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학적 우주와 목적론: 화이트헤드와 칸트

        장왕식 ( Wang Shik Chang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6 화이트헤드 연구 Vol.32 No.-

        논자는 이 작은 글에서 화이트헤드와 칸트의 목적론과 미학을 비교한 다음 그들이 어떤 근거에서 서로 대조되는 결과를 낳았는지 살피려 한다. 첫째로 살필 것은 칸트에 관한 것이다. 칸트가 비록 미학적 접근 방법이 갖는 철학적 의의에 대해서 잘 인식했지만, 그가 가진 주관주의적 성향과 그것이 기초한 자연과학적 지식의 한계로 인해 주로 목적론적 해석에 충실했음을 우선 드러내 보일 것이다. 두 번째로 살필 것은 화이트헤드에 관한 것이다. 화이트헤드는 주로 미학적 입장에 근거한 철학을 추구하면서도 동시에 목적론적으로 해석된 형이상학을 추구했는데 이로 인해 현대의 탈구조주의 철학과 포스트모던 운동에보다 잘 부응할 수 있는 철학적 담론을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있다. 나아가 화이트헤드는 자신의 이런 경향으로 인해 이미 신학적으로 매우 신선하고 파격적인 종교관을 제공한 바 있다. 이 글에서는 나는 화이트헤드가 어떻게 미학적 해석과 목적론적 해석을 조화시킬 수 있었는지, 그리하여 어떤 새로운 신학적 작업을 펼쳐왔는지 그 단초를 보여주겠다. 화이트헤드가 어떻게 그런 작업을 펼칠 수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우리는 화이트헤드의 미학적 경향과 목적론적 해석이 칸트의 그것과 어떻게 대조되는지 알게 보는 것을 주요 과제로 택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화이트헤드를 칸트에 대조시키는 작업은 화이트헤드 철학의 특징을 보다 명확하게 드러나게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또한 자연스럽게 화이트헤드 철학의 현대적 의의, 특히 포스트모던 문화담론과의 부드러운 조우와 더불어 새로운 종교철학적 대안 제공할 수 있는 화이트헤드의 가능성이 부각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the comparison and contrast between Alfred. N. Whitehead and Immanuel Kant with regard to the problems of teleology and aesthetics. I will, first of all, attempt to show that although Kant was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aesthetical approach to what the metaphysics is all about, he ended up with tel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universe. This is because his approach is heavily affected by what I call “subjectivist principle,” in which human subjectivity is the key to understanding what the universe is all about. Secondly, I will endeavor to show how Whitehead dealt with the issues of aesthetics and teleology in pursuing “process metaphysics,” by which he tried to establish a new type of post-modern philosophy. His process metaphysics has constructed a cosmology based on a tel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universe. However, such a teleology is totally different from that of traditional metaphysics, such as Aristotelian one. Especially, what is interesting is Whitehead``s philosophical methodology in which aesthetics and teleology are kept in balance in a proper way. As we continue to elucidate the main ideas of both Kant``s and Whitehead``s metaphysic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regarding aesthetics and teleology will be clarified more and more. In addition, I will show how Whitehead``s ideas of aesthetics can be able to propose a new kind of philosophy of religion that can be more applicable to comtemporary human society.

      • KCI등재

        불교철학과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은 어디서부터 갈라지는가? - 불교의 4대 학파와 화이트헤드 과정철학 간의 범주적 차이 문제

        정강길 ( Jeong Kang-gil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99

        이 글은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과 불교철학 간의 범주적 차이 문제를 논한 글이다. 화이트헤드는 불교에 대해 “사람들은 내면으로 칩거하고 외계는 흘러가는대로 내맡긴다”고 봤을 만큼 도피의 종교로서 매우 각박한 평가를 내린 바가 있다. 화이트헤드는 불교에 대해선 무지했던 것일까? 양자 간의 비교 연구들은 지금까지 대부분은 대승불교와의 비교 고찰에 집중된 점이 있어왔지만, 이 글에선 대승불교의 형성 이전인 아비달마불교 시절, 소위 불교 4대 학파로도 알려진 ①설일체유부와 ②경량부 그리고 대승 불교의 두 핵심 기둥인 ③유가행파와 ④중관학파와의 철학적인 범주의 비교에 주목한다. 여기서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적 실재론은 <외계 실재성>을 인정하는 원자론에 속한다는 점에서 대승불교보다 오히려 소승으로도 폄하됐던 ①설일체유부와 ②경량부불교사상의 틀에 좀 더 가깝다고 본다. 우선 대승불교에선 실재로서의 극미론, 즉 불교의 원자론을 버렸었지만 적어도 ①설일체유부와 ②경량부 불교는 실재로서의 원자론을 폈다는 점에서 범주적 틀로서는 화이트헤드의 원자적 실재론에 좀 더 근접된다. 화이트헤드의 철학적 범주는 분명한 실재론에 속하며 관념론에 대해선 적극 비판하는 위치에 있다. 또한 화이트헤드의 원자적 생성 개념은 관계와 과정으로서의 실재이면서, 그것은 저마다 <환원불가능한 고유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③중관학파가 비판하는 실체론적 자성(自性) 개념에도 들어맞지 않는다. 또한 ④유가행파의 세친은 극미설에서 유방분(有方分)은 무한히 분할되는 문제가 있다고 봤었지만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에선 오히려 무한분할의 가능성을 반박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식불교의 틀과도 들어 맞질 않는다. 반면에 실재로서의 극미설을 주장하는 ①설일체유부와 ②경량부와의 비교에 있어선 외부 대상에 대한 직접적 지각이 아닌 표상(表象)을 주장하는 경량부의 입장이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에 좀 더 가까운 것으로 본다. 따라서 적어도 철학적 범주로서의 비교에 있어선 화이트헤드의 철학이 경량부와는 더 가깝고 오히려 대승불교와의 간격 차이는 더 큰 것이어서 바로 그 지점에선 양자 간에 범주적 틀로서의 괴리가 발생된 것으로 여긴다. 특히 대승불교에 속하는 유식사상의 골격은 <마음 중심 불교>로의 전환에 매우 결정적이었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이 글에선 오히려 화이트헤드 과정철학을 통해 외계 실재성을 인정하면서도 비실체론적인 생멸하는 자성 개념의 모색과 최소 실재 단위로서 원자설을 다시금 새롭게 갖추어야 함을, 그리고 불교철학사에서 보면 이것은 경량부 불교 또는 적어도 그 당시 아비달마불교 시절의 치열했던 쟁론들을 다시금 적극 검토해야 할 것임을 요청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differences of philosophical categorization between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and Buddhist philosoph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four major Buddhist schools―①Sarvāstivāda(說一切有部), ②Sautrāntika(經量部), ③Yogācāra(瑜伽行派), ④Mādhyamika(中觀學派)― during Abhidharma Buddhism period, which was before the birth of the Mahāyāna Buddhism. Here, Yogācāra and Mādhyamika are the two core pillars of Mahāyāna Buddhism. However, they do not accept the reality of the external world. On the other hand,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is metaphysical atomism that accepts the reality of the external world, like Sarvāstivāda and Sautrāntika. Whitehead argued that “the ultimate metaphysical truth is atomism,” and there is a theory of paramāṇu(極微) in Sarvāstivāda and Sautrāntika, but not in Mahāyāna Buddhism. In this regard,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is categorically far from Mahāyāna Buddhism and closer to Sarvāstivāda and Sautrāntika. Also, the atomistic reality in whitehead philosophy has irreducible uniqueness, and it is non-substantial and relational. He called it “actual entity” or “actual occasion.” In whitehead philosophy, actual entities are merely becoming and perishing, and do not change. Therefore, this does not belong to the concept of substantialistic self-nature(自性) that Mādhyamika criticizes. And Vasubandhu(世親) of Yogācāra assumed that the paramāṇu(極微) would be infinitely divided. This is similar to Zeno's paradox, who assumes time and space can be divided indefinitely. According to Whitehead's claim, Zeno illegitimately assumes this infinite series of acts of becoming can never be exhausted. But Whitehead said, there is no need to assume that an infinite series of acts of becoming, and saw it as nothing but a mathematical error. Nāgārjuna(龍樹) of the Mādhyamika never considered self-nature(自性) as only becoming and perishing, and Vasubandhu had no doubt about his own assumptions that paramāṇu(極微) would be infinitely divided. Among Sarvāstivāda and Sautrāntika that accepted the reality of the external world, I think,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is closer to Sautrāntika, because paramāṇu(極微) of Sautrāntika, like Whitehead, only becoming and perishing. But Sautrāntika is still an untrodden area. In conclusion, Sautrāntika is categorically the most similar to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However, Buddhism is still in the making.

      • KCI등재

        화이트헤드의 명제론 연구

        전철(Chun, Chul) 대한철학회 2010 哲學硏究 Vol.116 No.-

        화이트헤드의 실재론은 형이상학과 이후의 수리철학적 전통 뿐만이 아니라 20세기의 언어이론과 분석철학에 있어서도 다양한 기여를 하였다. 화이트헤드의 명제 개념 또한 인식과 언어와 상징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형이상학적인 성찰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화이트헤드에 의하면 명제의 일차적인 기능은 느낌을 위한 유혹으로 정의된다. 또한 명제에 대한 경험은 가능성과 현실성의 결합의 경험을 뜻한다. 이러한 점에서 명제의 실현은 각각의 현실성들이 새로운 방식으로 주체의 명제경험을 통하여 구현되고 탄생되어짐을 함축한다. 화이트헤드의 명제 개념의 구상에는 세계 경험들의 다차원적인 구현을 논리적으로 범주화하려는 목적이 함축되어 있다. 이는 우주의 생생한 발현의 국면들을 논리적으로 해명하려는 화이트헤드 형이상학의 전체적인 성격와 연관된 지점이기도 하다. 그에 의하면 명제는 주체에게 언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전언어적인 근본 범주이다. 화이트헤드의 이러한 명제-시스템은 주체의 다차원적인 현실의 해석가능성과 언어의 구체적 수행을 가능하게 논리적 토대가 된다. 명제에 관한 화이트헤드 사유의 점진적인 흐름과 발전의 시선에서 보면, 화이트헤드의 명제론은 명제가 특정한 개별적 주체의 세계와 언어수행에 어떻게 개입되고 발현되는지를 현실의 창조적 전진의 맥락에서 효과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로 이해 될 수 있다. 이러한 화이트헤드의 명제론에 대한 독특한 구상을 주목하는 이 연구는 화이트헤드의 형이상학적 체계에서 그의 명제론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특히 화이트헤드의 명제론이 현실을 새로움과 창조성의 구현의 무대로 진술하는 그의 약동의 세계관에 어떠한 방식으로 긴밀하게 기여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Whitehead’s metaphysics and philosophy of nature rest on his awareness of the metaphysical problem of the relation between “I", the “creative advance" and forces of the universe. Whitehead attempted to systematize human experience of the world based on logical explorations. In this contex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his discussion of proposition and language is closely connected with his works on a systematic theory of nature. Whitehead proposes a metaphysical concept of proposition also based on the creative advance of the universe. His theory of proposition is designed to show that human language is constructions of the relations between logical and real events in the creative universe which refer to a particular point of view. In this view, a variety of verbal possibilities in the multiple worlds can be realized in the same proposition. For Whitehead the emergence of novelty in the function of proposition is an essential property of the creative universe. This paper will try to give a discussion to Whitehead’s theory of proposition with regard to the emergence of nature. Especially emphasize in this paper Whitehead’s idea and meaning of proposi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reative advance of nature as one aspect of particular importance.

      • 화이트헤드와 폴 틸리히의 신이해

        임형모 ( Hyung Mo Yim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6 화이트헤드 연구 Vol.32 No.-

        본 논문의 목적은 전통적인 신개념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의 신론 가능성을 타진하는데 있다. 화이트헤드(A. N. Whitehead, 1861-1947)와 폴 틸리히(Paul Tillich, 1886-1966)의 신이해를 고찰함은 이들이 공히 전통적인 신개념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는 점이다. 화이트헤드와 틸리히의 신학적사유는 서구 기독교 유신론적 초월신론을 극복하려 한다. 유신론적 초월신은 성서가 말하는 ‘살아계신 하나님’과는 다른 신관이라고 보는 것이다. 유신론적 초월신은 세계를 초월하여 있는 ‘하나의 최고 존재자’로서 간주된다. 그러나 화이트헤드에게서 철학적 하나님은 모든 존재론적 원리들의 예외자로서 취급되어서는 안 되고 그 최선의 범례이어야 한다. 틸리히 생각 또한 하나님의 존재는 다른 신들과 나란히 있거나 다른 것들 위에 있는 존재로 이해될수 없다는 것이다. 화이트헤드는 유기체철학을 하였고 틸리히는 존재신학을 하였다. 신학적으로 말하면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철학은 ‘신학적 철학’으로 이해되며 틸리히의 존재신학은 ‘철학적 신학’으로 간주된다. 화이트헤드는 ‘합생과정방법’으로 신이해에 접근하였다. 신과 세계는 과정 합생으로 설명된다. 폴 틸리히의 신학 방법론은 ‘상관관계방법’이다. 신과 세계는 실존의 문제와 계시의 답변으로 상호 관계한다. 화이트헤드의 궁극적 실재 중의 하나인 신은 현실적 존재로 일컬어진다. 현실적 존재로서의 신은 다른 궁극적 실재인 창조성에 의존하여 있다. 반면에 틸리히의 신은 우리의 전 존재를 사로잡는 궁극적 관심이외에 다른 것이 아니다. 그의 신은 존재자체라고 일컬어진다. 틸리히의 “존재자체”와 대비되는 화이트헤드의 궁극적 실재는 “창조성”이다. 틸리히는 존재자체를 모든 존재자에 참여하는 존재의 근거이며 모든 존재를 있게 하는 존재의 힘으로 보았다. 한편 화이트헤드는 창조성을 신을 가능하게 하는 궁극적인 실재로 이해한다. 창조성이 현실적 사건을 일으키는 궁극자라면 신은 형성적인 요소인 창조성과 영원한 대상을 결합시켜 현실적존재를 탄생시킨다. 그러나 화이트헤드의 창조성은 틸리히의 신과 동일하지 않다. 존재자체가 창조성을 포괄한다고 보는 틸리히의 신관이 일원론적이라면 신과 창조성을 구별하는 화이트헤드는 다원론적 입장에 있다. 틸리히는 기독교 신학자이기 때문에 모든 궁극적 원리나 가능성들을 모두신의 속성의 한 모습들로 설명한다. 화이트헤드의 궁극적 실재들을 틸리히는신의 창조성으로 담아내고 있다. 신을 현실적 존재로 보는 화이트헤드의 신관은 일종의 범재신론이다. 화이트헤드에게서 신과 세계는 동반자이며 공동창조자이다. 반면에 틸리히는 신을 세계의 근거와 힘으로 설명하였다. 존재자체와 존재 일반 사이의 절대적 단절과 무한한 비약을 전제하고 있는 틸리히의 신관은 자기초월적 범재신론이다. 결론적으로 전통 신론을 넘어서는 두철학자의 신과 세계에 대한 이해는 오늘날 다종교 다문화시대에 새로운 종교신학의 패러다임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a probability of the theology of religion through understanding on God of Whitehead and Paul Tillich. I tried to seek the approach way of God understanding by briefly outlining both Tillich``s method of correlation and Whitehead``s method of concrescence. The former is a way of uniting message and situations. It tries to correlate the questions implied in the situation with the answers implied in the message. The latter is a process of constituting any one actual entity. In other words, it is a fluency inherent in the constitution of the particular existent. An instance of concrescence is termed an actual entity or actual occasion. What is an actual entity? It is the primary notions which constitute the philosophy of organism. Actual entities are the final real things of which the world is made up. The actual world is a process, and the process is the becoming of actual entities. Thus these are considered as drops of experience, complex and interdependent. God also is termed an actual entity. On the one hand, Whitehead’s God is not to be treated as an exception to all metaphysical principles, invoked to save their collapse. He is their chief exemplification. And the nature of God is dipolar as all actual entities, which have a primordial nature and a consequent nature. But God depends on ‘creativity’ which is an ultimate which is actual in virtue of its accidents. Thus God is primordial, non-temporal accident of creativity. On the other hand, Paul Tillich``s God is the answer to the question implied in man’s finitude, namely he is the name for that which concerns man ultimately. Shortly, God is named man’s ultimate concern. It means that God cannot be understood as the existence of a being alongside others or above others. God is not a being but being-itself. We also should say that God is the power of being in everything and above everything, the infinite power of being as well as the ground of being. As the power of being, God transcends the world. And since God is the ground of being, he is the ground of the structure of being. Finally, understanding on God of Whitehead and Paul Tillich is beyond the notions of the traditional God. These approach ways of God will contribute not only to a new creative conversation between the religions but also to a new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christian God.

      • KCI등재후보

        화이트헤드 철학과 교양교육

        김재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1 교양교육연구 Vol.5 No.1

        In reflecting on the concept of liberal education Whitehead's philosophy is very useful. Whitehead's philosophy of education has not a little been researched until now, but his thought have hardly been connected to liberal education. Therefore, I will reflect on liberal education through whitehead's thought about liberal arts and education. Whitehead's cosmology can be summed up by the creative advance from ‘many’ to ‘one’ or the process of ‘concrescence’ that a subject appropriates objects. Whitehead explained macro-cosmic process by the terminology of ‘nexus,’ ‘society,’ ‘our cosmic epoch,’ etc. Whitehead's universe is the ‘living nature’ that a subject appropriates objects. The life in the narrow sense means the creative process of making ‘novelty’ by ‘reversal of concept.’ Whitehead applied this cosmology to human in his theory of civilization. In this theory of civilization Whitehead emphasized on the ‘generalization’ that is adventure of ideas and the beauty that is teleology of process. Whitehead's philosophy of education maintains three steps of romans, precision, and generalization similar to his cosmology and theory of civilization.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can provide aid to reflect on liberal education. First, Whitehead showed holistic paradigm that liberal education sublimates and 66 교양교육연구(제5권 제1호) completes expertise. Second, Whitehead let us understand liberal education from an view point of life. Third, because of Whitehead's philosophy, we can see liberal education from a imaginative, creative, adventurous standpoint. Fourth, thanks to Whitehead's philosophy, we can think of liberal education in terms of aesthetic perspective. His philosophy is a precious resource for the future of liberal education. 교양교육이라는 개념의 진정한 의미를 성찰함에 있어 화이트헤드의 사상은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이제까지 화이트헤드의 교육론은 다소 다루어져 왔지만, 그의 사상을 교양교육의 측면에서 이해하려는 노력은 극히 드물었다. 이에 필자는 그의 우주론, 문명론을 개관한 후에 그의 교양론과 교육론을 고찰하여 화이트헤드 사상이 교양교육의 자기 성찰에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화이트헤드의 우주론은 다자에서 일자로의 창조적 전진, 주체가 객체를 전유하는 합생의 과정으로 간략하게 논의될 수 있다. 거시적 과정은 결합체, 사회, 우주 시대 등의 개념으로 설명된다. 화이트헤드가 말하는 우주는 주체가 객체를 전유화하는 그러한 생명을 가진 살아있는 자연이다. 이러한 생명은 좁은 의미로는 개념적 역전에 의해서 새로움을 창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화이트헤드의 문명론은 이러한 우주론의 관점을 인간적인 것들에 적용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주어진 성과들을 통합해서 일반화하고 전망화하는 관념의 모험과 과정의 목적론인 아름다움이 강조된다. 일반화 혹은 전망화의 모험과 아름다움은 그야말로 화이트헤드 교양개념의 핵심을 이룬다. 화이트헤드의 과정사상은 교육론에서도 그대로 적용되어 로맨스, 정교화, 일반화의 주기라는 도식으로 요약된다. 화이트헤드의 사상은 교양교육을 성찰함에 있어 다음의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화이트헤드는 전문지식과 교양이라는 이분법을 넘어서서 전문지식을 교양이 완성한다는 통합적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화이트헤드는 생명이라는 패러다임에서 교양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셋째, 화이트헤드의 사상은 교양교육을 상상력, 창조성, 모험이라는 패러다임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해 준다. 넷째, 화이트헤드의 사상은 교양교육을 미학적인 패러다임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화이트헤드의 사상은 교양교육의 미래를 위한 귀중한 자원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철학의 기독교 변증학적 공헌

        김성원 기독교학문연구회 2020 신앙과 학문 Vol.25 No.2

        Alfred North Whitehea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athematicians and philosophers of the 20th century. As mathematician Whitehead endeavored, with Bertrand Russell, to lay the logical foundations to mathematics. Their works mark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development of symbolic logic. As philosopher Whitehead performed a thorough philosophical critique of modern science and philosophy. He also constructed an original philosophical cosmology for our time. His philosophical works show a solid way to overcome the essential weaknesses and pitfalls of modern science and philosoph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hilosophy of Whitehead, which is often called Process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apologetics. Analyzing major works of Whitehead, this article claims and explains that Whitehead’s philosophy severally contributes to Christian apologetics. This article follows the following order. First, Whitehead’s philosophical career and his major publications are briefly introduced for the readers from diverse majors and backgrounds. Second, Whitehead’s major philosophical contributions a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apologetics. We find five such contributions: Whitehead’s critique of scientific materialism, his critique of philosophical materialism, his monistic ontology and epistemology, his theistic cosmology and finally his Platonic view on the aim of philosophy. At the end this article also explains the limitedness of Whitehead’s philosophical contributions to Christian apologetics.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는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수학자요 철학자이다. 수학자로서 화이트헤드는 버트란트 러셀과 함께 수학에 논리적 기초를 놓기 위해서 노력했다. 그들의 작업은 수리논리학의 발전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철학자로서 화이트헤드는 근대 과학과 철학에 대한 철저한 철학적 비판을 수행했으며, 우리 시대를 위한 독창적인 철학적 우주론을 건축했다. 그의 철학적 작업들은 근대과학과 철학의 본질적인 약점과 곤경을 극복하는 견실한 길을 보여주고 있다. 이 논문은 기독교 변증학의 입장에서 종종 과정사상이라고 불리는 화이트헤드의 철학에 초점을 둔다. 화이트헤드의 철학적 주 저작들을 분석하면서 이 논문은 화이트헤드의 철학이 여러 가지로 기독교 변증학에 기여한다는 것을 주장하며 설명한다. 이 논문은 다음의 순서를 따른다. 첫째로, 다양한 전공과 배경을 가진 독자들을 위해서 화이트헤드의 철학적 경력과 주된 출판물들을 간략히 소개한다. 둘째로 화이트헤드의 주된 공헌들을 기독교 변증학의 관점에서 소개한다. 우리는 다음 다섯 가지의 공헌을 발견한다: 과학적 유물론에 대한 화이트헤드의 비판, 철학적 유물론에 대한 비판, 그의 존재론과 인식론적 공헌, 그의 유신론적 우주론, 그리고 마지막으로 철학의 목적에 대한 그의 견해이다. 또한 이 논문은 말미에 화이트헤드의 철학의 공헌의 한계도 설명한다.

      • KCI등재

        화이트헤드 사건론의 신학적 함의

        전철(Chun Chul)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9 신학사상 Vol.0 No.146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Alfred North Whitehead, 1861-1947)의 형이상학은‘사건’의 형이상학이다. 화이트헤드의 형이상학에 있어서 사건 개념은 현실을 설명하는 근본적인 개념으로서 핵심적인 의미를 지니며, 자연 이해에 있어서도 중요한 실재론적 기초를 이룬다. 그의 자연철학에 있어서도 사건 개념은 현실세계를 구성하는 근거로서의 전통적인 시간, 공간, 물질 개념에 대한 철저한 거부와 비판의 맥락 속에서 구상된다. 화이트헤드의 사건 개념은 인간의 자연경험의 복합성과 실재의 다차원성을 해명하기 위하여 구상한 개념이다. 특히 화이트헤드는 그의 자연철학 속에서 자연 가운데 발현되는 사건을 주체의 지위와 연관시켜서 정립한다. 이렇게 화이트헤드의 자연철학과 형이상학 속에서 축조되어진 사건 개념은 현실의 시공간적 다차원성과 우주의 복잡성에 대한 주체의 경험을 실재론적으로 조력한다. 이 연구는 화이트헤드의 중요한 개념인 사건의 핵심적 지위를 그의 형이상학적 구도 속에서 성찰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서 이 연구는 화이트헤드의 사건 개념을 신학적 함의와 전망 속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이 연구는 우주의 다차원적인 존재양식과 경험의 측면을 지시하고 있는 화이트헤드의 사건 개념이 현대신학적 지평에 있어서도 다양한 방식의 통찰을 주고 있음을 밝혀내고자 한다. Alfred North Whiteheads Metaphysik ist eine Metaphysik des Ereignisses. In Whiteheads metaphysischer Phase ist das Ereignis als Grundlage für das Universum ein zentrales Thema. Whitehead geht davon aus, dass event die grundlegenden Bausteine der Natur gibt. Deshalb kommt Whitehead schon in seiner naturphilosophischen Phase zu einer entschiedenen Ablehnung jener Konzeption, die die Materie als Grundlage versteht, auf der alle Wirklichkeit aufbaut. Auf dieser Basis kann das Ereignis als die komplexe Einheit von Naturerfahrungen gerechtfertigt werden. Insbesondere geht Whitehead in seiner naturphilosophischen Phase davon aus, dass die Ereignisse der Natur unabhängig von unserem Denken darstellbar sind. Was Whitehead in seiner Naturphilosophie und Metaphysik als event bezeichnet, ist die Multidimensionalität der Wirklichkeit oder die Komplexität des Kosmos. Ziel dieser Arbeit ist nicht allein, die zentrale Stellung des Whiteheadschen Terminus event im Zusammenhang mit seinem metaphysischen Schema zu untersuchen, sondern diese Bedeutung auch in Bezug auf die theologische Perspektive zu klären. Dieser Aufsatz zielt darauf hin, den Begriff Ereignis bei Whitehead als einen zentralen Begriff im Sinne des multidimensionalen Charakters des Universums aufzuzeigen, der heutzutage als ein theologischer Impuls fungieren kann.

      • KCI등재

        화이트헤드 범재신론의 영성론적 함의

        이정순 한국조직신학회 2019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5 No.-

        Alfred N. Whitehead, one of modern Western philosophers, founded ‘process philosophy.’ His philosophy has been influencing on many areas such as theology, religion, science, art, and culture. As he expressed that his philosophy was very close to Eastern thoughts, his philosophy of process has been used as a major tool for interreligious dialogue and comparative study of regions. Particularly, his philosophy is expected to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for peace in the world in times of conflicts among religions. Process philosophy which was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in the 20 century was greatly influenced by Whitehead’s philosophy of process. Whitehead’s philosophy is also called ‘philosophy of organism’ and it regards the universe as a living organism that has impact on one another in all thing of the world. His philosophy opposes the traditional worldview that is fixed and static. Whitehead embraced a theme of religion in his philosophy. The theory of religion he proposed gives a new insight to theology and the study of religion. He insisted that religion started from individual’s loneliness and internal dimension. He proposed ‘panentheism’ that understood God as the one who was one of actual entities and transcended actual entities at the same time, had both primordial nature and consequent nature. His panentheism is a new concept of God which is composed of theism and pantheism. It is very helpful to complement the problems of traditional theism. For him, a concept of God is a final one that completes his cosmology. Whitehead assures God’s goodness without paradoxes and perversions repeatedly appeared in traditional Christian doctrines. He also explains convincingly power of God. In particular, his concept of God makes us recognize the mutual relation between God and the world and importance of dynamic creation in divine life. Whitehead criticized some concepts of God applied to Western traditional Christianity in history. Those concepts are God as an aboriginal, eminently real, transcendent creator, an imperial ruler, a personification of moral energy, the unmoved mover, and an ultimate philosophical principle. These concepts of God are far away from Christianity of the Galilean origin. Therefore, whitehead attempts to provide a new concept of God, analyzing various concepts of God in the history of world religions. In this article, the author first explores a general scheme of process cosmology which is a foundation of process philosophy and then studies Whitehead’s panentheism with a special attention. In conclusion, the author examines how this study influences the making of Christian spirituality and finally sugges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ome tasks for the further study. 20세기 현대 서양철학자 중 한 사람인 화이트헤드는 과정철학이라는 매우 독특한 철학을 태동시킨 자이다. 그의 철학은 신학뿐 아니라, 과학, 종교, 예술,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쳐왔다. 특히 자신의 사상이 동양 사상과 친화적이라고 표현한 대로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은 종교 간의 대화나 비교연구를 위한 주요 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21세기 종교 간 갈등과 분쟁의 시대에 더욱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무엇보다도 20세기 미국에서 발생한 과정신학은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이제 미국의 대표적인 신학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화이트헤드는 서구의 철학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이를 자기 사상의 발전과정 안에서 새롭게해석했다. 그의 철학은 유기체 철학으로도 불리는데, 기존의 정태적이고 고정적인 세계관을 거부하고 세계 전체를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살아있는 유기체로 파악한다. 즉 화이트헤드는 실재를 과정으로보면서, 사물을 정적인 무생물로 보기보다는 생명력이 고동치는 유기체로 파악한다는 것이다. 특히 화이트헤드는 종교의 문제를 자신의 철학 안에 끌어들여 논의를 전개했는데, 그가 제시한 종교론은 신학과 종교학에 새로운 통찰을 제시한다. 그는 종교의 특징을 개인의 고독과 내면성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파악했다. 그리고 신을 만물 안에 존재하는 하나의 현실재이면서도 현실재를 초월해 있는 분, 근원적인 성격을 가지면서도 구체적인 성격을 가지고 세계와 끊임없이 관계하며 모든 창조 과정에계속적으로 개입하시는 분으로 파악하는 범재신론(panentheism)을제시하였다. 이는 범신론과 유일신론을 종합한 새로운 신관으로써유대-그리스도교의 전통적인 유일신론의 문제를 보완하는 데 많은도움을 준다. 그에게 신 개념은 과정 우주론을 완성하는 최종 개념이다. 화이트헤드는 전통 그리스도교의 교리에 반복적으로 나타났던수많은 역설과 왜곡과 무관하게 이제 세상과 관계하는 하나님의 선하심을 확증하며, 하나님의 힘에 대해서도 훨씬 설득력 있게 설명한다. 화이트헤드의 신 개념은 하나님과 세상의 상호관련성과 신적인삶에 있어서 역동적인 창조의 중요성을 분명하게 인식하게 만든다. 화이트헤드는 서구 전통 그리스도교에 적용되어 왔던 대표적인 신개념, 곧 근원적이고 탁월하게 실재적이며 초월적인 창조자로서의신, 제국주의적 지배자로서의 신, 도덕적 에너지의 의인화로서의 신, 궁극적인 철학 원리로서의 신 개념을 잘못된 것들로 비판한다. 이런전통적인 신 개념들은 통치하는 시저 황제로, 무자비한 도덕가로, 부동의 동자로서 신을 이해해 왔다. 그러나 그런 개념들은 갈릴리 예수에게서 시작된 그리스도교와는 너무도 거리가 멀다. 그러므로 그는세계 종교의 역사에 나타난 신 개념들을 분석하면서 새로운 신관을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화이트헤드 과정철학의 기초가 되는 과정우주론의개요를 먼저 살펴본 후 그가 주장하는 범재신론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한다. 결론적으로 이런 논의들이 특히 그리스도교 영성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본다. 또한 본 논문에서 다룬 화이트헤드 범재신론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지적하고, 앞으로 계속 연구할 과제를 제시한다.

      • 화이트헤드 상대성이론의 기원과 "죽음"의 역사적 맥락: 재해석을 위하여

        이관수 ( Kwan Soo Lee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4 화이트헤드 연구 Vol.28 No.-

        이 소고는 화이트헤드 상대성이론의 이른바 "죽음"의 의미를 재해석하기 위한 준비 작업으로서, 화이트헤드 상대성이론의 역사적 기원과 그에 대한 물리학계의 주요 연구 및 그에 대한 반론을 서술한다. 화이트헤드는 아인슈타인과는 전혀 다른 지적 배경에서 성장하였는바, 케임브리지 대학의 수학 트라이포스 전통과 독일어권 대학의 물리학 연구 전통은 두 상대성이론의 철학적 차이를 결정하지는 않을지라도, 그 차이가 자연스러운 귀결이었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게 한다. 화이트헤드 상대성이론에 수리물리학계의 연구는 일반상대성이론과 관측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산출하는지에 집중되었고, 21세기 들어 화이트헤드 상대성이론은 중력이론으로서는 "죽음"에 이른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연구들에 대한 일부 철학적 반론은 화이트헤드 철학의 의의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바, 수학적 사고에 대한 화이트헤드의 주장부터 재검토하여 화이트헤드적 세계관을 옹호할 필요가 있다. This essay trac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A. N. Whitehead`s Relativity Theory and sketches the lineage of physicists`` researches on Whitehead`s theory, as a preparation to examine the meaning of so-called "Death" of Whitehead`s theory of gravitation. A. N. Whitehead came from Cambridge Mathematical Tripos tradition and A. Einstein came from German physics tradition. This micro-socio-historical difference enable us to see their difference as natural, though it never determined their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differences. Physicists` intermittent researches on Whitehead`s Relativity Theory were centered on whether it produce any observationally meaningful difference. We can now conclude that Whitehead`s gravitation theory is dead as an theory of empirical science. However, reinterpretations on Whitehead along modern development of mathematics may enable to nullify past philosophical objections to General Relativity.

      • KCI등재

        화이트헤드에 대한 하만의 비판

        정윤승(Chung, Youn-Seung)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70 No.4

        화이트헤드는 언제나 사변적 모험을 요구해 왔다. 이러한 시도가 현대에 들어 ‘사변적 실재론자(Speculative Realist)’들에 의해 진행되어 왔다. 그들 중 가장 눈에 띄는 인물이 하만이다. 그러한 이유에서 하만과 화이트헤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해 보는 것은 유기체적 형이상학 체계를 정립하는 데에 큰 기여가 될 것이다. 그런데 현대 철학은 상관주의적 경향을 따르면서 존재론을 인식론에 종속시키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는 인간이 주체와 대상의 연관성을 분리시킨다면 결코 사물 그 자체로서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화이트헤드는 물론 하만은 경험세계 전체를 아울러 이해할 수 있는 형이상학적 체계를 정립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우선 화이트헤드의 주장을 보면, 모든 현실적 존재자들은 존재론적으로 동일한 범주에 있다고 한다. 즉 인간을 포함한 어떤 존재자도 여타의 존재보다 형이상학적으로나 존재론적으로 상위 범주에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 점에 있어서는 하만 역시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하만은 그 이유가 존재자들이 서로 동일한 방식으로 떨어져 있다는 점에서 기인한다고 주장한다. 두 철학자 모두 상관주의를 반대하면서도, 그러한 반대에 대한 논리적 전개 방식은 상이하다. 그런데 문제는 하만이 비판하는 화이트헤드의 모호성은, 화이트헤드가 주장하는 현실적 존재자의 개체성의 차원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화이트헤드가 말한 현실적 존재자가 단순한 이행과 전이의 과정을 거친다면, 분명 어떤 현실적 존재자도 완전하게 현재로 돌아올 수 없기 때문이다. 이미 화이트헤드는 파악이라는 용어에, 주체의 목적과 주체의 형식이라는 개념을 포함시켰다. 그가 말하는 현실적 존재자는 자신의 생성에 대한 결단을 내리는 존재자이다. 이것은 단순히 무한 반복하는 생성의 과정을 설명하는 것도 아니며, 그렇다고 우연적인 합생 과정을 거치는 것도 아니다. 사실상 화이트헤드가 정립하고자 했던 형이상학적 체계는 영원히 소멸하는 세계이다. 이들의 주요한 차이점은, 실질적으로 화이트헤드와 하만이 각기 아름다움과 장엄함이라는 미학적 입장의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This paper focuses on A.N. Whitehead speculative adventure. This adventure was been tried by the speculative realist(speacially Harman). This my analysis is contributing greatly to the philosophical thesis which inquires on the difference of Whitehead between Harman. Modern philosophy trends a relationalism, and then epistemology hold a dominant position than ontology. But, Whitehead and Harman were willing to found a new theory that embraces an empirical world throughout. To achieve this, this paper will analyze whitehead and Harman"s philosophy. By the way, logical story of Whitehead and Harman differenciated. Whitehead suggested that the empirical world is related I and world, but Harman suggested that all actual entity are isolated. This discord can be explained that their conflict comes from difference on aesthetical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