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특집논문 : 분황 원효와 회암 주희 -원효 사상에 입각한 화이론 비판 시도-

        이유진 ( Yu Jin Lee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5 한국불교사연구 Vol.6 No.-

        고대 중국에서 화이론은 윤리문화를 중심으로 무력적 충돌을 막고 화평을 유지하려는 인식틀로 만들어졌다. 그것은 유가사상과 상호 연관되면서 보편 적용 가능성을 높였다. 중국이 팽창하면서 지배권력의 크기와 강도도 팽창 강화되었고, 중국이 지리적 주변의 여러 나라들과 충돌하면서, 중국 윤리문화의 타당성을 만방에 선제적으로 공표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하는 화평을 주위의 제안하는 문화전략으로써의 화이론이 대두되었다. 중국과 주변 국가들이 교섭 갈등하고 중국이 수차례에 걸쳐 이민족의 지배를 받는 과정에서 화이론은 중국 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 여러나라들의 정치언어로 받아들여졌고, 한국의 경우 유교사상의 비중이 높아 지면서 화이론의 인식틀과 언어는 한국사회 전반에서 더 큰 비중을 가지게 되었다. 주희의 화이론은 욕망을 막는 수양론을 바탕으로 한다. 수양론에서는 욕망 통제 여부에 따라 인간에 대한 엄격한 평가가 행하여진다. 주희는 화이론에서도 욕망 통제 여부를 기준으로 국가들을 평가하였다. 그런 평가의 부작용은 문화의 개별성과 다양성을 존중하지 않는 것이다. 주희는 우주 속의 모든 존재가 유기체적으로 연결되어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그러한 관점은 우주를 가족의 확장판으로 보는 것이기도 하였다. 가족 내에서는 성원 각자의 역할이 고정되어 있다. 원천적으로 가족 내구성원의 역할들은 각자 나름의 가치를 가진다. 그러나 가족제도가 놓이는 상황에 따라 그 역할들에 대한 평가는 달라지며, 그에 따라 역할들의 가치 우열이 생기게 된다. 이것이 국가들 사이의 관계에 적용되면 국가의 우열을 정하는 데로 귀결될 수 있다는 것을 주희는 심각하게 우려하지 않는다. 기질은 변화시키는 것은 주희 수양론의 세부적 방법이다. 기질 변화는 차이의 통제와 연결된다. 수양론에서의 차이의 통제는 국가들 사이의 관계에서 서로 다른 국가들의 문화들을 서열화하는 데로 귀결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주희의 화이론 그리고 그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조선중화론은 조선 중후기에 발생 전개한 것이면서, 21세기 한국 사회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원효의 사상 또한 21세기 한국 사회에 영향을 끼칠만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원효의 저술 속에는 여러 불교 교학들 사이의 논쟁을 해소시키는 화쟁을 논한 『십문화쟁론』이 있다. 여기에서 원효는 절언, 이언 나아가 이변비중으로 요약되는 것을 화쟁을 가능하게 하는 태도로 제안하였다. 오늘날 그 태도 자체를 화쟁이라고 지칭하고 있다. 그러나 좀 더 정확한 설명을 시도하여 본다면, 이변비중하는 태도 자체를 화쟁이라고 하기보다는 이변비중을 ‘화쟁을 지향하는 태도’라고 설명하는 것이 적절한 듯하다. 이변비중이라는 말에서도 볼 수 있듯, 화쟁을 지향하는 태도는 “양 극단을 떠나면서 중심을 갈망하지도 않는” 태도인 것이다. 원효는 이를 화쟁을 지향하는 태도로 제안하였을 뿐만 아니라, 발심 단계에서의 자경과 수행하는 자가 일상적으로 행하여야하는 참회에 있어서도 “양 극단을 떠나면서 중심을 갈망하지도 않는” 태도를 견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태도는 조선중화론의 근거가 되어주는 주희 화이론을 비판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주희 화이론은 공동체 및 개인의 문화에 대한 평가와 개인의 통제를 바라보는 관점 혹은 태도에서 화쟁을 지항하는 원효와 대척점에 서 있기 때문이다. In ancient China, an ethical culture was made of a framework of the recognition for the purpose of bloody collision avoidance especially in royal familly. Confucianism emphasis on the love between the family. Therefore, there was a common between ethical culture of ancient China and Confucianism. The common was a standpoint on relationship in family especially in royal familly. Ethical culture of ancient China was combined with Confucianism. Hua-Yi distinction(華夷論) Was formed. Hua-Yi distinction of Zhu-Xi(朱熹), basically, succeeded ancient Confucian Hua-Yi distinction. Hua-Yi distinction of Zhu-Xi was more discriminatory than ancient Confucian Hua-Yi distinction. And it became the basis of Hua-Yi distinction(華夷論) of The Joseon Dynasty. As a result of such associations, contemporary Koreans have such a framework of the recognition like Hua-Yi distinction. Therefore, for the sake of the overcoming of tthe limitations and errors of contemporary Korean``s perspectiv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re needs to be a standard of criticism. In History ot Korean Philosophy, Attitude of avoid extremes and Do not stay in the middle(離邊非中) of Won-Hyo(元曉) is a lot less important than Hua-Yi distinction of The Joseon Dynasty. Such an attitude would remain tense. Tension prevents Hasty judgments. In this respect, Hua-Yi distinction of Zhu-Xi and Attitude of avoid extremes and Do not stay in the middle of Won-Hyo are in sharp contrast. Zhu-Xi, in his Hua-Yi distinction, constantly tries Discrimination and Intervention. On the other hand, Won-Hyo, with attitude of avoid extremes and Do not stay in the middle, Put back hasty judgments.

      • KCI등재

        북송대 禦戎論과 華夷論

        朴志焄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8 역사문화연구 Vol.30 No.-

        북송의 禦邊政策과 그 중점은 시기에 따라 다르게 변화가 있었다. 이는 대체적으로 초기(太祖, 太宗, 眞宗代), 중기(仁宗, 英宗代), 후기(神宗, 哲宗, 徽宗代) 등 삼단계로 나눌 수 있다. 본고에서는 북송대의 禦戎論과 더불어 禦戎論의 근저를 이루는 사상원칙, 즉 華夷論을 규명하였다. 여기에서 어융론이란 邊防論, 邊務論이라고도 하는데 이민족의 침입을 막는 방법, 국경지대를 방비하는 책략에 관한 주장과 논의이다. 특히 禦戎의 戎은 오랑캐라는 의미이기 때문에 용어상에서도 중국인의 화이론적인 인식이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북송대를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각 시기마다 민족관계의 중심적인 추이, 어융론의 대표적인 내용 및 화이론의 특징 등을 고찰한 것이다.. 먼저 북송초기 遼에 대한 어융론은 단순방어관념 즉 “來則禦之, 去則勿逐”를 기본으로 하여 1) 邊防 주둔군의 대량증가와 2) 屯田 혹은 方田, 3) 무역회복 등이 논의되었고, 군대훈련과 장수선택, 군비를 정예하게 하는 것, 간첩의 이용, 鄕兵 모집, 군량확보, 邊民 구휼 등이 제시 되었다. 특히 먼저 內政을 공고하게 해야 한다는 安內의 입장과 安民을 강조하고 있다. 요에 대한 관점을 볼 때 차별적인 표현이 주류를 이룬다. 契丹족을 蜂蠆, 豺狼, 犬羊, 蛇豕 등 동물로 묘사하고, ‘비리고 누린내 나는 小蕃’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하지만 德으로 진무해야한다는 원칙은 포기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유목적인 특징을 가진 이민족을 정복해도 중국에게 실익이 없고 단지 중국에게 위해를 가하지 않으면 된다는 관점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북송중기의 西夏에 대한 어융론도 성채를 쌓고, 군대훈련과 장수선택, 冗兵을 줄이며, 군량확보, 요새의 수비, 民兵 훈련, 戰馬의 보충 등으로 대체적인 요점은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다. 이렇게 어융의 기본 원칙이 계속 되풀이 되었다는 것은 북송대 내내 효과적으로 내정이 완비되지 못하였다는 사실을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華夷論的인 면에서 보면 邊備가 제대로 되어야 四夷가 저절로 복종한다는 전제 하에서 화이가 다르다는 원칙을 강조하였다. 또한 은혜를 베풀고 懷柔에 힘써야 한다는 당위론과 반역하면 어쩔 수 없다는 현실론이 공존하고 있다. 끝으로 북송후기에 가면 요나 서하와 같은 强敵이 아니라 서남지구의 交趾나 靑唐 정권이 변경을 침입하는데 따른 화이론을 볼 수 있는데 이민족의 형세에 따라 힘과 경중을 다르게 하고 있는 면을 볼 수 있다. 특히 蠻性은 很悍하고, 蠻夷는 殘暴하다고 하였으며, 민족에 따라 지형이나 풍속이 다른 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해 대비하고자 하였다. 또한 부족별로 서로 흩어질 때 중국의 이익이 되며, 중국을 배신하면 번속국의 지위에서 배제하자고 하였다. 또한 羈縻를 계속 할 수 있으면 은혜와 신의로써 맺고, 위엄을 보여 德으로서 품어야한다고 하였는데 이는 德化를 미치기보다는 중국에 대한 태도에 따라 대우를 다르게 한다는 의미이다. 이상의 내용에서 볼 때 북송대의 관료들은 국세 부진과 현실에 대해 정확히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타개하고 군비를 강화해야한다는 원칙론과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송의 국세 부진을 인정하면서도 이민족을 제압해야하고, 제압할 수 있다는 중화 중심적인 자존심이 포기되지 않고 있다. 원칙에 대한 강조는 사실 공론에 불과한데도 중국의 뿌리 깊은 中華意識이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민족에 대해서 오직 중국위주의 주관적인 평가를 하고 있으며, 상대방의 국력이나 세력에 따라 어융의 방법을 달리하는 면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어변의 방법이 각 민족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요나 서하 등이 중국을 공격할 때 군비를 강화하고 국세를 늘려야한다는데 모아지고 있다. 교지나 청당과 같은 소수민족 정권에 대해서는 관념론적인 중화사상의 원칙이 강조되고 있고, 중국을 받들지 않고 침략하는 데 대해서 더욱 강하게 비난하고 있다. 북송대의 화이론은 이민족에 비해 열세라는 현실과 자존심을 유지하고자 하는 당위론의 질곡에서 벗어나지 못하였고, 이는 어융론에서도 계속 견지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北宋时代的御边政策及其重点, 根据时期的不同有着不同的变化,大体分为初期(太祖,太宗,真宗代),中期(仁宗, 英宗代),后期(神宗,哲宗,徽宗代)等三阶段。在本稿里阐述了北宋时代的御戎论以及作为御戎论思想原则的华夷论。御戎论也被称为边防论,边务论,是有关防止其他民族侵略的方法、防备过境地带的策略的主张与议论。特别是御戎的戎是指夷狄,它的词义上也内含着中国人对华夷论的认识,所以这两者有着密切的关系。因此, 本論文拟把北宋时代分为初期, 中期, 后期,来考察各个时期民族关系的中心趋势、御戎论代表性内容以及华夷论的特征等。首先,北宋初期对辽国的御戎论是以单纯防御观念,即“来则御之,去则勿逐”为基础,探讨了1)边防驻军的大量增加 2)屯田或方田 3)贸易恢复等,提示出了军队训练和将帅选择、军备精锐化、间谍的利用、募集民兵、囤积粮食、抚恤边疆居民等。特别强调了巩固内政的安内立场和安民政策。在辽国的立场而言,不平等的表现方式形成了主流观点可以说是不公平的, 把契丹族描写成蜂蠆、豺狼、犬羊、蛇猪等动物,还被称为腥膻小蕃。虽然也不抛弃以德镇压的原则, 但仍然展示了就算征服了具有游牧特征的其他民族对中国也无益,只要不危害中国就可以的观点。其次,针对北宋中期的西夏的御戎论而言,修建城堡、选将练兵、节省兵力、广积粮食、控守险要、训练民兵、补充战马等基本原则大体上没有发生大的变化。如此, 御戎的基本塬则的反复实行,就反映了北宋时代一直没有完备有效的内政体系。从华夷论的角度上看的话,只有防备完备,四夷才会自觉地服从,在这种前提下,强调了华夷不同的塬则。另外共存着给与恩惠、致力于软化的正当论和如果叛逆也将无法对应的现实论。最后进入北宋后期, 出现了不同层次的华夷论. 对于不像辽或西夏这样的强敌,而是西南地区交趾或青唐政权的侵入边境,华夷论也根据其他民族的形式而采取或轻或重的防御战略。特别是传言蛮性很悍、蛮夷残暴,根据民族掌握地形和风俗的差异,然后采取相应的对策。当时北宋政府充分理解各个民族互相分散对中国有利,而背叛中国卽将废除藩属国的地位。如果能够继续从属,必须结以恩信、畏威怀德,与其说是德化,不如说是具有根据对中国的态度而给于不同待遇的意义。从以上内容可以看出,北宋时代的官僚对国势不振的现实具有正确地认识。进而提出了强化军备的原则和方法。但是在认识到宋的国势不振的情况,而没有抛弃要制压其他民族的野心, 也没有放弃以中华为中心的自尊心。对于原则的强调实际上只不过是空谈,而仍旧显示出了中国根源深远的中华意识。对于其他民族,仍然保持只有以中国为主的主观评价,但开始出现了根据对方的国力或者势力选择制定御戎方法的新的一面。另外掌握各个民族的特性,根据这些特性开始出现了不同的御戎方法。&

      • 한국의 다문화 사회통합을 위한 유교적 제언 : 화이론(華夷論)의 극복과 군자교육

        장현근 숙명여자대학교 다문화통합연구소 2011 다문화사회연구 Vol.4 No.1

        경제적 낙후와 문화적 낙후가 동질적인 것이 아님에도 한국인들은 다문화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이주민들에 대하여 잘못된 문화 우월주의를 견지하고 있다. 이 글은 다문화 사회 사회통합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이러한 현상의 원인 가운데 하나를 중화문화 우월주의와 잘못된 화이관(華夷觀)의 전승 때문으로 본다. 동양철학 쪽의 다문화 사화통합에 대한 선행 연구업적이 없다는 점에서 이 글은 일종의 시론이며, 한국인의 내면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고 유가사상에서 그 대안을 찾는 작은 시도이다. 2장에선 전통 속의 화이론과 중화주의가 어떻게 생겨나 중화 우월주의로 나갔는지 살펴보고, 3장에선 중화주의 내의 그릇된 화이관이 잘못 전이되어 조선문화 우월주의로 가게된 과정을 설명하고, 북학파의 논의 속에서 그 해법의 실마리를 찾는다. 4장에선 화이론의 극복이라는 전제 위에 전통 유가사상에서 군자교육과 같은 긍정적 요소들을 찾아 내 다문화 사회의 사회통합을 위한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栗谷의 華夷論 認識과 그 展望

        兪成善 한중인문학회 2011 한중인문학연구 Vol.33 No.-

        본 논고는 율곡의 화이론 인식과 그 전망의 전개이다. 율곡 화이론의 근거는 율곡이 저술 한 「箕子實記」를 中心으로 다루었다. 華夷論의 근거는 고대 중국인들이 사회적 세계를 인식 하는 방법론이다. 수천년동안 화이론은 수많은 왕조가 이어지는 동안 동아시아의 국제질서를 중국의 유지에 보다 유리한 상황으로 이끌기 위한 문화전략의 수행을 담당한다. 논자는, 화이 론은 논란의 여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며, 동북공정의 논리처럼 轉變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사실 기자가 聖人이며 조선왕이라는 사실은 『사기』등의 기록을 통해서 용인할 수 있지만, 한반도상에서 기자조선을 언제부터 언제까지 통치했는지의 여부와 지정학 적인 문제와 사실 여부가 관건이고 논란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고의 목적은 『율곡전서』의 「기자실기」를 통해 율곡이 화이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화이론의 성격을 「기자실기」를 통해서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사실 단군설화와 기자동래설은 모두 건국신화에서 출발한다. 이 문제는 왕조의 역사성과 조선조 통치이데올로기였던 성리학의 체계와 더불어 고찰할 문제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이 문 제는 역사적 轉變과 환경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논자는 이 문제의 정리를, 단군신화는 일연이 『삼국유사』에서 제시한 것처럼 우리 민족의 역사성을 대변하며, 한민족에 환란이 있을 때마다 민족주체성으로 등장했다는 사실이다. 이에 반해 기자동래설과 기자조선은 12C 성리학 수용 과 더불어 주자학적 세계관과 명분론으로 조선조에서 작동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의 기 자조선의 전망은 한국에서는 사실여부의 문제를 명분과 실리로 대응해야 하고, 중국측이 기자 조선의 문제를 동북공정의 논리로 편입하는 문제를 예의주시해야 할 것이다. 조선시대의 유학자들은 『논어』와 『사기』등의 구절을 인용하여 우리나라가 일찍이 동방의 예의지국임을 상기시키며 칭송하였다. 이 점은 중화와 이적의 차별성을 논하여 변별력을 제시 하고, 군자가 夷狄의 문화를 중화로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유학자들에게 기자를 조선에 봉했다는 기록은 당시 유학자들에게 매우 좋은 명분이 었다. 또한 「箕子實記」에 근거한 율곡의 화이론 인식은 뚜렷한 역사의식과 민족주체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자의 기자동래설의 근거와 출전이 불분명하고, 중국의 소수민족 동화이론 등 현재적 상황이 노정되어 있지만, 여전히 현재진행형임을 밝혀둔다. This study includes recognition on Hwayiron and development of its perspective of Yulgok. Ground of Yulgok's Hwayiron was dealt with centered on 「Gijasilgi」 written by Yulgok. Ground of Hwayiron is a methodology recognizing social world by ancient Chinese. Hwayiron had served to carry out cultural strategy to lead China toward favorable situation in national order of East Asia for maintaining China which is a complex political community of different races for several thousands of years. Although Hwayiron brought some controversies, Hwayiron is still working and can be changed like logic of China`s Northeast Project. It is acceptable through records of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that Gija is a saint and a King of Gojoseon but it would be a key point and controversy - period of Gija Chosun's existence, geopolitical problem,, and their truth. The purpose of his study is to explore how Yulgok recognized Hwayiron, and to investigate character of Hwayiron through 「Gijasilgi」. In fact, Dangun tale and Gija's ruling over Gojoseon start from national foundation myth. This matter should be investigated together with Sung Confucianism system which was historicity of kingdom and governing ideology in Chosun. This is because this matter is originated from historical change and environment. The author claims that as Il-yeon suggested in 『Samguk Yusa』, Dangun tale represents our national historicity and appeared as national identity whenever there was historical difficulties in the Korean race. In contrast to this, Gija's ruling over Gojoseon and Gija Joseon worked as the Neo-Confucianism's view of the world and justification together with acceptance of Sung Confucianism in the 12th century. And for future perspective of Gija Joseon, Korea should respond to the problem if it is true or not with justification and actual benefit, and should give a careful attention on using Gija Joseon for China's Northeast Project. Confucian scholars in Chosun, quoting 『the Analects of Confucius』and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etc., reminded and praised that our country had been a nation of etiquette in the East from the old times. It is known that this suggested discrimination discussing difference of China and barbarian, and opened possibility that noble man can change culture of barbarian to culture of China. For Confucian scholars in Chosun, the records that Gija was conferred to King of Gojoseon, were very good justification for Confucian scholars in Chosun. And it was known that Hwayiron recognition of Yulgok based on 「 Gijasilgi」 has clear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identity consciousness. Ground and source of Gija's ruling over Gojoseon is not clear and present situation such as China's minority race assimilation theory etc. was disclosed but this is still under progress.

      • KCI등재

        『大義覺迷錄』과 조선 후기 華夷論

        김홍백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1 한국문화 Vol.56 No.-

        In this thesis, I explore Korean-Sinocentrism(朝鮮中華主義) and the theory of civilization and barbarism(華夷論) in the latter half of Choseon Dynast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thought of Lü Liu-liang(呂留良) and the anti-ch’ing argument of the initiator of the plot, Tsêng ching(曾靜) and the 『Ta-i chüeh-mi lu(大義覺迷錄)』 of The Yongzheng Emperor(雍正帝). first of all, I examine thoroughly the core issue of The 『Ta-i chüeh-mi lu(大義覺迷錄)』 of The Yongzheng Emperor(雍正帝) related to the anti-ch’ing argument and the theory of civilization and barbarism(華夷論) of Lü Liu-liang(呂留良). I explore the ways and the meanings in which the core issue of The 『Ta-i chüeh-mi lu(大義覺迷錄)』 was accepting and was making a comment by the history of thought in the latter half of Choseon Dynasty. The concrete research object are Han Won-jin(韓元震), Yi Ik(李瀷), Yi Kap(李 ), Park Ji-won(朴趾源). I argue that the concept called The ‘Huá ’(華) involve possibility as a universalistic idea, whereby can be shared with every region and nation. I examine, furthermore, the way in which implication and possibility of The ‘Huá ’(華) is connected with the recognition to West. 본고는 雍正 6년(1728) 曾靜逆謀事件을 통해 가시화된 한족 지식인의 ‘華夷論’과 그에 대한 雍正帝(1678~1735, 재위 1722~35)의 이론적 반박문이라 할 수 있는 『大義覺迷錄』의 간행이, 조선 후기 지성사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졌고 朝淸간 관계에 있어 그 사상사적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曾靜逆謀事件 및 그 배후로 지목된 呂留良의 華夷論과 관련하여 『大義覺迷錄』의 핵심적인 쟁점들을 검토하고, 이것이 조선 후기 지성사에서 어떻게 수용 논평되었는가를 병란 이후의 小中華主義 및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對淸觀(北學論)과의 관련 하에 그 의미를 조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중세 동아시아의 ‘華’라는 개념 안에는, 중세 동아시아의 국제 질서 안에서 각 지역-종족 어느 누구에게서든 공유될 수 있는 ‘보편주의적 이념’으로서의 지향성이 담지되어 있음을 주목하였다. 아울러 새로이 재구성된 ‘華’의 내질과 지향이 향후의 對西洋觀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등의 포괄적인 문제로 논의를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 근대 이전 시기 "동인(東人)"의식의 구조와 그 변천 -단군(檀君)인식과 기자(箕子)인식 및 화이론(華夷論)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태희 ( Tae Heui Kim ) 한국민족학회 2009 민족학연구 Vol.8 No.-

        이 논문은 근대이전 시기 한국사 속에 존재하였던 민족의식의 한 표출양상이라 할 수 있는 동인의식(東人意識)에 대해 살핀 것이다. 동인의식은 고려가 강력한 외세인 몽골제국의 침입에 맞서는 시기에 형성되었다. 동인의식은 단군과 기자를 매개로 고유성과 보편성, 종족성과 세계성, 자주의식과 문명의식을 조화롭게 결합시켰다. 특히 기자인식은 화이관에 입각한 문명의식과 함께 상대적 독립성을 확보하는 절묘한 장치였다. 그러나 기자는 문명의식과 함께 중화주의의 침식과 융합을 허용하는 미묘한 존재이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근대 이전 시기의 동인의식이 중화라는 보편적 문명으로 보강되거나 중국 중심의 타자준거(他者準據)적 사유에 의해 공허해지는 현상들이 교착되었다. 내외적 충격을 계기로 단군인식과 기자인식의 결합구조는 논자에 따라 다양한 변주를 낳았다. 현실세계에서의 열패감을 자존의식의 회복과 문화의식의 고취로 대응하고자 했으며, 주자성리학의 지배적 지위가 더욱 공고히 되면서 화이론 또한 강화된 형태를 띠게 되었다. 중화에 결코 문화적으로 뒤지지 않는다고 자부하는 소중화의식은, 아예 유일한 중화임을 자처하는 조선중화주의로 나아갔다. 화이론은 보편적 선진문명에 대한 적극적 태도를 낳고 세계적응에 긍정적 기여를 했지만, 심각한 한계도 드러냈다. 소중화의식 내지 조선중화주의가 갖는 자존의식에도 불구하고, 화이론은 타자준거적 성격을 잠재하고 있었다. 관념적 명분론에 가려 현실을 직시하는 것을 어렵게 하고, 분별과 배제의 논리는 과잉된 배외의식과 자폐를 초래하여, 세계를 객관적으로 보고 현실을 타개해 나가는 것을 방해하였다. 역사상 북벌론의 귀추가 이를 잘보여준다. 또 한국 근대내셔널리즘 형성기에 위정척사 계열이 지도력 상실한 것이나, 시대의 흐름에 따라 기자조선이 탈락한 것은 화이론의 종말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gnition structure and its change of national consciousness or the equivalent before modern times. In the late Goryeo Dynasty, Dongin-Consciousness(東人意識) was formed against strong foreign power, the Mongol Empire. There were Dangun(檀君) and Gija(箕子) on the base of Dongin-Consciousness. While Dangun symbolized the originality and the identity, Gija was perceived as the messenger of the universality and the civilization. Comming from Hwai-Theory(華夷論), the cognition structure of Gija connoted both civilization and independence. The respect for Gija did not mean to be subject to Chinese civilization. After two war, Joseon-Joonghwa theory changed viewpoint from China-centric to Joseon-centric. But it was still in Hwai theory. Joseon-Joonghwa theory was good for self-respect, but made it difficult to adapt to the new surroundings because of excessive antiforeign and close attitude. Overall reflection on this problem made Silhak scholars to try to overcome Hwai-Theory. As China-centric world was gone and western Europe-centric world came, Gija was unnecessary and Dangun remained alone.

      • KCI등재

        華西 性理學의 ‘主體와 他者’에 관한 硏究

        李美林 동양고전학회 2008 東洋古典硏究 Vol.31 No.-

        조선후기 성리학에 있어서의 主體와 他者의 문제를 언급하는 것은 당시 國家觀과 함께 대외 관계의 關係性을 정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나’를 중심으로 ‘타자’를 어떻게 이해하는가에 따라서 ‘타자’에 대한 대응의 형태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理氣論과 華夷論을 중심으로 한 성리학적 대응 이론은 많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에서 자생적으로 변화의 힘에 대한 대응책의 논리적 근거를 세웠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혼란했던 시기에 먼저 ‘주체’와 ‘타자’에 대한 인식을 분명히 함으로써 정체 성을 다지고, 그것을 바탕으로 對국가간의 관계를 설정해 나간 것이다. 당시의 華夷論(尊周論)은 멸망한 明나라에 대한 義理論인 동시에 무너진 동아시아문화질서를 정신적으로나마 유지하려는 것으로, 무력에 굴복하지 않을 수 없었던 現實에서 文化的 價値를 希求하는 朝鮮社會의 願望의 표출 이기도 하였다. 人倫과 道德을 지키는 儒敎文化를 갖고 있는 存在를 中華(主體), 그렇지 못한 존재를 夷狄(他者)이라고 분별하는 性理學的 名分論인 것이다. 이러한 華夷論의 논리는 그 확고한 名分論的 價値를 가지고 民族的 자부심을 고취시킴과 동시에 정체성을 명확히 다지는 논리로 역할되어 졌다. 대외인식의 한 방법론으로써의 華夷論과 理氣論의 논리전개는 조선후 기사의 성리학이론전개에 있어서 많은 점을 시사해 준다. 관념적이고 사변적이라고 일컬어지던 성리학이 어떻게 현실을 인식하고 대응했는가의 문제는 그것의 잘잘못을 가리는 것이 아니다. 조선후기 사상사의 거대한 한 줄 기로써 그 끈을 놓아버리지 않고, 끝까지 외세에 대한 치밀한 분석과 논증를 통해 대항하려 했다는데에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華⋅夷의 구분을 <華가 되는 주체로써의 ‘나’>와 <夷가 되는 타자로써의 ‘너’>를 분명하게 나누어 보여줌으로써 당시 조선후기에 있어서 主體와 他者의 개념을 통한 성리학적 인식론을 명확히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Mentioning the issue of a subject and an object in the 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can be said to define the relationship of then view of a nation and foreign relations. How to understand 'the object' focusing on 'me' depends on the form of facing 'the object'. Confucian coping theory focusing on the theory of the predisposition theory of nature, and the theory of China and savages brought forth many controversies, but it can be said to be significant in that it laid the logic foundation of a countermove to the power of change spontaneously. By defining the perception of 'a subject' and 'an object' in the chaotic age, it solidifies its identity, and sets a relation to nations based on that. This is the concept of Confucian perception of a nation, which becomes an important rule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inking in late Joseon. Then theory of China and savages was a theory of obligation to Dynasty Ming, and to sustain the ruined East-Asian cultural order even in aspect of mentality. In the reality to submit to military power, it was the expression of a burning desire of Joseon Society hoping for cultural value. It is a Confucian theory of moral obligations distinguishing the existence of Confucian culture keeping human morality and morals as China(subject), the other existence as savages(the other person). Such logic of the theory of China and savage has been played a role to enhance national pride with its definite value of moral obligations, and lay the foundation of its identity. Logical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China and savages and that of predisposition of nature as one method of perceiving loyalty provides a lot of hints in developing the Confucian theory in the history of late Joseon Dynasty. The question of how Confucianismreferred to as ideological and speculative perceived and dealed with the reality is not to discriminate between right and wrong. It can be said to be significant in that it didn't let its string go as the grand vein of the thinking history of late Joseon Dynasty, and tried to face the outside influence to the end through finely worked-out analysis and demonstration. Also it can be found that discriminating China and savages showed definite division of <'I' as the subject of China> and <'You' as the other person of Savages>, and cleared up Confucian theory of perception through the concept of the subject and the other person in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栗谷의 華夷論 硏究

        유성선(You Sung-Se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4

        본 논고는 栗谷의 『栗谷全書』에 기록된「箕子實記」를 중심으로 율곡의 華夷論을 기술하였다. 華夷論의 근거는 고대 중국인들이 사회적 세계를 인식했던 方法論이자, 21C에도 여전히 적용가능한 世界觀이다. 본 논고의 목적은 『율곡전서』의 「기자실기」를 통해 율곡이 華夷論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기자와 기자동래설 등의 진위문제를 사상사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한국에서는 대체로 고려시대부터 정착되어 조선시대에 들어와 조선이라는 국호의 선택과 조선 후기 小中華라는 신념의 실체가 되고, 한민족 역사와 실체 인식의 중요한 뿌리가 되었던 것이 바로 箕子東來와 그에 의한 교화라는 역사적 사실인식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인식은 사학계의 비판적 고찰에 의해 그 진위여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거나 기자와 관련된 기존의 인식의 부당함을 밝히게 됨으로써 이제는 오류 신념에 불과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중국학계는 東北工程의 일환으로 箕子와 箕子朝鮮은 商周史의 일부로서 殷과 商의 후예가 조선반도에 세운 지방정권으로 중국사로 편입하였다. 또한 기자는 실재한 철학가, 정치가로서 기자조선에서부터 중국 동북사가 시작된다고 보고 있다. 기자동래를 설명하는 논리는 기자동래설 자체가 허구이며 중화적 우위성을 부각하기 위한 역사적 가공이란 사실을 알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율곡이 제기했던 기자의 殷人 문제, 기자동래설, 기자조건의 위치 문제 등의 虛와 實은 우리 철학계에서도 고고학적·역사적 검토처럼 진위의 문제를 분명하게 검토할 때이다. 이에 논자는 율곡의 「기자실기」는 21C 화이론의 성격규명에 다각도로 검토될 수 있으며, 이제 사상계에서 기자조선의 虛/實 진단과 검토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라고 제기하는 바이다. This study described Hwayiron of Yulgok focusing on 「Gijasilgi」 recorded in Collected Works of Yulgok 『栗谷全書』. Hwayiron is a methodology with which Chinese people recognized social world. And Hwayiron is a view of the world, which is still applic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Yulgok recognized Hwayiron through 『Collected Works of Yulgok』 and 「Gijasilgi」.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ruth of Gija and Gija’s ruling over Gojoseon in the aspect of thoughts. Gija’s ruling over Gojoseon was established in Goryeo dynasty and entering Chosun, it became real entity for selection of the country name called Chosun and belief for small China in later Chosun. And it also became important root for history of Korean people and its recognition of real entity. Thus, in Korean there was recognition of historical fact for Gija’s ruling over Gojoseon and edification by Gija’s ruling over Gojoseon. But such recognition was questioned by criticism from historical circle if it is true, or it was figured out that existing recognition related to Gija is unreasonable. As a result, now it is understood as only false belief. As part of China’ s Northeast Project, Chinese academic circle included Gija and Gija Chosun into Chinese history- Gija Chosun was local government that descendent of Shang dynasty established in Chosun peninsula. And Chinese academic circle says that Gija is real philosopher and politician, and Chinese Northern and Eastern histoy began in Gija Choslill. It would be necessary to know that logic to explain Gija’s ruling over Gojoseon is fiction and historical manipulation to clearly show superiority of China. Accordingly, like archeological and philosophical study, now is time for our philosophical circle to clearly investigate if Gija Chosun etc. are true - Yulgok raised issues on Gija’s nationality, Gija’s ruling over Gojoseon, location of Gija Chosun etc. Accordingly, the author emphasized that ‘Gijasilgi」 of Yulgok can be reviewed in exploring character of 21c Hwayiron and now it is urgent for the world of thoughts to check and review truth and falsehood of Gija Chosun.

      • KCI등재

        高麗末期における新興儒臣の対明事大論

        기무라타쿠(Kimura Kaku)(木村 拓)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aemyeongsadaeron (logic to justify Daemyeongsadae) of neo-Confucianists (Chu Hsi school government officials) at the end of Goryeo in consideration of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Saedae. As you may know, Saedae(事大) is diplomatic ideology contained in Confucian scriptures, and its legitimacy can also be found in Confucian scriptures. Among Confucian scriptures, those containing the view to Sadae (explanation on Sadae) are ≪Chunchujwassijeon(春秋左氏傳)≫ and ≪Maengja (孟子)≫. Based on the results of considering their view to Sadae, the author has found that ① their view to Sadae is not basically related with Hwairon(華夷論), ② ≪Maengja≫'s view to Sadae is supported by "Cheon (天)" which transcends difference from Hwai, and ③ Chu Hsi school(朱子學) transmitted and developed ≪Maengja≫'s view to Sadae. Considering what is written above, this study examined neo-Confucianists' Daemyeongsadaeron at the end of Goryeo. As a result, the study has found that neo-Confucianists' Daemyeongsadaeron justifies Daemyeongsadae on account of "Cheonmyeong (天命)" and this Sadaeron can be said to be Cheonmyeongron's Saedaeron(天命論的事大論), and it is not associated with Hwairon's world view of <Myeong(明)=Hwa(華)> <Goryeo(高麗)= i(夷)> at all. Moreover, it pointed out that neo-Confucianists' Daemyeongsadaeron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Maengja≫'s view to Sadae. Although it has been understood that neo-Confucianists' Daemyeongsadaeron supposes Hwairon's world view of <Myeong=Hwa> <Goryeo=i>, it needs to be corrected afterward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本稿は高麗末期における新興儒臣 (朱子学者官僚) の対明事大論(対明事大を正当化するための論理) の性格を、事大の基本的性格を踏まえた上で、明らかにしようとしたものである。 周知のように、事大とは儒教経典の中に見られる一種の外交理念であり、その正当性は儒教経典の中に求められた。儒教経典の中で一定の事大観を示しているのは、『春秋左氏伝』 と 『孟子』 である。両書の事大観を検討した結果、①両書の事大観は基本的には華夷論とは関係しないこと、② 『孟子』 の事大観は華夷の別を超越した 「天」 の存在に裏付けられていること、③朱子学の事大観は、『孟子』 の事大観を継承しながら、それを発展させたものであることが分かった。 以上のことを念頭に置きながら、高麗末期の新興儒臣の対明事大論を検討した。その結果、新興儒臣の対明事大論は、「天命」 に基づいて対明事大を正当化しようとするものであり、天命論的事大論と捉えることができるが、一方で 「明=華」ㆍ「高麗=夷」という華夷論的世界観とは結びつくものではなかったことが分かった。また、新興儒臣の天命論的事大論は 『孟子』 の事大観の影響を受けている可能性があることを指摘した。 新興儒臣の対明事大論については、これまで 「明=華」ㆍ「高麗=夷」という華夷論的世界観が前提とされていたと考えられてきたが、そうした理解は修正される必要がある。 본고는 고려말기 신흥유신(주자학자 관료)의 대명사대론(대명사대를 정당화하기 위한 논리)의 성격을 사대의 기본적 성격을 고려하면서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사대라는 것은 유교경전 속에 보이는 외교 이념이며, 그 정당성은 역시 유교경전에서 찾을 수 있다. 유교경전 중에서 사대관(사대에 관한 설명)이 들어 있는 것은 『춘추좌씨전』과 『맹자』이다. 이들의 사대관을 고찰한 결과, ①이들의 사대관은 기본적으로는 화이론과는 관계하지 않는 것, ② 『맹자』의 사대관은 화이의 구별을 초월한 "天"에 의해 뒷받침되었다는 것, ③주자학이 『맹자』의 사대관을 이어받으면서 이를 발전시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것을 염두에 두면서 고려말기 신흥유신의 대명사대론을 생각해 봤다. 그 결과, 신흥유신의 대명사대론은 "天命"으로 말미암아 대명사대를 정당화한 것이고 이런 사대론은 天命論的事大論이라고 할 수 있는데, <明=華> <高麗=夷>라는 화이론적 세계관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신흥유신의 대명사대론은 『맹자』의 사대관에서 영향을 받은 가능성이 있는 것을 지적했다. 지금까지는 신흥유신의 대명사대론에 대해서는 <明=華> <高麗=夷>라는 화이론적 세계관을 전제로 하는 것이라고 이해되어 왔으나 이런 이해는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옥루몽(玉樓夢)〉 군담에 나타난 징악(懲惡)의 특수성과 그 의미

        서정현(Seo, Jeong-hyeon)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91 No.-

        본고는 19세기 장편소설 〈옥루몽〉 속 군담에 나타나는 징악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그 특수한 양상과 문학사적 의미를 구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개별 작품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옥루몽〉을 산출한 19세기 소설사의 흐름을 심도 있게 파헤치고자 한다. 군담에 등장하는 주인공 영웅과 적대자의 대결은 주인공과 적대자 양자의 대립을 단순하면서도 명쾌한 선악의 대립으로 치환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전쟁의 잔혹한 실상을 덮고 주인공의 행위를 영웅적 행위로 거듭나게 만들기 위함이며, 또한 화이론과 ‘충’의 논리가 주요한 판단 기준으로 활용된다. 작중 서사에서 적대자에 대한 징치, 즉 ‘징악’은 이를 뒷받침하는 중대한 장치로 작동한다. 그런데 〈옥루몽〉에서는 군담의 이러한 경향을 따르면서도, 타 작품과 구분되는 흥미로운 특성을 보인다. 이는 크게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남방 이민족 출신의 적대자인 축융왕과 탈해의 경우이다. 축융왕과 탈해는 화이론의 이치에 따라 ‘화’가 ‘이’를 교화하고 복속시키는 이치의 한계를 직접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화이론의 이상으로는 닿을 수 없는 현실적인 국제관계의 면모를 보여주거나 혹은 유교의 전통적인 가치관에 대립하는 흥미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중국 내부 출신의 적대자인 노균의 경우이다. 〈옥루몽〉에서는 노균의 이율배반적이고 복잡미묘한 심리를 긴 분량을 할애하여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는 마땅히 추구해야 할 이상과 그에 반대되는 인간 본연의 욕망 사이의 심각한 충돌을 드러낸다. 셋째, 천상계 출신의 적대자인 소보살과 청운의 경우이다. 작중에서는 두 인물의 악행을 처벌하는 징악의 과정이 거의 생략되어 있으며, 청운의 경우에는 선악 구분의 모호함을 드러내기까지 한다. 이는 그들의 출신성분인 초월계와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다.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지상계의 지배질서 혹은 선악의 구도가, 그보다 상위에 있는 천상 존재에 대해서는 구속력으로 작용하지 못하는 것이다. 〈옥루몽〉 군담 속 징악의 특수성은 19세기의 과도기적 성격과 연결지어 이해할 수 있다. 군담에 일반화된 화이론과 ‘충’의 관념, 나아가서는 권선징악에 기반한 선악대립 구도의 균열과 일탈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는 비단 〈옥루몽〉만이 아닌 다른 장편소설의 군담, 혹은 당대에 널리 성행하였던 단편 영웅군담소설의 경우에서도 종종 찾아볼 수 있는 현상이기도 하다. 이러한 전근대 이념과 질서의 모순 및 한계를 인식하고 극복하려는 노력은, 그러나 마지막에는 그를 고수하려는 지점으로 되돌아간다는 점에서 한계를 드러내기도 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blem of jingag(懲惡; punishing evil) appearing in kundam(軍談; the military story) of the 19th century novel 〈Okrumong〉,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ts special aspect and its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Through this, we intend to dig deeper into the flow of the 19th century novel history that produced 〈Okrumong〉 as well as understanding individual work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protagonist and the antagonist in kundam tends to replace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protagonist and the antagonist with a simple yet clear confrontation between good and evil. This is to cover up the brutal reality of war and make the protagonist"s actions reborn as heroic actions, and the theory of Hwai(華夷論) and the logic of "Chung(忠)" are used as the main criteria for judgment. In the narrative of the work, the disciplinary action against the antagonist, that is, ‘Jingag’, acts as a critical device to support it. However, while following this trend of kundam, 〈Okrumong〉 shows interesting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it from other works. This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ree cases. First, it is the case of King Chuongyung(祝融王) and Talhae(脫解), who are enemies from a foreign ethnic group in the south. King Chuongyung and Talhae are important in that they directly show the limits of the principle that "hwa(華)" edifies and subjugates "i(夷)"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hwai theory. It shows aspects of realistic international relations that cannot be reached by the ideal of Hwai theory, or presents an interesting perspective that opposes the traditional values ??of Confucianism. Second, it is the case of Nogyun(盧均), an antagonist from inside China. In 〈Okrumong〉, a long section is devoted to detailed descriptions of Nogyun"s antagonizing and complex psychology. This reveals a serious clash between the ideal to be pursued and the opposite of human desire. Third, it is the case of Sobosal(小菩薩) and Cheongun(靑雲), who are enemies from the heavenly realm. In the story, the process of punishment for the evil deeds of the two characters is almost omitted. And in the case of Cheongun, it even reveals the ambiguity of the distinction between good and evil. This can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transcendental world, which is their origin. The ruling order of the earthly world centered on China or the composition of good and evil cannot act as a binding force on the higher heavenly beings. The specificity of jingak in 〈Okrumong〉 can be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the transitional period trend of the 19th century. It reveals the cracks and deviations in the composition of the good and evil confrontation based on the generalized theory of Hwai and the concept of "Chung", and furthermore, on the basis of strife. This is a phenomenon that can often be found not only in <Okrumong>, but also in other novels, or in the short stories of heroic soldiers that were popular at the time. However, these efforts to recognize and overcome the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of pre-modern ideology and order reveal transitional limitations in that they eventually return to the point of sticking with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