는 주자 밖에 놓이는 지식세계를 널리 탐색하였던 것은, 그 자신의 지식의 역정 속에서 그 진리를 보다 순결한 것으로 만들어 갖기 위한 노력을 치열하게 전개시킬 수 있도록 이끌어 갔던 주요한 자산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Soon Eon』 is not a book that is placed at the center of Lee Yi's study. The emotions contained in 『Soon Eon』 are not based on the cultural topography of Joseon in the 16th century, the era of Yulgok Lee Yi. In that respect, looking at 『Soon Eon』 is also a limitation of its own. The 16th century of Joseon, it was a period of strengthening and deepening Neo-Confucian cultural topography and Zhu Xi fundamentalism. It has never played an important role as much as the 16th century in laying the foundation for this cultural topography throughout Joseon's entire history process. To name two people representing the cultural topography of Joseon in the 16th century, Toegye Lee Hwang and Yulgok Lee Yi can say this. These two people moved forward and backward, completing the cultural topography of Neo-Confucianism centered on Joseon during this period. It is surprising that one of the two people of such a period, Yulgok Lee Yi, comes out with a book like 『Soon Eon』. 『Soon Eon』 is a book that summarizes and explains the entire book of Lao-tzu 『Do-deok-gyeong』 with Lee Yi's eyes. Rather than expressing interest in a few verses, the fact that the eyes are all over the previous book takes a certain amount of time. This work was carried out in the 16th century of Joseon by Lee Yi, one of the great teachers of this period, not anyone else, it itself deserves to be an important object of inquiry. This makes me think a lot about things like individuals and cultures, the culture of the times, and individual cultural freedom. In the 16th century, Joseon began to study Confucianism in earnest in each family for their children. During this period, children from the noble family were already educated as people studying Confucianism from an early age. Even in Yulgok Lee Yi, we can clearly confirm that point. However, Yulgok Lee Yi is walking out of the world of studying from home with a Confucian consciousness through initial education. His steps unfold to Buddhism, Lao-tzu. it is 『Soon Eon』 that his passion for intellectual exploration toward Lao-tzu created. In 『Soon Eon』, there is a gaze of Lee Yi, who has already studied Confucianism, and there is also an effort to understand the world through Lao-tzu's gaze. The two are intertwined, making it difficult to distinguish them. However, through the world of 『Soon Eon』, Lee Yi does not walk outside of studying Confucianism. This is because that he has already been nurtured as a man of study Confucianism, and he was a person placed in the culture of the times that was deeply expanding of the Zhu Xi fundamentalism. That's why his intellectual adventure does not appear to be a departure, but merely a pattern of going out. However, he explored the world of knowledge that was placed outside of studying Confucianism, including 『Soon Eon』, it can be said to be a major asset in the midst of the fervor of his own knowledge, lead him to fiercely develops efforts which made the truth more pure.

      • KCI등재후보

        16세기 일기문학에 나타난 사대부들의 신이담론과 소설사의 관계

        조현설(Cho Hyun Soul) 동악어문학회 2008 동악어문학 Vol.51 No.-

        이 논문은 16세기 소설사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기 위해 사대부들의 일상생활과 일상에 나타난 그들의 의식세계에 주목하여 사대부들의 신이기호적 일상이 소설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해명한 것이다. 그간 사대부들의 정신세계에 대한 우리의 관습적 이해는 경직된 주자주의자의 면모 정도였다. 특히 사화를 겪으며 정치와 문화의 주도권을 잡은 16세기 이래 사림의 이미지가 그러하다. 그러나 16세기의 사대부들의 일기는 그들 역시 자신들이 내세운 이념과는 달리 신이문화에 여전히 한 발을 담그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16세기 사림들은 유가적 이념을 내세워 헤게모니를 잡았지만 이념의 전선에서 물러난 일상의 현장에서는 하층 민중들과 마찬가지로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점을 치고, 굿을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문건의 『묵재일기』와 유희춘의 『미암일기』는 그것을 증언해주는 좋은 자료이다. 이런 일상적 신이문화는 16세기 초 채수의 「설공찬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설 창작의 자료로 원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창작과 유통을 추동하는 유력한 문화적 토양이 된다. 이 같은 문화적 조건과 소설의 상관관계를 좀 더 확장해 나가면 『묵재일기』나 『미암일기』에 나타난 신이기호적 일상은 당대의 다른 작가들에 의해 창작된 전기나 몽유록의 문화적 토양으로 작용했으리라는 추론에 이를 수 있다. 이들 일기에 보이는 점복담ㆍ치병굿과 전기, 또는 해몽담과 몽유록의 서술형식이 대단히 유사하고, 서술형식의 배후에 드리워져 있는 탈유가적 인식론이 동질적이기 때문이다. 이런 유사성과 동질성이야말로 당대의 소설부 정론을 넘어 소설이 확산될 수 있었던 문화적 조건이었다. To explain a history of fiction of the sixteenth century, I take notice of daily life and consciousness of the gentry(士大夫) in this paper. I think our understanding about their consciousness was such a degree of rigid confucianist's features. But the gentry's diary written in the sixteenth century, when confucianist took the leadership in culture and politics through a massacre of scholars, tells us a different story. They were dipping their one foot in shamanistic culture unlike their ideology. That was not different from a people's daily life of the day. Their daily life with shamanism had a deep relationship with creation of Chuanqi(傳奇), Mongyurok(夢遊錄). I think that this paper explaining their relationship will be a significant opening up a new field in researches of a history of fiction of in the 16th century. And also it will apply to examine a history of fiction of other period closely hereaf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