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위자-네트워크이론과 위상학적 공간 개념

        최병두(Byung-Doo Choi) 한국공간환경학회 2015 공간과 사회 Vol.25 No.3

        우리가 살아가는 이 공간은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들 간의 다중적 관계로 구성된다.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은 이러한 점에서 두 가지 핵심적 유의성을 가진다. 즉 이 이론은 인간 및 비인간 행위자들의 네트워크 또는 혼종적 결합체(아상블라주)에 관심을 두고 여러 유형의 이분법을 극복하고자 하며, 또한 다양한 행위자들의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관계적 또는 위상학적 공간을 사유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행위자-네트워크이론에서 제시된 위상학적 공간 개념은 다양한 행위자-네트워크들로 구성된 다중적 공간들을 이해하고자 하며, 이러한 위상학적 개념의 사례로 네 가지 유형의 위상학, 즉 지역, 네트워크, 유동성, 화염의 위상학을 제시한다. 행위자-네트워크이론가들 외에도 다른 저명한 학자들도 위상학적 사유(예로 들뢰즈의 리좀 위상학이나 아감벤의 '예외공간' 등)를 제시했으며, 이로 인해 위상학적 공간 개념들이 지나치게 다양하게 설정될 우려도 있지만, 이들과의 연계를 통해 더욱 확장·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위상학적 공간 개념이 유읭성을 가지는가의 문제는 이를 원용항 경험적 분석에서 어느 정도 발견적 통찰력을 가지는가. 그리고 실제 행위자-네트워크의 생성과 변화를 위한 실천을 어느 정도 추동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고 하겠다. The space where we live is constituted of multiple relationships between human and non-human actors. Thus actor-network theory has much significance at two points: that is, this theory leads us to overcome various types of dualism, giving attention to networks or hybrid associations (i.e. assemblages) of human and non-human actors; and it enables us to think about relational or topological concept of space with actor-networks. In particular, suggesting topological concept of space, actor-network theorists have tried to understand multiplicity of social spaces established with actor-networks, considering, for example, 4 types of topology, that is, of region, network, fluidity and fire. Despite some worries about overproducing topological concepts of space, we can elaborate further topological concept of space, by associating ANT’s topological concept of space with that of other theorists (for example, Deleuze’s topology of rhizome, Agamben’s concept of ‘space of exception’, etc.). In conclusion, it can be argued that the significance of any topological concept of space would depend on both to what extend it gives heuristic insights for empirical analysis, and how much it can pursue practices for forming and transforming of actor-networks.

      • KCI등재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에 기반한 드라마 분석 방법 연구 -이강백의 <어둠상자>에의 적용-

        허재성 한국드라마학회 2023 드라마연구 Vol.- No.69

        The actor network is a diagram of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 objects, and the theory based on this is characterized by deconstructing the dichotomy between humans and non-human, nature and society, subject and object. Non-human objects have had a profound impact on human life since industrialization, and in the present era, they are connected to the problem of identity of human existence and of the global natural environment. Accordingly,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the influence of things began to be considered through the material turn of the 1990s, which is also affecting the field of art. Since dramas embody the existential reality facing humans, the influence of non-human objects is revealed in dramas, but the work of drama criticism has not yet to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s as the subject. This paper, which uses Actor-Network Theory as a method of drama analysis, is an attempt to turn critique into posthumanism. In this paper, the translation work of the actor network is borrowed and used as a methodology for drama analysis. Since the actor network views human actors and non-human actors as one criterion of behaviorality without regarding to distinguish between them, the characters and objects in the drama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characters to grasp the connection. The actor network formed in the drama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external network and intrinsic network, and through this, we test how the three concepts of conflict, metaphor, and interpretation proposed by the traditional narrative theory are read different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ctor network and can reveal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existing conventional wisdom overlooked. In addition, Kang-baek Lee’s play Dark Box is reviewed with the proposed theories to present its practical application. 행위자네트워크는 인간과 비인간 사물을 아울러 그들 간의 영향 관계를 네트워크로 도식화한 것이며, 이에 기반한 이론은 인간과 비인간, 자연과 사회, 주체와 객체의 이분법을 해체하는 특징을 갖는다. 비인간 사물은 산업화 이후 인간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으며, 현시대에 이르러선 인간 존재의 정체성 문제와 전 지구적 자연환경의 문제에 이어져 있다. 이에 사회과학 분야에선 1990년대의 물질적 전환을 거치며 사물의 영향력을 고려하기 시작하였고, 이는 예술 분야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드라마는 인간이 처한 실존 현실을 형상화하기에 비인간 사물의 영향력이 드러나고 있으나, 아직 드라마 비평의 작업은 인간을 주체로 두는 관점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드라마 분석의 방법으로 삼는 본고는 비평론의 포스트휴머니즘적 전환의 시도가 된다. 본고에서는 행위자네트워크의 번역 작업을 차용하여 드라마 분석의 방법론으로 사용한다. 행위자네트워크가 인간 행위자와 비인간 행위자를 구분하지 않고 행위성이라는 한 가지 기준으로 바라보기에, 드라마에 등장하는 인물과 사물을 등장물로 통칭하여 연결을 파악한다. 드라마에 형성된 행위자네트워크를 외적인 관계망과 내재적인 관계망의 두 가지 범주로 나누어 추적하며, 이를 통해 종래의 서사 이론이 제안하는 갈등, 은유, 해석이라는 세 개념이 행위자네트워크의 시점에서 어떻게 다르게 읽히는지, 기존의 통념이 간과한 특징을 밝혀낼 수 있는지 시험한다. 또한 제안하는 이론들로 이강백의 희곡 <어둠상자>를 검토하여 그 실제적인 적용 양상을 제시한다.

      • KCI등재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NT)을 통한 문화콘텐츠의 이해와 적용

        김진택(Kim, Jin-Taek) 인문콘텐츠학회 2012 인문콘텐츠 Vol.0 No.24

        이 글은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 (La theorie de l’acteur-reseau / Actor-Network Theory: ANT)을 검토하여 문화콘텐츠 환경을 새롭게 이해하는 동시에 스토리텔링을 구성하고 구축하는 과정에도 ANT가 새로운 상상력의 생성에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을 살펴보려 한다. 프랑스의 과학기술학자인 라투르에게 기술과 인간은 모두 행위자이고 이들의 긴밀한 관계를 통해 세계는 구성된다. 기술은 비인간 행위자의 대표적인 존재이고, 세계는 인간이라는 행위자와 비인간 행위자들 간의 복잡한 관계와 그들의 이합집산을 통한 집합체들의 운동에 의해 전개된다. 기술은 이러한 네트워크 전개 과정 안에서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 바로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인 것이다. ANT에 따르면 문화콘텐츠는 매우 흥미롭고 영향력 있는 비인간 행위자의 역할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현재 문화콘텐츠 생산과 소비의 영역이 계속해서 확장되어 가고 테크놀로지와 기술과의 적극적인 융합을 모색하고 있는 상황에서, ANT을 적용하여 새로운 문화콘텐츠 환경에 대한 이해와 콘텐츠 생산에 대한 철학적 분석을 시도해 보려하는 이유도 거기에 있다. 과학 기술에 수동적으로 이끌려가는 태도에서 벗어나 그것과 함께 당당하고도 의미 있는 문화콘텐츠라는 비인간 행위자로서 생성하면서 세계라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창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ANT이론에서 모든 행위자들이 쉬지 않고 네트워크 안에서 부단히 번역 행위를 실천하고 관계망을 서술하는 현장은 바로 세계를 이야기하며 구성하는, 구성하며 이야기하는 스토리텔링이다. 문화콘텐츠를 창작하고 생산하는 혹은 소비하는 과정에서 스토리텔링의 많은 유형들을 개발해내고 스토리텔링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들을 발굴하려는 우리의 노력 가운데 ANT를 이해하고 그것을 적용하는 일 역시 흥미로운 시도이자 모색일 것이다.

      • KCI등재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으로 본 과학적 실행의 현상 생성 사례

        유금복,이종혁,이선경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2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scientific learning of phenomenon production in scientific practice from the perspective of actor-network theory. In the actor-network theory, they see the connection between human actors and nonhuman actors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network of raising issues, attracting attention, registering, and mobilizing problems as the essence of scientific execution.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scientific learning wa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actor-network theory in the case of scientific execution to create phenomena in structured inquiry and free inquiry. To this end, the types and roles of actors participating in scientific practice were analyzed, an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mandatory passing points for important actors and establishing networks was schematized. As a result, it showed that phenomenon-based scientific practice can expand the scope of scientific understanding and scientific learning, and that the materiality of non-human actors served as an important factor in scientific learning including phenomenon produc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suggested implications of the actor-network theory in the context of science education. 본 연구는 과학적 실행에서 현상 생성이 가지는 과학 학습의 의미를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에서는 문제 제기, 관심 끌기, 등록하기, 동원하기의 네트워크 구축 과정에서 일어나는 인간 행위자와 비인간 행위자들의 연결을 과학적 실행의 본질로 접근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관점으로 구조화된 탐구와 열린 탐구에서 현상을 생성하는 과학적 실행 사례를 탐색하고 과학 학습의 의미를 조망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적 실행에참여하는 행위자들의 종류와 역할을 분석하였고, 중요 행위자의 의무통과점 설정과 네트워크 구축 과정을 도식화하였다. 그결과 현상을 기반으로 하는 과학적 실행은 과학적 이해와 과학 학습의 적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음을 보이고, 비인간 행위자의 물질성이 현상을 생성하는 것과 같은 과학 학습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교육의 맥락에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이 가지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탈북 사건 보도의 행위자-네트워크: 언론 보도에 의한 <탈북 루트>의 해체 과정을 중심으로

        이호규 ( Ho Kyu Lee ),김병선 ( Byoung Sun Kim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5 언론과학연구 Vol.15 No.1

        이 연구는 탈북 사건 보도에서 드러나고 있는 언론의 사실 보도와 취재 대상 보호 간의 복합적 관계를 전통적인 저널리즘 윤리학의 관점이 아니라, 행위자-네트워 크(Actor-Network)의 구축 및 변형 과정이라는 보다 역동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탈북 루트라는 특수한 행위자-네트워크가 구축되고 언론 보도에 의해 이것이 변형되고 해체되는 과정을 추적해 보면서, 분단과 그것을 극복하기 위 한 지속된 과정 안에서 남한 언론이라는 행위자가 부여받고 있는 역할은 어떠한 것 인지, 이를 통해 언론이 어떻게 현대 자본주의 국가의 주권을 작동시키는 중요한 주체가 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고자 했다. 연구를 통해, 우선 남한 언론이 북한이라는 취재 대상을 대하는 독특한 방식이 북한 관련 보도의 행위자-네트워크 구축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잘 작동하는 블랙박스로 결절(punctualization)된 북한 관련 보도의 행 위자-네트워크는 다시 카메라라고 하는 부동의 동체(immutable mobiles)를 동원 시키며, 기존에 제대로 작동하고 있었던 탈북루트의 행위자-네트워크에 이것이 또다른 행위자로 개입함에 따라, 탈북루트 네트워크의 급속한 붕괴가 일어나게 된다. 이는 다시 말해 카메라의 시선 권력이 중심적 행위자로 구축된 남한 언론이라는 블 랙박스가 탈북 사건에 개입하면서, 애초에 의도했던 북한 인권 보호와는 정반대의 결과를 만들어 낼 수밖에 없었던 사건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탈북 사건 의 보도라는, 말하자면 한 주권에서 벗어나게 된 생명에 대한 다른 주권의 언론 보 도라는 특수한 형태의 취재 보도 과정이, 저널리스트 개인의 선한 의도가 발휘될 여지가 별로 없는 매우 복합적인 행위자-네트워크의 구축 및 변형 과정으로 취급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approached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real reportage and protecting news source not by the terms of journalism ethics but by the terms of actor-network theory(ANT). Concretely, this study pursued the processes of constructions, transformations and de-constructions of a special actor-network named defection-root. We want to find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kind of roles have been granted to the journalistic media of South Korea in the situation of nation’s division and the continuous process to overcome it? How journalistic media can be an important subject who operate the sovereignty of modern capitalist states? This study found that a South Korean report’s unique way of treating the North Koreans plays a key role in the process of actor-network construction. This ‘actor-network of reportage about North Koreans’ which is punctualized and well-operating black-box mobilized TV camera as new ‘immutable mobiles’. And then camera intervened to ‘the actor-network of defection-root’ as new actor, finally collapsed it. This event can be translated that journalistic media produced the opposite result of protecting North Korean rights by intervening of TV camera as the power of the gaze. Also this event means that media reports of one sovereignty about the lives from another sovereignty can be a complex process of actor-networking which has no much room to demonstrate a good intentions of individual journalists.

      • KCI등재후보

        관계이론에서 행위자-네트워크이론으로

        최병두(Byung-Doo Choi)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7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7 No.1

        이 논문은 초국적 이주 분석을 위한 기존 연구방법론으로 관계이론을 재고찰하고, 이에 대한 대안적 연구방법론으로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의 유의성과 한계를 논의하고자 한다. 초국적 이주에 관한 기존 이론 또는 연구방법론들은 흔히 행위이론, 구조이론, 그리고 이들 간을 연계시키고자 하는 관계이론으로 구분된다. 사회적 연결망 이론, 사회적 자본론, 네트워크이론, 이주체계이론, 그리고 초국적이주이론 등을 포함하는 관계이론은 행위/구조의 이분법을 벗어나서 연계성을 강조하지만, 연계에 관한 서술이 다소 모호하고, 또한 다양한 용어들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은 이러한 관계이론에 대한 방법론적 대안으로 제시된다. 이 논문은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의 3가지 주요 개념들, 즉 행위자-네트워크, 번역, 위상학적 공간 개념 등에 초점을 두고, 이러한 개념들이 초국적 이주 연구에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가를 고찰하고 있다. This paper is to reconsider traditional relational theories in analysis of transnational migration, and to discuss actor-network theory as an alternative methodology for the analysis of transnational migration. Traditional theories or methodologies to approach transnational migration tend to be classified into 3 types, that is, action theory, structural theory and relational theory which attempts to connect those two types. The type of relational theory which includes social network theory, social capital theory, migrant networks theory, theory of migration system, and transnational migration theory has emphasized properly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levels of action and that of structure, but described somewhat ambiguously that connectivity and tended to use confusingly numerous terms to do so. To resolve these problems in traditional theories of transnational migration, this paper suggests actor-network theory, and explore its applicability to analysis of transnational migration, especially focusing on three groups of its important concepts, that is, actor-network, translation, and topological space.

      • KCI등재

        사물의 문화, 디자인, 그리고 과학·기술의 상호구성성 이해 -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의 이해를 중심으로 -

        민수홍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1

        This study examines the method of promoting the convergence design research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ANT with design research. ANT is influential theory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and STS observing and analyzing the complex relationship of human beings with various artifacts as non-human actors making human identities today. It has been evaluated that it helps to grasp the co-constructive relationships between human being and artifacts that was not exposed according to existing ways of think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using ANT as a design research methodology can help to consider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ontext as results of design thinking and performances, to enhance the ability to observe and reflect on the culture of artifacts, and the ability of thinking soci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artifacts. Therefore, this research presents another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that explores the cultural and historical performativity and epistemology of artifacts through design research. To do this, this paper first introduces ANT and compiles the characteristics into four contexts associated with design studies. Then, this research analyzes some case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facts and science & technology, which can be further refined in terms of ANT. Thus, this study shows that the results and processes of design, and the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subjects of them, belong to a co-constructive concept that follows a networks of human and non-human actors, not separate or unified derivatives. In conclusion, dis/advantages of ANT as a methodology of interdisciplinary design research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이 연구는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을 조형 연구에서 활용하여, 문화 연구의 조형적 연구 역량과 더불어 조형 연구의융합적 연구 역량을 함께 고양하는 방안을 살펴본다.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은, 오늘날 인간의 다양한 활동과 기억, 경험과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비인간 행위자로서의 여러 사물들과 인간의 복합적인 관계를 관찰하고분석하는 사회과학 및 과학기술학 분야에서 비교적 최근에 각광받기 시작한 연구 이론으로, 과학·기술에 관한지식이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탐구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을 조형 연구에 활용함으로써, 조형적 사고와 행위의 결과인 사물이 지니는 과학· 기술적 특성을 보다 능동적으로 사고할 수 있으며, 사물의 문화를 관찰하고 그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성찰하는능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됨을 보였다. 이 과정에서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을 소개하고, 행위자네트워크의 다양한특성들 중에서 융합적 조형 연구에 유효하다고 판단되는 네 가지를 이 연구의 목적에 맞춰 정리했다. 그런 다음, 새로운 고찰 가능성 제시의 수단으로써, 사회적 활동으로서의 어떠한 조형 행위의 결과인 인공사물과 그것이 지니는 과학·기술과의 관계를 드러내는 사례들을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의 관점으로 분석했다. 이를 통해, 조형의 결과와 과정, 그 객체와 주체의 관계 설정에 대한 논의가 뚜렷한 구분 자체가 모호한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들의 네트워크를 따르는 상호구성적 개념에 속해 있음을 보였다. 결론에서는, 융합형 조형 연구의 방법론으로서의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이 갖는 장단점을 분석함과 아울러, 이 연구가 갖는 의의를 다루며 사물의 문화 및 조형연구에서 관습적으로 활용되는 이분법적 사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 KCI등재
      • KCI등재

        서비스 생태시스템 관점에서의 비대면서비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호현 ( Hohyeon Cho ) 한국항공경영학회 2021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9 No.1

        최근 COVID-19의 영향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비대면서비스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에서도 뉴노멀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비대면서비스 확산을 단편적인 시대적 유행이라기보다는 서비스 패러다임 전환의 징후로서 이해하고 비대면 현상의 본질과 영향의 분석을 통한 향후 서비스 연구의 흐름을 가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비대면서비스를 COVID-19 등 환경적 요인과 4차 산업혁명의 급속한 기술 변화 영향에 의한 새로운 서비스의 등장이라는 시각에서 벗어나, 최근 사회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하고 있는 ‘물질적 전환’이라는 흐름에 기초한 서비스 생태시스템의 재구성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대면서비스를 대면서비스를 대체하거나 보완하는 대립적 개념으로 보기보다는, 인간-인간 상호작용 중심의 대면서비스와 동등한 수준에서 인간-비인간 또는 비인간 간 복수행위자들의 동태적ㆍ관계적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즉 행위자-네트워크 아상블라주의 구성요소로 개념화함으로써 서비스 생태시스템의 관점에서 비대면서비스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적 접근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항공서비스에서의 부분적인 비대면서비스 도입현황과 함께 비대면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인지기술을 중심으로 한 기술진보 현황을 살펴보고, 이러한 현상을 종합할 수 있는 비대면서비스를 포괄하는 서비스 생태시스템 관점을 설명한다. 지금까지 서비스 연구는 서비스 기업 또는 종업원과 소비자 간의 인간 중심 상호작용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으나, 비대면서비스의 비인간 요소들을 행위능력을 갖는 서비스 시스템 구성요소로 인정함으로써 서비스 생태시스템 개념을 보다 포괄적인 인간과 비인간의 아상블라주로 확장하여 서비스 연구의 새로운 전환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서비스를 서비스 삼각형의 한 요소로 끼워넣는 기존의 미시적ㆍ기술결정론적 관점과 비인간 요소를 행위능력을 갖는 하나의 행위자로 간주하는 행위자-네트워크 아상블라주를 비교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의 배경이 되는 행위자-네트워크 및 아상블라주 개념은 서비스 연구에서는 다소 생소한 개념이지만 사회과학의 다른 분야에서는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으며, 서비스 연구에서도 뉴노멀이 되고 있는 비대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이러한 개념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비대면서비스를 인간 행위자와 비인간 행위자를 위치나 행위능력 측면을 동등한 입장에서 다루는 행위자-네트워크, 아상블라주 등 신유물론적 시각을 통해 개념화한다. 그리고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번역 개념을 기초로, 비대면서비스 확산과정을 서비스 생태시스템의 중심행위자인 서비스 기업이 비대면서비스를 관여시키는 새로운 행위자-네트워크 아상블라주의 형성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서비스 기업의 입장에서 뉴노멀이 되고 있는 비대면서비스는 이제 자동화, 비용절감 등 부분적인 경쟁우위 요소로서가 아니라 새로운 비인간 행위자의 적극적 관여를 통한 새로운 서비스 생태시스템 구축을 위한 전략수단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e non-face-to-face service, which is rapidly spreading due to the recent COVID-19, is expected to become a new normal even in the post-corona er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pread of non-face-to-face service as a symptom of a service paradigm shift rather than a fragmentary trend, and to grasp the flow of future service research through analysis of the nature and impact of the non-face-to-face phenomena. This study aims to move the non-face-to-face service from the viewpoint of the emergence of new service due to the impact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OVID-19 and rapid technological change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approach it from the perspective of reconstruction of service ecosystem based on the so-called ‘material turn’ flow, which is emerging as a new paradigm in social science. Also, this study does not consider non-face-to-face service as a confrontational concept that replaces or supplements face-to-face service, but rather, conceptualizes it as a constituent element of assemblage including the dynamic and relational interactions between human-non-human or multiple non-human actors on the same level as human-human interaction-centered face-to-face services, and in doing so, seeks a comprehensive theoretical approach to non-face-to-face servi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ervice ecosystem. Accordingly, we look at the current status of introduction of partial non-face-to-face service in aviation services, as well as the technological progress centered on cognitive technologies that enable non-face-toface service, and then explain the service ecosystem perspective that encompasses non-face-to-face service that can synthesize these phenomena. Service research so far has focused only on human interactions centered on service companies or employees and consumers, but by acknowledging the non-human elements of nonface- to-face service as service system components with agency, the concept of the service ecosystem can be extended to a more comprehensive assemblage of human and non-human actors to seek a new transformation of the service research.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compare the existing micro-technolgy deterministic viewpoints that incorporate non-face-to-face service as an element of service triangle to an actor-network assemblage that considers nonhuman elements as an actor with agency. The concepts of actor-network or assemblage, which are the background of these discussions, are somewhat unfamiliar in service research, are being actively discussed in other fields of social science recently, and so it will be necessary to actively introduce these concepts in service research as well to explain new normal non-face-to-face phenomena. This study conceptualizes non-face-to-face service from the new-materialistic perspectives such as actorsnetwork and assemblage that treat human actors and non-human actors equally in terms of their location and agency. And, based on the ‘translation’ concept of the actor-network theory, the process of spreading non-face-to-face service is explained as the formation of a new actor-network assemblage, in which service companies, the central actors of the service ecosystem, engage non-face-to-face service. Therefore, from the standpoint of service companies, non-face-to-face service, which is becoming a new normal, should be understood as a strategic means for building a new service ecosystem through active involvement of new non-human actors, not as partial competitive advantage elements such as automation and cost reduction.

      • KCI등재

        기술-사회-자연 네트워크 20세기 후반 한국 해저케이블을 중심으로

        임연경 한국언론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9 No.2

        이 연구는 20세기 후반 한국 해저케이블을 중심으로 기술과 사회, 그리고 자연의 이종적 행위자 네트워크를 탐구한다. 해저케이블과 20세기 후반 한국사회의 행위자 네트워크는 독특한 물질-사회적 생태계를 공형(configuration)했다. 한편으로, 해저케이블이라는 비인간 행위자는 당시 한국의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행위자와 네트워크를 이뤘다. 체신부, 한국통신과 한국해저통신 등은 해저케이블 기술의 사회내 안정화를 위한 동맹(alliance)을 맺었으며, 소수의 힘있는 행위자 간의 동맹은 해저케이블의 다층적인 네트워크를 다수의 이용자로부터 비가시화하는 데 기여했다. 다른 한편으로, 해저케이블은 인간과 비인간, 자연적인 것과 인공적인 것, 그리고 사회적인 것 사이의 관계를 생산하고 매개했다. 광역 네트워크 차원에서 해저케이블은 자연적인 것(전기, 빛)을 인공적인 것(통신 시스템)으로 변환시켰으며, 국지적네트워크 차원에서는 바다라는 자연 인프라를 사이에 두고 해양생물 및 인근 지역사회와 긴장 관계를 형성하기도 했다. 20세기 한국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해저케이블은 장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안정적이고 견고한 미디어 인프라인 동시에 다양한 행위자의 동맹과 긴장 관계를 포함하는 가변적이고 유동적인 기술-사회-자연의 네트워크로 작동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