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 동아시아 전통문화 속의 죽음과 사후관; 해골, 죽음과 삶의 매개자

        조현설 ( Hyun Soul Cho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9 No.-

        주인공이 해골을 잘 모셔 복을 받는다는 해골보은담은 조선 후기 패설집에 수록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민담, 무가(무속신화) 등의 형식으로 민간에 널리 전승되던 이야기 유형이다. 해골보은담에는 기본적으로 해골을 함부로 다뤄서는 안된다는 인식, 곧 죽음을 잘 모셔야 한다는 민간의 집단인식이 표현되어 있다. 해골보은담에서 해골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모셔진다. 집 안에 모시는 것이 하나라면 다른 하나는 집 밖에 매장하는 방식이다. 전자가 접촉의 법칙(인접성)에 기반한 감염주술과 관련이 있다면 후자는 유사의 법칙(유사성)에 기초한 동종주술과 관련이 있다. 전자는 죽음과 직접 접촉하면서 죽음이 삶에 개입하도록 하는 방식이라면 후자는 죽음이 간접화되면서 꿈과 같은 형식으로 삶에 개입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전자가 환유적이라면 후자는 은유적이다. 양자는 역사적으로 공존하기도 했지만 전자에서 후자로의 이행이 일반적이고, 후자는 중세사회에 들어와일반화된 것으로 보인다. 또 전자는 제도적으로는 폐기되었지만 의식적으로는 또는 담론적으로는 후자와 더불어 부분적으로 지속되고 있다. 해골은 일차적으로는 죽음을 상징한다. 하지만 해골은 죽음 상징에 머물지 않는다. 해골은 역설적으로 풍요와 재생을 삶의 영역에 선물한다. 해골은 재생 상징을 동시에 감추고 있다. 그러나 죽음 상징이 재생과 풍요라는 2차적 상징으로 전이되도록 추동하는 힘은 생자들에게 있다는 것이 해골보은담의 전언이다. 죽음의 화신으로 삶 속에 들어와 죽음과 삶을 이어주고 삶을 증식시켜주는 해골은 죽음에 대한 민속문화의 역설적 인식을 잘 보여준다. A skeleton repayment tale is the story type that a hero is received a fortune by a skeleton for the worship. This kind of tale has been transmitting for a long time in the form of folktale, a shamanist narrative song, Paeseol and so on. A skeleton is deified in two forms in a skeleton repayment tale. One is deified inside the house, the other is deified outside the house, that is buried underground. The former is related to contagious magic, while the latter is related to homoeopathic magic. The former is a form that a worshiper directly contacts with death, while the latter is a form that a worshiper indirectly contacts with death through like a dream. And the former is metonymical, while the latter is metaphorical. These two forms coexist historically. But the progress from the former to the latter is general. A skeleton is basically the symbol of death. But paradoxically a skeleton gives a present called reproduction or abundance to an area of life. A skeleton has two symbolic meanings called death and reproduction together. But the message of a skeleton repayment tale is that a living person hold the power of making a secondary symbol, that is a reproduction symbol. A skeleton repayment tale well expresses the group consciousness that we must handle death wel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구술 서사와 소수자의 정의

        조현설 ( Cho Hyun-soul ) 한국고전문학회 2018 古典文學硏究 Vol.54 No.-

        구술 서사는 소수화된 존재들에게 오히려 지혜가 ‘있다’고 이야기한다. 구술 서사는 소수자들에게 호랑이나 도깨비와 같은 비현실계의 도움이 ‘있다’고 이야기한다. 구술 서사는 삶의 최종심급에서는 저승과 같은 초현실계의 도래가 ‘있다’고 이야기한다. 구술 서사는 소수화된 존재들에게 ‘있는’ 것들이 이들 존재들에게 닥친 불행을 수정할 수 있다고 말한다. 구술 서사는 소수자들에게 ‘있는’ 것들이 개인적 혹은 집단적 불의에 의해 초래된 그릇된 현실을 바로 잡아 준다고 말한다. 소수자의 정의는 하나의 서사 단위 안에서 소수자들에게 ‘있는’ 것들에 의해 그릇된 현실이 바로잡혔다고 이야기될 때, 바로 그때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관계들의 효과에 붙이는 이름이다. How is justice for minorities achieved in oral narratives? Oral narratives tell us that those who are marginalized, and therefore form a minority, in fact possess wisdom. In oral narratives, minority characters receive the help of the fantastical world in the form of things such as tigers and goblins, and these narratives ultimately suggest the arrival of surreal worlds such as the netherworld. Folktales tell us that what minority beings 'have' help to rectify the misfortune of these beings and a reality that has been warped by personal or communal injustice. Minority justice is a term used to describe the impact of the relationships that appear and disappear when a distorted reality is temporarily corrected within a story.

      • KCI등재

        제주 본풀이에 표현된 집단기억과 제주인의 정체성 연구

        조현설 ( Cho Hyun-soul ) 한국고전문학회 2020 古典文學硏究 Vol.58 No.-

        본풀이는 무엇인가? 본풀이는 굿에서 모시는 신들의 내력을 이야기로 풀어내는 것이지만 그 이야기는 결국 인간들의 이야기다. 제주의 본풀이는, 스스로는 영주라고 일컫지만 고려 충렬왕 이래 제주로 불리는 섬에서 살아온 내부식민자들의 이야기다. 이 이야기는 장기간의 구전 과정에서 선택과 배열을 거쳐 형성된 이야기이고, 따라서 집단의 기억을 담고 있다. 이 집합기억은, 지금도 굿의 현장에서 재현되는 본풀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주인의 정체성을 구성하고 문화적 무의식을 형성한다. 본풀이와 정체성을 연결하는 서사적 코드는 외부다. 도래하는 외부의 힘에 대한 제주인들의 태도가 정체성을 표현하고 구성한다. 이 태도는 크게는 저항과 협력으로 계열화될 수 있다. 저항에는 의식적·정치적 저항, 무의식적·비정치적 저항이 있다. 제주목사의 요청을 받아들여 가뭄을 해소하는 <고대장본>의 고대장 심방, 목숨을 걸고 금부도사와 대결하는 <양이목사본>의 양이목사가 전자의 사례이고, 입도한 외래신에 대한 무의식적 배척을 보여주는 <여드렛당본>의 토착신들이 후자의 사례이다. 협력에도 자발적·능동적 협력, 비자발적·수동적 협력이 있다. 임신한 광청아기를 살해한 <광청아기본>의 뱃사람들, 대국을 치려는 부대각의 눈을 멀게 한 <부대각본>의 부씨 집안, 김통정을 제거하러 온 삼장수를 도운 <고내본향당본>의 애기업개가 전자의 사례이고 제주민을 구휼하기 위해 전 재산을 동원한 <나주기민창본>의 안씨선주, 역적 금상님을 받아들이기 위해 식성을 양보한 <세화본향당본>의 천자또와 백주또가 후자의 사례이다. 제주 본풀이에는, 다양한 형식의 저항과 협력을 통해 외부 권력에 대응해 온 제주의 역사가 문화적·집단적 기억으로 내면화되어 있다. 이것이 제주의 내부식민지적 정체성이고, 굿을 통해 제주인을 재구성하는 힘이다. 이런 의미에서 제주 본풀이는 정치적 기억의 수장고이고, 기억의 정치학의 한 형식이다. What is Bonpuri? Bonpuri is about the story of the gods who serve in Gut, but the story is about humans. Jeju’s Bonpuri is a story of the internal colony’s people who have lived on an island called ‘the land beyond the water’ since King Chungryeol of Goryeo, but they called it ‘the spiritual land’. This Bonpuri is a story formed through selection and arrangement during a long oral process, and thus contains the collective memories. This collective memory forms the identity of Jeju people and forms a cultural unconscious, as can be seen in Bonpuri, which is still represented in the field of Gut. An narrative code that connects Bonpuri with the identity is externality. Jeju people’s attitude toward the external forces that come from the outside expresses and constructs their identity. This attitud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resistance and cooperation. There are two types of resistance; conscious and political resistance, unconscious and nonpolitical resistance. The former examples are the shaman Go of Godaejang-Bonpuri who resolved a drought on Jeju, the local governor Yangee of Local governor-Yangee-Bonpuri who fought risking his life against the state power, and the indigenous gods of Eighth-Shrine-Bonpuri who showed unconscious exclusion of the foreign gods. There are two types of cooperation; voluntary and active cooperation, involuntary and passive cooperation. The former examples are the sailors of Gwangcheongagy-Bonpuri who murdered a pregnant Gwangcheongagy, the Boo families of Boodaegak-Bonpuri who blinded Boodaegak, and the babysitter of Gonae-Shrine-Bonpuri who helped the three commanders. The latter examples are the shipowner An of Najookiminchang-Bonpuri who spent all of his property to save the Jeju people and Cheonjaddo and Backjooddo of Sehwua-Shrine-Bonpuri who gave up their food habits to accept the rebel Geumsang. In the Jeju Bonpuri, Jeju’s history of dealing with external power through various forms of resistance and cooperation is internalized into cultural and collective memories. This is the inner colonial identity of Jeju, and the power to reconstruct Jeju people through Gut. In this sense, Jeju Bonpuri is a political memory and a politics of memor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