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식학파의 중도 개념 재검토 -『중변분별론』을 중심으로-

        남수영 ( Nam Soo-young ) 인도철학회 2017 印度哲學 Vol.0 No.50

        중관학파와 유식학파는 대승불교의 중심 학파들이지만, 그 두 학파의 중도 개념은 동일하지 않다. 왜냐하면 용수(龍樹)는 중도를 비유비무(非有非無)라고 설명하면서, 공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지만, 『중변분별론』은 중도를 비공비불공(非空非不空)이라고 설명하면서, 공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유식학파가 용수의 중도 개념을 부정하고, 새로운 중도를 주장하게 되었던 동기는 무엇인가?`라는 의문이 제기된다. 그러므로 논자는 본 연구에서 유식학파 중도 개념의 특징과 의미 등에 대한 재검토를 통하여 유식학파 중도 개념의 동기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유식학파의 중도 개념은 허망분별의 존재성 승인, 공성의 존재성 승인, 소취-능취의 존재성 부정이라는 세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그 내용은 모두 부파불교의 법유설과 중관학파의 법공설에 대한 비판인 동시에, 기존의 불교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새로운 불교 사상이다. 이로부터 유식학파의 중도 개념은 ①부파불교의 법유설 비판, ②중관학파의 법공설 비판, ③유식이라는 새로운 불교 사상의 확립을 의미함을 알 수 있다. 유식학파의 발생 동기는 중도 개념의 의미와 마찬가지로 ①부파불교의 법유설 비판, ②중관학파의 법공설 비판, 그리고 ③유식관의 선정 체험에 근거한 새로운 불교 사상의 확립으로 요약된다. 왜냐하면 유식학파는 유가사(瑜伽師)들의 선정 체험을 바탕으로 해서 형성된 학파로서, 『해심밀경』이나 『유가사지론』 등의 최초기 경론에 이미 부파불교의 법유설과 중관학파의 법공설에 대한 비판의 문구들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유식학파의 중도 개념을 구성하는 세 항목의 동기를 살펴보면, 유식학파중도 개념의 동기는 유식학파의 발생 동기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요컨대 유식학파의 `비공비불공` 중도 개념은 부파불교의 법유론과 중관학파의 법공설을 비판하고, 윤회, 해탈, 공성 등 불교의 핵심 개념들을 유식관의 선정 체험에 따라 설명함으로써, 자신들의 유식 사상을 새로운 대승불교로 확립하기 위한 개념 틀이었던 것이다. Madhyamika and Vijn anav ada are the main schools of Mah ay ana Buddhism, but the middle way conceptions of the two schools are not same. Because Nag arjuna uses the middle way as same meaning to the sunyat a, explaining the middle way as the neither being nor non-being(非有非無), but Vijn anav ada use the middle way as different meaning to the sunyat a, explaining the middle way as the neither emptiness nor non-emptiness(非空非不空). Here a question arises as follows. `Why Vijn anav ada insists on a new middle way denying Nagarjuna`s middle way?` So this writer studied the motive of the middle way conception of Vijn anav ada. The Vijn anav ada`s middle way conception is the critique of the dharma existence theory(法有說) of scholastic buddhism and the dharma emptiness theory(法空說) of Madhyanika. Because the three items, composing the middle way conception of Vijn anav ada, the being of false imagination( 虛妄分別), the being of emptiness(空性), and the non-being of apprehended-apprehender(所取-能取) are the critiques of the dharma existence theory of scholastic buddhism and the dharma emptiness theory of Madhyamika. Vijn anav ada be seemed to have critical attitude to the dharma existence theory of scholastic buddhism and the dharma emptiness theory of Madhyamika from the beginning. Because according to mention of Samdhinirmocana- sutra etc., the occurrence motives of Vijn anav ada are seemed to ①the critique of dharma existence theory of scholastic buddhism, ②the critique of dharma emptiness theory of Madhyamika, and ③the establishment of new buddhist thought of Vijn anav ada. The motives of middle way conception of Vijn anav ada are same as the occurrence motives of Vijn anav ada. To sum up, the middle way conception of neither emptiness nor non-emptiness of Vijn anav ada is a frame conception for establishing Vijn anav ada as new Mah ay ana Buddhism, by criticizing of the dharma existence theory of scholastic buddhism and the dharma emptiness theory of Madhyamika, and by explaining central conceptions of Buddhism, the repetition of rebirth, the ultimate liberation, and the emptiness etc. through new method.

      • KCI등재

        한국에서의 중국양명학파 연구 현황과 과제

        김세정(金世貞) 한국양명학회 2020 陽明學 Vol.0 No.59

        지난 60년간 한국에서 간행된 중국양명학파 관련 연구 성과물들을 수집하고 정리하여 <한국에서의 중국양명학파 연구 문헌 목록>을 만들어 본 논문의 부록으로 수록하였다. 한국에서의 중국양명학파와 관련한 연구 성과물은 1) 저서 17종, 2) 원전 번역서 16종 27권, 3) 외국문헌 번역서 13종, 4) 박사학위논문 45편, 5) 석사학위논문 99편, 6) 학술논문 413편, 총합 603종에 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목록에 수록된 자료들을 유형별(저서, 번역서, 박사학위논문, 학술논문)로 나누어서 연구 성과를 정리 ·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에서의 중국양명학파 연구의 지형도를 그리고, 중국양명학파 연구가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저서는 총론과 각론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중국양명학파를 총체적으로 다룬 저서들은 중국양명학의 다양한 학파로의 분기의 역사적 · 사회적 배경과 각 학파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발판을 만들어 주었다. 반면 구체성과 엄밀성이 떨어지고 필자의 관점이나 관심사에 따라 특정학파나 특정인물에 편중되고, 개별적인 학파나 인물에 대한 설명이 소략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중국양명학파의 개별 인물들의 생애와 사상에 관련한 저서들은 중국양명학파와 관련한 연구 환경이 매우 척박한 한국에서 중국양명학파 연구를 본격적으로 심도 있게 진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주었다고 하는 점에서 학술사적으로 매우 의미가 크다. 다만 절중학파와 태주학파에 대한 저서가 있는 반면 강우학파에 대한 저서가 단 한 권도 없는 것은 학술적 균형과 다양성의 측면에서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는다. 원전 번역서의 경우에는 중국양명학파의 방대한 인물과 저서에 비해 번역서 자체가 매우 적고, 그 마저도 이지와 황종희에 집중되어 있다. 중국양명학파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서는 보다 많은 중국양명학파의 문집에 대한 번역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박사학위논문과 학술논문에서는 다양한 학파와 인물이 다루어졌다. 다만 중국양명학파를 전체적으로 개관한 논문이 빈약하고, 개별 인물의 경우 지나치게 태주학파에 편중되어 있다. 균형 잡힌 연구와 중국양명학파 전체를 제대로 조망하기 위해 강우학파와 관련된 논문뿐만 아니라 절중학파나 태주학파에서도 제대로 조명되지 않은 학자 그리고 황종희나 유종주에 대한 논문이 좀 더 많이 나올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ncludes an appendix named “Bibliography of works on Chinese schools of Yangming studies in Korea” that was compiled by collecting and arranging the research results relating to Chinese schools of Yangming studies during the last 60 years in Korea. The research results relating to Chinese Yangming studies in Korea comprise 603 works in total in which there are: 1) 17 books, 2) 16 books (27 volumes) translated from original texts, 3) 13 translations of foreign works, 4) 45 PhD. theses, 5) 99 MA. theses, and 6) 413 academic papers. In this paper, the author classifies works in that bibliography according to type (book, translation, Phd. thesis, MA. thesis), and analyze them to draw a topographic map of the research on Chinese schools of Yangming studies in Korea, and hold the discussion about the outstanding questions of that research in the future. The author classifies books into general and particular ones. Books telling generally about Chinese schools of Yangming studies provide a comprehensive knowledge of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s of the division of Chinese Yangming studies into perio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and school. However the shortcomings of those books are that the concreteness and precision are reduced, the contents usually lean much towards some specific schools or figures according to the author’s viewpoint or concern, and the interpretations of different schools or figures are not precise. Books on life and thought of thinkers of Chinese Yangming studies have a great significance, from the academic aspect, in providing the solid basis to regularly do in-depth studies on Chinese Yangming studies in Korea where the research on Chinese schools of Yangming studies is still rare. However, there are some books on Zhezhong school and Taizhou school, but none of book on Jiangyou school is published, therefore the academic equality and diversity is still the shortcoming that must be overcome in the future. About the translations of original texts, it can be said that the books themselves are exceedingly few in comparison with the enormousness of figures and texts of Chinese schools of Yangming studies, and they only focus on Li Zhi and Huang Zongxi. To do more in-depth research on Chinese Yangming studies, we must make more translations of works of those schools’ thinkers. About the PhD. theses and academic papers, there are already various works on schools and thinkers. However, works on Chinese Yangming studies as a whole are rare, and figures mentioned are almost all thinkers of Taizhou school. In order to reach the balance and get a comprehensive view on Chinese Yangming studies, we need more papers not only on Jiangyou school, but also on thinkers who did not lean much towards Taizhou school, as well as some thinkers such as Hwang Zongxi and Liu Zongzhou.

      • KCI등재

        중관학파와 삼론학파의 연기설과 중도설

        남수영(NAM, Soo-young) 불교학연구회 2014 불교학연구 Vol.38 No.-

        논자는 본 논문에서 중관학파인 청목과 월칭 등이 중도를 비유비무(非有非無)라고 정의함에 대하여, 삼론학파인 길장은 중도를 비공비유(非空非有)라고 정의함에 주목하여, '삼론학파가 중도를 중관학파와 다른 형식으로 정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의문을 제기하고, 용수, 청목, 월칭, 길장을 중심으로 양 학파의 연기설과 중도설 및 이제설을 비교해서 고찰함으로써, 그런 의문에 대한 답변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양 학파의 연기설과 중도설 및 이제 설에서 공통성은 연기설을 중도의 진실을 밝히고 열반의 성취를 돕는 논리적이고 실천적인 도구로 사용하였다는 점과 철저한 무집착을 바탕으로 하는 무소득과 언망려절의 중도 개념에서 발견되며, 그와 같은 공통성으로부터 양 학파가 설하는 연기설과 중도설 및 이제설은 그 표현 방식은 다르지만, 배경이 되는 근본 사상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와 같은 표현 방식의 차이는 양학파의 사상적 주변 상황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양 학파의 연기설과 중도설 및 이제설에서 차별성은 중관학파가 승의제를 언어와 지식의 작용을 떠난 것이라고 설함에 대하여, 삼론학파는 이제가 상호의 존하는 것이고 가명이며 가르침이라고 주장하는 곳에서, 그리고 중관학파가 연기인 것을 불일불이라고 설함에 대하여, 삼론학파는 연기인 것을 불이와 상즉이라고 주장하는 곳에서 발견된다. 양 학파의 공통성과 차별성에서 진제와 중도를 무소득과 언망려절이라고 설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이제가 상호의존하는 것이고, 가명이며, 가르침이라고 주장하는 길장의 이중적인 태도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타 학파가주장하는 여러 종류의 진제와 중도는 모두 언어로 설해진 것이기 때문에, 상호의존하는 것으로서 가명인 동시에 가르침에 해당하고, 삼론학파가 설하는 진제와 중도는 무소득과 언망려절의 진제와 중도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양 학파의 차별성에서 연기인 것을 상즉이라고 설하는 길장의 사고는 그 이후의 중국불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되지만, 그 구체적인 내용은 본고에서 다루지 못하였다. 그에 대한 자세한 고찰은 다음기회로 미룬다. Scholars of the Madhyamaka school such as Piṅgala 靑目 and Candrakīrti 月稱 define the middle way 中道 as neither existing nor non-existing 非有非無, while those in the Sanlun school such as Jízàng 吉藏 define the middle way as neither empty nor existing 非空非有. Therefore, I raise the question of why the two schools define the middle way in different terms. To answer this question, I conduct comparative considerations on the three theories of dependent origination 緣起說, the middle way 中道說, and two truths 二諦說 between the two schools. To sum up the answers, they are as follows. The common features in the three theories of the two schools are found in that they use the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as a logical and practical tool for illuminating the truth of the middle way and helping the achievement of Nirvāṇa, and in that they both claim the middle way is undiscriminable 無所得and neither speakable nor thinkable 言忘慮絶, upon a background of absolute non-attachment. From such common features, it is clear that the three theories of the two schools agree at a basic level even though they are different in their terms of expression. I believe it is likely that this difference of expression arose from differences of ideological circumstance. The differences in the three theories of the two schools are found in that although Madhyamaka scholars say that the highest truth 勝義諦 is beyond language and knowledge, Sanlun scholars say the two truths are interdependent 相互依存, and so they are mere the assumed names 假名 and the teachings 言敎. Another is found in that while the Madhyamaka school states that dependently originated things are neither same nor different 不一不異, the Sanlun school says that they are non-dual 不二 and identical 相卽. Jízàng makes a contradictory claim that although the two truths are interdependent, and so they are mere the assumed names and the teachings, nevertheless the highest truth or middle way is undiscriminable and neither speakable nor thinkable. Because the undiscriminable and the neither speakable nor thinkable cannot be interdependent, so it cannot be the assumed name or the teaching. Yet, this contradiction can be explained in the following manner. It is to think that Jízàng regarded all of the various highest truths and middle ways which other schools assert, are mere the assumed names and the teachings, and so they are interdependent, but the highest truth or middle way of the Sanlun school is the undiscriminable and the neither speakable nor thinkable. I believe that Jízàng'S idea that dependently originated things are identical created a strong impression on Chinese Buddhism afterwards, but this remains a further area for investigation.

      • KCI등재

        퇴계학파(退溪學派)와 율곡학파(栗谷學派)의 《사서석의(四書釋義)》 간행(刊行)과 그 의의

        전재동 영남퇴계학연구원 2017 퇴계학논집 Vol.- No.20

        The book of SASESUKYEI(四書釋義) is understood to be Josun(朝鮮)’s Style, which is the name of Neo-Confucianism introduc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and it is evaluated as a text that faithfully reflects Lee's unique view. Lee Yulgok(李栗谷)'s SASESUKYEI(四書釋義) provided guidelines for the Joseon Dynasty' s Writings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later scholars' accounts. However, the same two signatures were misleading because of the publishing process, compilation process, internal conflicts, and uncertain distribution channel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oegye(退溪) school SASESUKYEI(四書釋義) and the books published in the Yulgok school and to illuminate the academic meanings of them. The order of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I analyze the data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Yulgok school of the Toegye school of the 16-17th century. Second, we trace the compilation process of books published in both schools. Third, the effects of the two data on the present and future periods were analyzed. There are five book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Toegye school book. A SASESUKYEI(四書釋義) held in a national institute, TOEGUEYOUNGHAKSUKYI (退溪庸學釋義辨吳) held in a Sosoo Museum(紹修博物館), A SASESUKYEI(四書釋義) held in a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ibrary, SASEGILYEI (四書質疑) by GumBo(琴輔), SASEGILYEI(四書質疑) by YiDukHong(李德弘). Most of these materials were presumed to have been compiled by Yi Hwang, or were directly or indirectly involved in the compilation by the disciples just before the eruption. This book was published in the Toegye school and the Yulgok school in the same way, but its history and purpose of compilation started from different points. The book of Yiwang is the collection of the result of the old result which circulated in the present day. However, Lee 's book has no record of his involvement in the compilation of this text, and his point of view is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soju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Therefore, the two texts are only the same as the signatures, but they are different data for purpose of compilation, personality, history, and tradition. In addition, the two texts have different meanings within the school. 경학사에서 이황의 《사서석의》는 선초(鮮初)에 유입된 명(明)의 성리학을 조선식으로 이해한 것이자, 이황만의 독특한 견해가 충실하게 반영된 텍스트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이의 《사서석의》는 조선조 경서 언해의 지침을 마련하여 후대 학자들의 경서 해석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동일한 서명의 두 텍스트는 간행 및 성서 과정에서 내부의 갈등, 확실하지 않은 유전(遺傳) 경로 등으로 인해 다소 오해의 소지를 남겼다. 본고는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에서 동일한 서명으로 간행된 《사서석의》의 차이를 구명하고, 그것이 지니는 학술사적 의미를 조명해보기 위한 것이다. 논의의 순서는 첫째, 16-17세기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의 경서 해석 관련 자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둘째, 두 학파에서 간행한 《사서석의》의 성서 과정을 추적하는 과정을 거친 뒤 이 자료가 당대 및 후대에 미친 영향 등을 분석하였다. 퇴계학파의 사서 해석 관련 자료는 ①국립중앙도서관을 비롯한 여러 국학기관에 소장된 《사서석의》, ②소수박물관에 소장된 《퇴계선생용학석의변오》, ③경북대학교에 소장된 《사서석의》, ④금보의 《사서질의》, ⑤이덕홍의 《사서질의》 등 총 5종이 전존(傳存)한다. 이 자료들은 대부분 이황이 편찬한 것으로 추정되거나, 이황 직전제자들이 편찬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것이다. 율곡학파의 《사서석의》는 관본 언해의 오류를 수정한 16세기 기호학파의 대표적 경학 관련 자료이다. 《사서소주권평》은 이이가 직접 편찬한 것으로, 대전본 소주 가운데 의문이 있는 대목을 선정하여 권주와 권점으로 평한 것이다. 《사서소주권평》은 조선 중기 율곡학파 및 이후 우암학파-농암학파 계열의 주요 경서 해석 텍스트이자 대본이 되었다. 《사서석의》는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에서 동일한 제명(題名)으로 간행되었지만, 그 내력과 편찬 목적 등은 상이한 지점에서 출발하였다. 퇴계학파의 《사서석의》는 당대에 유통되던 구결과 석의를 총집(總輯)한 것이다. 그러나 율곡학파의 《사서석의》는 후대 학자에 의해 서명이 부가된 것이며, 이이가 주안점을 둔 것은 대전본 소주와 언해의 올바른 해석 제시이다. 그러므로 두 텍스트는 서명만 동일할 뿐, 편찬 목적이나 성격, 내력, 전승 과정 등이 상이한 자료이다. 또한 두 텍스트는 학파 내에서 각각의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 오스트리아학파 경기순환론에 대한 공공선택학파의 대응

        김행범(Haeng-Bum Kim) 공공선택학회 2023 공공선택학저널 Vol.2 No.1

        오스트리아학파의 경기순환론(ABCT)은 경기순환이 정부가 경기부양을 위해 이자율을 ‘인위적으로(artificially)’ 변동하는 데서 주로 출발한다고 본다. 공공선택학파의 정치적 경기순환론(PBCT)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왜’ 정부가 그렇게 이자율을 인위적으로 변동시키는지에 더 주목한다. ABCT에게는 그것이 선량한 의도를 가진 공익적 정부의 착각이든 혹은 이기적 동기인지를 구별하는 것은 그 이론 체계에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PBCT는 그것이 이기적 이익을 추구하는 정치인과 관료가 공적 영역에서 얻고자 하는 정치적 이익 때문이라는 사실을 가장 강조한다. 정부에 의해 야기되는 경기순환에 대해 오스트리아학파보다 공공선택학파가 더 깊은 불신을 가지고 있다. 오스트리아학파는 통상적으로 신고전파가 ‘나쁜’ 것으로 간주해 온 불황(bust) 국면의 가치를 새롭게 부각해 주었다. 그것은 잘못된 신호 하에서 과다 투입된 자본이 정상화되는 회복 과정이라는 순기능을 가진 국면이다. 자본의 이질성, 과오 투자(mal-investment)는 오스트리아학파가 밝혀낸 탁월한 개념이지만, 공공선택학파는 이 두 개념에 크게 주목하지 않는다. 공공선택학파는 자본을 총량적이고 동질적으로 파악하며, 과오 투자와 과잉 투자를 혼동하기도 한다. 이는 공공선택학이 사전에 토대한 경제학이 오스트리아 경제학이 아니라 신고전파 경제학이었기 때문이다. 두 학파는 건강한 긴장과 상보성을 공유한다. 시장과정(market process)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오스트리아학파와 정치 시장(political market)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두 학파는 정부, 정치인, 중앙은행, 관료가 시장과 정의 한 핵심 레버인 ‘이자율’을 건드리는 국면에서 조우하였으며 그 지적 공간이 경기순환론이다. ABCT는 그것이 시장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보았고, PBCT는 그것이 정치 시장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각각 보여주었다. 경기순환에 관한 상이한 두 이론은 시장 및 정치를 아우르는 체제 전체의 이해에 상보적 지식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ince Mises’ advocacy and Hayek’s refinement, ABCT(Austrian Business Cycle Theory) has been well formulated and showed valid explanation on actual economic business cycles as well. This article reveals how Public Choice responded to ABCT and how they developed its own ideas on business cycle. Gordon Tullock criticized Rothbardian sense of ABCT, followed by severe response from Sallerno. Some essential points on this argument were extracted to compare the basic difference of Tullock and Rothbard. ABCT activates business cycle when gov’t(central bank) ‘artificially’ lower the interest rate. Public Choice theorists focus on ‘why’ they do that. For ABCT, whether or not they have good intention is not important. PBCT, however, more emphasize that was done for the selfish political interests that politicians or bureaucrats have in political context. Austrians suggested new meaning to ‘bust’ phase of economic cycle, which under neo-classcical economics school long have been ignored as ‘bad’ event. ABCT assumes two key concepts; heterogeneity of capital, and mal-investment. PBCT is unfamiliar to those. So PBCT frequently does not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over-investment and mal-investment, and assumes homogeneity of capital. It’s because Public Choice stands on neo-classical economics, not Austrian sense of economics. Then, four political business cycle theory(PBCT) models were reviewed: Opportunistic, Partisan, Rational Opportunistic, and Rational Partisan model. Austrians focusing on market process met Public Choice Theorists focusing political market met on the theme of business cycle. ABCT shows how ‘visible hand’ gives impact on market economy, and PBCT shows what impact business cycle has to political market. Each mutually gives sound tension, plus contributes to complementary explanation on overall business cycle.

      • KCI등재

        화서학파의 형성과정과 사상적 특징

        김근호(金根浩) 한국국학진흥원 2009 국학연구 Vol.15 No.-

        이 논문은 이항로李恒老를 종장으로 하는 화서학파華西學派가 19세기후반 강한 실천력과 함께 사회적으로 부각될 수 있었던 사상적 배경을 밝히고 있다. 이항로의 학문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리고 그의 학문적 특성은 무엇인지, 또한 그것이 어떻게 그의 제자들에게 전해져 갔는지 등에 관한 것이다. 화서학파는 경기도 양근楊根을 중심으로 형성된 학파인데, 이들은 이곳에서 이항로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베풀었던 강학회講學會에 참석하였다. 이들 문인들은 ‘명천리明天理, 정인심正人心’과 ‘존중화尊中華, 양이적攘夷狄’으로 상징되는 ?q여숙강규閭塾講規?q를 익히면서 강한 ‘의리義理’ 지향적 측면의 성리학을 익힌다. 이 강학회는 이항로에게 또다른 의미가 있었다. 외세와의 강한 충돌에 의해 흔들려가고 쇠락해가는 조선사회를 지킬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사師’를 통한 교육이라고 그는 생각했다. 따라서 강학회는 자신의 학문을 이해시키고 가르치는 자리일 뿐만 아니라 조선사회를 외세로부터 지켜내기 위한 노력이었다. 그 학문적 핵심은 ‘주리적主理的 심론心論’이었으며, 특히 ‘심心의 주재主宰’에 관한 담론을 통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인간상을 이론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직전제자인 김평묵과 유중교가 갈등을 빚고 그의 제자들을 중심으로 격렬한 논쟁으로까지 이어진다. 그러나 이것이 오히려 그들의 사상적 기반을 강화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이로인해 조선의 문명권에 충돌해온 19세기 서양 문명을 ‘문화적 화이관’을 기반으로 저항해 나갈 수 있었다. 전국의 많은 학자들이 그의 강학회에 참석하였고, 이로써 화서학파의 문인들은 전국적인 규모로 분포될 수 있었다. 따라서 ‘문화적 화이관’을 기반한 화서학파의 위정척사운동은 여타 학파에 비견해 전국적으로 두드러진 양상을 보일 수 있었다. 또한 화서학파는 율곡의 학맥으로부터 독립된 하나의 학파로 평가받을 만큼 성장할 수 있었다. This paper focuses on philosophical backgrounds as form the school of Lee Hang-Roh, espcially why Lee Hang-Roh to theorize his thought and what is characteristic of his theory, how his theory to pass down to his disciple. He resided Yang Geun in Gyeong-Gi Do and trained his pupils to cope with despoilment Chosun of right, there. The educational rule of a residential district[閭塾講規] was made by Lee Hang-Roh at that time. His pupils who was educated by Lee Hang-Roh there had a strong sense of moral duty. They was launching a strong social movement as the way to keep Chosun against the western[衛正斥邪]. The social practice of his moral theory is from his theory of Xim[心]. Their social movement spread across the nation because their residence was distributed widely throughout the nation. And their social movement was more strong than any other schools.

      • KCI등재

        성호학파를 통해 본 조선후기 지식 집단의 형성과 변모의 한 양상

        윤재환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8 고전과 해석 Vol.26 No.-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a aspect of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knowledge group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Seongho School. This knowledge group has not only knowledge but also various collective common denominators, but it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school in that it is based on knowledge. The “Seongho School” shows that most of its members are homogeneous in their political propensity, family, and real circumstances, living environment, status and social status, and that they are universal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haracteristics of such a school are thought to be due to the educational method of Seongho, which emphasized 'doubt and self-awareness'. This academic method is meaningful not only as a surname but also as a basic academic method of the school. Therefore, the Seongho school is a group of knowledge made by the consent of the Seongho education method along with the respect for the teacher Seongho. As such, the Seongho school was forced to be divided after the death of Seongho. The members of the Seongho school pursued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itself by clashing at various points after the fate of Seongho, but the school could not maintain its full appearance. The change of the Seongho School has a basic meaning in that it shows both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internal system through reproduction by academic self-dispersion and the conflicting tendency to survive through academic solidification. In addition to this basic meaning, however, it has another meaning in that it clearly shows that the existence of the knowledge group, the school, depends on the power of the great social vested rights. 이 글은 성호학파를 통해 조선후기 지식 집단의 형성과 변모의 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지식 집단’이란 동일 지식을 소유한 지식인들의 집단이다. 이 지식 집단은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집단 내적 공통분모를 지니고 있었지만, 지식을 근본으로 한다는 점에서 학파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성호학파’는 구성원 대부분이 정치적 성향과 가문 그리고 현실적인 처지와 생활환경, 신분과 사회적 위상에서 동질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조선후기 학파의 보편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이와 함께 학파 구성원들의 학문적 속성에서 동질성과 함께 상당한 정도의 이질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조선후기의 일반적인 학파와는 다른 모습 역시 보여준다. 이와 같은 성호학파의 특성은 ‘懷疑와 自得’을 강조했던 성호의 교육 방법에 기인한 것이라 생각되는데, 이 학문 방법은 성호뿐만 아니라 성호학파의 기본적인 학문 방법으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성호학파는 스승인 성호에 대한 敬畏心과 함께 성호의 교육 방법에 대한 동의에 의해 이루어진 지식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만큼 성호학파는 성호 사후에 분열될 수밖에 없었다. 성호학파의 구성원들은 성호의 운명 이후 다양한 지점에서 충돌하면서 지식 자체의 발전을 추구했지만 학파는 끝내 온전한 모습을 유지할 수 없었다. 성호학파의 변화 양상은 하나의 학파가 학문적 자기 분열에 의한 증식을 통해 내적 체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과 학문적 공고화를 통해 존속해 나가는 상반된 두 경향을 동시에 보여준다는 점에서 기본적인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본적인 의미 이외에도 학파라는 지식 집단의 존속이 거대한 사회 기득권의 힘에 좌우된다는 사실을 선명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또 다른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연재학파(淵齋學派)의 형성과 전개 - 『계산연원록(溪山淵源錄)』을 중심으로-

        박학래 ( Park Hak-ra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0 No.-

        19세기 중반 이후부터 구체화한 기호학계의 학파 분화는 이후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화서학파(華西學派), 노사학파(蘆沙學派), 간재학파(艮齋學派), 연재학파(淵齋學派) 등의 문인 집단으로 구체화되었다. 이들 학파의 문인들은 유교 문화의 수호와 계승을 지속하는 한편, 서구와 일제의 침탈에 맞서 위정척사와 의병활동, 항일운동 등의 대응 양상을 보이며 20세기 중후반까지 학파적 면모를 지속하였다. 본고에서 고찰하는 연재학파는 송병선(宋秉璿, 1836~1905)과 송병순(宋秉珣, 1839~1912) 형제의 강학 활동을 바탕으로 강학지인 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에 걸쳐 수많은 문인을 배출한 근현대 한국유학을 대표하는 문인집단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송병선 형제의 문하에 배출된 직전 제자에만 초점을 맞추어졌고, 이에 따라 20세기 후반까지 활동한 연재학파 문인들의 전모를 확인하는 데에는 일정한 한계를 보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의 제한점에 유의하여 본고에서는 먼저 연재학파 형성의 배경이 되는 송병선 형제의 학문 수수 및 교유 관계, 그리고 체계적인 강학 활동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송병선 형제 문하에서 배출된 1,100명의 직전 제자뿐만 아니라 이 문인들의 문하에서 배출된 2,458명의 재전 및 99명의 삼전 제자들의 지역별 연령별 분포를 정리 분석하여 20세기를 관통하며 활발한 학문 활동을 전개한 연재학파의 전체 규모를 고찰하였다. 이 연구 논문을 기반으로 향후 연재학파에 대한 보다 진전된 연구가 후속되길 기대한다. Since the mid-19th century, the school divisions in Kiho Dao Learning lineage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into various groups of literary groups, such as Hwaseo School (華西學派), Nosa School (蘆沙學派), Ganjae School (艮齋學派), and Yeonjae School (淵齋學派). The literati belonging to these schools continued to defend and follow the Confucian tradition. In addition, they showed various aspects of countermeasures, such as movement of Wijeongcheoksa (衛正斥邪), the righteous army movement (義兵運動) and anti-Japanese activities (抗日活動), against Western trade pressure and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n through these activities, the school continued to be in school until the late 20th century. The Yeonjae School studied in this paper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literary groups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Confucianism that produced numerous literary figures across the country, beyond the Chungcheong area, based on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Song Byeong-Seon (宋秉璿, 1836~1905) and Song Byeong-Soon (宋秉珣, 1839~1912). However, previous studies focused only on the early disciples of the Kanjae school. Accordingly, it revealed certain limitations in identifying the entire literary circle of the Yeonjae School, which was active until the late 20th century. In this paper, paying attention to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I examined the academic completion, academic relationship, and systematic teaching activities of Song Byeong-Seon brothers' as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Yeonjae School, paying attention to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Based on this, I summarized and analyzed the area and age distribution of 1,100 early disciples discharged through the Song Byeong-Seon brothers' education, and 2,557 next disciples who were discharged through the education of early disciple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further revitalize the study of the faculties. Of course, the basic data of this study is the Gyesanyeonwonrok (溪山淵源錄) published by the literary man of the Yeonjae school. I hope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of the study of the Yeonjae school in earnest, and I hope that the study of modern and contemporary Confucianism in Korea will be activated.

      • KCI등재후보

        학파 형성의 조건

        박홍규 영남퇴계학연구원 2014 퇴계학논집 Vol.- No.15

        이 글은 서양에서 학파가 형성되는 조건과 우리의 그것을 비교 검토 한다. 먼저 서양에서 나온 세 가지 유형의 학파, 즉 도시 단위의 빈학파, 연구소와 서클 단위의 프랑크푸르트학파와 부다페스트학파, 대학 학과 단위의 시카고학파에 대해 살펴보면서 학파의 성립조건을 검토한다. 빈 학파는 빈을 무대로 여러 학문 예술 분야에서 생겨났지만 사실은 그 모 두를 하나의 학파라고 해도 좋을 정도의 상호관련성을 갖는 것들이었다. 프랑크푸르트학파와 부다페스트 학파는 그런 빈학파보다는 작은 규모였지만 본질적으로는 마찬가지였다. 시카고학파는 주로 시카고대학의 경제 학과를 중심으로 한 것이지만 역시 여러 학문 분야와 관련된 것이었다. 그러나 이 세 학파는 학문 분야에서 혁명적이라는 점 때문에 학파라고 불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그 역사적 의의가 크다. 가령 빈학파 는 철학, 경제학, 법학 등 여러 분야에서 20세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었다. 마찬가지로 프랑크푸르트학파는 철학과 사회학, 부다페스트학 파는 문학과 예술사와 사회학, 시카고학파는 경제학 등에서 혁명적인 사 고전환을 초래했기에 학파라고 불리는 것이다. 도시 차원에서는 정치보다 문화. 특히 다문화가 욕망되며 그 속에서 세계시민주의적 다양성과 실험성이 새로운 학파를 낳는 조건을 형성했 다. 대학의 관료주의에서 벗어나기 위해 성립한 연구소 단위의 학파도 자율성, 세계성, 다양성, 정신성을 그 형성의 조건으로 삼았다. 이는 학 과 단위의 학파가 성립하는 조건인 엄격한 직업윤리, 진정한 학문에 대 한 굳건한 믿음, 진보를 위한 유일한 기준으로서의 학문적 우수성, 비판 정신에 입각한 열성적 토론 문화, 캠퍼스의 2차원적 고립성이라는 점에 서 더욱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여러 조건들은 한국의 학문 풍토 에 현저히 결여된 것들이다. 학파란 혈연?지연?학연 등의 편협성, 동질성, 근친교배와 무관한 것이어야 함에도 한국의 학파란 바로 그런 것을 조건 으로 하여 형성된다. 그런 조건을 극복하지 않으면 한국에는 참된 학파 가 성립할 수 없다.

      • KCI등재

        시장의 경쟁질서: 자생적 질서인가, 설정적 질서인가

        황준성 한국질서경제학회 2002 질서경제저널 Vol. No.

        시장경제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주된 논거는, 첫째, 시장이 정부보다는 더 효율적이고 부패정도가 낮다는 것이며, 둘째, 경제주체들의 부담과 편익을 시장에 의해 분배하는 것이 더 공정하다고 믿는데 있다. 이러한 시장경제관은 학설사적 측면에서 크게 신오스트리아학파의 시장경제관과 프라이부르크학파의 시장경제관으로 대별하여 비교, 평가해 볼 수 있다. 신오스트리아학파는 시장의 경쟁질서가 시장 자체의 교정적이고 진화적인 과정을 통해 자동적으로 형성된다고 보는 반면(자생적 질서), 프라이부르크학파는 경쟁은 시장에 방치하면 독과점화가 되어 달성될 수 없기 때문에, 시장의 경쟁질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설정적 질서), 본 연구는 이러한 시장의 경쟁질서관에 대한 두 학파의 이론적 패러다임을 비교, 분석하여 바람직한 한국 시장경제관은 무엇인가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필자는 한국의 시장경제는 프라이부르크학파의 경쟁질서관에 기초하여 정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